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91Y1 - 소방노즐용 랜턴 - Google Patents

소방노즐용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91Y1
KR200481891Y1 KR2020140004687U KR20140004687U KR200481891Y1 KR 200481891 Y1 KR200481891 Y1 KR 200481891Y1 KR 2020140004687 U KR2020140004687 U KR 2020140004687U KR 20140004687 U KR20140004687 U KR 20140004687U KR 200481891 Y1 KR200481891 Y1 KR 200481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nozzle
lantern
present
mount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645U (ko
Inventor
조홍구
Original Assignee
(주)아이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마이 filed Critical (주)아이마이
Priority to KR2020140004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9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노즐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에 분사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랜턴본체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변경에 따른 효율성 저하를 탈피함은 물론 별도의 랜턴본체장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쉽게 탈착하여 사용함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비를 간소화하여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암전상태에서 발화점을 쉽게 확보함과 동시에 방화수를 조준함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소화할 수 있고, 현재 사용중인 소방노즐에 적용하여 간편 탈착식으로 보급함으로써, 제작 및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전선 노출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소방노즐용 랜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소방호스의 선단에 장착되어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의 노즐몸체에 감아져 고정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착탈되도록 둘레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된 랜턴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노즐용 랜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의 둘레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를 갖는 장착레일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장착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슬라이드 안착되도록 걸림홈을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둘레 일측에는 축공이 관통 형성된 두 개의 지지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구비되는 랜턴본체가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상기 축공에 축결되는 회동축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변경에 따른 효율성 저하를 탈피함은 물론 별도의 랜턴본체장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쉽게 탈착하여 사용함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비를 간소화하여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암전상태에서 발화점을 쉽게 확보함과 동시에 방화수를 조준함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소방노즐에 적용하여 간편 탈착식으로 보급함으로써, 제작 및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전선 노출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방노즐용 랜턴{Lantern for fire nozzles}
본 고안은 소방노즐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에 분사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랜턴본체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랜턴 장비를 구비할 필요 없기 때문에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비를 간소화하여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암전상태에서 발화점을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방화수를 조준함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소화할 수 있는 소방노즐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출동한 소방대원에 의해 화재를 진압함에 따라 소방대원은 화재현장에 2차 화재를 막기 위해 가스 및 전원을 차단을 우선적으로 수행하고, 인명구조 및 소방호스를 투입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한 전원 차단에 따라 화재현장에 암전상태에서 소방대원이 진입할 경우, 별도의 조명랜턴을 소지하지만, 화재현장의 급박한 상황 등 의해 소지한 조명랜턴이 분실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예전부터 소방헬멧에는 랜턴이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소방헬멧의 랜턴의 경우, 실질적으로 화재현장의 급박한 상황에 의해 한곳에 시선을 고정할 수 없으므로 소방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소방수의 탄착지점에 정확하게 라이트를 비추기가 매우 불리하여 화재진압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특1998-4296호(플래시가 부설된 소방노즐, 이하 "종래 1")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종래 1은 소방노즐의 선단에 조절링을 나사산 회전에 의한 전,후진 작동으로 물줄기가 직사 또는 방사되는 선단분사구의 중앙내부에 플래시를 부설시키고 외측 중간에는 건전지케이스를 나선식으로 부착시켜 내부건전지의 전동력 배선을 소방노즐 내부의 지지구와 연결관 그리고 접속관을 통해 플래시의 전구와 연결시켜서 암전상태의 화재현장을 소방노즐의 플래시로 정확하게 비추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 1은 축전지의 소모량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소모된 배터리로 운용중 화재 진압에 조명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며 오히려 더욱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누수에 의한 방전 및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054호(조명수단을 가지는 소방노즐, 이하 "종래 2")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종래 2는 조명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은 소방호스와 일체로 이루도록 그의 측벽에 고정부착되는 전선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방관이 보다 용이하게 화재진압을 수행하면서 암전상태에서도 안전하게 