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84Y1 -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 Google Patents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584Y1
KR200481584Y1 KR2020140003030U KR20140003030U KR200481584Y1 KR 200481584 Y1 KR200481584 Y1 KR 200481584Y1 KR 2020140003030 U KR2020140003030 U KR 2020140003030U KR 20140003030 U KR20140003030 U KR 20140003030U KR 200481584 Y1 KR200481584 Y1 KR 200481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embership
prepaid
gift
membership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884U (ko
Inventor
최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선불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선불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선불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3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8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06Q20/3574Multiple applications on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18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magne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Abstract

본 고안은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하나의 기프트 카드에 구성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어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며, 매장 내 가판대에서 기프트 카드를 구매한 후 기프트 카드에 구성된 절취부를 따라 걸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를 분리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는,
장방형 형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100)와;
상기 카드후크부의 하측에 형성되되, 멤버쉽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코드, 마그네틱, 큐알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회원인증수단형성영역(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멤버쉽카드부(200)와;
상기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1절취부(3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선불 카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크래치면, 바코드, 마그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수단형성영역(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불카드부(4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 사이에 형성되어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를 분리하기 위한 제2절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통해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하나의 기프트 카드에 구성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gift card with membership card and prepaid card.}
본 고안은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하나의 기프트 카드에 구성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어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며, 매장 내 가판대에서 기프트 카드를 구매한 후 기프트 카드에 구성된 절취부를 따라 걸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를 분리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
선불 카드(Prepaid Card)는 전화카드 이외에도 인터넷 게임 카드, 상품권, 컴퓨터 및 단말기를 이용한 영수증 선불카드 등과 같이 일정한 재화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일정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어 왔다.
상기 선불카드는 플라스틱 및 종이 재질의 카드에 식별번호가 인쇄된 타입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불카드는 카드가 유통 중에 부러지거나 손상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조시 특수한 강도 처리를 한다.
선불카드는 이용하고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아이템 및 유료 컨텐츠를 구매시 결제시 구입한 선불카드사를 선택하고 선불카드에 인쇄된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며, 이러한 선불카드는 문구점, 서점, 편의점 및 PC방 등에서 주로 판매한다.
한편, 멤버쉽카드의 경우에는 특정 업체에서 지속적인 고객 충성도를 취득하기 위하여 고객들에게 포인트를 적립해주기 위하여 발급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들은 포인트 적립을 위하여 다량의 멤버쉽카드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게 된다.
그런데, 해당 고객이 선불카드를 구매하게 된다면 소지해야할 카드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선불카드와 멤버쉽카드를 하나로 통합한 기프트 카드의 필요성이 존재하게 되었다.
없음.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하나의 기프트 카드에 구성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어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며, 매장 내 가판대에서 기프트 카드를 구매한 후 기프트 카드에 구성된 절취부를 따라 걸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를 분리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를 구성하여 기프트 카드를 3등분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프트카드관리앱을 통해 멤버쉽카드의 회원 인증과 선불카드의 활성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프트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는,
장방형 형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100)와;
상기 카드후크부의 하측에 형성되되, 멤버쉽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코드, 마그네틱, 큐알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회원인증수단형성영역(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멤버쉽카드부(200)와;
상기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1절취부(3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선불 카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크래치면, 바코드, 마그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수단형성영역(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불카드부(4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 사이에 형성되어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를 분리하기 위한 제2절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는,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하나의 기프트 카드에 구성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어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매장 내 가판대에서 기프트 카드를 구매한 후 기프트 카드에 구성된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를 통해 기프트 카드를 3등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드후크부를 분리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소지할 수 있는 효과와 다시 멤버쉽카드와 선불카드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프트카드관리앱을 통해 멤버쉽카드의 회원 인증과 선불카드의 활성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프트카드를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에서 포스단말기 이외에 스마트폰을 통해 손쉽게 회원 인증 및 선불카드 활성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선불카드와 멤버쉽카드를 하나의 카드 안에 구성하여 별도로 멤버쉽에 가입할 필요없이 멤버쉽카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보호케이스가 구성된 선불카드의 후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는,
