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67Y1 -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 Google Patents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67Y1
KR200481867Y1 KR2020150004937U KR20150004937U KR200481867Y1 KR 200481867 Y1 KR200481867 Y1 KR 200481867Y1 KR 2020150004937 U KR2020150004937 U KR 2020150004937U KR 20150004937 U KR20150004937 U KR 20150004937U KR 200481867 Y1 KR200481867 Y1 KR 200481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upling
groove
couple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거
Priority to KR2020150004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담아 넣을 수 있는 용기를 테이블 또는 지면 상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은, 중앙에 뷔페 용기의 하부가 삽입되면서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하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지주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하부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하단부에 'ㄱ'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결합홈이 하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으로 절개되게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폴(pole)과; 상단부에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폴 및; 상기 상부 폴의 상단부를 상기 거치부에 결합시키는 지주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Displaying Support for Food Container}
본 고안은 뷔페 등에서 음식물을 담아 진열하는 음식물용기의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담아 넣을 수 있는 용기를 테이블 또는 지면 상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뷔페는 큰 용기들에 여러가지 음식들을 종류별로 담아 테이블 위에 진열해 놓고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자기가 원하는 음식을 골라 접시 등에 담아 먹을 수 있도록 된 식사 방식을 말한다.
이 때 사용되는 뷔페 용기는 통상적으로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측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뷔페 용기의 높이를 적당히 맞추기 위해 뷔페 용기를 별도의 받침틀 상에 거치시키기도 한다. 특히, 뷔페 용기에 담겨지는 음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게 되어 음식의 질과 맛이 떨어지게 되므로 뷔페 용기를 받침틀 상에 거치시킨 후 뷔페 용기의 하측에 가열수단을 장착하여 뷔페 용기 내의 음식을 가열하기도 한다.
한편, 뷔페 용기는 찌개류, 탕종류 및 요리 용기 등이 거의 상,중,하의 크기로 규격화되어 있고, 원형상 및 사각형상 등으로 거의 규격화되어 진열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뷔페 용기를 테이블 상에서 지지하는 받침틀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뷔페 용기의 크기나 종류, 테이블 구조 등에 따라 받침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0467148호에 단일폴을 다단 구조로 연결하여 받침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받침틀의 단일폴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켜 단일폴이 휘거나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등록실용신안의 받침틀은 지주부재의 상당 부분이 스테인레스스틸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상부 폴과 하부 폴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3단 이상으로 고단으로 폴을 연결할 경우 안정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7148호(2013.05.23) 등록실용신안 제20-0463357호(2012.10.2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단일 폴들을 쉽고 간단하게 조립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복수개의 단일 폴을 고단으로 적층하더라도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은, 중앙에 뷔페 용기의 하부가 삽입되면서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하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지주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하부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하단부에 'ㄱ'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결합홈이 하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으로 절개되게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폴(pole)과; 상단부에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홈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폴 및; 상기 상부 폴의 상단부를 상기 거치부에 결합시키는 지주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 폴 상단의 삽입부가 상부 폴 하단의 수용홈 내측으로 삽입될 때 결합돌기가 'ㄱ'자형의 결합홈 내측에 결합되어 하부 폴이 상부 폴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상부 폴과 하부 폴 간의 연결 부위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하부 폴과 상부 폴의 결합시 볼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폴에 복수개의 하부 폴을 직렬로 연결하여 고단으로 단일 폴을 적층하더라도 단일 폴이 흔들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의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을 구성하는 상부 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부 폴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을 구성하는 하부 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하부 폴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이 다단으로 병렬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받침틀(1)은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11)가 형성된 사각형 판상의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4개의 지주부재(2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10)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지주부재(20)의 상단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10) 상에는 뷔페 용기(미도시)가 안착되는데, 이 때 상기 거치부(10)는 중앙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뷔페 용기의 하단부가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삽입되면서 뷔페 용기가 거치부(10) 상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10)는 사각 판상으로 된 것을 예시하지만, 이외에도 원형이나 타원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주부재(20)는 상기 거치부(10)를 테이블 또는 지면 상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면서 거치부(10)와 이 거치부(10) 상에 안착되는 뷔페 용기를 지탱한다. 