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소방노즐의 중앙에 위치되는 플래시에 의해 소방수 토출량 감소함에 따라 화재진압 효율이 상당히 낮아지고, 소방노즐의 내부에 구비되는 플래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연결로 인해 누전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아지며, 전선 연결을 위한 커텍터 및 커플링 등의 연결구조를 더 구비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 의해 실재 소방화재용 물품으로 실용화하기에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에 분사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랜턴본체를 탈착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변경에 따른 효율성 저하를 탈피함은 물론 별도의 랜턴 장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쉽게 탈착하여 사용함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비를 간소화하여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암전상태에서 발화점을 쉽게 확보함과 동시에 방화수를 조준함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소화할 수 있고, 현재 사용중인 소방노즐에 적용하여 간편 탈착식으로 보급함으로써, 제작 및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전선 노출에 따른 누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소방노즐용 랜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방호스의 선단에 장착되어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의 노즐몸체에 감아져 고정설치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착탈되도록 둘레 일측에 결합구가 형성된 랜턴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노즐용 랜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의 둘레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를 갖는 장착레일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장착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슬라이드 안착되도록 걸림홈을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둘레 일측에는 축공이 관통 형성된 두 개의 지지브라켓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사이에 구비되는 랜턴본체가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상기 축공에 축결되는 회동축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변경에 따른 효율성 저하를 탈피함은 물론 별도의 랜턴 장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쉽게 탈착하여 사용함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비를 간소화하여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암전상태에서 발화점을 쉽게 확보함과 동시에 방화수를 조준함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소방노즐에 적용하여 간편 탈착식으로 보급함으로써, 제작 및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전선 노출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노즐용 랜턴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노즐용 랜턴의 분해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방노즐용 랜턴의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노즐용 랜턴의 정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방노즐용 랜턴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소방노즐용 랜턴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호스(100)의 선단에 장착되어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200)의 노즐몸체(210)에 감아져 고정설치되는 고정구(220)와; 상기 고정구(220)에 착탈되도록 둘레 일측에 결합구(320)가 형성된 랜턴본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220)의 둘레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222)를 갖는 장착레일(22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구(320)에는 상기 장착레일(221)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돌기(222)가 슬라이드 안착되도록 걸림홈(322)을 갖는 슬라이드홈(321)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구(220)의 둘레 일측에는 축공이 관통 형성된 두 개의 지지브라켓(22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320)에는 상기 지지브라켓(223)의 사이에 구비되는 랜턴본체(300)가 용이하게 회동되도록 상기 축공에 축결되는 회동축(325)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소방호스(100)의 선단에 장착되어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200)이 소방관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소방노즐(200)의 둘레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소방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의 분사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빛을 비추는 랜턴본체(300)가 착탈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소방노즐(200)의 노즐몸체(210)에 감아져 체결고정되며, 상기 랜턴본체(300)가 상기 노즐몸체(210)에 탈착되도록 일측에 장착레일(221)이 돌출 형성된 고정구(2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랜턴본체(300)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장착레일(221)에 대응하여 슬라이드결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321)을 갖는 결합구(320)가 더 돌출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소방노즐(200)은 소방호스(100)를 통해 이동하는 소방수가 통과되도록 중공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노즐몸체(210)와; 이 노즐몸체(21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소방호스(100)의 단부에 고정되는 연결플랜지(211)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화재에 직접 소방수가 탄착되도록 소방수를 토출하는 토출구(215)가 형성되며, 상가 연결플랜지(211)에 인접하여 상기 토출구(215)를 통해 방수되는 소방수의 토출을 단속하는 밸브(2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랜턴본체(300)는 LED램프(317a) 또는 레이저(317b)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을 발광부(317)로서 포함하여 내부에 구성되는 랜턴본체(300)로서 전면 측에는 불빛 또는 레이저 빛의 발산을 투광하는 투광렌즈(313)를 포함한다.
