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32Y1 - 봉합사 - Google Patents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532Y1
KR200481532Y1 KR2020150002873U KR20150002873U KR200481532Y1 KR 200481532 Y1 KR200481532 Y1 KR 200481532Y1 KR 2020150002873 U KR2020150002873 U KR 2020150002873U KR 20150002873 U KR20150002873 U KR 20150002873U KR 200481532 Y1 KR200481532 Y1 KR 200481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ole
soft tissue
suture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완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알씨코리아
Priority to KR2020150002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85Sutures hollow or tub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해 매듭실이 관통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완력에 의해 원통형의 밴드가 다수의 'Ω'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부에 의해 연조직을 움켜쥘 수 있어 밴드와 연조직 간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고정력이 상승하고, 관통부의 형성 위치를 밴드의 끝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매듭실을 통해 시술자의 완력이 가해질 시에 연조직에 고정되는 밴드의 양끝단이 들려져 상기 연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합사{Suture}
본 고안은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해 매듭실이 관통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완력에 의해 원통형의 밴드가 다수의 'Ω'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부에 의해 연조직을 움켜쥘 수 있어 밴드와 연조직 간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고정력이 상승하고, 관통부의 형성 위치를 밴드의 끝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매듭실을 통해 시술자의 완력이 가해질 시에 연조직에 고정되는 밴드의 양끝단이 들려져 상기 연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봉합사 앵커와 함께 사람의 신체 내의 연조직(soft tissues: 힘줄, 인대 및 근육)과 뼈에 탈리(脫離) 현상이 발생시 그 뼈에 연조직을 부착하기 위한 수술도구를 의미하며, 간략히 그 수술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 앵커(20)를 삽입하기 위해 뼈(B)에 구멍(B1)을 형성하고, 봉합사(10)를 통해 연조직(S/T)을 묶어 고정하여 그 형성된 뼈의 구멍에 봉합사를 고정하는 순서를 통해 수술이 완료된다.
이러한 봉합사(10)의 구성은 1mm 미만의 두께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조직에 관통삽입되는 매듭실(13)과 상기 매듭실에 관통삽입되는 밴드(11)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봉합사는 시술자가 연조직과 뼈를 고정(매듭을 형성)할 때 두께가 얇은 매듭실로 인해 연조직에 손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비교적 연조직과 접촉면적이 넓고, 그 지름 폭이 크지 않은 원통 형상의 밴드라는 구성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봉합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듭실보다 지름 폭이 더 큰 밴드의 끝단이 연조직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가 많아 연조직 자체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술자가 봉합사를 연조직과 묶어 고정하는 과정에서 시술자의 완력에 의해 밴드의 끝단이 연조직 내부로 인입되어 고정되는 경우가 많아 그 연조직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봉합사는 연조직과 밴드 간의 접촉면적이 좁아 안정적인 고정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불안요소가 존재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3100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시술자가 봉합사를 사용하여 연조직과 묶어 고정하는 과정에서 밴드의 끝단이 연조직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여 시술시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조직과 밴드 간의 접촉면적을 넓혀 봉합사를 연조직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는 판 형상의 원단소재 양 끝단이 서로 겹쳐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접착된 마감부가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에 서로 이웃하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다수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밴드에 서로 이웃하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다수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서로 마주보지 않게 구비되는 제2관통공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둘 이상의 와이어를 트위스터 방식으로 꼬아 형성하며, 서로 꼬인 복수의 상기 와이어가 풀리지 않게 접착되도록 코팅제에 의해 코팅 처리된 매듭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마감부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매듭실이 상기 밴드를 가압시에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의 형상변화를 방지하고, 상기 매듭실은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중공부 내부를 지나 상기 제2관통공 또는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순서로 상기 밴드에 반복삽입되어 연조직에 시술시에 상기 밴드가 상기 매듭실의 단 한번 가압에 의해 상기 연조직을 복수로 움켜쥐게 다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밴드가 웨이브 형상을 갖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밴드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해 매듭실이 관통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완력에 의해 원통형의 밴드가 다수의 'Ω'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부에 의해 연조직을 움켜쥘 수 있어 밴드와 연조직 간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고정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관통부의 형성 위치를 밴드의 끝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매듭실을 통해 시술자의 완력이 가해질 시에 연조직에 고정되는 밴드의 양끝단이 들려져 상기 연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봉합사 시술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종래의 봉합사와 연조직 간의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에 웨이브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의 원단소재 및 그 원단소재를 통해 형성된 밴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의 매듭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100)는 크게 밴드(110), 관통부(120) 및 매듭실(130)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밴드(110)는 도 3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의 완력에 의한 매듭실(130) 당김에 의해 밴드(110)가 다수의 'Ω'자 형상의 홈부(111)가 형성되도록 전체적으로 웨이브 형상을 갖게 변형되어 연조직과의 접촉면적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감부(115)를 포함한다. 이때 밴드(110)는 인체 내부에서의 시술이 용이하도록 무수한 기공(C1)이 형성된 판 형상의 원단소재를 내부에 매듭실(130)이 관통되는 중공부(113)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말은 형상을 일 예로 설명하는 것에 유의한다.