상기 지주부재(20)는 상기 거치부(10)에 연결되는 상부 폴(21)(pole)과, 상기 상부 폴(21)의 하부에 연결되는 1개 이상의 하부 폴(22) 및, 상기 상부 폴(21)의 상단부를 상기 거치부(10)에 결합시키는 지주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폴(21)은 원형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상기 지주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거치부(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 폴(21)이 지주결합수단에 의해 거치부(10)에 결합될 때, 상기 상부 폴(21)과 거치부(10)의 하부면 사이에는 원형 링 형상의 와셔(26)가 개재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폴(2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상부커버(211)와, 상기 상부커버(211)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지 재질의 상부바디(212)와, 상기 상부바디(212)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는 상부무게추(213)(weight pendulum)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211)는 녹이 잘 슬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상부바디(212)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강도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부바디(212)는 상부커버(211)의 중공부와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봉 형상을 갖는 ABS 수지로 만들어져, 상부커버(211)의 중공부 내측에 거의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상부바디(212)의 상단부 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체결공(21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체결공(217)에 지주결합수단을 구성하는 볼트(32)가 체결됨으로써 거치부(10)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된다. 또한 상부바디(212)의 상단부에는 상기 볼트체결공(217)의 외측으로 상기 와셔(33)가 수용되는 링 형태의 와셔설치홈(218)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바디(21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폴(22)과의 연결을 위한 수용홈(214)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14)의 하단부에 대략 'ㄱ'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결합홈(215)이 하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으로 절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214)은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 폴(22)의 상단부의 삽입부(224)가 수용홈(214)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215)은 상기 수용홈(214)의 하단부에 2개가 180°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이와 다르게 상기 결합홈(215)은 단일하게 형성되거나, 3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결합홈(215)은 완전히 직각으로 절곡된, 즉 90°로 절곡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 90°보다 큰 둔각, 예를 들어 100°~ 120°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무게추(213)는 상기 구조용 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사출 성형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상부바디(212) 내측에 일체로 수용된다. 상기 상부무게추(213)는 상부바디(212) 내측에 수용되어 전체적인 상부 폴(21)의 전체 무게와 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폴(22)은 상부 폴(21)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폴(22)은 상부 폴(21)과 유사하게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된 하부커버(221)와, 상기 하부커버(221)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수지 재질의 하부바디(222)와, 상기 하부바디(222)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는 하부무게추(223)(weight pendulum)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디(222)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폴(21) 하단의 수용홈(21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24)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홈(215)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225)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른 하부 폴(22)과의 연결을 위한 수용홈(226) 및 결합홈(227)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부바디(222)의 수용홈(226) 및 결합홈(227)은 상기 상부 폴(21)의 수용홈(214) 및 결합홈(215)과 일치하는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상기 하부바디(222)의 삽입부(224)는 상기 수용홈(214, 226)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하부바디(222)의 상부에 단차지면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24)는 하부커버(221)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25)는 원형 돌기 형태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224)의 측면부 상부에 2개가 180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25)는 상기 결합홈(215, 227)의 폭과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되어, 상기 삽입부(224)가 상기 수용홈(215, 227)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홈(215, 