LED램프(317a)를 통해 발광된 빛은 화재 현장을 전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반면에, 레이저(317b)는 소방수가 도달할 예상 탄착지점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턴본체(300)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결합되는 전면커버(311) 및 후면커버(312)와, 상기 전면커버(311) 측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커버(311)에 구비된 투광렌즈(313)를 통해 전방으로 불빛을 조사하는 발광부(317) 및 이 발광부(317)의 빛을 투광렌즈(313) 측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314)과, 상기 후면커버(312) 측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317)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315)와, 상기 후면커버(312)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건전지(315)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317)로 인가하는 스위치(3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전지(315)와 상기 스위치(316)은 랜턴본체(300)과 분리되어 소방호스(100)에 별도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의하면, 상기 장착레일(221)의 중앙에는 볼클램프(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320)의 슬라이드홈(321)에는 상기 볼클램프(330)에 대응되는 결합홈(323)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볼클램프(330)와 결합홈(323)의 탄성결합을 통해 상기 랜턴본체(3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클램프(330)는 내장된 스프링(331)에 의해 볼(333)의 일부가 노출되는 일반적인 볼클램프(330)이다.
이와 달리, 도 5에 의하면, 상기 소방노즐(200)의 노즐몸체(210)에 감아져 체결고정되며, 상기 랜턴본체(300)가 상기 노즐몸체(210)에 탈착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랜턴본체(300)가 상기 노즐몸체(21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회동되도록 지지브라켓(223)이 돌출 형성된 고정구(2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랜턴본체(300)의 둘레 양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223)의 축공에 대응하여 회동결합되도록 회동축(325)이 더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랜턴본체(300)를 사용자가 임의로 회동조작하여 상기 토출구(215)를 통해 방수되는 소방수의 탄착 위치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소방수를 방수하는 동안 용이하게 시야 확보할 수 있으며, 소방수의 탄착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의하면, 상기 소방노즐(200)의 노즐몸체(210) 둘레에 고정구(220)를 감아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고정구(220)를 노즐몸체(210)에 일체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주간에는 랜턴본체(300)를 결합하지않고 소방노즐(200)를 통해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야간 또는 암전상태의 경우, 상기 고정구(220)의 장착레일(221) 또는 지지브라켓(223)에 대응하는 슬라이드홈(321) 또는 회동축(325)을 갖는 랜턴본체(30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소방노즐(200)의 토출구(215)를 통해 방수되는 소방수의 동일방향으로 불빛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소방수의 시야를 확보함과 아울러, 소방수의 탄착지점을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변경에 따른 효율성 저하를 탈피함은 물론 별도의 랜턴 장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쉽게 탈착하여 사용함에 따른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비를 간소화하여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암전상태에서 발화점을 쉽게 확보함과 동시에 방화수를 조준함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소방노즐에 적용하여 간편 탈착식으로 보급함으로써, 제작 및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전선 노출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해 소방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소방수의 유량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고, 별도의 배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랜턴본체의 강력한 조사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전선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접속단자 등의 부속품이 추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사용상에 번잡함이 제거되어 설치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위급상황에 매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소방호스 200: 소방노즐
210: 노즐몸체 211: 연결플랜지
213: 밸브 215: 토출구
220: 고정구 221: 장착레일
222: 걸림돌기 300: 랜턴본체
310: 몸체부 311: 전면커버
312: 후면커버 313: 투광렌즈
314: 반사판 315: 건전지
316: 스위치 317: 발광부
317a: LED램프 317b: 레이저
320: 결합구 321: 슬라이드홈
322: 걸림홈 323: 결합홈
330: 볼클램프 331: 스프링
333: 볼

Claims (4)

  1. 소방호스(100)의 선단에 장착되어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노즐(200)의 노즐몸체(210)에 감아져 고정설치되는 고정구(220)와;
    상기 고정구(220)에 착탈되도록 둘레 일측에 결합구(320)가 형성된 랜턴본체(300)를 포함하되,
    상기 랜턴본체(300)는 원통 형상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결합되는 전면커버(311) 및 후면커버(312)와, 상기 전면커버(311) 측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커버(311)에 구비된 투광렌즈(313)를 통해 전방으로 불빛을 조사하는 발광부(317) 및 이 발광부(317)의 빛을 투광렌즈(313) 측으로 집중시키는 반사판(314)과, 상기 후면커버(312) 측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317)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315)와, 상기 후면커버(312)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건전지(315)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317)로 인가하는 스위치(31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220)의 둘레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222)를 갖는 장착레일(22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구(320)에는 상기 장착레일(221)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돌기(222)가 슬라이드 안착되도록 걸림홈(322)을 갖는 슬라이드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레일(221)의 중앙에는 볼클램프(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320)의 슬라이드홈(321)에는 상기 볼클램프(330)에 대응되는 결합홈(323)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볼클램프(330)와 결합홈(323)의 탄성결합을 통해 상기 랜턴본체(300)가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노즐용 랜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턴본체(300)에 내장되는 발광부(317)는 LED램프(317a) 또는 레이저(317b) 중 어느 한가지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노즐용 랜턴.
