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98Y1 -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 Google Patents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98Y1
KR200481898Y1 KR2020150008071U KR20150008071U KR200481898Y1 KR 200481898 Y1 KR200481898 Y1 KR 200481898Y1 KR 2020150008071 U KR2020150008071 U KR 2020150008071U KR 20150008071 U KR20150008071 U KR 20150008071U KR 200481898 Y1 KR200481898 Y1 KR 200481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
terminal
speaker
protecto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남
Original Assignee
최일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남 filed Critical 최일남
Priority to KR2020150008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43B3/0021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아방지 대상이 항상 착용하여 분실할 염려가 없는 신발에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모듈을 결합하여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 또는 정보가 보호자 등의 제3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신발을 보호하며, 신발을 조여주는 끈 역할을 하는 보호대를 선글라스 형태로 구성하여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2)와 연동되며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미아방지 신발(1)에 있어서, 스냅단추(22)를 구비하는 신발(10); 상기 스냅단추(22)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2)와 연동되는 블루투스모듈(30)을 구비한 선글라스 보호대(20); 상기 선글라스 보호대(20)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25)에 안착되어 상기 단말기(2)와 소정 범위 이상 떨어질 경우 기 설정된 번호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는 스피커(32); 및 상기 제1 홈부(25)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부(27)에 안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스피커(32)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5);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MISSING CHILD PREVENTION SHOES WITH SUNGLASS GUARD}
본 고안은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아방지 대상이 항상 착용하여 분실할 염려가 없는 신발에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모듈을 결합하여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 또는 정보가 보호자 등의 제3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신발을 보호하며, 신발을 조여주는 끈 역할을 하는 보호대를 선글라스 형태로 구성하여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장애인, 치매노인 등의 미아방지 대상의 경우 미아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자의 연락처, 주소 등의 보호자정보를 GPS기능 또는 통신기능을 갖는 단말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을 상기 미아방지 대상이 휴대하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장신구에 삽입하여, 상기 미아방지 대상이 길을 잃을 경우 경찰서 등과 같은 미아관련 유관기관에서 통신단말로 장신구에 삽입된 단말을 판독하여 해당 미아방지 대상의 보호자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적 장애인의 경우 목걸이 등과 같이 몸에 걸쳐진 물건을 무의식적으로 벗어버리는 습관이 있으며, 유아나 치매노인이 목걸이나 팔찌 등의 장신구를 분실하거나 착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와 같은 통신단말을 이용한 방식으로는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아방지 대상을 미아관련 유관기관에 데리고 가야만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었기 때문에 즉각적인 조치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아방지 대상이 항상 착용하여 분실할 염려가 없는 신발에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모듈을 결합하여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 또는 정보가 보호자 등의 제3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고안된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미아방지 대상이 보호자와 떨어졌을 경우 발생하는 경고음을 보호자의 연락처로 설정하여 제3자가 미아방지 대상을 발견해도 미아관련 유관기관에 데리고 가지 않고 보호자의 연락처를 획득할 수 있는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발을 보호하며, 신발을 조여주는 끈 역할을 하는 보호대를 선글라스 형태로 구성하여 악세사리로 사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발의 끈 대용으로 사용되는 선글라스 형태로 구성되는 보호대를 모자에 부착하여 악세사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와 연동되며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미아방지 신발(1)에 있어서, 스냅단추(22)를 구비하는 신발(10); 상기 스냅단추(22)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2)와 