KR200482175Y1 -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75Y1
KR200482175Y1 KR2020150005212U KR20150005212U KR200482175Y1 KR 200482175 Y1 KR200482175 Y1 KR 200482175Y1 KR 2020150005212 U KR2020150005212 U KR 2020150005212U KR 20150005212 U KR20150005212 U KR 20150005212U KR 200482175 Y1 KR200482175 Y1 KR 200482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up holder
bracket
coupl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2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3218U (en
Inventor
박재근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20150005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75Y1/en
Publication of KR20150003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21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7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컵이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가 개구 형성된 컵홀더;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단측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컵홀더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시 타단측의 자유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개구된 컵홀더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개방시 상기 컵홀더의 측부를 향해 인입되도록 구성된 제1커버 및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일단측 및 제2커버의 일단측 사이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 연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가 소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which is provided with a cup therein and has an opening at one end thereof; The cup holder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one end of the cup holder by the rotation shaft. When the fre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cup holder is opened or closed at both sides of the cup holder,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cup holder and to be pulled toward the side of the cup holder when opened; And an interlocking opening / closing means configured to connect the one end side of the first cover and the one end side of the second cover by a link so that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rotated together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cover opening / closing device is introduced.

Description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cup holder,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홀더 사용시 컵홀더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의 돌출량을 제한하여 컵홀더의 사용성 및 외관미를 향상시키도록 한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cup holder that limits the amount of protrusion of a cov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up holder when using the cup holder,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appearance of the cup holder .

통상, 자동차에는 탑승자를 위해 음료수 컵이나 캔을 놓아둘 수 있는 컵홀더가 차량의 중앙패널이나 센터콘솔 등에 마련되며, 후석측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후석 시트백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암레스트의 단부에 컵홀더가 설치되기도 한다.Usually, a cup holder for allowing a drinker cup or a can to be placed for a passenger is provided on a central panel or a center console of a vehicle, and an end portion of an arm res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back seatback A cup holder is also installed.

도 1 및 도 2는 후석시트의 암레스트에 설치된 컵홀더를 도시한 것으로, 암레스트 전방에 컵홀더(1)가 내장 설치되며, 상기 컵홀더(1)의 상단에는 상기 컵이 수용되는 부분을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게 커버(3)가 설치된다.1 and 2 show a cup holder provided on the arm rest of a back sheet. The cup holder 1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arm rest, and the upper part of the cup holder 1 is provided with a cup- A cover 3 is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or closable.

그런데, 도 2와 같이 상기 커버(3)를 개방하는 경우, 상측을 향해 세워지는 커버의 단부(자유단)가 상기 컵홀더의 상면으로 상당 부분 돌출된 상태로 개방됨으로써, 컵홀더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커버의 개방시 암레스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또한 컵홀더에 수용되는 컵의 지름이 큰 경우에는 컵의 외면이 커버의 내면에 간섭되어 컵홀더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When the cover 3 is opened as shown in Fig. 2, the end (free end) of the cover, which is raised upward,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3 is significant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holder,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is large,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s interfer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cup holder can not be used there is a problem.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70908호의 "컵 홀더가 구비된 암 레스트"가 소개된바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70908, "Armrest with cup holder"

그러나, 이같은 방식의 컵홀더는 커버가 구비되는 않은 구조로서, 커버의 개폐 구조를 갖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such a cup holder of this type has a structure without a cover, and it is difficult to have a cover opening / closing structur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2006-007090810-2006-0070908 AA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컵홀더 사용시 컵홀더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의 돌출량을 제한하여 컵홀더 및 암레스트의 사용성과, 컵홀더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도록 한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cup holder and the armrest and the appearance of the cup holder by limi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cov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up holder when using the cup holder. And to provide a cove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cup hold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컵이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가 개구 형성된 컵홀더;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단측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컵홀더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시 타단측의 자유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개구된 컵홀더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개방시 상기 컵홀더의 측부를 향해 인입되도록 구성된 제1커버 및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일단측 및 제2커버의 일단측 사이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 연동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p holder comprising: a cup housing accommodated therein; The cup holder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one end of the cup holder by the rotation shaft. When the fre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cup holder is opened or closed at both sides of the cup holder,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cup holder and to be pulled toward the side of the cup holder when opened; And an interlocking opening and closing means configured to connect the one end side of the first cover and the one end side of the second cover by a link so that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rotated together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have.