KR2020140004687U 2014-06-20 2014-06-20 소방노즐용 랜턴 KR200481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7U KR200481891Y1 (ko) 2014-06-20 2014-06-20 소방노즐용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7U KR200481891Y1 (ko) 2014-06-20 2014-06-20 소방노즐용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45U KR20150004645U (ko) 2015-12-30
KR200481891Y1 true KR200481891Y1 (ko) 2016-11-22

Family

ID=5517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687U KR200481891Y1 (ko) 2014-06-20 2014-06-20 소방노즐용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9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1779A1 (en) 2008-01-25 2010-12-0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Lighting Device
JP2013169338A (ja) * 2012-02-21 2013-09-02 Sakura Rubber Co Ltd 消防ホース用照明器具取付具
KR200472239Y1 (ko) 2014-02-11 2014-04-11 (주)호수조명 Led랜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50B1 (ko) * 2003-04-02 2005-12-09 주식회사 육송 레이저를 이용한 화재진압용 관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1779A1 (en) 2008-01-25 2010-12-0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Lighting Device
JP2013169338A (ja) * 2012-02-21 2013-09-02 Sakura Rubber Co Ltd 消防ホース用照明器具取付具
KR200472239Y1 (ko) 2014-02-11 2014-04-11 (주)호수조명 Led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45U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520A (en) Fire-fighting nozzle having flash
KR200481891Y1 (ko) 소방노즐용 랜턴
CN113368430A (zh) 一种履带式可视遥控森林灭火机
KR200408961Y1 (ko) 소방용 조명통신보조기구
JP2016137098A (ja) 水噴霧ヘッド
KR20150004644U (ko) 멀티 랜턴
KR200473033Y1 (ko)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KR101776280B1 (ko) 소방용 수관 라이트 라인
KR20100070756A (ko) 다기능 랜턴
KR10053455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화재진압용 관창
KR101735747B1 (ko) 건축물의 소방용 관창 클램핑 장치
KR20110003142A (ko) 소방용 랜턴
KR200177552Y1 (ko) 고지대 및 산의 화재 진화용 수조
GB2528627A (en) Improved lighting apparatus
RU84716U1 (ru) Мобиль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KR200331375Y1 (ko) 소방용조명관창
KR101537979B1 (ko) 조명기구 장착부재
KR20100005605U (ko) 레이저를 이용한 자가발전 조명용 관창
KR102541516B1 (ko) 소방용 수관 라이트 라인
KR200450313Y1 (ko) 방화캡을 구비한 천정 매입등기구
KR101171949B1 (ko) 소화용 스프링쿨러
KR200319375Y1 (ko) 레이저를 이용한 화재진압용 관창
CN203425430U (zh) 一体式外置自动应急照明消火栓箱
CN205360342U (zh) 具有可拆式照明装置的消防水枪
CN219045613U (zh) 一种带光源的水带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