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960Y1 - Apparatus for cleaning food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food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960Y1 KR200481960Y1 KR2020160002949U KR20160002949U KR200481960Y1 KR 200481960 Y1 KR200481960 Y1 KR 200481960Y1 KR 2020160002949 U KR2020160002949 U KR 2020160002949U KR 20160002949 U KR20160002949 U KR 20160002949U KR 200481960 Y1 KR200481960 Y1 KR 2004819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acket
- housing
- food waste
- leachate
- inner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침출수 처리를 위해 설치된 자켓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자켓 내부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자동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호퍼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하우징 앞쪽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멍, 상기 하우징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멍을 통과한 침출수를 저장하는 자켓, 상기 자켓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자켓 내부 공간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끌고 가며 상기 자켓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acket cleaner device for treating leachate of a food waste dispensing hopper which can automatically remove contaminants accumulated inside a jacket without separating the jacket installed for leachate treatmen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feed hopper, a housing for storing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feed hopper, a food wast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t least on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passing the leachate contained in the food garbage, a jacket disposed under the housing for storing the leachat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a screw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jacket, which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motor and drains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jacket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jacket.
Description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출수 처리를 위해 설치된 자켓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자켓 내부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자동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cket cleaner device for treating leachate of a food waste dispensing ho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dispenser hopper for automatically removing contaminants accumulated in a jacket, To a jacket cleaner device for treating leachate of a leachate.
최근 급속한 산업발전과 더불어 국민 소득이 향상됨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의 생활은 점점 윤택해져 갔고, 인간이 생활하는 데 있어서 필수조건이 되는 식생활도 점차 풍족해졌다. 따라서, 이전 낙후된 생활상에서 음식을 정상적으로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감소된 반면, 풍성해진 식탁에서 불필요하게 남겨져 버려지는 음식물의 양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As the national income has improved with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e lives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have become more and more abundant, and the eating habits, which are essential conditions for human life, have gradually become abundant. Therefore, the amount of food that is left unnecessarily in the enriched table is increasing, while the case of not normally eating the food in the previous life is reduced.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시 상당한 침출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토양, 지하수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2005년을 기점으로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해양 투기, 직접 매립을 전면금지하고 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이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악취를 발생시키고, 여러 종류의 병균에 의한 질환을 전염시키는 해충이나 쥐 등이 서식하게 되어 주변환경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Such food wastes generate considerable leachate during landfilling and contaminate the soil and groundwater. As a result, the government has banned marine dumping and direct landfilling of food wastes from 2005 onwards. In particular, since food waste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moisture is released to the outside, which causes malodors and infects pests and rats that infect diseases caused by various kinds of germs, resulting in serious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
종래에도 음식물쓰레기의 물기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일부 시도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 회전 탈수장치, 스크류를 이용한 압착식 물기제거장치, 기계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압착 되도록 하는 기계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some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move water and moisture from food wastes. A rotary dewatering device, a pressurized water removal device using a screw, and a mechanical device for pulverizing and squeezing using a machine have been disclosed .
한편, 이와 같은 회전 탈수방법 혹은 압착 및 기계식 탈수장치에는 투입호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투입호퍼를 통해 초기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게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dewatering method or the pressurizing and mechanical dewater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feed hopper, and food waste collected at an early stage is supplied through the feed hopper.
그러나 초기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관계로, 이를 투입호퍼를 통해 곧바로 탈수장치로 공급할 경우, 탈수장치에서 한번에 수분을 제거하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탈수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지 않을 경우 원하는 함수율의 음식 고형물로 탈수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food wastes collected at the early stage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 it is difficult to remove moisture at once from the dehydrator when the dehydrato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dehydrator through the feed hopp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dehydrate food solids having a desired moisture content.
종래 투입호퍼에는 초기에 수거된 음시자켓이라 불리우는 침출수 받이대를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각 장치로 투입하기 위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에서 유출되는 침출수를 저장하여 별도로 처리토록 한다.Conventionally, a leachate receiver, which is initially called a negative jacket, is installed in the input hopper, and the leachate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is stored separately for transporting the food waste to each device.