상기 제1커버는, 일단에 자유단이 형성되어 컵홀더의 개구된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개폐부와, 상기 제1개폐부의 타단에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된 제1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버는, 일단에 자유단이 형성되어 컵홀더의 개구된 나머지 부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개폐부와, 상기 제2개폐부의 타단에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은 상기 컵홀더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cover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having a free end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open or close an opened part of the cup holder,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 a bent shape, And a second rotation shaft formed at an end of the bracket, wherein the second cover has a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that has a free end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open or close the remaining opened part of the cup holder, And a second rotation shaft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bracket, wherein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are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be coupled to the spaced apart positions.

상기 연동개폐수단은, 상기 링크의 양단이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link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상기 제1브라켓의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 단부에 링크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의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돌출부 단부에 링크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A first protrusion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first bracket, and one end of the link is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end; A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sideways from the second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rotrusion end.

상기 컵홀더의 타단부와 제1커버 및 제2커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텐션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A spring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ther end of the cup holder and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o provide tension to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컵홀더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브라켓의 중단에 결합되어 구성된 제1텐션스프링일 수 있다.The spring may be a torsion spring, and may be a first ten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up hold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interruption of the first bracket.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컵홀더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의 중단에 결합되어 구성된 제2텐션스프링일 수 있다.The spring may be a torsion spring, and may be a second ten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up hold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n interruption of the second bracket.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과 인접한 컵홀더의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컵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flang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up holder adjacent to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up holder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lange.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고안은,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컵홀더의 하단 외측부, 즉 암레스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수용되는바, 개방된 커버의 상단이 컵홀더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컵홀더에 수용되는 컵의 크기(지름)가 큰 경우에도, 상기 컵이 커버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컵홀더의 사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컵홀더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outer side of the cup holder, that is, the inside of the armrest. When the upper end of the opened cover is positioned above the cup holder And is not projected. Therefore, even when the size (diameter)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is large, the cup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ver,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cup holder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cup holder hav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컵홀더의 설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홀더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hape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ned stat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는, 크게 컵홀더(20)와,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와, 연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up holder cover opening /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cup holder 20, a first cover 30 and a second cover 40, and an interlock opening / closing means.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부에 컵이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가 개구 형성된 컵홀더(20);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단측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컵홀더(20)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시 타단측의 자유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개구된 컵홀더(20)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개방시 상기 컵홀더(20)의 측부를 향해 인입되도록 구성된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 및 상기 제1커버(30)의 일단측 및 제2커버(40)의 일단측 사이가 링크(5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 연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2 to 5, the cup holder 20 includes a cup accommodat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cup holder 20 by the rotation shaft, and when the free end of the other end opens at both sides when rotating A first cover (30) and a second cover (40)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cup holder (20) while being opened and to be pulled toward the side of the cup holder (20) when opened; And one end side of the first cover 30 and one end side of the second cover 40 are connected by a link 50 so that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interlocking opening / closing means configured to be rotated.

여기서, 상기 컵홀더(20)는 암레스트(10) 전단부에 내장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컵홀더(20)의 중심에는 컵이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수용부(22)가 마련되되, 상기 수용부(22)는 하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수용부(22)가 상기 암레스트(10)의 전단부에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30)와 제2커버(40)가 상기 암레스트(10)의 전후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cup holder 20 may be installed in a front end portion of the armrest 10. The cup holder 2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22 at a center of the cup holder 20 so as to receive a cup, The receiving portion 22 may be embedde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rmrest 10. [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rmrest 1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수용부(22) 상단의 둘레에는 커버의 폐쇄시 커버의 저면이 지지되는 플랜지(2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컵홀더(20)의 상면이 개구 형성될 수 있다.A flange 24 may be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closed. An upper surface of the cup holder 20 may be open.

즉, 상기 제1커버(30)를 개방 조작하면, 상기 제1커버(30)와 함께 제2커버(40)가 연동 회전되면서 개방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컵홀더(20) 양측의 하단 외측부, 즉 암레스트(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각각 인입되는바, 개방된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의 상단(자유단)이 컵홀더(20)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컵홀더(20)에 수용되는 컵의 크기(지름)가 큰 경우에도, 상기 컵이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컵홀더(20)의 사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암레스트(10)의 사용이 가능하고, 컵홀더(20)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cover 30 is opened, the second cover 4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cover 30 to be opened, and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30 40 are inserted into the lower outer side of both sides of the cup holder 20 or the inside of the armrest 10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opened first cover 30 and second cover 40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holder 20. Therefore, even when the size (diameter) of the cup accommodated in the cup holder 20 is large, the cup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It is possible to use the armrest 10 even when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are opened and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cup holder 20. [

본 고안에서, 상기 제1커버(30)는, 일단에 자유단이 형성되어 컵홀더(20)의 개구된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개폐부(34)와, 상기 제1개폐부(34)의 타단에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제1브라켓(36) 및, 상기 제1브라켓(36)의 단부에 형성된 제1회전축(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브라켓(36)은 대략 'L'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개폐부(34)의 타단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30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4 having a free end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open or close an opened part of the cup holder 20, A first bracket 36 coupled to the other end in a bent shape, and a first rotation shaft 32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bracket 36. Here, the first bracket 36 may have a substantially L shape and may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34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34.

