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18Y1 -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 Google Patents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18Y1
KR200482018Y1 KR2020150000781U KR20150000781U KR200482018Y1 KR 200482018 Y1 KR200482018 Y1 KR 200482018Y1 KR 2020150000781 U KR2020150000781 U KR 2020150000781U KR 20150000781 U KR20150000781 U KR 20150000781U KR 200482018 Y1 KR200482018 Y1 KR 200482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lower cover
cover
battery housing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2801U (en
Inventor
박승복
오석연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2020150000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18Y1/en
Publication of KR20160002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1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2/0434
    • H01M2/02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는, 내부에 배터리 전해액이 수용된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로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측 커버; 및 상기 하측 커버의 상측에 후크 결합을 통해 원터치 푸시 결합 가능한 상측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에 걸림 후크 및 걸림?P 구조를 마련하여 서로 간에 원터치 푸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융착 공정 배제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을 유도하고 열 융착 과정에서의 폐기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n upper cover of the battery housing is disclosed. The upper cover of the battery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the upper cover of the battery housing sea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in which the battery electrolyte is housed; And an upper cover capable of one-touch push-engagement via hook engagement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with a hooking and hooking-P structure to enable one-touch push-coupling between them,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due to the elimination of the welding process, .

Description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본 고안은,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의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를 걸림후크 및 걸림홀을 이용한 원터치 푸시 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융착 공정 배제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을 유도하고 열 융착 과정에서의 폐기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pper cover for covering a battery housing, and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of the battery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one- An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waste in a heat welding process.

일반적으로 차량용 밀폐형 배터리의 커버는 상,하부 커버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융착 작업을 한다.Generally, the cover of a hermetic battery for a vehicle has a dual structure of an upper and a lower cover. After the electrolyte is injected, a fusion operation is performed to prevent leakage of the electrolyte.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융착 구조는 커버의 상,하부 면을 단일 구조로 융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However, the fus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cover for a vehic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are fusion-bonded in a single structure.

따라서, 대형제품의 경우 중, 소형에 비해 융착할 부분의 면적이 크고, 작업시 수평이 잘 맞지 않을 경우 융착이 약하게 되거나 융착이 안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융착 구조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전해액이 흘러나와 차량 부식 및 사용자가 배터리를 옮기는 경우에 안전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large-sized product, the area of the portion to be fused is larger than that of the small-sized and small-sized products, and when the level does not match well, the fusing becomes weak or the fusing failure occurs. If such a fusing structure is defectiv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afety may be caused when the electrolytic solution flows out and the car corrodes or the user moves the battery.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하부 커버를 이중 커버 구조로 구현하고 서로 간에 열 융착을 통해 결합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더욱 방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열 융착 방법은 열융착 설비 구축을 위한 비용 상승 및 열 융착 장비의 유지 보수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a technique for realizing the double cover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covers and further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by bonding them to each other through thermal fus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heat fusion welding equipment is increased.

또한, 열 융착 공정시 용융 플라스틱 및 산 증기로 인해 폐기물 발생 및 작업장 주변의 공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도 발생하였다.In addition, additional problems such as the generation of waste and pollution around the workplace due to the molten plastics and acid vapors during the heat-sealing process have occurr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5052호(2013. 11. 25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35052 (registered on November 31, 2013)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의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를 걸림후크 및 걸림홀을 이용한 원터치 푸시 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융착 공정 배제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을 유도하고 열 융착 과정에서의 폐기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cov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cover by combining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of the upper cover covering the battery hous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on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prevent the generation of waste in the heat welding proces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 열 융착 방식이 아닌 걸림후크 및 걸림홀 구조를 이용한 원터치 푸시 결합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간의 결합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a coupling operation by applying a one-touch push-fitting method using a hooking hook and a latching hole structur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배터리 전해액이 수용된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로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측 커버; 및 상기 하측 커버의 상측에 후크 결합을 통해 원터치 푸시 결합 가능한 상측 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for sealing an upper portion of a battery housing accommodated therein with a battery electrolyte therein, the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And an upper cover capable of one-touch push-engagement via a hook coupling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상기 상측 커버에는 복수의 걸림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와 각각 걸림 가능한 복수의 걸림홀이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s, and the low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holes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hooks, respectively.

