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06Y1 - 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 Google Patents

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06Y1
KR200481806Y1 KR2020160005922U KR20160005922U KR200481806Y1 KR 200481806 Y1 KR200481806 Y1 KR 200481806Y1 KR 2020160005922 U KR2020160005922 U KR 2020160005922U KR 20160005922 U KR20160005922 U KR 20160005922U KR 200481806 Y1 KR200481806 Y1 KR 200481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air
supply pipe
air supply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9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난희
Original Assignee
조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난희 filed Critical 조난희
Priority to KR2020160005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물고임부의 형태를 별도의 장해물 없이 원형(原形)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낙하되는 소변이 그대로 고여있는 물로 흡수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변시 물이튀어 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묻어 불쾌감을 주는것을 방지하며, 특히 용변의 배출시 장해없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그 소리로 인한 수치심을 방지하기 위한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eat which is capable of absorbing falling urine as it is while retaining the shape of a circular shape without any obstacles, And prevents the us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while preventing the toilet from being contamin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charge the toilet without hindrance when discharging the toilet, and by blocking the sound generated during the use of the toilet, And a toilet sea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function and an etiquette function for preventing a shame caused by the water.

Description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The toilet has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시 발생되는 물튀김으로 인한 변기의 오염 및 사용자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는 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용변시 발생되는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수치심을 줄여줄 수 있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nitary use such as a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a toilet due to splashing water caused by a toilet and protection of a user, To a toilet sea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the shame.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용변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근래 주거환경의 발발로 인해 대부분의 화장실에는 좌변기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a toilet seat can sit in a comfortable posture and handle a toilet, and a toilet seat has been widely used in most restrooms due to the outbreak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이러한 종래의 좌변기는 배수구 위쪽으로 일정의 물이 고여 있어서, 냄새를 차단하여 보다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조성하는데 큰 기여를 하여 왔다. 그러나, 물이 고여 있음으로 인하여 배변시에, 먼저 소변시에는 낙하되는 소변이 변기에 고여있는 물에 닿을시 물방울이 형성 및 그 물방물이 사방으로 튀어 변기의 상부 및 외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대변시에는 대변이 물에 떨어지면서 물방울이 튀어, 배변자의 신체에 오물이 묻을 수 있기 때문에 불쾌감을 유발하며, 변기 내부의 측면에 오물이 묻어 잘 제거되지 않음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야기하여 왔다.Such a conventional toilet seat has a certain amount of water accumulated above the drain hole, thus contributing to a more pleasant toilet environment by blocking the smell. However, due to the presence of water, when the urine which falls down during urination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which is in the urinal when it is urinating, water droplets are formed and the water is splashed in all directions to contaminate the upper and outer portions of the urinal , The stool may fall into the water during the stool, causing water droplets to spill into the body of the stool, causing discomfort and causing hygiene problems due to the fact that the stool is not removed by the side of the stool.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세식 좌변기 내의 수면 위에 일정량의 화장지를 띄워 놓고 용변을 보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화장지로 인해 변기가 막히거나 불필요하게 화장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method for overcoming this problem, a method of using a toilet paper to float a certain amount of toilet paper on a water surface in a flush toilet seat may be u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oilet paper is clogged due to toilet paper or waste paper is unnecessarily wasted.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개 제 1988-19212호에는 수면에서 2 내지 3mm 밑에 잠기게 설치한 변받이의 작용에 의해 변이 물에 떨어지면서 물에 주는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물튀김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제 1990-8486호와 제 1990-8487호에는 변기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착탈식 물튀김 방지판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개 제 1996-17786호에는 변기 내부 하단에 굴림통이 안치된 물튀김 방지용 좌변기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76186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개 제 1995-27672호에는 변기 내부에 장착가능한 물 튀김 방지용 매트와 물방물 튀김 방지판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88-19212 discloses a buckle installed at a depth of 2 to 3 mm below the water surface, Which is capable of attaching to the interior of a toilet, i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0-8486 and No. 1990-8487, and a detachable water splash preventing plat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Open Publication No. 1996-17786 discloses a toilet seat for preventing splash of water in which a rolling barrel is placed at the bottom of a toilet, and Korean Patent No. 376186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95-27672 Discloses a water-splash-proof mat and a water-splash-proof plate that can be mounted inside a toile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물들은 좌변기와 별도 구비되어 좌변기의 물고임부에 장착 사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구조물들은 오히려 변의 배출을 방해하였으며, 잔변이 묻어 수시로 세척 사용하여야 하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소모품으로 제작되는 특성상 수시로 교체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거부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ructures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left side lid to be used in the left side ladies 'mouthpiece. Such structures hinder the discharge of the sides, and there is a considerable inconvenience that the ladies' Due to the nature of being made as a consumable item, there was inconvenience and discomfort to replace it from time to time.