그리고, 상기 제2커버(40)는, 일단에 자유단이 형성되어 컵홀더(20)의 개구된 나머지 부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개폐부(44)와, 상기 제2개폐부(44)의 타단에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제2브라켓(46) 및, 상기 제2브라켓(46)의 단부에 형성된 제2회전축(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브라켓(46)은 대략 'L'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개폐부(44)의 타단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형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40 include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44 having a free end at one end and opening or closing the remaining open part of the cup holder 20, And a second rotation shaft 42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bracket 46. The second bracket 46 is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46 in a bent shape. Here, the second bracket 46 may have a substantially L shape and may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44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제1회전축(32) 및 제2회전축(42)은 상기 컵홀더(2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axis 32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42 may be coupl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20.

즉, 제1커버(30)의 자유단과 제2커버(40)의 자유단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컵홀더(20)의 수용부(22)가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에 의해 나뉘어 폐쇄되며, 상기 제1회전축(32) 및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커버(30)의 자유단 및 제2커버(40)의 자유단이 서로 벌어지듯 회전되면서 상기 컵홀더(20)의 수용부(22)가 개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30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cover 40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cup holder 20 contacts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The free end of the first cover 30 and the free end of the second cover 40 are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2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42, 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cup holder 20 is opened.

이때, 상기 제1브라켓(36) 및 제2브라켓(46)의 끝부분에 제1회전축(32) 및 제2회전축(42)이 결합되며, 상기 제1회전축(32) 및 제2회전축(42)이 상기 컵홀더(2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개폐부(34) 및 제2개폐부(44)가 상기 제1회전축(32) 및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일정 회전반경 위치에서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개폐부(34)가 컵홀더(20) 하단 일측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암레스트(10) 내부에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개페부가 상기 컵홀더(20) 하단 타측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암레스트(10) 내부에 인입되는 것이다.The first rotating shaft 32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42 are coupled to the ends of the first bracket 36 and the second bracket 46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32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42 Is coupled to the cup holder 20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20 so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4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44 are engaged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32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42 And is opened while rotating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4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rmrest 10 while being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up holder 20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opening part is positio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up holder 20 And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armrest (10).

본 고안에서, 상기 연동개폐수단은, 상기 링크(50)의 양단이 상기 제1브라켓(36) 및 제2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link 5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36 and the second bracket 46,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제1브라켓(36)의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1돌출부(38)가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38) 단부에 링크(5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46)의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2돌출부(48)가 형성되어, 상기 제2돌출부(48) 단부에 링크(5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protrusion 38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first bracket 36, and one end of the link 50 is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38; A second protrusion 48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second bracket 46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ink 50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48.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1브라켓(36)의 끝부분에 제1돌출부(38)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링크(50)의 일단이 상기 제1돌출부(38) 끝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46)의 중단에 제2돌출부(48)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크(50)의 타단이 상기 제2돌출부(48)의 끝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rotrusion 38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bracket 36 so that one end of the link 50 A second protrusion 48 is laterally protruded from the second bracket 46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ink 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otrusion 48 ). ≪ / RTI >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버(30)를 개방 조작하면, 상기 제1브라켓(36)이 제1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링크(50)의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32)을 향해 당겨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링크(50)의 타단이 상기 제1회전축(32)을 향해 당겨지면서 상기 제2브라켓(46)이 상기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커버(40)가 개방 조작된다.When the first cover 30 is opened, the first bracket 36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2 and one end of the link 50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2,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link 50 is pulled toward the first rotation axis 32 so that the second bracket 46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42 so that the second cover 40 Is opened.