상기 상측 커버에는 복수의 걸림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홀과 각각 걸림 가능한 복수의 걸림 후크가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and the low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hooks engageable with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는 각각,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hooking hooks may include at least two hooking pieces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걸림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림구에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을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분할된 복수의 걸림편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atching openings forming the plurality of latching holes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 insertion holes divided from each other to allow insertion of the at least two latching pieces.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상측 커버와의 결합 시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when the upper cover is coupled with the upper cover.

상기 상측 커버 및 상기 하측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상측 커버 또는 상기 하측 커버에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sealing member may be fixed to the upper cover or the lower cover through a double injection process.

상기 걸림홀이 형성된 영역 주변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실링재가 마련될 수 있다.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around the region where the latching hole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hooks.

본 고안에 따르면,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에 걸림 후크 및 걸림?P 구조를 마련하여 서로 간에 원터치 푸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융착 공정 배제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을 유도하고 열 융착 과정에서의 폐기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with a hook-and-hook structure to enable one-touch push-coupling between them,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elimination of the welding process, .

또한, 열 융착 방식이 아닌 걸림후크 및 걸림홀 구조를 이용한 원터치 푸시 결합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서로 간의 결합 작업 속도를 증대시켜 결합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one-touch push-fitting method using a hooking hook and a hooking hole structure instead of a heat fusion bonding method, the coupling operation speed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joining operation efficiency.

또한,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의 결합 부위에 실링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배터리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sealing member at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leakage of the battery electrolyte to the outside can be further prevented.

또한, 복수의 걸림 후크를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으로 형성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을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분할된 복수의 걸림편 삽입홀을 마련함으로써, 걸림 후크의 원터치 푸시 결합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ngagement piece insertion holes divided from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engagement hooks are formed of at least two engagement pieces and at least two engagement pieces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the one-touch push-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가 후크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하측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상측 커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결합 리브에 실링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하측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상측 커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p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are hook-coupled to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cover of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cover of an upper cover of the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on a coupling rib in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cover of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cover of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가 후크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하측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상측 커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결합 리브에 실링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upper cover and a low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cover of the upper cover of the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on a coupling rib in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cover in an upper cover of the battery housing.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이하, '상부 커버'라 함)는, 종래에 비해 각 구성간의 결합 방식을 간단히 하여, 구체적으로 원터치 결합 방식을 적용하여 각 구성 간의 결합을 더욱 신속하게 하여 작업 효율을 상승시키도록 마련된다.The upper co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per cover') of the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Specifically, the one- So that the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more quickly.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100)는, 내부에 배터리 전해액이 수용된 배터리 하우징(10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로서, 배터리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upper cov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that hermetically seals an upper portion of a battery housing 101 in which a battery electrolyte is contain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100)는, 배터리 하우징(10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측 커버(110)와, 하측 커버(110)의 상측에 후크 결합을 통해 원터치 푸시 결합 가능한 상측 커버(16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upper cov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over 11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101, and a lower cover 110 coupled to the lower cover 110 via a hook- And an upper cover 160 which can be engaged.

먼저, 배터리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으며, 하측 커버(110)는 배터리 하우징(101)의 상부에 열 융착 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부연하자면, 배터리 하우징(101)과 하측 커버(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간에 접촉 가능한 부분은 열 융착기를 이용하여 서로 간에 견고히 결합된다. First, a battery electrolyte is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ttery housing 101, and the lower cover 11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101 through a thermal welding process. In addition, the battery housing 101 and the lower cover 110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parts that can be contacted with each other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a heat welding machine.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커버(110)에는 배터리 하우징(101)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전해액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전극 단자 결합구(111)가 마련된다. 이러한 전극 단자 결합구(111)에는 별도의 전극 소켓(미도시)이 결합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ower cover 110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terminal fitting 11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battery housing 101. A separate electrode socket (not shown) can be coupled to the electrode terminal fitting 111.

