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58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58Y1
KR200482058Y1 KR2020140006553U KR20140006553U KR200482058Y1 KR 200482058 Y1 KR200482058 Y1 KR 200482058Y1 KR 2020140006553 U KR2020140006553 U KR 2020140006553U KR 20140006553 U KR20140006553 U KR 20140006553U KR 200482058 Y1 KR200482058 Y1 KR 200482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rminal
ground
plug
terminal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871U (ko
Inventor
해경 기
Original Assignee
해경 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경 기 filed Critical 해경 기
Priority to KR2020140006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5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단자(2)와 접지판(3)이 구비되는 플러그(1)가 체결되도록 전원홀(4)과 접지단자가 구비되는 플러그안착홈(5)이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반복 사용 중 접지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접지판과의 접지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단자 대체벽(10), 접지단자가이드(20), 접지단자수용부(30), 접지단자(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접지단자 대체벽(10) 의해 플러그가 정위치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됨에 따라 접지단자와 접지판의접촉불량 및 외력에 의한 접지면의 단락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접지단자의 만곡부가 단사이즈로 구비되어 접지판과 국부적으로 면접되므로 플러그 체결 시 수직하중에 의한 꺾임 등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어 더 이상 2개의 접지단자가 불필요하게 된다. 기존 양극 2개의 접지단자가 플러그의 접속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왔으나, 접지단자 대체벽(10) 인하여 1개의 접지단자로 단자의 본연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한 보다 더 안전하고 완벽하게 접지기능을 할 수 있는 자원절약형 친환경 콘센트이다.

