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41Y1 -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 Google Patents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41Y1
KR200481841Y1 KR2020110009214U KR20110009214U KR200481841Y1 KR 200481841 Y1 KR200481841 Y1 KR 200481841Y1 KR 2020110009214 U KR2020110009214 U KR 2020110009214U KR 20110009214 U KR20110009214 U KR 20110009214U KR 200481841 Y1 KR200481841 Y1 KR 200481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uge
clamp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479U (ko
Inventor
유일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4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특성을 측정하는 게이지,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외면에 상기 게이지가 설치되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구비하는 구성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파이프의 외주면에 클램프를 이용해 장착부를 장착하고 외면에 게이지가 설치된 설치부와 장착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간단하게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GUAGE INCORPORATED WITH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를 파이프에 일체로 형성하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파이프에 게이지를 설치하여 측정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이프에 게이지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파이프(1)에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을 형성하고, 배출공에 연결부재(일명 '보스(boss)')(2)를 설치한다.
그리고 설치부재를(도면 미도시) 이용해서 게이지를 파이프(1) 주변이나 벽면에 설치한다.
이어서 튜브의 양단을 각각 연결부재(2)와 게이지(4)에 연결한 후, 게이지(4)를 작동시켜 유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에 게이지를 설치하는 방법은 각각의 장치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각 장치에 대한 분실 및 훼손 우려가 있고, 하나의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이 지연되거나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파이프에 게이지를 설치하는 방법은 설치부재를 용접(wellding)과 같은 접합을 통해 벽면이나 파이프에 고정함에 따라 한 번 설치한 후에는 이동이나 수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에 게이지를 설치하는 방법은 각 장치를 설치한 후 후속조치(follow-up)를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에 게이지를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에 설치된 게이지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특성을 측정하는 게이지,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외면에 상기 게이지가 설치되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클램프와 파이프 사이의 설치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고무 재질을 이용해 원통 형상이나 판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무 재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는 게이지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를 꺾은 설치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설치판의 전후측 하단에는 장착부와 결합되도록 하방을 향해 굴곡지게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의 전후측 상단에는 상기 굴곡부와 겹쳐지도록 상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와 절곡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파이프를 중심으로 파이프의 외주면 양측에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에 의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결합부의 외면에는 게이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의 하부에는 파이프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는 각각 하단부에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연장판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의 외주면에 클램프를 이용해 장착부를 장착하고 외면에 게이지가 설치된 설치부와 장착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간단하게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클램프의 복원력을 이용해 파이프에 설치됨에 따라 파이프의 직경이 클램프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도 클램프의 복원력을 이용해 게이지를 파이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하나의 볼트를 이용해 설치판의 전후단을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체결하는 경우, 클램프와 파이프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설치판의 꺾이는 각도를 조절하여 관리자의 시야각에 따라 게이지의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게이지의 측정값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파이프에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설치한 후, 필요에 따라 체결부재를 풀어서 설치부 및 장착부를 분리하거나 연장판의 걸림턱과 걸이공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 1 및 제 2결합부를 분리함으로써,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적절한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키거나 설치각도를 수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무재질의 탄성부를 구비하여 클램프와 파이프 사이의 미끌림을 억제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이프에 게이지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11),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1)에 장착되는 장착부(20) 및 외면에 게이지(11)가 설치되고 체결부재(40)를 이용해 장착부(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설치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게이지(11)는 유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는 온도계나 압력계뿐만 아니라, 유체의 다른 특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기로 변경될 수 있다.
장착부(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클램프(21) 및 파이프(1)와 클램프(21)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22)를 포함한다.
클램프(21)는 금속 재질, 특히 철 재질을 이용해 제작되고, 일측에 형성된 절개구의 폭을 넓히도록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파이프(1)에 장착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다시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즉, 본 고안은 클램프의 복원력을 이용해 파이프에 설치됨에 따라 파이프의 직경이 클램프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도 클램프의 복원력을 이용해 게이지를 파이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21)의 절개구에는 설치부(30)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23)가 형성되고, 절곡부(23)에는 체결부재(40)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탄성부(22)는 고무 재질을 이용해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 또는 판 형상의 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파이프(1)의 외주면에 미리 설정된 두께로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22)는 파이프(1)와 클램프(21) 사이에 설치되어 파이프(1)와 클램프(21) 사이의 밀착도를 높여 미끌림을 억제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탄성부(22)는 클램프(21) 설치시 파이프(1) 외주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설치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판재를 단면이 대략 '∧' 형상이 되도록 꺾인 설치판(31)으로 구비된다.