더욱이 침출수를 저장하는 별도의 자켓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침출수에 섞여 있는 협잡물이 주기적으로 자켓 내부로 토출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협잡물이 자켓 내부 공간에 계속적으로 쌓여 자켓의 내부 공간을 막아 침출수의 배출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주기적으로 자켓을 호퍼에서 분리한 다음, 협잡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Even if a separate jacket for storing the leachate is installed, the impurities mixed in the leachate are periodically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jacket, and as time passes, the contaminants accumulate continuously in the inside of the jacket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of the leach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remove the jacket from the hopper and remove the contaminants.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투입호퍼의 하단에 자켓을 설치하여, 상기 투입호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침출수를 일차적으로 제거토록 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jacket cleaner device for treating the leachate of the waste hopper.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침출수 처리를 위해 설치된 자켓의 내부에 클리너 장치를 설치하여 자켓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자켓 내부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자동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device inside a jacket installed for treating leachate so as to automatically remov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jacket without removing the jacket, Thereby providing a cleaner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호퍼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공간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하우징 앞쪽의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멍, 상기 하우징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멍을 통과한 침출수를 저장하는 자켓, 상기 자켓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상기 자켓 내부 공간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끌고 가며 상기 자켓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feed hopper, a housing for storing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feed hopper, a food wast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t least on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passing the leachate contained in the food garbage, and at least one discharge hole provided below the housing for storing the leachat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a screw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jacket for dragging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jacket by the power of the motor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to the outside of the jacket.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자켓은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The housing and the jacket are preferably arrang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back toward the front.
본 발명은 투입호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침출수를 일차적으로 제거토록 하여 탈수장치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특히 침출수 처리를 위해 설치된 자켓의 내부에 클리너 장치를 설치하여 자켓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자켓 내부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자동 제거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the dewatering device is improved by primarily removing the leachat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during the process of feeding the food waste put into the hopper into the dewatering devi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jacket even if the jacket is not separat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전체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송수단 및 자켓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of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loading hop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ying means and the jacket;
Fig. 4 is a side view of Fig. 3; Fig.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other embodiments which may b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전체 구성을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ide view of an entire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loading hop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10)는 음식물쓰레기의 물기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인 회전 탈수장치 혹은 압착식이나 기계식 탈수장치(이하, 탈수장치라 칭함)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수단이다.1 and 2, the food