Description

콘센트{Outle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체결 시 밀림현상으로 인해 접지단자가 꺾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러그 체결 시 기존 접지단자의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상호보완관계를 위해 2개의 접지단자가 플러그를 고정하는 기존의 접지단자를 1개의 접지단자로 줄인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연결기구로서, 전기가 통전되는 전원홀과 지락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흘려줌과 더불어 보호계전기(누전차단기)의 동작을 확실히 하기 위한 접지단자가 구비된다.
이때, 접지단자는 플러그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접지판과 대응하는 콘센트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형성되어 플러그를 체결시 접지판과 접지된다.
그러나, 반복사용중 플러그의 삽입력에 의해 접지단자가 쉽게 꺾여 접촉불량이 발생됨은 물론 꺾인 접지단자를인위적으로 펴는 것을 수회 반복할 경우 부러지면서 콘센트를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고 불량이 된 콘센트를 교체하지 않으면 전기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했다.
이에,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종래에 콘센트를 살펴보면,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79720호에서 노출접지의 선단부를 수용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벽을 형성하여 플러그의 삽입,출에 의한 노출접지의 손상 및 접촉불량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콘센트 케이스상에 이동제한 벽을 별도로 형성하므로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이 승상되고, 또 조립시 노출접지의 선단부를 이동제한 벽사이에 위치되도록 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또한, 사용 중 노출접지의 선단부가 이동제한 벽에 걸려 확장된 상태로 위치 고정 시 접지불량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삽입방향에 따른 접촉면 불일치 및 사용 중 외력에 의해 플러그의 위치가 가변되어 접촉 불량으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이를 보완하여 실용신안공개번호 20-0458364에서 노출된 접지의 상단접의 접속부를 접지단자가이드(20)를 새로 만들어 구조가 간단하면서 접지단자의 손상을 줄이고 플러그 체결 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2개의 접지단자를 한측면에서 가이드를 겸한 접지대체 가공면으로 사용하며 한 면의 접지단자로 접지의 본 역할만을 수행하여 접지판이 원활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반복사용 중 접지단자가 휘는 등의 손상이 방지되고, 플러그의 유동 및 접지단자의 탄성력저하로 인한 접촉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콘센트를 제공하여 접지단자가 2개인 기존의 구조적 한계를 보완하여 한면의 접지 가이드를 접지단자와 같은 구조로 위장단자로 고정 되어 하나의 접지단자로 접지단자를 축소하여 보다 더 안전하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차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전원단자(2)와 접지판(3)이 구비되는 플러그(1)가 체결되도록 전원홀(4)과 접지단자가 구비되는 플러그안착홈(5)이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안착홈(5)의 입구부에 돌출형성되고, 접지판(3)과 대응하는 플러그(1) 외주면에 음양각형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접지단자가이드(20); 상기 접지단자가이드(20)와 플러그안착홈(5)의 바닥면 사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접지단자수용부(30); 상기 접지단자수용부(30)에 설치되어 중간부분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만곡부(32)와, 만곡부(32)와
일체로 절곡되어 플러그안착홈(5)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체결부(34)가 구비되는 접지단자(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지단자가이드(20)는 상면에 경사면(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접지단자(40)의 만곡부(32)는 접지단자가이드(20)에 의해 플러그안착홈(5)의 깊이 대비 20~8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 특징 및 접지단자(40)의 수를 1개로 줄이고 접지단자를 없애어 측면에 접지단자와 유사한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한 접지단자 대체벽(10)으로 구조적 한계의 불필요한 접지를 없애어 접지단자의 본연의 역할만을 활용할 수 있어 자원절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접지가이드에 의해 플러그가 정 위치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됨에 따라 접지단자와 접지판의 접촉불량 및 외력에 의한 접지면의 단락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접지단자의 만곡부가 단사이즈로 구비되어 접지판과 국부적으로 면접되므로 플러그 체결 시 수직하중에 의한 구부러짐 등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로 기존 구조적인 한계로 인한 2개의 접지단자를 1개의 접지단자로 축소하여 60%이상 자원절약이 가능하며, 불량을 최소화하여 보다 더 안전하게 플러그와 콘센트의 접지단자 밑 전원단자의 체결을 유도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변경된 접지단자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0015] 본 고안은 전원단자(2)와 접지판(3)이 구비되는 플러그(1)가 체결되도록 전원홀(4)과 접지단자가 구비되는 플러그안착홈(5)이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반복사용중 접지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접지판과의 접지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 접지단자수용부(30), 접지단자(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는 플러그안착홈(5)의 입구부에 돌출형성되고, 접지판(3)과 대응하는 플러그(1)외주면에 음양각형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가이드(1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 각으로 구비되고, 도2처럼 접지판(3)이 구비되도록 함몰형성된 플러그(1)의 외주면에 맞물려 플러그(1)가 초기 진입시 정위치에 체결되도록 안내하고, 또 플러그(1)가 체결된 상태로 맞물려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는 상면에 경사면(12)이 형성된다. 경사면(12)은 플러그안착홈(5) 중심으로 갈수록 하방향을 향하도록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플러그(1)의 초기 진입이 용이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지단자수용부(30)는 상기접지단자 대체벽(10), 접지단자가이드(20)와 플러그안착홈(5)의 바닥면 사이에 "ㄷ"자형태로 형성된다. 접지단자수용부(30)는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와 종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플러그안착홈(5)의 내측벽면에 후술하는 접지단자(40)가 국부적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으로서, 접지단자(40)의 선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중간부분이 노출된다.
이에 플러그(1)를 체결 시 접지단자(40)의 만곡부(32) 선단부가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에 가려진 상태로 위치되므로 플러그(1)의 수직압력이 만곡부(32)의 중간부분으로 가해지면서 외력이 흡수되므로 사용 중 접지단자(40)의 꺾임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지단자(40)는 접지단자수용부(30)에 설치되어 중간부분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만곡부(32)와, 만곡부(32)와 일체로 절곡되어 플러그안착홈(5)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체결부(34)가 구비된다. 접지단자(40)는 탄성이 우수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체결부(34)를 통하여 안착홈(5)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체결부(34)의 양단에 만곡부(32)가 직교하도록 형성되는바, 만곡부(32)는 아치형으로 절곡되어 중앙부분이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는 접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수용부(20)에 가려진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플러그(1)를 체결시 접지판(3)이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에 의해 접지단자(40)의 만곡부(32)와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가 집입시 만곡부(32)의 선단부는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에 가려진 상태로 중앙부분이 접지판(3)과 미끄럼운동되면서 체결됨에 따라 플러그(1) 체결시 수직하중에 의한 접지단자(40)의 꺾임 방지된다.
[0023] 그리고, 플러그(1)의 접지판(3)이 만곡부(32)에 면접시, 만곡부(32)가 탄력적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접지판(3)상에 밀착되므로 사용중 접지불량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접지단자(40)의 만곡부(32)는 플러그안착홈(5)의 깊이 대비 20~80%의 길이로 형성된다. 만곡부(32)는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에 의해 형성된 접지단자수용부(30)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접지단자 대체벽(10),접지단자가이드(20)의 길이에 반비례한 길이로 형성되는바, 여기서 만곡부(32)의 길이가 플러그안착홈(5)의 깊이 대비 20%미만으로 형성되면 플러그(1)를 체결후 접지단자(40)와 접지판(3)의 접촉불량율이 높아지고, 80%초과의 길이로 형성시 만곡부(32)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플러그(1)가 진입하는 중에 수직하중에 의해 꺾이는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만곡부(32)는 플러그안착홈(5)의 깊이 대비 20~8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접지단자 대체벽 20:접지단자 가이드 30:접지단자수용부 40:접지단자