장방형 형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100)와;
상기 카드후크부의 하측에 형성되되, 멤버쉽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코드, 마그네틱, 큐알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회원인증수단형성영역(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멤버쉽카드부(200)와;
상기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1절취부(3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선불 카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크래치면, 바코드, 마그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수단형성영역(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불카드부(4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 사이에 형성되어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를 분리하기 위한 제2절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보호케이스가 구성된 선불카드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는,
장방형 형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100)와;
상기 카드후크부의 하측에 형성되되, 멤버쉽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코드, 마그네틱, 큐알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회원인증수단형성영역(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멤버쉽카드부(200)와;
상기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1절취부(3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선불 카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크래치면, 바코드, 마그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수단형성영역(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불카드부(4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 사이에 형성되어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를 분리하기 위한 제2절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걸이홈(110)은 장방형 형상의 상부에 형성되게 되며, 각종 건축물에 형성된 걸이부재에 걸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기프트 카드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선불카드로만 이루어져 있어 해당 기능 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상의 확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멤버쉽카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기프트 카드의 전면부에는 각종 광고 이미지 등을 인쇄하게 되며, 카드의 후면부에 회원인증수단형성영역(210)과 활성화수단형성영역(410)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프트 카드는 크게 3가지 영역으로 분리된다.
즉, 카드후크부(100)와, 멤버쉽카드부(200) 및 선불카드부(400)로 구성되는데, 사이 사이에 절취부를 구성하여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멤버쉽카드부(200)는 카드후크부의 하측에 형성되되, 멤버쉽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코드, 마그네틱, 큐알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회원인증수단형성영역(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인증 과정을 거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바코드, 마그네틱, 큐알 코드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두가지 이상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바코드를 리딩시키게 될 것이고 만약 리딩이 불가능하게 되면, 마그네틱을 긁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절취부(300)는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불카드부(400)는 멤버쉽카드부(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선불 카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크래치면, 바코드, 마그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수단형성영역(41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특징적인 것은 스크래치면이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선불카드의 경우에는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크래치면을 긁어서 보이는 문자나 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래치면으로 안에 적혀 있는 문자나 번호의 오픈을 제거하는 것이다.
만약, 바코드와 스크래치면을 동시에 구성한다면 바코드를 리딩시키게 되는데, 만약 리딩이 불가능하다면, 상기 스크래치면 내부에 적혀있는 문자나 번호를 직접 수기로 입력하면 해당 선불카드가 활성화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절취부(500)는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 사이에 형성되어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를 분리하게 된다.
즉,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에 의해 기프트 카드가 3 등분되는 것이며, 절취절를 통해 쉽게 재낄 수 있으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 예를 들자면, 고객이 매장에 진열된 기프트 카드를 구매하게 되면, 매장 직원이 바코드리더기로 선불카드의 바코드를 리딩하게 되는데, 리딩이 안 된다면, 마그네틱을 포스단말기에 긁게 된다.
이를 통해 선불카드를 활성화시키게 되며, 멤버쉽 회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멤버쉽카드부에 형성된 바코드 혹은 마그네틱을 리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키프트 카드의 전면 상부 모서리에는 금액표시부를 형성시키게 되며, 해당 기프트 카드의 금액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마켓쉐어에 본 고안의 기프트 카드를 관리하기 위한 기프트카드관리앱을 등록하게 되면, 해당 기프트카드관리앱을 스마트폰에서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프트카드관리앱을 통해 멤버쉽카드의 회원 인증과 선불카드의 활성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하나의 기프트 카드에 구성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어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매장 내 가판대에서 기프트 카드를 구매한 후 기프트 카드에 구성된 제1절취부와 제2절취부를 통해 기프트 카드를 3등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드후크부를 분리하여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를 소지할 수 있는 효과와 다시 멤버쉽카드와 선불카드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카드후크부
200 : 멤버쉽카드부
300 : 제1절취부
400 : 선불카드부
500 : 제2절취부

Claims (3)