설치판(31)의 전후측 하단에는 장착부(20)와 결합 가능하도록 하방을 향해 굴곡된 굴곡부(32)가 형성되고, 굴곡부(32)에는 체결부재(40)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설치판의 꺾이는 각도를 조절하여 관리자의 시야각에 따라 게이지의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게이지의 측정값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체결부재(40)는 클램프(21)의 절곡부(23)와 설치판(31)의 굴곡부(32)를 겹쳐지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한다.
도 4에서 체결부재(40)는 설치판(31)의 전후단에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하나의 볼트를 이용해 설치판(31)의 전후단을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볼트의 선단에 너트를 체결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볼트를 이용해 설치판과 클램프를 체결함으로써 클램프와 파이프를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의 설치방법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파이프(1)의 외주면에 탄성부(22)를 위치시킨 후, 클램프(21)의 절개구 폭이 커지도록 외력을 가해 클램프(21)를 탄성 변형시킨 후 클램프(21)의 절개구 일측부터 순차적으로 파이프(1)에 결합한다.
이어서, 외면에 게이지가 설치된 설치판(31)을 클램프(21)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설치판(31) 하단에 형성된 굴곡부(32)와 클램프(21) 상단에 형성된 절곡부(23)를 겹쳐지게 해서 체결공에 체결부재(40)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설치판(31)의 꺾이는 각도를 조절하거나, 설치판(31)의 전후단을 하나의 체결부재(40)를 관통시켜 체결하여 관리자가 게이지의 측정값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게이지(11)의 설치각도를 조절해서 설치한다.
이어서 연결부재(2)를 이용해 파이프(1)의 배출공에 결합된 튜브(3)의 선단을 게이지(11)에 연결한 후, 게이지(11)를 작동시켜 파이프(1)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한다.
한편, 본 고안은 파이프(1)에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10)를 설치한 후, 필요에 따라 체결부재(40)를 풀어서 설치부(20) 및 장착부(30)를 분리함으로써,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10)를 간편하게 이동시키거나 설치각도를 수정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10')는 파이프(1)를 중심으로 파이프(1)의 외주면 양측에 제 1 및 제 2결합부(51,52)를 결합시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50)를 구비한다.
즉, 케이스(50)는 상기 실시 예의 장착부(20)와 설치부(3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결합부(51,52)의 하부에는 파이프(1)가 결합되도록 각각 반원통 형상의 결합공간(53)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 1결합부(51)과 제 2결합부(52)는 각각 하단부에 결합된 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제 1결합부(51)의 상면에는 하방을 향해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연장판(55)이 후방을 향해 설치되고, 제 2결합부(52)의 상면에는 걸림턱이 걸리는 한 쌍의 걸이공(56)이 형성된다.
물론, 본 고안은 연장판(55)을 제 1결합부(11)의 내측 상면에 설치하거나, 연장판(55)을 제 2결합부(52)에 설치하고 제 1결합부(51)의 상면에 걸이공(56)을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10')는 제 2결합부(51,52)의 결합공간(53)을 파이프(1)에 위치시킨 후, 제 1결합부(51)에 설치된 게이지(11)에 튜브(3)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 2결합부(52)와 힌지 결합된 제 1결합부(51)를 회전 운동시켜 제 1 및 제 2결합부(51,52)를 서로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연장판(55)의 걸림턱이 걸이공(56)에 걸리도록 제 1결합부(51)에 후방을 향해 외력을 가하여 제 1 및 제 2결합부(51,52)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10')는 이동이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연장판(55)의 선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걸림턱과 걸이공(56)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 1 및 제 2결합부를 간단하게 분리한 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설치각도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고안은 파이프의 외주면에 클램프를 이용해 장착부를 장착하고 외면에 게이지가 설치된 설치부와 장착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간단하게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를 설치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를 파이프에 용이하게 설치하는데 이용된다.