즉, 상기 제1커버(30)의 개방시, 링크(50)가 당겨지게 되면서, 제2커버(40)가 함께 개방되어, 상기 컵홀더(20)의 수용부(22)가 개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cover 30 is opened, the link 50 is pulled and the second cover 40 is opened together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cup holder 2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1브라켓(36)의 중단에 제1돌출부(38)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크(50)의 일단이 상기 제1돌출부(38)의 끝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제2브라켓(46)의 중단에 제2돌출부(48)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크(50)의 타단이 상기 제2돌출부(48)의 끝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rotrusion 38 protrudes from the first bracket 36 to stop the link 50, A second protrusion 48 is laterally protruded from the second bracket 46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ink 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otrusion 48 ). ≪ / RTI >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버(30)를 개방 조작하면, 상기 제1브라켓(36)이 제1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링크(50)의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42)을 향해 밀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링크(50)의 타단이 상기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브라켓(46)이 상기 제2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커버(40)가 개방 조작된다.When the first cover 30 is opened, the first bracket 36 is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32, and one end of the link 50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42, . The other end of the link 50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42 so that the second bracket 46 is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42 to rotate the second cover 40, Is opened.

즉, 상기 제1커버(30)의 개방시, 링크(50)를 밀어 상기 제2커버(40)가 함께 개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컵홀더(20)의 수용부(22)가 개방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cover 30 is opened, the second cover 40 is opened together by pushing the link 50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cup holder 20 is open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컵홀더(20)의 타단부와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에 텐션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2 to 5, at least one of the other end of the cup holder 20 and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ver 30 And a spring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second cover 40 may be installed.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컵홀더(20)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브라켓(36)의 중단에 결합되어 구성된 제1텐션스프링(60)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ring may be a torsion spring, and may be a first tension spring 6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up holder 2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bracket 36.

또한,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컵홀더(20)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46)의 중단에 결합되어 구성된 제2텐션스프링(70)일 수 있다.The spring may be a torsion spring and may be a second tension spring 70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up holder 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interruption of the second bracket 46.

여기서,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이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또는 제2텐션스프링(70) 중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may be provided together. In some cases, only one of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may be installed will be.

즉,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의 양단이 벌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의 텐션이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both ends of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are open when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are opened or closed, The tension of the first cover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is provided to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are opened or closed .

그런데,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하거나,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제1커버(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의 양단이 점차 오므라들면서 텐션이 증대되다가,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의 회전지점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변곡점 부분에 놓이게 된다.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may be chang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o open or close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The tension of the first cover 30 is increased while both ends of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are gradually widened and the first cover 30 And the turning point of the second cover 40 is switched to the opening or closing direction.

이때,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은 텐션이 증대된 상태에 있게 되는바,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의 양단이 강하고 신속하게 벌어지게 되면서,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의 텐션이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에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1텐션스프링(60) 및 제2텐션스프링(70)의 텐션에 의해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의 개방 또는 폐쇄 회전을 위한 작동보조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의 개폐 작동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are in a state of increased tension, both ends of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are strong and quick The tension of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tension of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are provided to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first tension spring 60 and the second tension spring 70 provides an assisting for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So that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본 고안에서, 상기 제1회전축(32) 및 제2회전축(42)과 인접한 컵홀더(20)의 상단에는 플랜지(24)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4)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컵홀더(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flange 24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up holder 20 adjacent to the first rotation axis 32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42;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up holder 20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flange 24.

즉,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의 폐쇄시,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의 내면이 상기 플랜지(24)에 지지되며,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개방되어 하부로 이동시, 상기 제1커버(30) 및 제2커버(40)가 플랜지(24)에 관통된 상태로 안내되어 하부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when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are close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are supported by the flange 24,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are guided through the flange 24 and can be stably moved to the lower portion when the first cover 30 and the second cover 40 are opened and moved downward. There will be.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natural.

10 : 암레스트 20 : 컵홀더
22 : 수용부 24 : 플랜지
30 : 제1커버 32 : 제1회전축
34 : 제1개폐부 36 : 제1브라켓
38 : 제1돌출부 40 : 제2커버
42 : 제2회전축 44 : 제2개폐부
46 : 제2브라켓 48 : 제2돌출부
50 : 링크 60 : 제1텐션스프링
70 : 제2텐션스프링
10: Armrest 20: Cup holder
22: receptacle 24: flange
30: first cover 32: first rotating shaft
34: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6: first bracket
38: first protrusion 40: second cover
42: second rotation shaft 44: second opening /
46: second bracket 48: second projection
50: link 60: first tension spring
70: second tension spring

Claims (7)