상기 투입호퍼(10)의 상단에는 해치(16)를 통해 개방 및 폐쇄되는 투입구(14)가 형성되고 그 하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개방된 투입호퍼(10)의 하단으로 상기 투입구(14)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수단(2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상기 이송수단(20)은 상기 투입호퍼(10)의 개방된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투입호퍼(10)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다음 공정인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수단이다.The feeding means 2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첨부된 도 3은 이송수단 및 자켓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ying means and the jacket,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FIG.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송수단(20)은 스크류 컨베이어 타입으로 투입호퍼(10)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장치로 강제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투입호퍼(10)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공간(24)이 형성되는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 공간(24)에 설치되며 모터(26)의 동력으로 회전 동작하며 상기 하우징(22)의 공간(24)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0), 상기 하우징(22)의 앞쪽 하단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30)의 회전 동작으로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32)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nveying means 20 is a screw conveyor type conveying means for forcibly conveying the food waste put into the
상기 이송수단(20)의 하우징(22)은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같은 침전물이 하우징(22)의 기울어짐을 통해 하우징(22) 공간(24)에 머물지 않고 하우징(22) 아래의 자켓(40)으로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하우징(22)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멍(3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멍(34)은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침전물을 하우징(22) 아래에 설치된 자켓(4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At least one
상기 이송수단(20)인 하우징(22)의 아래에는 자켓(40)이 설치된다. 상기 자켓(40)은 언급한 바와 같이 이송수단(20)이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침전물을 저장하여 침전물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수단이다.A
상기 자켓(40)은 단면상으로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4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전술한 이송수단(20)인 하우징(22) 아래에 설치되도록 한다.The
상기 자켓(40) 역시 전술한 하우징(22)의 기울어진 각도에 맞추어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하여, 침출수 및 협잡물이 자켓 후면에 덮개로 덮혀져 있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자켓(40)의 내부 공간(42)에는 클리너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클리너수단은 하우징(22)의 토출구멍(34)을 통해 침전물과 함께 떨어진 각종 협잡물이 자켓(40)의 내부 공간(42)에 쌓여지지 못하도록 제거하는 수단이다.The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스크류(3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송스크류(30)에 부딪쳐 조개껍데기나 뼈와 같은 고형쓰레기(이하, 협잡물이라 칭함)가 잘게 부스러져 침출수와 함께 섞인 상태로 자켓(40)으로 토출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협잡물이 자켓(40) 내부 공간(42)에 계속적으로 쌓여 자켓(40)의 내부 공간(42)을 막아 침출수의 배출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상기 클리너수단을 구동시켜 자켓(40) 내부 공간(42)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자켓(40)을 분리할 필요없이 협잡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The food garbage is hit by the
상기 클리너수단은 구동원인 모터(44), 상기 모터(44)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자켓(40) 내부 공간(42)을 가로지른 상태에서 상기 모터(44)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46), 상기 샤프트(46)의 외경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46)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자켓(40) 내부 공간(42)에 쌓여있는 협잡물을 끌고가며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류로 구성한다.The cleaner means includes a driving
상기 자켓(40)의 뒤쪽은 배출구(50)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구(50)는 덮개(52)로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덮개(52)를 개방시키는 동작에 따라 스크류(48)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과 침전물을 자켓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10: 투입호퍼 20: 이송수단
22: 하우징 24: 공간
30: 이송스크류 34: 토출구멍
40: 자켓 42: 공간
48: 스크류 10: Feed hopper 20: Feeding means
22: housing 24: space
30: Feed screw 34: Discharge hole
40: jacket 42: space
48: Screw
Claims (2)
상기 하우징(22)의 하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침출수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멍(34);
상기 하우징(22) 아래에 설치되며 "∪"형상의 단면으로 제작되어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4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우징(22)의 토출구멍(34)을 통과한 침출수를 상기 공간(42)으로 저장하는 자켓(40);
상기 자켓(40) 내부 공간(42)에 설치되며 모터(44)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46);
상기 샤프트(46)의 외경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6)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자켓(40) 내부 공간(42)에 쌓여 있는 협잡물을 상기 자켓(40)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48);
상기 자켓(40)의 뒤쪽에 덮개(52)로 폐쇄 가능하게 개방되며 상기 스크류(48)에 의해 이동된 협잡물을 배출하는 배출구(5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2)과 상기 자켓(40)은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하여 상기 스크류(48)에 의해 이동되는 협잡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자켓(40)의 뒤쪽 배출구(50)로 떨어지도록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호퍼의 침출수 처리용 자켓 클리너 장치.A housing 22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charging hopper 10 and storing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charging hopper 10 and a housing 22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24 of the housing 22, And a feed screw (22) for feeding the food waste stored in the space (24) to an outlet (32) in front of the housing (22). The jacket cleaner device for treating leachate of a food waste input hopper,
At least one discharge hole (34)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2) and passing the leachat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s formed below the housing (22) and has a "U" -shaped cross section, and a space (42)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22) A jacket 40 for storing the leachate in the space 42;