227)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상부 폴(21)을 거치부(10)와 연결하기 위한 지주결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32)와, 상기 거치부(10)의 상측에서 상기 볼트(32)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는 고정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32)는 상기 거치부(1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공(12)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하부 폴(22)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17)에 나선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캡(30)은 하부면 중앙에 상기 볼트(32)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31)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상기 거치부(10)의 상측에서 상기 볼트(32)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면서 상부 폴(21)을 거치부(1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받침틀(1)은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상부커버(211)의 중공부 내측에 상부바디(212)를 삽입하여 상부 폴(21)을 조립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커버(221)의 중공부 내측에 하부바디(222)를 삽입하여 하부 폴(22)을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하부 폴(22) 상단의 삽입부(224)를 상기 상부 폴(21) 하단의 수용홈(214)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 때 삽입부(224) 양측의 결합돌기(225)를 수용홈(214) 하단의 결합홈(215)에 맞추어 밀어 넣은 다음, 결합돌기(225)가 결합홈(215)의 절곡된 부분에 도달하면 하부 폴(22)을 상부 폴(21)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결합돌기(225)를 결합홈(215)의 끝단에 완전히 밀어넣는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225)가 결합홈(215)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216)를 타고 넘어가 걸림돌기(216)에 의해 걸려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삽입부(224)의 결합돌기(225)가 수용홈(214)의 결합홈(215) 내측에 걸림 결합되면 하부 폴(22)이 상부 폴(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 폴(21)의 상단부의 볼트체결공(217)을 거치부(10)의 결합공(12)에 일치시킨 다음, 거치부(10)의 상측에서 결합공(12)을 통해 볼트(32)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체결공(217)에 나선결합시킨다. 이어서 볼트(32)의 상측에서 고정캡(30)을 나선 결합시켜 상부 폴(21)을 거치부(1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4개의 지주부재(20)를 거치부(10)에 결합시키면, 받침틀(1)의 조립이 완료되고, 받침틀(1)의 거치부(10)에 뷔페 용기를 안착시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상부 폴(21) 및 하부 폴(22)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215)은 완전히 직각으로 절곡된 것보다 100°~ 120°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결합홈(215)이 100°~ 120°의 각도로 절곡되면 하부 폴(22)의 결합돌기(225)가 결합홈(215)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결합돌기(225)가 중력에 의해 걸림돌기(216) 및 결합홈(215) 하단부에 밀착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받침틀(1)을 조립할 때, 반드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조립 순서대로 거치부(10)와 지주부재(20)를 조립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부 폴(21)을 거치부(10)에 먼저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 폴(22)을 상부 폴(21)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상부 폴(21)에 하나의 하부 폴(22)이 결합되면서 2개의 단일 폴로 지주부재(20)를 구성하고 있지만, 상기 하부 폴(22)의 하측에 또 다른 하부 폴(22)을 연결하여 3개 이상의 단일 폴을 적층하여 고단으로 지주부재(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폴(22)과 하부 폴(22)을 연결하는 방식은 전술한 상부 폴(21)과 하부 폴(22)을 연결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받침틀(1)만 단독으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받침틀(1)의 고정캡(30)에 다른 받침틀(1)의 상부 폴(21) 또는 하부 폴(22)의 수용홈(214)을 삽입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복수개의 받침틀(1)을 적층시키거나, 측방으로 병렬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폴(22) 상단의 삽입부(224)가 상부 폴(21) 하단의 수용홈(214) 내측으로 삽입될 때 결합돌기(225)가 'ㄱ'자형의 결합홈(215) 내측에 결합되어 하부 폴(22)이 상부 폴(21)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상부 폴(21)과 하부 폴(22) 간의 연결 부위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하부 폴(22)과 상부 폴(21)의 결합시 볼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폴(21)에 복수개의 하부 폴(22)을 직렬로 연결하여 고단으로 단일 폴을 적층하더라도 단일 폴이 흔들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받침틀 10 : 거치부
11 : 개구부 12 : 결합공
20 : 지주부재 21 : 상부 폴
211 : 상부커버 212 : 상부바디
213 : 상부무게추 214 : 수용홈
215 : 결합홈 216 : 걸림돌기
22 : 하부 폴 221 : 하부커버
222 : 하부바디 223 : 하부무게추
224 : 삽입부 225 : 결합돌기
226 : 수용홈 227 : 결합홈
30 : 고정캡 32 : 볼트

Claims (5)

  1. 중앙에 뷔페 용기의 하부가 삽입되면서 안착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에 하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지주부재(20)를 포함하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20)는,
    상단부가 상기 거치부(10)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하부면이 개방된 수용홈(214)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14)의 하단부에 'ㄱ'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결합홈(215)이 하단 가장자리에서부터 상측으로 절개되게 형성되어 있는 상부 폴(21)(pole)과;
    상단부에 상기 수용홈(21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24)의 외측면에 상기 결합홈(215)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22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 폴(22) 및;