이에, 상기와 같은 소모품을 대신하여 특허공개 제10-2012-0129859호와 같이 좌변기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물과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물튀김을 방지하고자 하였다.Thus, instead of the consumable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s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left side of the left side a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29859 to minimize the impact with water to prevent water splash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좌변기는 물고임부에 장해물이 형성되게 되는 것인바, 오히려 변의 배출을 막아 잔변이 고이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left side lid has a problem that an obstacle is formed in the pregnant women, and the side is blocked by discharging the side.

또한 종래의 좌변기는, 특히 소변시 소변과 고여있는 물과의 충돌시 지나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소음은 여성 사용자로 하여금 상당한 수치심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has a problem that excessive noise is generated particularly when urine collides with water, and such noise causes a female user to cause considerable shame.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88-19212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88-19212.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2-012985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2985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좌변기의 물고임부의 형태를 별도의 장해물 없이 원형(原形)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낙하되는 소변이 그대로 고여있는 물로 흡수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변시 물이튀어 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묻어 불쾌감을 주는것을 방지하며, 특히 용변의 배출시 장해없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urine from falling down, A toilet seat with a splash preventing function and an etiquette function is provided to prevent the toilet from being contaminated by water splashing and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uncomfortable by burying on the user's body, There is a purpose of this invention.

또한,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그 소리로 인한 수치심을 방지하기 위한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splashing and an etiquette function for preventing a sound generated in the process of viewing the toilet by preventing the sound from being sham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높이로 물이 고여있으며 좌판이 덮어지는 용변처리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용변처리부 세척에 필요한 물이 충전되는 수조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f water held therein and having a handle for covering the seat; In the left-hand side having the water tank,

용변처리부의 고인물 중간부에 에어를 공급하되, 용변처리부에 위치되는 선단이 용변처리부의 평면상 일측으로 편심되게 구성되는 에어 공급관;An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air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igh-potted portion of the toilet processing portion, wherein the tip end of the air supply pipe is positioned eccentrically on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선단이 에어 공급관의 중간부와 연결되고, 후단이 외부와 연통되는 세제 공급관;A detergent supply pipe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and a rear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본체의 근접부에 형성되며, 에어 공급관과 연결되어 에어 공급관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고인물에 와류를 생성시키는 에어 공급수단; 및An air supply means formed in a proximal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to supply air to the air supply pipe to generate a vortex in the high-temperature article; And

본체의 근접부에 형성되며, 세제 공급관과 연결되어 거품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And a detergent supply unit which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to supply the bubble detergent,

에어 공급수단 및 세제 공급수단은 작동스위치(50)에 의해 동시 작동 가능하며, 에어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세제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거품세제가 혼합되어 용변처리부의 고인물에 와류를 형성 및 거품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The air supply means and the detergent supply means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by the operation switch 50 and the foam detergent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means is mixed wit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means to form a vortex in the high- Bubbles are formed,

멜로디가 출력되는 에티켓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And an etiquette mode in which a melody is output,

에티켓모드는, In the etiquette mode,

전원을 부여하는 전원공급부;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멜로디가 저장되는 멜로디 저장부;A melody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lody;

멜로디 저장부에 저장된 멜리디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the melody stored in the melody storage unit;

멜로디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 및A speaker for outputting a melody sound; And

멜로디의 출력을 작동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And a switching means for operating the output of the melody.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는, 거품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용변시 고인물에 거품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고임물에 소변이나 대변이 낙하시 그대로 흡수하여 물튀김으로 인한 변기의 오염이나 사용자의 신체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특히 변기의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의 설치가 없어 변의 배출이 원활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eft-hand sid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splashing and having an etiquette is configured to cause bubbles to be generated in the toilet when the user uses the foam generating means to absorb the urine or faeces when the user falls, It is possible to achieve hygienic use such as prevention of contamination or burial on the body of the user, and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no separate structure in the inside of the toilet, the discharge of the side can be smoothly achieved.

또한, 용변시 멜로디가 발생되는 에티켓모드가 형성되어 있어, 멜로디로 인해 용변시 발생되는 소리를 차단함으로써, 용변시 용변 소리로 인한 수치심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etiquette mode in which the melody is generated when the toilet is used is formed,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toilet is used due to the melody is blocked, thereby preventing the shame caused by the toilet sound when the toilet is used.

도 1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1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1 실시예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1 실시예 평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2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2 실시예 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2 실시예 평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에티켓모드 요부도.
도 9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에티멧모드의 스위칭수단 실시예도.
도 10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에티멧모드의 스위칭수단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물 튀김 방지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 튀김 방지 작동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left-handed toilet with an anti-fogging and etiquette function. Fig.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eft side flushing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Fig.
Fig. 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left-hand side toilet having an anti-splash prevention function and an etiquette func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oilet seat having an anti-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ft side of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a fountain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FIG. 6 is a top view in sec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eft-hand side flushing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FIG.
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of a toilet seat having an inventive splash-proof and etiquette function.
Fig. 8 is a plan view of an etiquette mode of a left-hand side having an anti-splash prevention function and an etiquette function.
Fig. 9 shows an embodiment of a switching means of a left-handed etermetical mode having an inventive splash-proof and etiquette function.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a switching means of a left-handed etermetical mode having an inventive splash-proof and etiquette function.
Fig. 11 is a left-side water splash preventing operation state having the present invention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Fig. 12 is a water splash preventing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left-hand side having the inventive water splash preventing and etiquette func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1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1 실시예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1 실시예 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2 실시예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제2 실시예 평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toilet seat having a flu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toilet seat having a flu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eft-hand side flu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ft-hand side flush prevention and etiquette-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left-hand side having the inventive splash-proof and etiquette function. Fig.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1)는,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높이로 물이 고여있으며 좌판(12)이 덮어지는 용변처리부(11)를 갖는 본체(10)와,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용변처리부(11) 세척에 필요한 물이 충전되는 수조(20)를 갖는 좌변기로부터,The left-handed toilet (1)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splash of water and having an etiquette function comprises a main body (10) having a bowl (11) which is open to the top and in which water is held at a constant height, (20)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10) and filled with water necessary for washing the used treatment unit (11)