  1. 기프트 카드에 있어서,
    장방형 형상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이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드후크부(100)와;
    상기 카드후크부의 하측에 형성되되, 멤버쉽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코드, 마그네틱, 큐알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회원인증수단형성영역(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멤버쉽카드부(200)와;
    상기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카드후크부와 멤버쉽카드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1절취부(3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선불 카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크래치면, 바코드, 마그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화수단형성영역(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불카드부(400)와;
    상기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 사이에 형성되어 멤버쉽카드부(200)와 선불카드부(400)를 분리하기 위한 제2절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절취부(300)와 제2절취부(500)에 의해,
    기프트 카드를 3등분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마트폰에 탑재된 기프트카드관리앱을 통해 멤버쉽카드의 회원 인증과 선불카드의 활성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선불카드와 멤버쉽카드를 하나의 카드 안에 구성하여 별도로 멤버쉽에 가입할 필요없이 멤버쉽카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2. 삭제
  3. 삭제
KR2020140003030U 2014-04-15 2014-04-15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KR200481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030U KR200481584Y1 (ko) 2014-04-15 2014-04-15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030U KR200481584Y1 (ko) 2014-04-15 2014-04-15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84U KR20150003884U (ko) 2015-10-23
KR200481584Y1 true KR200481584Y1 (ko) 2016-10-19

Family

ID=5443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030U KR200481584Y1 (ko) 2014-04-15 2014-04-15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8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73Y1 (ko) 2001-11-07 2002-01-23 김정철 다중분할 이용이 가능한 마일리지 카드
US20060006225A1 (en) 2004-05-07 2006-01-12 Goade Ron E Sr Secure card package for transaction cards and method of activating the same
KR200469250Y1 (ko) 2012-06-01 2013-10-01 (주)해피닷컴 마그네틱 보호케이스가 구성된 선불카드
US20130299594A1 (en) 2012-05-11 2013-11-14 Michael Joseph Anzalone Card having structure for detaching and attaching to another c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73Y1 (ko) 2001-11-07 2002-01-23 김정철 다중분할 이용이 가능한 마일리지 카드
US20060006225A1 (en) 2004-05-07 2006-01-12 Goade Ron E Sr Secure card package for transaction cards and method of activating the same
US20130299594A1 (en) 2012-05-11 2013-11-14 Michael Joseph Anzalone Card having structure for detaching and attaching to another card
KR200469250Y1 (ko) 2012-06-01 2013-10-01 (주)해피닷컴 마그네틱 보호케이스가 구성된 선불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84U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4455B2 (en) Mobile device payment
US11074566B2 (en) Point of sale terminal
CN104504596B (zh) 一种自助付款方法及装置
NL2015477B1 (nl) Werkwijze, elektronisch transactieopdrachtsysteem, kassasysteem, transactieserver alsmede een computer programma product voor het uitvoeren van een elektronische transactieopdracht.
WO2007014189A3 (en) Payment program for use in point-of-sale transactions
CN104050573A (zh) 基于二维码能绑定购买信息的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CN109598533A (zh) 交易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6663218A (zh) 具有钥匙卡功能和储值卡功能的双功能卡
JP2012208770A (ja) レシートデータ処理装置及びレシートデータ処理方法
JP5913235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81584Y1 (ko) 멤버쉽 카드와 선불카드가 구성된 기프트 카드
US20180165680A1 (en) Processing electronic payments on a mobile computer device
US20150262142A1 (en) Settlement processing system
WO2019096201A1 (zh) 一种基于有源标签与无源标签的无人售货方法和设备
CN108171508A (zh) 一种人工智能超市结帐微信排队支付系统和方法
JP5685100B2 (ja) 電子棚札端末
JP6034274B2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およびオペレータ用表示部
JP6110275B2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およびクーポン表示装置
KR200469250Y1 (ko) 마그네틱 보호케이스가 구성된 선불카드
JP6228652B2 (ja) 販売登録処理装置
JP2017073049A (ja) バーコードを印刷したクーポン券
JP6422098B2 (ja) 広告システム
TW201516900A (zh) 電子辨識碼交易裝置及其交易方法
CN204044941U (zh) 信息显示处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
Zambonini et al. Mobile payment innovation in the Arabian Gu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2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907

Effective date: 201609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