연동되는 블루투스모듈(30)을 구비한 선글라스 보호대(20); 상기 선글라스 보호대(20)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25)에 안착되어 상기 단말기(2)와 소정 범위 이상 떨어질 경우 기 설정된 번호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는 스피커(32); 및 상기 제1 홈부(25)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부(27)에 안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스피커(32)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홈부(27)는 일측에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스피커(32) 및 상기 제어모듈(3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홈부(25) 및 상기 제2 홈부(27)는, 상부에 단턱(25-1,27-1)을 구비하고, 상기 (25-1,27-1)단턱에 결합 고정되는 글라스(26,28)를 각각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32)의 경고음은, 상기 제어모듈(35)을 통해 설정된 번호를 반복 알리는 음성 신호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5)은,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단말기(2)가 8 ~ 10m이상 거리가 떨어질 경우 상기 단말기(2)와 상기 블루투스모듈(30)의 연결이 해지되며, 10분 이상 상기 단말기(2)와 상기 블루투스모듈(30)이 재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32)에서 기 설정된 번호르 경고음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은, 미아방지 대상이 항상 착용하여 분실할 염려가 없는 신발에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모듈을 결합하여 미아방지 대상의 위치 또는 정보가 보호자 등의 제3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미아방지 대상이 보호자와 떨어졌을 경우 발생하는 경고음을 보호자의 연락처로 설정하여 제3자가 미아방지 대상을 발견해도 미아관련 유관기관에 데리고 가지 않고 보호자의 연락처를 획득하여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대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발을 보호하며, 신발을 조여주는 끈 역할을 하는 보호대를 선글라스 형태로 구성하여 악세사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발의 끈 대용으로 사용되는 선글라스 형태로 구성되는 보호대를 모자에 부착하여 악세사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의 구성요소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기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20)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20)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의 정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20)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의 구성요소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글라스 보호대(20)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글라스 보호대(20)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은, 단말기(2)와 연동되며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보호대(20)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1)에 있어서, 스냅단추(22)를 구비하는 신발(10)과, 상기 스냅단추(22)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2)와 연동되는 블루투스모듈(30)을 블루투스모듈 안착홈(30-1)에 구비한 선글라스 보호대(20)와, 상기 선글라스 보호대(20)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25)의 스피커 안착홈(32-1)에 안착되어 상기 단말기(2)와 소정 범위 이상 떨어질 경우 기 설정된 번호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는 스피커(32) 및 상기 제1 홈부(25)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부(27)의 제어모듈 안착홈(35-1)에 안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스피커(32)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발(10)과 상기 선글라스 보호대(20)의 결합 구조는 상기 스냅단추(22)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글라스 보호대(20) 일측에 형성된 벨크로 기능을 갖는 손잡이(24)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스냅단추(22) 및 상기 손잡이(24)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가 바뀔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홈부(27)는 스피커 안착홈(34-1)에 안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스피커(32) 및 상기 제어모듈(3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34)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필요한 전력을 상시 공급받을 수 있으며, 폭발 위험이 적은 리튬폴리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글라스 보호대(20) 중앙 상부에 구비되는 LED모듈(36)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34)의 잔여량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빨간색 점멸은 즉시 충전이 필요한 상태이고, 주황색 점멸은 곧 충전이 필요한 상태이며, 초록색 점멸은 완충의 의미로 