먼저, 관체 형태로 구성된 에어 공급관(100)와 세제 공급관(20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에어 공급관(100)과 세제 공급관(200)은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First, an air supply pipe 100 and a detergent supply pipe 200 are configured in a tubular shape. At this time,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이에,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1)의 제1 실시예를 살펴보면,Th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oilet bowl 1 having the inventive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에어 공급관(100)은, 측면상 선단이 용변처리부(11)에 고여있는 물의 중간부에 위치되되, 외부와 연통되도록 본체(10)를 관통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air supply pipe 100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10 such that the tip of the air supply pipe 100 is positioned at the middle part of the water, which has a tip end on the side of the mouth treatment part 11,

그리고 에어 공급관(100)은, 용변처리부(11)에 위치되는 선단이 용변처리부(11)의 평면상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구성된다.The air supply pipe 10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eading edge located in the useable treatment section 11 is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plane of the usable treatment section 11.

또한 상기 에어 공급관(100)에는, 세제 공급관(200)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세제 공급관(200)은 그 선단이 에어 공급관(100)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본체(10)를 관통하여 구성된다.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rear end of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

또한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1)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oilet seat 1 having the inventive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먼저, 본체(10)에는 비데(4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4 to 6, the body 10 further includes a bidet 40.

또한 에어 공급관(100)은, 측면상 선단이 용변처리부(11)에 고여있는 물의 중간부에 위치되되, 후단이 상기 비데몸체(4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The air supply pip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ip of the air supply pipe 100 is positioned at the middle part of the water flowing in the side treatment section 11 and the rear end of the air supply pip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idet body 41.

그리고 에어 공급관(100)은, 용변처리부(11)에 위치되는 선단이 용변처리부(11)의 평면상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구성된다.The air supply pipe 10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eading edge located in the useable treatment section 11 is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plane of the usable treatment section 11.

또한 상기 에어 공급관(100)에는, 세제 공급관(200)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세제 공급관(200)은 그 선단이 에어 공급관(100)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본체(10)를 관통하여 구성된다.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rear end of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

즉, 상기와 같이 에어 공급관(100)과 세제 공급관(200)을 비데(40)에 설치시에는 좌변기의 교체없이 비데(40)의 설치로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구현이 가능하게 도니다.That is, when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are installed in the bidet 4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oilet seat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splashing and etiquette by installing the bidet 40 without replacing the left- I will.

또한 제1,2 실시예에 공통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체(10)의 외측에서 근접부에는 에어 공급수단(300)이 구성된다.1 to 6 in common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air supply means 30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outside.

이때 에어 공급수단(300)은, 상기 에어 공급관(100)과 연결되어 그 에어 공급관(100)에 에어를 공급하게 구성되며, 이에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고인물에 대하여 와류(회오리)의 생성이 가능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means 30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100 so as to supply air to the air supply pipe 100,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vortex (vortex) .

한편, 상기 에어 공급수단(300)은, 먼저 에어의 발생 및 공급이 가능한 에어펌프(3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에어펌프(310)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에어펌프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The air supply means 300 includes an air pump 310 capable of generating and supplying air. At this time, the air pump 310 is not newly implemented, but a conventional air pump can be applied.

그리고 에어 공급수단(300)에는, 에어 공급호스(320)가 포함된 것으로, 그 에어 공급호스(320)는 상기 본체(10) 또는 비데몸체(4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 공급관(10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The air supply hose 320 includes an air supply pipe 10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10 or the bidet body 41. The air supply hose 32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320, Respectively.

즉, 에어 공급수단(300)은, 에어펌프(310)를 통해 에어를 생성 및 에어 공급호스(320)를 통해 에어 공급관(100)으로 공급 가능하게 구성된다.That is, the air supply means 3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ir through the air pump 310 and to supply the air to the air supply pipe 100 through the air supply hose 320.

또한 본체(10)의 외측에서 그 근접부에는 세제 공급수단(400)이 구성된다.Further, detergent supply means 40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in its vicinity.