    상기 상부 폴(21)의 상단부를 상기 거치부(10)에 결합시키는 지주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폴(21)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상부커버(211)와, 상기 상부커버(211)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지주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거치부(10)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수용홈(214) 및 결합홈(215)이 형성되어 있는 수지 재질의 상부바디(212)와, 상기 상부바디(212)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는 상부무게추(213)(weight pendulum)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폴(22)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하부커버(221)와, 상기 하부커버(221)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단부에 상기 삽입부(224) 및 결합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는 수지 재질의 하부바디(222)와, 상기 하부바디(222)의 상부 내측에 수용되는 하부무게추(223)(weight pendulum)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디(222)의 하부에는 다른 하부 폴(22)과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상부 폴(21)의 수용홈(214) 및 결합홈(215)과 동일한 형태의 수용홈(214) 및 결합홈(2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15)은 100°~ 120°의 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15)의 절곡된 부분 하측에 상기 결합돌기(225)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216)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결합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0)를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하부 폴(22)의 상단부 중앙에 나선 결합되는 볼트(32)와, 하부면 중앙에 상기 볼트(32)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31)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0)의 상측에서 상기 볼트(32)의 상단에 나선 결합되는 고정캡(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KR2020150004937U 2015-07-22 2015-07-22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KR200481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937U KR200481867Y1 (ko) 2015-07-22 2015-07-22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937U KR200481867Y1 (ko) 2015-07-22 2015-07-22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67Y1 true KR200481867Y1 (ko) 2016-11-21

Family

ID=5770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937U KR200481867Y1 (ko) 2015-07-22 2015-07-22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6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066Y1 (ko) * 1988-12-24 1991-06-13 삼성전관 주식회사 슬리트형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체
KR200463357Y1 (ko) 2010-08-19 2012-10-30 주식회사 타이거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KR200467148Y1 (ko) 2012-01-31 2013-05-31 주식회사 타이거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KR101311209B1 (ko) * 2011-11-30 2013-09-25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513441B1 (ko) * 2014-08-06 2015-04-20 진향순 봉 걸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066Y1 (ko) * 1988-12-24 1991-06-13 삼성전관 주식회사 슬리트형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체
KR200463357Y1 (ko) 2010-08-19 2012-10-30 주식회사 타이거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KR101311209B1 (ko) * 2011-11-30 2013-09-25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0467148Y1 (ko) 2012-01-31 2013-05-31 주식회사 타이거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KR101513441B1 (ko) * 2014-08-06 2015-04-20 진향순 봉 걸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7604B2 (en) Connector for modular rack assembly
US10376099B2 (en) Multi-use flat pack product and method
US9138079B2 (en) Display fixture
US6902074B2 (en) Support stand
CA2876897C (en) Movable cart
US8573138B2 (en) Portable table
KR101474346B1 (ko) 화분걸이조립체
US20140284289A1 (en) Bottle support insert
KR100810078B1 (ko) 조립식 선반
KR200481867Y1 (ko)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US20080217206A1 (en) Meal tray for use in holding various beverage vessels
KR200467148Y1 (ko)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US20170291739A1 (en) Hands free popcorn buck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87403B1 (ko) 조립식 테이블
US20120187136A1 (en) Segmented refreshment holder
US20190082831A1 (en) Modular rack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8869685B2 (en)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3224625A (en) Relish tray or the like
KR101871049B1 (ko) 분리되지 않게 안정적인 폭 조절이 가능한 선반
KR200411307Y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463357Y1 (ko) 음식물용기 진열용 받침틀
US1917564A (en) Display rack
KR101514882B1 (ko) 음식물 받침대
US20110100864A1 (en) Articulable tray display system
KR200210904Y1 (ko)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