Claims (3)

  1. 전원단자(2)와 접지판(3)이 구비되는 플러그(1)가 체결되도록 전원홀(4)과 접지단자(40)가 구비되는 플러그안착홈(5)이 적어도 1개소에 구비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40)와 종방향으로 일치하는 플러그안착홈(5)의 입구부에 돌출형성되고, 접지판(3)과 대응하는 플러그(1) 외주면과 음양각형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접지단자가이드(20);
    상기 접지단자가이드(20)와 플러그안착홈(5)의 바닥면 사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고, 접지단자(40)의 측면이 국부적으로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접지단자수용부(30);
    아치형으로 절곡되는 만곡부(32)와, 만곡부(32)와 일체로 절곡되어 플러그안착홈(5)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체결부(34)가 구비되며, 불필요한 접지는 없애고 하나의 접지로 접지단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접지단자(40); 접지단자가이드(20)와 접지단자 보호를 위하여 플러그 안착홈 내측으로 돌출하는 접지단자 대체벽(10);을 포함하는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가이드(20)는 상면에 경사면(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40)의 만곡부(32)는 플러그안착홈(5)의 깊이 대비 20~80%의 길이로 형성되며 한 벽의 접지단자 만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한 면에 접지단자 대체벽(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2020140006553U 2014-09-04 2014-09-04 콘센트 KR200482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53U KR200482058Y1 (ko) 2014-09-04 2014-09-04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53U KR200482058Y1 (ko) 2014-09-04 2014-09-04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71U KR20160000871U (ko) 2016-03-14
KR200482058Y1 true KR200482058Y1 (ko) 2016-12-20

Family

ID=5553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553U KR200482058Y1 (ko) 2014-09-04 2014-09-04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5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25Y1 (ko) 2001-06-13 2001-10-29 주식회사 텔리넷 220v용 접지 콘센트의 접지단자 접속구조
KR101177370B1 (ko) 2011-09-05 2012-08-27 주식회사 위너스 노출형 멀티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64Y1 (ko) * 2010-06-01 2012-02-15 해경 기 콘센트
KR101399155B1 (ko) * 2012-09-19 2014-05-27 조남현 콘센트와 플러그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25Y1 (ko) 2001-06-13 2001-10-29 주식회사 텔리넷 220v용 접지 콘센트의 접지단자 접속구조
KR101177370B1 (ko) 2011-09-05 2012-08-27 주식회사 위너스 노출형 멀티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71U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4411B (zh) 一种断路器的接线装置、断路器以及断路器组件
CN101834386A (zh) 一种太阳能用连接接头
CN102324646A (zh) 一种短路电连接器
KR102508818B1 (ko) 압축인류클램프
KR200482058Y1 (ko) 콘센트
CN105932481A (zh) 一种电气线路快接端子
KR100823052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CN109888542A (zh) 一种连接器及其pcb插座组件
KR200458364Y1 (ko) 콘센트
CN103794346B (zh) 一种低压断路器用互感器安装基座
CN203950982U (zh) 一种工业网线水晶头的固定座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CN104466530A (zh) 一种重载电连接器辅助定位装置
CN209766714U (zh) 纵向滑动安全门
CN208580902U (zh) 一种浮动式连接的插座及电连接器组件
CN202142679U (zh) 一种短路电连接器
CN209561771U (zh) 一种矩形高频集成式防误差电连接器
CN105281482A (zh) 一种电机
CN206250414U (zh) 一种能够按需在接线盒上插拔的接头
CN205355766U (zh) 架空输电线路可调式防雷安装装置
CN203983620U (zh) 双引导电连接器结构
KR200414946Y1 (ko) 이동식 용접기의 배선연결장치
KR20090008231U (ko) 슬리브 단자대
KR20190109797A (ko) 커넥터 결합구조
CN208093970U (zh) 一种电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