이때 세제 공급수단(400)은, 먼저 거품세제가 저장되는 세제탱크(4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거품세제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폭기시 거품이 발생되는것이면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detergent supply unit 400 includes a detergent tank 410 in which a foam detergent is first stored. In this case, the foam detergent to be applied may not be newly implemented but may be foamed during normal aeration.

그리고 세제 공급수단(400)에는, 세제 공급펌프(420)가 구성된 것으로, 세제 공급펌프(420)는 세제탱크(410)와 연결되어 그 세제탱크로부터 거품세제를 배출 및 세제 공급관(200)으로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detergent supply pump 420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tank 410 to discharge the bubble detergent from the detergent tank and supply the detergent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

그리고 세제 공급수단(400)에는, 세제 공급호스(430)가 포함된 것으로, 그 세제 공급호스(430)는 상기 본체(10) 또는 비데몸체(4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세제 공급관(20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10 or the bidet body 41, Respectively.

즉, 세제 공급수단(400)은, 세제 공급펌프(420)를 통해 세제탱크(410)로부터 거품에 필요한 거품세제를 배출 및 세제 공급호스(430)를 통해 세제 공급관(200)으로 공급하게 되며, 이에 공급되는 거품세제는 에어 공급관(100)으로 유입 및 에어와 함께 용변처리부(11)의 고인물로 토출되어 고인물과 혼합 및 거품을 발생시키게 구성된다.That is, the detergent supply unit 400 discharges the bubble detergent required for bubbles from the detergent tank 410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pump 420 and supplies the bubbles detergent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The bubble detergent supplied thereto is configu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ipe 100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as a high-temperature article of the toilet processing section 11 to generate mixing and foaming with the high-temperature article.

또한, 상기 에어 공급수단(300)과 세제 공급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5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작동스위치(50)는 수조(20) 또는 비데(40)의 조작부(42)에 구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ON/OFF 작동이 가능할 것이다.The operating switch 5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42 of the water tray 20 or the bidet 40. The operation switch 5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ing means 300 and the detergent supplying means 400. [ ), And ON / OFF operation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한편,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1)의 에어 공급수단(300)과 세제 공급수단(400)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의 적용 가능한 것으로,Meanwhi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air supply means 300 and the detergent supply means 400 of the toilet seat 1 having the inventive splash preventing function and the etiquette function,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 에어 공급호스(320)는, 에어 공급관(100)의 내부로 진입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진입 위치는 세제 공급관(200)이 연결되는 위치에 해당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그 에어 공급호스(320)가 진입된 에어 공급관(100)은 별도의 수밀부재(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마감함은 당연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air supply hose 320 can be configur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pipe 100, and its entry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s connected It is natural that the air supply pipe 100 into which the air supply hose 320 is inserted is closed through a separate watertight member (not shown).

또한 상기 세제 공급호스(430)는, 세제 공급관(200)의내부로 진입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진입 위치는 에어 공급관(100)과 연결되는 위치에 해당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그 세제 공급호스(430)가 진입된 세제 공급관(200)은 별도의 수밀부재(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마감함은 당연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may be configur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and its entry position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10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nto which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is inserted is closed through a separate watertight member (not shown).

한편, 상기 에어 공급관(100)에 위치된 에어 공급호스(320)의 선단에는 거품 증폭부재(5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Meanwhile, the foam amplifying member 500 is further included at the tip of the air supply hose 320 positioned in the air supply pipe 100.

이때 거품 증폭부재(500)는, 먼저 외관(510)이 구성된 것으로, 외관(510)은 그 선단(용변처리부측)이 개방되어 에어통로(511)를 이루게 구성되고, 후방에는 격벽(512)을 통해 중공된 분기공간(514)이 에어통로(511)와 구획되게 구성되며, 그 분기공간(514)에 에어 공급호스(320)가 연결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oam amplifying member 5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uter pipe 510 is first formed, and the outer pipe 510 is opened at its tip (on the side of the mouth treatment unit) to form the air passageway 511, The hollow branching space 514 is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with the air passage 511 and the air supply hose 320 is connected to the branching space 514. [

한편 상기 격벽(512)에는 다수의 에어통공(513)(513')이 관통 형성되어 외관(510)의 개방된 선단측과 분기공간(514)의 공기 소통이 가능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air holes 513 and 513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512 to allow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n end side of the outer tube 510 and the branch space 514.

또한 거품 증폭부재(500)에는, 상기 외관(510)의 중간부에는 내관(52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내관(520)은 격벽(512)으로부터 에어통로(511)의 내부로 연장되게 구성되며, 격벽(512)의 에어통공(513)(513')을 통해 분기공간(514)과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inner pipe 520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partition wall 512 to the inside of the air passage 511, And the air communicates with the branching space 514 through the air holes 513 and 513 'of the partition 512.

한편, 내관(52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외관(510) 보다는 작은 직경을 이루어 외관(510)의 내경과 내관(520)의 외경 사이가 이격되어 에어통로(511)로의 에어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구성되며, 그 내관(520)에는, 상기 세제 공급호스(430)의 선단이 연결되게 구성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tube 51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tube 5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ir flow to the air passage 511 is not disturbed And an inner end of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is connected to the inner pipe 520.