나타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부(25) 및 상기 제2 홈부(27)는 상부에 단턱(25-1,27-1)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단턱(25-1,27-1)에 결합 고정되는 글라스(26,28)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글라스(26,28)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아세테이트(acetate)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 안착홈에 안착되는 블루투스모듈(30), 스피커(32), 배터리(34), 제어모듈(35)은 상기 단턱(25-1,27-1)에 결합 고정되는 글라스(26,28)를 이용하여 빗물에 의한 방수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피커(32)의 경고음은 상기 제어모듈(35)을 통해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반복 재생하는 음성 신호로 나타내어 보호자가 근처에 없을 경우 제 3자가 미아대상의 보호자에게 용이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으며, 돼지, 닭 등의 다양한 동물소리와 사용자 및 미아대상의 이름으로 설정하여 보호자와 미아대상이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도 보호자가 미아대상을 빠르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5)은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단말기(2)가 8 ~ 10m 이상 떨어질 경우 상기 단말기(2)와 상기 블루투스모듈(30)의 연결이 해지되며, 10분 이상 상기 단말기(2)와 상기 블루투스모듈(30)이 재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32)에서 보호자의 번호 또는 돼지, 닭 등의 다양한 동물소리 및 미아대상의 이름을 경고음으로 발생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아방지 신발(1)은 블루투스모듈(30)과 단말기 무선통신모듈(42)이 무선통신망(3)을 통해 연결되며, 제어모듈(35)을 이용하여 스피커(32)에 경고음을 설정하고, 예를 들어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반복 알리는 음성 신호로 설정, 상기 제어모듈(35)을 이용하여 배터리(34)의 잔여량을 확인한 후, 배터리(34)의 잔여량 상태를 LED모듈(36)의 점멸을 통해 확인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은 상기 단말기 제어부(40)가 단말기 터치패널(44)을 이용하여 설정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은, 미아 대상이 상기 미아방지 신발(1)을 착용하고 상기 단말기(2)와 블루투스모듈(30)을 이용하여 연결하며(S10), 상기 단말기 터치패널(44)을 이용하여 경고음의 종류, 예를 들어 보호자의 전화번호와, 돼지, 닭 등의 다양한 동물소리 또는 사용자 및 미아대상의 이름 중 하나 또는 다수를 선택하고(S11), 상기 제어모듈(35)은 상기 미아방지 신발(1)과 단말기(2)의 블루투스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12). 즉, 상기 미아방지 신발(1)과 상기 단말기(2)의 거리가 8 ~ 10m 이상 떨어졌을 경우 블루투스는 해지되며 단말기 제어부(40)와, 미아방지 신발(1)의 제어모듈(35)은 일정 시간, 즉 10분의 시간을 체크 한다(S13). 10분의 시간이 경과 된 후에도 상기 미아방지 신발(1)과 단말기(2)의 블루투스 연결이 해지되 있는 경우(S14), 제어모듈(35)을 통해 설정된 경고음이 스피커(32)를 이용하여 발생한다(S15). 상기 경고음은 상기 미아방지 신발(1)과 상기 단말기(2)의 블루투스 재연결이 될 때까지 지속 된다(S16).
상기 체크되는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미아방지 대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아방지 신발(1)을 착용한 피보호자로서 유아, 장애인 및 치매노인 등 신체 또는 정신이 자유롭지 못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는 부모나 경찰서, 구급대와 같은 유관기관 등 상기 미아방지 대상에게 미아 또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미아방지 대상의 비상상황이 전달되어 구조나 신고 등의 수습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주체이며 설정사항에 따라 그 대상은 달라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미아방지 신발 2 : 단말기
3 : 무선통신망
10 : 신발 20 : 선글라스 보호대
22 : 스냅단추 24 : 손잡이
25 : 제1 홈부 25-1 : 제1 홈부 단턱
26 : 제1 글라스 27 : 제2 홈부
27-1 : 제2 홈부 단턱 28 : 제2 글라스
30 : 블루투스모듈 30-1 : 블루투스모듈 안착홈
32 : 스피커 32-1 : 스피커 안착홈
34 : 배터리 34-1 : 배터리 안착홈
35 : 제어모듈 35-1 : 제어모듈 안착홈
36 : LED모듈
40 : 단말기 제어부 42 : 단말기 무선통신모듈
44 : 단말기 터치패널

Claims (5)

  1. 단말기(2)와 연동되며 미아방지 기능을 갖는 미아방지 신발(1)에 있어서,
    스냅단추(22)를 구비하는 신발(10);
    상기 스냅단추(22)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2)와 연동되는 블루투스모듈(30)을 구비한 선글라스 보호대(20);
    상기 선글라스 보호대(20)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홈부(25)에 안착되어 상기 단말기(2)와 소정 범위 이상 떨어질 경우 기 설정된 번호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는 스피커(32); 및
    상기 제1 홈부(25) 일측에 형성되는 제2 홈부(27)에 안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스피커(32)를 제어하는 제어모듈(3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홈부(25) 및 상기 제2 홈부(27)는,
    상부에 단턱(25-1,27-1)을 구비하고, 상기 단턱(25-1,27-1)에 결합 고정되는 글라스(26,28)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32)의 경고음은,
    상기 제어모듈(35)을 통해 설정된 번호를 반복 알리는 음성 신호로 나타내며,