여기서, 마감부(115)는 마감부(115)는 밴드(110) 일측 즉, 판 형상의 원단소재(C)가 원통형을 갖도록 말아질 시에 상기 원단소재 끝단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형성되며, 겹쳐지는 길이 폭은 약 1~2.5mm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마감부(115)는 코팅제에 의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며, 코팅제 역시 인체에 무해한 천연코팅제 또는 비스페놀 계통의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마감부(115)는 코팅제를 통해 상기 마감부(115)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하여 후술하는 관통부(120)를 형성시에 용이하도록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원단소재(C)는 끝단이 서로 겹쳐지게 말아져 하나의 마감부(115)가 형성하는 밴드(110)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두 개의 마감부(115)가 하나의 밴드(110)에 형성되도록 두 개의 원단소재(C)를 원통 형상으로 말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밴드(110)에 형성된 두 개의 마감부(115)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마감부(115)에 제1관통공(121)이나 제2관통공(12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및 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관통부(120)는 원통 형상의 밴드(110)에 관통삽입되어 시술자의 완력에 의해 원통형의 상기 밴드(110)가 전체적으로 웨이브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관통공(121) 및 제2관통공(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관통공(121)은 소정의 지름을 갖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밴드(110) 외면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 천공형성된다.
또한 제2관통공(123)은 소정의 지름을 갖도록 밴드(110)에 형성된 제1관통공(121)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밴드(110)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다수 천공형성된다. 이때 제2관통공(123)의 지름 폭 중앙부는 일 예로, 제1관통공(121)과 함께 밴드(110)에 관통삽입되는 매듭실(130)이 상하방향으로 물결형상을 이루도록 제1관통공(121)의 지름 폭 중앙부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치하지 않게 밴드(110)에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관통부(120)는 마감부(115)에 천공형성되어 시술자에 의한 매듭실(130)의 가압 등에 의해 상기 관통부(120)의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관통부(120)는 시술자에 의한 매듭실(130)을 가압시에 밴드(110) 양측이 연조직(S/T)에 파고들어가지 못하도록 상기 밴드(110) 양측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밴드(110)가 연조직에 고정시에 상기 밴드(110)의 양끝단이 들려져 연조직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9 참조)
그리고, 상기 매듭실(1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밴드(110) 및 상기 밴드(110)에 천공형성된 관통부(120)에 각각 관통삽입되어 시술자에 의해 연조직을 감싸도록 매듭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매듭실(13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와이어(W)를 트위스터 방식으로 꼬아 하나의 매듭실(13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서로 꼬인 와이어(W)가 서로 풀리지 않도록 코팅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도록 코팅 처리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매듭실(130)은 밴드(110)에 다수 천공형성된 각각의 제1관통공(121) 및 제2관통공(123)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관통삽입되어 시술자에 의한 완력에 의해 원통 형상의 밴드(110)가 다발적으로 연조직의 여러 부분을 'Ω'자 형태로 움켜쥐듯 잡을 수 있도록 다수의 홈부(111)가 형성된 웨이브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직방향으로 지름 폭 중앙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게 각각 밴드(110)에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121)과 제2관통공(123)에 매듭실(130)이 지그재그로 삽입되도록 하여, 시술자가 연조직(S/T)에 밴드(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완력을 가할 시에 상기 밴드(110)가 웨이브 형상을 이루어 연조직(S/T)의 다발적으로 움켜쥐듯 고정되며, 이러한 웨이브 형상에 의해 밴드(110)와 연조직 간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매듭실(130)은 관통부(120)에 관통삽입되는 매듭실(130) 이외에 밴드(110)의 중공부(113)를 통해서만 관통삽입되는 보조매듭실(131)이 더 구비되어 연조직(S/T)에 매듭되도록 함으로써, 밴드(110)와 연조직 간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때 보조매듭실(131)은 상술한 매듭실(130)과 동일하게 관통부(120)에 관통되도록 밴드(110)에 삽입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의 밴드(110) 일측에서 중공부(113)을 통해 상기 밴드(110)의 타측 방향으로 관통삽입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밴드(110)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121)과 제2관통공(123)을 통해 매듭실(130)이 관통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의 완력에 의해 원통형의 밴드(110)가 다수의 'Ω'자 형상으로 연조직을 움켜쥘 수 있어 밴드(110)와 연조직(S/T) 간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고정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관통부(120)의 형성 위치를 밴드(110)의 끝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매듭실(130)을 통해 시술자의 완력이 가해질 시에 연조직에 고정되는 밴드(110)의 양끝단이 들려져 상기 연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봉합사