그리고 내관(520)에는, 그 둘레에 다수의 거품배출공(521)(521')이 타공되게 구성된다.A plurality of foam discharge holes 521 and 521 'are formed around the inner pipe 520.

또한 거품 증폭부재(500)에는, 상기 내관(520)의 내부에 무수한 공극을 이루는 스펀지(530)가 포함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am amplifying member 5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onge 530 forming innumerable voids in the inner pipe 520.

한편,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본 고안 좌변기(1)의 수조(20) 또는 비데(40)의 조작부(42)에는, 멜로디가 출력되는 에티켓모드(6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left-hand side lid 1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spla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tiquette function, the manipulation part 42 of the water tray 20 or the bidet 40 of the present- And an etiquette mode 600 for outputting the etiquette information.

이때 에티켓모드(60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수조(20)에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tiquette mode 600 is not limited and can be configured at various positions. The etiquette mode 600 can be configured in the water tank 20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에티켓모드(600)는, 도 4를 참조하여 비데(40)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The etiquette mode 600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the bidet 40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상기 에티켓모드(600)는, 도 8을 참조하여 먼저 전원공급부(61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전원공급부(61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전원을 통해 연결되거나, 비데(40)의 전원과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8, the power supply unit 6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610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power supply unit 61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610 via the power supply unit 610. In the etiquette mode 600, As shown in FIG.

또한 에티켓모드(600)에는, 멜로디 저장부(620)가 구성된 것으로, 멜로디 저장부(620)에는 순차적으로 출력 가능한 다양한 멜로디가 저장되어 있다.In the etiquette mode 600, a melody storage unit 620 is configured. Various melodies that can be sequentially output are stored in the melody storage unit 620. [

또한 에티켓모드(600)에는, 제어부(630)가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630)는 상기 멜로디 저장부(620)에 저장된 멜로디의 출력을 제어하게 구성된다.In the etiquette mode 600, a controller 630 is configured and the controller 630 controls the output of the melody stored in the melody storage 620.

또한 에티켓모드(600)에는, 스피커(640)가 구성된 것으로, 스피커(640)는, 제어부(630)의 제어에 의해 멜로디가 출력시 그 소리의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된다.In the etiquette mode 600, a speaker 640 is configured. The speaker 64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utputting the melody when the melody is out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30.

또한 에티켓모드(600)에는, 스위칭수단(650)이 구성된 것으로, 스위칭수단(650)은 에티켓모드(600)의 작동 개시하게 구성되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적용 가능하다.Also, in the etiquette mode 600, the switching means 650 is configured and the switching means 650 is configured to start operating the etiquette mode 600 and is applicab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이때 스위칭수단(650)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에티켓모드(600) 자체에 구성되는 스위치(651)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스위치(651)의 작동시 제어부(630)로 신호가 전송 및 제어부(630)에서는 멜로디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witching means 650 may be constituted by a switch 651 constituted in the etiquette mode 600 itself as shown in FIG. 9. In this case, when the switch 651 is operate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30 The transmission and control unit 630 can output the melody.

또한 스위칭수단(650)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좌판(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652)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사용자가 좌판(12)에 앉을시 그 하중이 감지되어 제어부(630)로 전송 및 제어부(630)의 제어에 의해 멜로디의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된다.10, the switching means 650 can be configured as a load sensing sensor 65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2 for sensing the load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load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30 and the melody can be output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30. [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and having the escape prevention function and the etiquette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1)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용변이 좌변기의 용변처리부(11)에 고여있는 물과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물 튀김을 방지하게 된다.First, the left-hand side lid 1 having the inventive splash-proof and etiquette function prevents the water from being splashed when the user collides with the water in the left-hand side hand-held treatment unit 11 in the process of seeing the user.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먼저, 용변을 수행함에 앞서 작동스위치(50)를 "ON" 시키게 되면, 에어 공급수단(300) 및 세제 공급수단(400)이 작동되게 되는 것인바, 이에, 먼저 에어 공급수단(300)은, 에어펌프(310)를 통해 에어의 생성 및 에어 공급호스(320)를 통해 에어 공급관(100)으로 에어를 공급 및 공급된 에어는 용변처리부(11)의 고인물로 토출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to FIG. 6, when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before the toilet is operated as shown in FIG. 11, the air supply means 300 and the detergent supply means 400 are opened, The air supply means 300 first supplies the air to the air supply pipe 100 through the air pump 310 and the air supply hose 320, Is discharged to the toilet bowl 11 as a high-residue.

또한 세제 공급수단(400)은, 세제 공급펌프(420)를 통해 세제탱크(410)로부터 거품세제를 배출 및 세제 공급호스(430)를 통헤 세제 공급관(200)으로 거품세제를 공급하게 되며, 이에 세제 공급관(200)으로 공급되는 거품세제는 에어 공급관(100)으로 유입 및 에어와 혼합되어 고인물로 배출되게 된다.The detergent supply unit 400 discharges the bubble detergent from the detergent tank 410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pump 420 and supplies the bubble detergent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The bubble detergent supplied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flows into the air supply pipe 100 and is mixed with the air and discharged as a high-quality product.