1: 파이프 2: 연결부재
3: 튜브 10: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11: 게이지 20: 장착부
21: 클램프 22: 탄성부
23: 절곡부 30: 설치부
31: 설치판 32: 굴곡부
40: 체결부재 50: 케이스
51: 제 1결합부 52: 제 2결합부
53: 결합공간 54: 힌지축
55: 연장판 56: 걸이공

Claims (6)

  1. 파이프 내부와 연통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상기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특성을 측정하는 게이지,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외면에 상기 게이지가 설치되고 체결부재를 이용해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일측이 절개된 원통 형상의 클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부는 꺾이는 각도를 조절해서 상기 게이지의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의 판재를 단면이 '∧'형상이 되도록 꺾은 설치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설치판의 전후측 하단에는 장착부와 결합되도록 하방을 향해 굴곡지게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게이지에서 측정되는 유체의 특성은 유체의 온도 또는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클램프와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고무 재질을 이용해 원통 형상이나 판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파이프의 외주면에 고무 재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전후측 상단에는 상기 굴곡부와 겹쳐지도록 상방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와 절곡부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5. 파이프 내부와 연통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상기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특성을 측정하는 게이지 및
    상기 파이프를 중심으로 파이프의 외주면 양측에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에 의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결합부의 외면에는 상기 게이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의 하부에는 파이프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는 각각 하단부에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게이지에서 측정되는 유체의 특성은 유체의 온도 또는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결합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연장판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KR2020110009214U 2011-10-17 2011-10-17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KR200481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14U KR200481841Y1 (ko) 2011-10-17 2011-10-17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214U KR200481841Y1 (ko) 2011-10-17 2011-10-17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79U KR20130002479U (ko) 2013-04-25
KR200481841Y1 true KR200481841Y1 (ko) 2016-11-17

Family

ID=5242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214U KR200481841Y1 (ko) 2011-10-17 2011-10-17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9451A1 (en) 2018-07-23 2020-01-29 ABB Schweiz AG A pressure sensor for a pipe
EP3771895B1 (en) 2019-07-31 2023-11-01 ABB Schweiz AG Temperature compensated strain gauge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16B1 (ko) * 2008-04-01 2011-01-14 (주)삼원산업사 냉동공조용 냉매파이프 온도센서 홀더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79U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1759B2 (ja) ひずみゲージホルダー
KR101957261B1 (ko) 센서 설치도구
KR101811699B1 (ko) 센서 고정 기구
KR20170079829A (ko) 체결형 배관 곡관부 지지장치
EP2369216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device to a circular structure
KR200481841Y1 (ko) 파이프 일체형 게이지
RU2655451C2 (ru) Стяжной или трубный хомут
US20110095519A1 (en) Pipe clamp with self-aligning mechanism while closiing of same
JP2011522184A5 (ko)
RU2728353C2 (ru) Кронштейн с датчиком механиз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US20190063644A1 (en) Lock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150252916A1 (en) Lateral Sway Brace
US11009416B2 (en) Device for the non-intrusive measurement of the pressure of a fluid inside a cylindrical casing using chain links
US20170022874A1 (en) Tail pipe mounting arrangement
RU2672547C1 (ru) Шланговый хомут
KR101516126B1 (ko) 덕트의 외경크기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체결되는 덕트용 고정밴드
EP2600475B1 (en) Anti-rotation cable restraint for connecting flexible ducts
US7761959B2 (en) Handle assembly for a stamp
KR101480823B1 (ko) 복수의 내경을 갖는 이경 클램프
KR20110035161A (ko) 호스 연결장치
US9482267B1 (en) Omni-directional connection assembly
KR200480390Y1 (ko) 전자기기의 케이싱 체결 구조
US11054322B2 (en) Device for monitoring force when fixing a tension clamp
TW201416600A (zh) 感測器固定裝置
JP6317188B2 (ja) センサ押付け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