다음, 본 고안에서는, 배터리 하우징(101)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전해액의 외부 누출을 한층 더 방지하도록 상측 커버(160)가 마련된다.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ver 160 is provided to further prevent the leakage of the battery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battery housing 10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측 커버(160)는 하측 커버(110)의 상측에 후크 결합을 통해 원터치 푸시 결합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upper cover 160 is one-touch-pus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110 through a hook coupling.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하측 커버(110) 및 상측 커버(160)가 서로 간에 원터치 푸시 결합을 통해 결합 가능함에 따라 서로 간의 결합을 더욱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Since the lower cover 110 and the upper cover 16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ne-touch push-coupl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quickly induce the coupling between the lower cover 110 and the upper cover 160,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operation efficiency.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커버(160)에는 복수의 걸림 후크(121)가 마련되고, 하측 커버(110)에는 복수의 걸림 후크(121)와 각각 걸림 가능한 복수의 걸림홀(120)이 마련된다.2 and 4, the upper cover 1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ing hooks 121 and the lower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ing hooks 121, A latching hole 120 is provided.

따라서, 사용자는 하측 커버(110)의 상측에 대해 상측 커버(160)를 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하측 방향으로 간단히 원터치 푸시하여 복수의 걸림 후크(121)와 걸림홀(120) 간의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하측 커버(110)와 상측 커버(160)를 서로 간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oves the upper cover 160 to the upp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110 and then pushes the lower cover 160 downward simply by one-touch to induce the engage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hooking hooks 121 and the engagement hole 120 , The lower cover 110 and the upper cover 160 can be quickly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본 고안에서는, 복수의 걸림 후크(121)와 걸림홀(120) 간의 결합 부위, 일 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홀(120)이 형성된 영역 주변에는 전해액 누설 방지를 위한 별도의 실링재(130)가 더 마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engagement hooks 121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120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a region where the engagement holes 120 are formed, A sealing material 130 is further provided.

이러한 실링재(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측 커버(110)의 사출 공정시 이중 사출공정 방식을 이용하여 하측 커버(11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덧붙여, 실링재(130)는 하측 커버(110)의 하면(배터리 전해액이 수용된 공간을 향하는 방향)에 마련되어 걸림 후크(121)의 단부, 구체적으로 실질적인 후크 부분(갈고리 부분)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member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cover 110 using a double injection proces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lower cover 110 made of a plastic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130 i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110 (toward the space in which the battery electrolyte is housed)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hooking hook 121, specifically a substantial hook portion .

본 고안은, 전술한 걸림 후크(121)와 걸림홀(120)의 형성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간에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sitions where the latching hook 121 and the latching hole 120 are formed, and the positions of the latching hook 121 and the latching hole 120 can be changed.

구체적으로, 관련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측 커버(160)에 복수의 걸림홀(120)이 마련되고, 하측 커버(110)에 복수의 걸림홀(120)과 각각 걸림 가능한 복수의 걸림 후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경우 전술한 실링재(130)는 상측 커버(160)에서 걸림홀(120) 주변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over 1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holes 120 and the lower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holes 120 and a plurality of hooks 121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130 is provided in a region around the latching hole 120 in the upper cover 160.

본 고안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커버(110)에는 상측 커버(160)와의 결합 시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140)가 마련된다.3 and 5, the lower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140 for sealing the upper cover 160 when the upper cover 160 is coupled with the upper cover 160. As shown in FIG.

이러한 실링부재(140)는 배터리 하우징(101) 내부의 전해액이 하측 커버(110) 및 상측 커버(160)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정 이상의 연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40 is provided to block the leakage of electrolyte inside the battery housing 101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cover 110 and the upper cover 160. The sealing member 14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certain ductility .

덧붙여, 실링부재(140)는 상측 커버(160)와 하측 커버(1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간에 접촉되는 부분의 사이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측 커버(160) 및 하측 커버(110)에는 서로 간에 접촉 가능하면서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복수의 결합 리브(17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리브(170)는 하측 커버(110)의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있고, 실링부재(140)가 결합 리브(170)의 상측에 일부 삽입되어 전해액의 외부 누설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ember 140 is provided in a region between portions where the upper cover 160 and the lower cover 1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upper cover 160 and the lower cover 11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ribs 170 that can contact each other and increase the coupling strength. 5, the coupling rib 170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110, and the sealing member 14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rib 170, Leakage can be further blocked.