즉, 상기와 같이 세제가 포함되어 토출되는 에어는 평면상 용변처리부(11)의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서 토출되게 되는 것인바, 고인물에 대하여 와류를 생성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폭기 작용에 의해 고인물에 거품세제가 혼합되어 거품을 발생시키게 된다.That is, the air containing the detergent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at an eccentrically locat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flat surface treatment unit 11, thereby generating a vortex with respect to the high tide. At the same time, The foam detergent is mixed to generate foam.

이에, 발생되는 거품은 고인물의 상부로 떠오르게 되는 것인바, 용변이 고인물에 닿을시 와류에 의해 빠르게 고인물에 흡수되게 되며, 특히 거품에 의해 물 튀김이 방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물 튀김의 방지는 좌변기 주변의 오염이나 용변주 사용자의 신체 보호가 가능하게 되는 등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bubbles generated are floa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igh tide, and when the touched the high tide, the voices are quickly absorbed by the vortex, and in particular, the bubble prevents the water from being splashed.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sanita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에어 공급수단(300)과 세제 공급수단(4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여 도 12의 도시와 같이 거품 증폭부재(500)를 더 포함시에는, 그 거품 증폭부재(500)는, 에어 공급호스(32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가 분기공간(514)에 유입 및 다시 에어통공(513)(513')을 통해 외관(510)의 에어통로(511) 및 내관(52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7, when the foam amplifying member 500 is further included as shown in FIG. 12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supplying means 300 and the detergent supplying means 400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amplifying member 5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hose 320 flows into the branching space 514 and then through the air passage 511 and the air passage 511 of the outer tube 510 through the air passage 513 and 513 ' And then flows into the inner pipe 520.

이에, 에어통로(511)로 유입된 에어는 에어 공급관(100)을 통해 고인물로 토출되고, 내관(520)으로 유입되는 에어는 스펀지(530)에 에어를 공급하여 세제 공급호스(430)로부터 공급되는 거품세제가 스펀지(530)의 공극을 통해 무수한 거품을 생성되게 하며, 그 생성된 거품을 거품배출공(521)(521')을 통해 외관(510)의 에어통로(511)로 배출 및 에어와 함께 고인물로 배출되게 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passage 511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pipe 520 is supplied to the sponge 530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And the generated foam is discharged to the air passage 511 of the outer tube 510 through the foam discharge holes 521 and 521 'and discharged into the air passage 511 through the foam discharge holes 521 and 521' And is discharged as a debris.

즉, 거품 증폭부재(500)를 형성하게 되면, 그 거품 증폭부재(500)를 통해 미리 무수한 거품이 발생되는 한편, 고인물에서 또 다시 거품세제와 혼합된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단시간에 용변처리부(11)에 거품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oam amplifying member 500 is formed, a large number of bubbles are generated in advance through the foam amplifying member 500, while bubbles mixed with the foam detergent are generated again in the deep foam, It is possible to generate bubbles in the processing section 11.

한편,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1)에는, 도 8 내지 도 10의 도시와 같이 에티켓모드(60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에티켓모드(600)는, 사용자 특히 여성 사용자로 하여금 용변시 작동시키게 되면, 용변중 멜로디가 출력되게 되는 것인바, 그 멜로디가 용변소리를 차단시켜 용변소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여성 사용자로 하여금 용변소리로 인한 수치심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8 to 10, the etiquette mode 600 is a mode in which a user, in particular a female user (not shown) The melody is output during the use of the toilet, so that the melody can prevent the outside of the toilet sound by preventing the use of the toilet sound, thereby allowing the female user to prevent the shame caused by the toilet sound .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는, 용변시 그 용변이 고인물에 닿는 순간 발생되는 물 튀김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좌변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용변시 멜로디의 출력으로 용변소리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eft-hand sid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splash of water and the etiquette function can prevent the water splashing occurring when the left-handed person touches the watery object, so that the sanitary toilet seat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toilet sound.

10 : 본체 11 : 용변처리부
12 : 좌판
100 : 에어 공급관 200 : 세제 공급관
300 : 에어 공급수단 310 : 에어펌프
320 : 에어 공급호스
400 : 세제 공급수단 410 : 세제탱크
420 : 세제 공급펌프 430 : 세제 공급호스
500 : 거품 증폭부재 510 : 외관
511 : 에어통로 512 : 격벽
513,513' : 에어통공 514 : 분기공간
520 : 내관 521,521' : 거품배출공
530 : 스펀지
600 : 에티켓모드 610 : 전원공급부
620 : 멜로디 저장부 630 : 제어부
640 : 스피커 650 : 스위칭수단
651 : 스위치 652 : 하중감지센서
10: main body 11:
12: Seat
100: air supply pipe 200: detergent supply pipe
300: air supply means 310: air pump
320: Air supply hose
400: Detergent supply means 410: Detergent tank
420: Detergent supply pump 430: Detergent supply hose
500: foam amplifying member 510: appearance
511: Air passage 512:
513,513 ': air passage 514: branching space
520: Inner pipe 521,521 ': Foam discharge hole
530: Sponge
600: etiquette mode 610: power supply
620: Melody storage unit 630:
640: speaker 650: switching means
651: Switch 652: Load sensor