A shaft (46)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42) of the jacket (40)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motor (44);
A screw 48 installed at an outer diameter of the shaft 46 and moving a contaminant accumulated in the inner space 42 of the jacket 40 toward the back of the jacket 4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46;
And a discharge port (50) closably opened by a lid (52) at the rear of the jacket (40) and discharging the contaminants moved by the screw (48);
The housing 22 and the jacket 40 are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so that the contaminants moved by the screw 48 fall to the rear outlet 50 of the jacket 40 by their own weight Wherein the jacket cleaner device for treating leachate of a food waste input hopp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949U KR200481960Y1 (en) | 2016-05-31 | 2016-05-31 | Apparatus for cleaning food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949U KR200481960Y1 (en) | 2016-05-31 | 2016-05-31 | Apparatus for cleaning food was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1960Y1 true KR200481960Y1 (en) | 2016-12-01 |
Family
ID=5757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949U KR200481960Y1 (en) | 2016-05-31 | 2016-05-31 | Apparatus for cleaning food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960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3323B1 (en) | 2017-12-21 | 2018-12-27 | 곽기원 | Prevention of clogging of leachate outlet of hopper for storage of food garbag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372A (en) * | 1998-12-10 | 1999-04-26 | 박대엽 | Food waste reduction device |
KR200374364Y1 (en) * | 2004-11-17 | 2005-01-27 | 김현식 | Leftover food dehydration device |
KR20050046896A (en) | 2003-11-14 | 2005-05-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Compositions used for preparing a green sheet for forming of transparent dielectrics for pdp |
KR200422461Y1 (en) * | 2006-05-10 | 2006-07-26 | 김인식 | a dehydration apparatus of a food refuse |
KR20060125084A (en) * | 2005-06-01 | 2006-12-06 | 오인숙 | Hopper for food waste processing equipments and food was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hopper |
-
2016
- 2016-05-31 KR KR2020160002949U patent/KR200481960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372A (en) * | 1998-12-10 | 1999-04-26 | 박대엽 | Food waste reduction device |
KR20050046896A (en) | 2003-11-14 | 2005-05-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Compositions used for preparing a green sheet for forming of transparent dielectrics for pdp |
KR200374364Y1 (en) * | 2004-11-17 | 2005-01-27 | 김현식 | Leftover food dehydration device |
KR20060125084A (en) * | 2005-06-01 | 2006-12-06 | 오인숙 | Hopper for food waste processing equipments and food was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hopper |
KR200422461Y1 (en) * | 2006-05-10 | 2006-07-26 | 김인식 | a dehydration apparatus of a food refus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3323B1 (en) | 2017-12-21 | 2018-12-27 | 곽기원 | Prevention of clogging of leachate outlet of hopper for storage of food garba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5813B1 (en) | Garbage disposer | |
KR20080113686A (en) | Treatment machine for food rubbish | |
KR100809480B1 (en) | The recycle system and method for paint can wastes | |
KR101742163B1 (en) | Garbage crushing and sorting apparatus of organic waste | |
JP4033454B2 (en) | Deodorant type foreign matter sorting machine | |
KR100676729B1 (en) | A device for recycling a waste | |
KR200481960Y1 (en) | Apparatus for cleaning food waste | |
CN207899854U (en) | A kind of Domestic garbage crushing Compression Processor | |
KR20110004867U (en) |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 |
KR200432685Y1 (en) | apparatus for food waste compression | |
KR101112491B1 (en) | Disposer of food garbage | |
KR100300265B1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0729956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in a bundle | |
JP4185145B2 (en) | Sand removal apparatus and sand removal method | |
KR0172570B1 (en) | Food garbage disposer | |
KR200393356Y1 (en) | Food garbage disposer | |
KR100839377B1 (en) | Reducing device for a discharge volume of food waste | |
KR101949379B1 (en) | Pumping apparatus directly connected to food waste collection tank | |
KR200481337Y1 (en) | Food Waste Reducing Treatment Apparatus | |
KR101910463B1 (en) | food waste crushing method for removing vinyls in food waste | |
KR100493739B1 (en) | An adulteration crusher and transfer system | |
KR200470873Y1 (en) |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 |
KR200209783Y1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KR20150057682A (en) | The bad smell removing method and grinding of food garbage and thereof device | |
KR20100138547A (en) | Waste oil filter and waste oil vessel treatment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