이러한 실링부재(140)는 이러한 결합 리브(170)를 포함한 서로 접촉 가능한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측 커버(110) 및 상측 커버(160) 사이의 기밀성을 한층 향상시켜 전해액의 외부 누설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Such a sealing member 140 is preferably provided on mutually contactable portions including the engaging ribs 170. Therefor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lower cover 110 and the upper cover 160 can be further improved to further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본 고안에서, 상측 커버(160) 및 하측 커버(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실링부재(140)는 일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커버(110)에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즉, 하측 커버(110)를 사출기를 통해 제조할 때 실링부재(140)를 금형 사이에 개재하는 이중 사출 방식을 적용하여 하측 커버(110)를 사출함으로써 하측 커버(110)와 실링부재(140)의 일측을 서로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커버(110)와 실링부재(140)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기밀성을 확실히 보장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160 and the lower cover 110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sealing member 140 is fixed to the lower cover 110 through a double injection process as shown in FIG. . That is, the lower cover 110 and the sealing member 140 are formed by injecting the lower cover 110 by applying the double injection method in which the sealing member 140 is interposed between the molds when the lower cover 110 is manufactured through the injection machine. The airtight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lower cover 110 and the sealing member 14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reliably ensured.

또한, 실링부재(140)는, 상측 커버(160)와 하측 커버(110)가 서로 간에 걸림 후크(121) 및 걸림홀(120)을 통해 원터치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커버(160)의 결합 리브(170)에 밀착됨으로써 전해액의 외부 누출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The sealing member 14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60 in a state where the upper cover 160 and the lower cover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ngagement hook 121 and the engagement hole 120 by one- 170,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전술한 설명에서는 실링부재(140)가 하측 커버(110)에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링부재(140)는 상측 커버(160)에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이경우, 상측 커버(160)와 하측 커버(1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실링부재(140)는 하측 커버(110)의 결합 리브(170)에 밀착 가능하다.Although the sealing member 14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cover 110 through the double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sealing member 140 is not limited to the sealing member 140, ) Through a double injection method. In this case, the sealing member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rib 170 of the lower cover 110 in a state where the upper cover 160 and the lower cover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하측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서 상측 커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lower cover of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cover of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관련 도면에서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upper co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beginning with the 200th in the related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복수의 걸림 후크(221)는 각각,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223)을 포함한다.6 and 7,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oking hooks 221 includes at least two hooking pieces 223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

또한, 복수의 걸림홀(220)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림구(224)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223)을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분할된 복수의 걸림편 삽입홀(225)이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latching holes 224 forming the plurality of latching holes 22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 insertion holes 225 which are mutually divided so that at least two latching pieces 223 can be respectively inserted .

이와 같이, 복수의 걸림 후크(221)가 각각 2개 이상의 걸림편(223)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걸림 후크(221)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의 바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게 된다. 즉, 걸림 후크(221)를 걸림편 삽입홀(225)에 삽입할 때 2개 이상의 걸림편(223)은 걸림편 삽입홀(225)을 형성하는 내벽에 걸려 순간적으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걸림편 삽입홀(225)을 통과하면 외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복수의 걸림편(223)이 걸림편 삽입홀(225)을 완전히 통과한 상태에서는 복수의 걸림편(223)의 단부가 하측 커버(210)의 하면에 걸린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걸림 후크(221)는 걸림편 삽입홀(225)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hooking hooks 221 are each composed of two or more hooking pieces 223, the hooking hooks 221 have elastic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one- . That is, when the engaging hook 221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inserting hole 225, two or more engaging pieces 223 are caught by the inner wall forming the engaging piece inserting hole 225 and instantaneously moved inward, And passes through the single-piece insertion hole 225 to be expanded outward.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pieces 223 are caught by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210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latching pieces 223 have completely passed through the latching piece insertion holes 225, The engag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ece insertion hole 225.

즉, 복수의 걸림 후크(221)가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복수의 걸림편(22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걸림 후크(221)를 걸림홀(220)에 삽입할 때 보다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hooking hooks 221 are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hooking pieces 223 having a certain elasticity, the hooking hooks 221 can be inserted more smoothly when inserted into the hooking holes 220, Thereby maintaining a firmly coupled state.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상부 커버 110: 하측 커버
120: 걸림홀 121: 걸림 후크
130: 실링재 140: 실링부재
160: 상측 커버 170: 결합 리브
223: 걸림편 225: 걸림편 삽입홀
100: upper cover 110: lower cover
120: latching hole 121: latching hook
130: sealing member 140: sealing member
160: upper cover 170: engaging rib
223: latching piece 225: latching piece insertion hole

Claims (8)