110: 밴드 111: 홈부
113: 중공부 115: 마감부
120: 관통부 121: 제1관통공
123: 제2관통공 130: 매듭실
131: 보조매듭실 C: 원단소재
S/T: 연조직

Claims (1)

  1. 판 형상의 원단소재 양 끝단이 서로 겹쳐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접착된 마감부가 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에 서로 이웃하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다수 천공형성된 제1관통공;
    상기 밴드에 서로 이웃하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다수 천공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서로 마주보지 않게 구비되는 제2관통공;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둘 이상의 와이어를 트위스터 방식으로 꼬아 형성하며, 서로 꼬인 복수의 상기 와이어가 풀리지 않게 접착되도록 코팅제에 의해 코팅 처리된 매듭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마감부에 천공형성되어 상기 매듭실이 상기 밴드를 가압시에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의 형상변화를 방지하고,
    상기 매듭실은 일단이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중공부 내부를 지나 상기 제2관통공 또는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순서로 상기 밴드에 반복삽입되어 연조직에 시술시에 상기 밴드가 상기 매듭실의 단 한번 가압에 의해 상기 연조직을 복수로 움켜쥐게 다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밴드가 웨이브 형상을 갖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KR2020150002873U 2015-05-06 2015-05-06 봉합사 KR200481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73U KR200481532Y1 (ko) 2015-05-06 2015-05-06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73U KR200481532Y1 (ko) 2015-05-06 2015-05-06 봉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532Y1 true KR200481532Y1 (ko) 2016-10-13

Family

ID=5713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73U KR200481532Y1 (ko) 2015-05-06 2015-05-06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3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6007A (ja) * 2004-05-07 2007-12-13 ユーエスジーアイ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カーを配置し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9500105A (ja) * 2005-07-05 2009-01-08 ミトラリグ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組織アンカー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1123100B1 (ko) 2011-09-05 2012-03-1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고강도 연조직 고정 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6007A (ja) * 2004-05-07 2007-12-13 ユーエスジーアイ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カーを配置し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9500105A (ja) * 2005-07-05 2009-01-08 ミトラリグ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組織アンカー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1123100B1 (ko) 2011-09-05 2012-03-1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고강도 연조직 고정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923B2 (ja) 結び目をつける作業が不要な縫合糸及びそれを含むキット
JP6761461B2 (ja) 返しを有する可撓性ストランドを備えた軟質アンカー組立体及び使用のための技術
US8192462B2 (en) Surgical suture material and method for the application thereof
US6241747B1 (en) Barbed Bodily tissue connector
US4512346A (en) Sternal closure method and means
US20050197699A1 (en) Tissue repair apparatus and method
JP6792929B2 (ja) 縫合フィラメントおよび縫合テープを備える縫合糸アンカー
JP2007519456A (ja) 固定装置
US20220133309A1 (en) Suture of Varying Cross-sec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WI623296B (zh) 用於脫髮治療的具有單個或多個金線的雙針組
JP2014529412A (ja) 結合組織の治療
KR20210000441A (ko) 피부 리프팅 실 삽입기
EP2970887B1 (en) Structural support incorporating multiple strands
US8047210B2 (en) Hair extension and hair extension process
KR200481532Y1 (ko) 봉합사
JP6956178B2 (ja) 痔瘻の治療のための装置
JP2021501670A (ja) 体の器官に圧力をかけるためのベルト
KR101974330B1 (ko) 시술용 매선
KR101542035B1 (ko) 봉합사 및 봉합사 제조방법
JP2016168086A (ja) 結索用バックル、及びバックル付索体
JPS6340559A (ja) トゲ付き腱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957333B1 (en) Suture structure for medical surgery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2007519455A (ja) 固定装置
KR102320420B1 (ko) 피부봉합용 본드 도포를 위한 피부 고정 기기
US10631853B2 (en) Suture securing tube and assembl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