내부에 컵이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가 개구 형성된 컵홀더;
일단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컵홀더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의 자유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개구된 컵홀더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일단 및 제2커버의 일단 사이가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된 연동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개폐수단은,
상기 제1커버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1브라켓의 단부에 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 제2브라켓의 단부에 링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하며;
상기 컵홀더의 타단부 및 제1커버 사이와, 상기 컵홀더의 타단부 및 제2커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텐션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커버는, 일단에 자유단이 형성되어 컵홀더의 개구된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개폐부와, 상기 제1개폐부의 타단에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된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는, 일단에 자유단이 형성되어 컵홀더의 개구된 나머지 부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개폐부와, 상기 제2개폐부의 타단에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된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의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 단부에 링크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의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돌출부 단부에 링크의 타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
A cup holder which is provided with a cup therein and has an opening at one end;
A first cover coupled to one end of the cup holder and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one end of the cup holder by the rotation shaft and having a free end of the other end opened or closed on both sides, A second cover; And
And interlocking opening / closing means configured to connect the one end of the first cover and the one end of the second cover by a link so that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rotated together to be interlocked,
The interlocking opening /
One end of the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bracket formed by being bent from one end of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bracket formed by b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second cov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ther end of the cup holder and the first cover and the other end of the cup holder and the second cover are provided with a spring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Wherein the first cover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having a free end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open or close an opened part of the cup holder,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 a bent shape, And a first rotating shaft formed at an end of the bracket,
The second cover includes a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having a free end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open or close the remaining opened part of the cup holder,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in a bent shape, And a second rotation shaft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bracket,
A first protrusion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first bracket, and one end of the link is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end;
Wherein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second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is coupled to the second protrusion en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은 상기 컵홀더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up hold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컵홀더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브라켓의 중단에 결합되어 구성된 제1텐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ing is a torsion spring,
Wherein the cup holder is a first ten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up hold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서,
일단이 상기 컵홀더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의 중단에 결합되어 구성된 제2텐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ing is a torsion spring,
And a second tension spring having one e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up hold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인접한 컵홀더의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의 일단 및 제2커버의 일단이 상기 플랜지를 관통하여 하부를 향해 회전하면서 회전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컵홀더의 양 측부 위치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lang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up holder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cover and one end of the second cover are positioned at both side positions of the cup holder spaced laterally from the rotation axis while rotating toward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flange .
KR2020150005212U 2015-08-04 2015-08-04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KR2004821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12U KR200482175Y1 (en) 2015-08-04 2015-08-04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12U KR200482175Y1 (en) 2015-08-04 2015-08-04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812U Division KR20150002638U (en) 2013-12-27 2013-12-27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18U KR20150003218U (en) 2015-08-26
KR200482175Y1 true KR200482175Y1 (en) 2017-01-10

Family

ID=5433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212U KR200482175Y1 (en) 2015-08-04 2015-08-04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75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8102B (en) * 2018-12-12 2023-09-26 徐州徐工环境技术有限公司 Garbage truck top cover device, garbage truck box and garbage truck
EP4222023A1 (en) * 2020-10-01 2023-08-09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7232A (en) 2005-05-23 2006-12-07 Kojima Press Co Ltd Housing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518Y2 (en) * 1990-07-30 1996-10-3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Cup holder for vehicle console box
JPH0910069A (en) * 1995-06-28 1997-01-14 Nissan Motor Co Ltd Armrest with cup holder
JP3714733B2 (en) * 1996-08-12 2005-11-09 株式会社ニフコ Vehicle cup holder
KR100610862B1 (en) 2004-12-21 200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rm rest with cup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7232A (en) 2005-05-23 2006-12-07 Kojima Press Co Ltd Housing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18U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3473A (en) Hinge device
US10094455B2 (en) Multipurpos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482175Y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US9809141B2 (en)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a foldable holder element
KR20150002638U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JP5357590B2 (en) Rotating body device and storage device
KR200478589Y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up holder
JP7272125B2 (en) cup holder
JP6400549B2 (en) Swing cup holder for car seat backrest
JP5452246B2 (en) Vehicle sun visor
JP5010968B2 (en) Bearing device
JP2009214707A (en) Storing tool
JP2008543650A (en) Configuration of rear shelves in automobile vehicles
KR100830158B1 (en) Receive box of door for vehicle
KR101757186B1 (en) Cup holder
KR100756952B1 (en) Cup holder for car
JP7408231B2 (en) cup holder
JP2003146092A (en) Filler lid part structure
CN111559297B (en)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JP2019002208A (en) Roller unit and vehicle opening/closing body device
JP2001322474A (en) Storage body for vehicle
JP2004359083A (en) Cup holder
KR101812983B1 (en) Bumper for shock absorbing of glove box
JP4032789B2 (en) Cigar lighter lid structure
JPH11151965A (en) Holder for on-vehicle beverage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