Claims (7)

상부로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높이로 물이 고여있으며 좌판(12)이 덮어지는 용변처리부(11)를 갖는 본체(10)와, 본체(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용변처리부(11) 세척에 필요한 물이 충전되는 수조(20)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용변처리부(11)의 고인물 중간부에 에어를 공급하되, 용변처리부(11)에 위치되는 선단이 용변처리부(11)의 평면상 일측으로 편심되게 구성되는 에어 공급관(100);
선단이 에어 공급관(100)의 중간부와 연결되고, 후단이 외부와 연통되는 세제 공급관(200);
본체(10)의 근접부에 형성되며, 에어 공급관(100)과 연결되어 에어 공급관(100)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고인물에 와류를 생성시키는 에어 공급수단(300); 및
본체(10)의 근접부에 형성되며, 세제 공급관(200)과 연결되어 거품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에어 공급수단(300) 및 세제 공급수단(400)은 작동스위치(50)에 의해 동시 작동 가능하며, 에어 공급수단(300)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세제 공급수단(400)을 통해 공급되는 거품세제가 혼합되어 용변처리부(11)의 고인물에 와류를 형성 및 거품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
A main body 1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of water inside and having a use portion 11 covered with the seat 12; In the left-hand side having the water tank (20) filled with water,
An air supply pipe (100) for supplying air to a middle portion of a high-potted portion of the container (11), the tip of which is located in the container (11) is eccentrically arranged on one side of the plane of the container (11);
A detergent supply pipe 200 whose tip is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100 and whose rear end is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An air supply means 300 formed at a proximal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100 to supply air to the air supply pipe 100 to generate a vortex in the high tide; And
And a detergent supply unit (400) formed at a proximal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to supply the bubble detergent,
The air supply means 300 and the detergent supply means 400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by the operation switch 50 and can be operated by the bubble detergent supplied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means 400 to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means 300 Wherein the vortex treatment section (11) is configured such that a vortex is formed and a bubble is formed in the high tide of the toilet treatment section (11).
제 1항에 있어서,
에어 공급관(100)은,
측면상 용변처리부(11)의 고인물 중간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본체(10)를 관통하여 구성하고,
세제 공급관(200)은, 에어 공급관(100)과 외부가 연통되게 본체(10)를 관통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pipe (100)
The body 10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body 10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ody of the side treatment tool 1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Wherein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에 설치되는 비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에어 공급관(100)을, 그 선단이 용변처리부(11)의 고인물에 위치되고, 후단이 비데몸체(4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고,
세제 공급관(200)을, 그 선단이 에어 공급관(100)에 연결되고, 후단이 비데몸체(4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idet (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air supply pipe 100 is configured such that its tip is located on the tall object of the use processing unit 11 and its rea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idet body 41,
Wherein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is connected at its tip to the air supply pipe (100) and the rea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bidet body (41).
제 1항에 있어서,
에어 공급수단(300)은,
에어의 발생 및 공급이 가능한 에어펌프(310); 및
에어펌프(310)와 에어 공급관(100)을 연결하는 에어 공급호스(32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세제 공급수단(400)은,
거품세제가 저장되는 세제탱크(410);
세제탱크(410)로부터 거품세제를 배출 및 세제 공급관(200)으로 공급하는 세제 공급펌프(420);
세제 공급펌프(420)와 세제 공급관(200)을 연결하는 세제 공급호스(4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means (300)
An air pump 310 capable of generating and supplying air; And
And an air supply hose 320 connecting the air pump 310 and the air supply pipe 100,
The detergent supply means (400)
A detergent tank 410 in which the foam detergent is stored;
A detergent supply pump 420 for discharging the bubble detergent from the detergent tank 410 and supplying the bubble detergent to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And a detergent supply hose (430) connecting the detergent supply pump (420) and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제 4항에 있어서,
에어 공급호스(320)는, 에어 공급관(100)의 내부로 진입되게 구성하고,
세제 공급호스(430)는, 세제 공급관(200)의 내부로 진입되게 구성하며,
에어 공급관(100) 내부로 진입된 에어 공급호스(320)의 단부에는 거품 증폭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거품 증폭부재(500)는,
선단이 개방된 에어통로(511)를 이루고, 후방에는 다수의 에어통공(513)(513')을 갖는 격벽(512)을 통해 분기공간(514)이 구획되며, 분기공간(514)에는 에어 공급호스(320)가 연결되는 외관(510);
외관(510)의 내부 중간부에서 격벽(512)으로부터 연장 및 에어통공(513)(513')을 통해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거품배출공(521)(521')이 형성되며, 상기 세제 공급호스(430)가 연결되는 내관(520); 및
내관(520)의 내부에 충전되는 스펀지(5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supply hose 320 is configur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pipe 100,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is configur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detergent supply pipe 200,
The air supply hose 320, which has entered the air supply pipe 100, further includes a foam amplifying member 500,
The foam amplifying member (500)
A branch space 514 is defined through a partition wall 512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513 and 513 'at the rear and an air supply An outer tube 510 to which the hose 320 is connected;
A plurality of foam discharge holes 521 and 521 'are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tube 510 so as to extend from the partition wall 512 and communicate air through the air holes 513 and 513' An inner pipe 520 to which the detergent supply hose 430 is connected; And
And a sponge (530) filled in the inner pipe (520).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조(20) 또는 비데(40)에는, 멜로디가 출력되는 에티켓모드(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에티켓모드(600)는,
전원을 부여하는 전원공급부(610);
멜로디가 저장되는 멜로디 저장부(620);
멜로디 저장부(620)에 저장된 멜리디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630);
멜로디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640); 및
멜로디의 출력을 작동하는 스위칭수단(6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water tank (20) or the bidet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tiquette mode (600) in which a melody is output,
In the etiquette mode 600,
A power supply unit 610 for supplying power;
A melody storage unit 620 storing the melody;
A control unit 630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elody stored in the melody storage unit 620;
A speaker 640 for outputting a melody sound; And
And a switching means (650) for operating the output of the melody.
제 6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650)은,
사용자가 입력 가능한 스위치(651) 또는 좌판(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시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감지센서(652)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튀김 방지 및 에티켓 기능을 갖는 좌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witching means (650)
And a load sensing sensor (652)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12) for sensing a load when the user sits down. .
KR2020160005922U 2016-10-13 2016-10-13 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KR2004818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22U KR200481806Y1 (en) 2016-10-13 2016-10-13 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922U KR200481806Y1 (en) 2016-10-13 2016-10-13 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06Y1 true KR200481806Y1 (en) 2016-11-11