삭제delete 내부에 배터리 전해액이 수용된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로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측 커버; 및
상기 하측 커버의 상측에 후크 결합을 통해 원터치 푸시 결합 가능한 상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커버에는 복수의 걸림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와 각각 걸림 가능한 복수의 걸림홀이 마련되며,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에는 서로 간에 접촉 가능하면서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복수의 결합 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상측 커버와의 결합 시 기밀 유지를 위하여 결합 리브의 상측에 일부 삽입되어 있는 고무재질의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for sealing an upper portion of a battery housing accommodating therein a battery electrolyte,
A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And
And an upper cover capable of one-touch push-engagement via hook coupling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Wherein the upper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s, and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holes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plurality of hooks,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ribs which can contact each other and increase the coupling strength,
Wherein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rib to maintain airtightness when the upper cover is coupled with the upper cover.
내부에 배터리 전해액이 수용된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로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측 커버; 및
상기 하측 커버의 상측에 후크 결합을 통해 원터치 푸시 결합 가능한 상측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커버에는 복수의 걸림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홀과 각각 걸림 가능한 복수의 걸림 후크가 마련되며,
상측 커버 및 하측 커버에는 서로 간에 접촉 가능하면서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복수의 결합 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하측 커버에는 상기 상측 커버와의 결합 시 기밀 유지를 위하여 결합 리브의 상측에 일부 삽입되어 있는 고무재질의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An upper cover of a battery housing for sealing an upper portion of a battery housing accommodating therein a battery electrolyte,
A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And
And an upper cover capable of one-touch push-engagement via hook coupling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Wherein the upper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and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hooks engageable with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ribs which can contact each other and increase the coupling strength,
Wherein the lower cover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rib to maintain airtightness when the upper cover is coupled with the upper cov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는 각각,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oking hooks includes at least two engaging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림구에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편을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서로 분할된 복수의 걸림편 삽입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latching openings forming the plurality of latching hol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 insertion holes divid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t least two latching pieces can be inserted.
삭제delet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커버 및 상기 하측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상측 커버 또는 상기 하측 커버에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sealing member is fixed to the upper cover or the lower cover through a double injection proces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이 형성된 영역 주변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실링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하우징의 상부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around the region where the latching hole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latching hooks.
KR2020150000781U 2015-02-03 2015-02-03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KR2004820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81U KR200482018Y1 (en) 2015-02-03 2015-02-03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81U KR200482018Y1 (en) 2015-02-03 2015-02-03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01U KR20160002801U (en) 2016-08-12
KR200482018Y1 true KR200482018Y1 (en) 2016-12-08

Family

ID=5671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81U KR200482018Y1 (en) 2015-02-03 2015-02-03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18Y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525A (en)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Interior light lens structure of bus
KR101220485B1 (en) * 2010-08-13 2013-01-10 세방전지(주) A apparatus of protecting electrolyte leakage for battery
KR101335052B1 (en) 2011-12-21 2013-11-29 세방전지(주) Battery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01U (en)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9403B2 (en) Fuel tank with improved creep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620827B (en) Enclosed-type battery
US20090042098A1 (en) Storage battery
US20140370372A1 (en) Pouch-Type Batter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Type Battery
JP2014103120A (en) Battery case
JP2012124131A (en) Battery case
CN105814334A (en) Pneumatic spring component
JP4662575B2 (en) Resin molded product having insert member fixed in hollow portion and molding method thereof
KR101669351B1 (en) Sealed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90113230A (en) High voltage f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0482018Y1 (en) Upper cover of battery housing
KR101167822B1 (en) Sea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vehicles and machinery in which the same is installed
JP2001009914A (en) Hermetically closed structure of waterproof machinery
JP6409093B1 (en) Lead-acid battery packaging method and structure thereof
KR102618078B1 (en) vessel with reinforcement
KR20100043363A (en) Load break switch for non-sf6 gas
KR101852654B1 (en) Battery cel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90021572A (en) Method For assembling eletrode terminal of secondary Battery assembly and eletrode terminal assembled by it
KR20140140791A (en) Battery module
KR101335052B1 (en) Battery cover
US9222211B2 (en) Mixing chamber connecting system in a washing machine
JP2015217698A (en) Reservoir tank
JP2005183205A (en) Storage battery
CN106963641B (en) Combined cover and infusion container with same
JP2014057036A (en) Joint inspection method of metal terminal for sealed electrochem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