    상기 제어모듈(35)은,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단말기(2)가 8 ~ 10m이상 거리가 떨어질 경우 상기 단말기(2)와 상기 블루투스모듈(30)의 연결이 해지되며, 10분 이상 상기 단말기(2)와 상기 블루투스모듈(30)이 재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스피커(32)에서 기설정된 번호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27)는 일측에 상기 블루투스모듈(30)과 상기 스피커(32) 및 상기 제어모듈(3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8071U 2015-12-09 2015-12-09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KR200481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71U KR200481898Y1 (ko) 2015-12-09 2015-12-09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71U KR200481898Y1 (ko) 2015-12-09 2015-12-09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98Y1 true KR200481898Y1 (ko) 2016-11-23

Family

ID=5770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71U KR200481898Y1 (ko) 2015-12-09 2015-12-09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28Y1 (ko) * 2019-04-03 2020-04-06 김홍일 미아 방지용 신발
KR102379718B1 (ko) * 2021-01-26 2022-03-28 (주)씨지픽셀스튜디오 미아방지 기능을 탑재한 음성구현 신발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0857A1 (en) * 2010-04-22 2011-10-27 Kristan Lisa Hamill Insoles for tracking, data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the inso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0464073Y1 (ko) * 2011-06-22 2012-12-11 이형곤 디자인판 교체식 아동용 신발
KR20140060764A (ko) * 2012-11-12 2014-05-21 구애경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20150104666A (ko) * 2014-03-05 2015-09-16 (주)아센코리아 위치 확인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60857A1 (en) * 2010-04-22 2011-10-27 Kristan Lisa Hamill Insoles for tracking, data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the inso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0464073Y1 (ko) * 2011-06-22 2012-12-11 이형곤 디자인판 교체식 아동용 신발
KR20140060764A (ko) * 2012-11-12 2014-05-21 구애경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20150104666A (ko) * 2014-03-05 2015-09-16 (주)아센코리아 위치 확인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28Y1 (ko) * 2019-04-03 2020-04-06 김홍일 미아 방지용 신발
KR102379718B1 (ko) * 2021-01-26 2022-03-28 (주)씨지픽셀스튜디오 미아방지 기능을 탑재한 음성구현 신발 및 이를 이용한 미아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0774B (zh) 安全帽與防護安全帽系統
US20180007994A1 (en) Wearable integration with helmet
US8768292B2 (en) Portable wireless automobile and personal emergency responder and messenger system and method
ITTV20130130A1 (it) Indumento con un dispositivo di emergenza e metodo di emergenza associato
WO2018227076A1 (en) Wearable personal safet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4270979A (zh) 头盔和用于使用该头盔处置事故的方法
US10878687B2 (en) Helmet and method of use for emergency notification
US10002511B2 (en) Walker alert device
US9533743B2 (en) Life saving apparatus
KR200481898Y1 (ko) 선글라스 보호대가 구비된 미아방지 신발
KR100799776B1 (ko) 미아방지용 신발
US20140184407A1 (en) Wearable low pressure warning device with audio and visual indication
WO2018121792A1 (zh) 一种电子监护器及其控制方法
US9955870B2 (en) Emergency services and information bracelet system
WO20190868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a person
US20180146737A1 (en) Shoe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health, vitals, and fall detection
US20120013477A1 (en) Sensor system for an alarm security device
US10881326B1 (en) Wearable safety device
CN207573591U (zh) 一种饰品蓝牙耳机及耳机系统
KR20200076243A (ko)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JP2008015993A (ja) Gps機能付きアクセサリー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KR101791165B1 (ko) 소방관용 경보장치
USD879412S1 (en) Combination scarf and vest
JP2006255279A (ja) 警報装置付き靴及び警報装置付き靴用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