Family

ID=5748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922U KR200481806Y1 (en) 2016-10-13 2016-10-13 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06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73Y1 (en) * 2017-05-04 2018-03-30 김동용 Water splash prevention device using foam for toilet
KR200487235Y1 (en) * 2017-10-27 2018-08-27 박민규 splash of urine preventing device for toilet bowl
KR102210506B1 (en) * 2020-06-05 2021-02-03 주식회사 크리셈 Toilet Drainag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80U (en) * 1992-07-15 1994-02-18 株式会社アイドゥ Flush toilet
JPH11343654A (en) * 1998-06-01 1999-12-14 Giichi Shirai Instantaneous bubble sealed stool
KR20000002421U (en) * 1998-07-06 2000-02-07 이세엽 Foaming device for toilet bowl
KR20120129859A (en) 2012-11-09 2012-11-28 김진형 Toilet bow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80U (en) * 1992-07-15 1994-02-18 株式会社アイドゥ Flush toilet
JPH11343654A (en) * 1998-06-01 1999-12-14 Giichi Shirai Instantaneous bubble sealed stool
KR20000002421U (en) * 1998-07-06 2000-02-07 이세엽 Foaming device for toilet bowl
KR20120129859A (en) 2012-11-09 2012-11-28 김진형 Toilet bow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73Y1 (en) * 2017-05-04 2018-03-30 김동용 Water splash prevention device using foam for toilet
KR200487235Y1 (en) * 2017-10-27 2018-08-27 박민규 splash of urine preventing device for toilet bowl
KR102210506B1 (en) * 2020-06-05 2021-02-03 주식회사 크리셈 Toilet Drainag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806Y1 (en) the toilet having a water splash prevention and Etiquette function
JP3133215U (en) Sanitary ware with foam cleaning device
US10415222B2 (en) Hygienic toilet with washing and drying means
JP2007314975A (en) Western-style toilet bowl equipment
KR20210020948A (en) Toilet with bidet shower
JP2004092278A (en) Flush toilet bowl
JP2011252311A (en) Toilet bowl washing system
KR200486073Y1 (en) Water splash prevention device using foam for toilet
KR200414378Y1 (en) Toilet seat cover
JP2007314973A (en) Western style toilet bowl device
JP2003253727A (en) Deodorizer and flush stool with the same
KR101088997B1 (en) Air bubble feeder for toilet stool
KR101910528B1 (en) Water saving toilet bowl
JP2000179030A (en) Method for preventing splash of seal water of flash toilet
JP2011208416A (en) Flush toilet bowl
JP2007308913A (en) Flush toilet bowl
JPH1054068A (en) Preventing method of splash at time of evacuation of water stored in stool for western style flush toilet
CN107923171B (en)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KR100822893B1 (en) Bidet for male
CN217811413U (en) Intelligent closestool and cleaning system thereof
KR20190110217A (en) Bidet apparatus to prevent water splashing mounted on the toilet seat
JP2000107088A (en) Toilet stool with urination auxiliary tool
JP2001061705A (en) Simple toilet bowl with limited part hot water washing device
KR102480617B1 (en) Urine scattering prevention device
JP2005299147A (en) Lavat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