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75Y1 -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75Y1
KR200481475Y1 KR2020150001500U KR20150001500U KR200481475Y1 KR 200481475 Y1 KR200481475 Y1 KR 200481475Y1 KR 2020150001500 U KR2020150001500 U KR 2020150001500U KR 20150001500 U KR20150001500 U KR 20150001500U KR 200481475 Y1 KR200481475 Y1 KR 200481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unit
main body
bone
channe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152U (ko
Inventor
김현성
허동화
윤홍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드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드릭스
Priority to KR2020150001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75Y1/ko
Priority to PCT/KR2016/002403 priority patent/WO2016144116A1/ko
Publication of KR20160003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Abstract

본 고안은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며, 내부에 채널(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체액이 흐르는 체액관이나 혈관 또는 인대 등과 같은 민감하고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RETRACTOR ASSEMBLY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본 고안은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액이 흐르는 체액관이나 혈관 또는 인대 등과 같은 민감하고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디스크의 안쪽에 수용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허리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디스크로 인해 수반되는 질병 치료의 한 방법으로, 손상된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공간을 보형재, 소위 케이지(Cage)로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즉, 보형재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형재를 척추 간에 삽입하는 수술방법으로, 배를 열고 척추 전방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ALIF(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옆구리 부위를 통해 보형재를 삽입하는 LLIF(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의 중앙에서 측면으로 30~40mm 떨어진 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보형재를 삽입하는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등 뒤쪽에서 보형재를 삽입하는 PLIF(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가 있다.
종래의 TLIF 시술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1(a)와 같이 보형재(3)의 일 측면이 먼저 인체의 등(R) 쪽을 통해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척추뼈(5)와 척추뼈(5) 사이에 위치한 후, 삽입된 보형재(3)의 전면이 인체의 배(F)쪽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도 11(b)와 같이 보형재(3)의 삽입이 완료된다.
여기서, 보형재(3)의 전면이 인체의 배(F) 쪽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보조기구인 임팩터(4, Impactor)가 필요하며, 임팩터(4)로 보형재(3)의 다른 측면에 힘을 가하여 보형재(3)가 회전되도록 하여 인체의 배(F) 쪽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TLIF 시술 방법에 의하는 경우,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보형재의 위치가 좌우되기 쉽고, 보형재(3)를 척추뼈(5) 사이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보형재(3)가 척추뼈(5)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는 경우 수술 효과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07-0109977호의 "보다 덜 침습적인 수술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피시술자의 복잡한 척추뼈 형상을 감안할 때, 수술시 척추뼈 등과 같은 부분에 리트랙터(retractor) 등과 같은 도구를 안정적으로 거치시켜 시술하는 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즉, 선행기술의 경우 리트랙터의 단부가 척추뼈 등과 같은 부분에 밀착되지 못하여 시술 도중 시술자의 실수로 요도관이나 동맥 등의 체액관 또는 혈관을 건드려 파열시키거나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를 잇는 인대 등을 건드려 손상시키는 등의 치명적인 실수를 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7-010997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체액이 흐르는 체액관이나 혈관 또는 인대 등과 같은 민감하고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며, 내부에 채널(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팁 유닛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뼈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뼈 및 상기 피시술자의 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팁 유닛은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OLIF)용이며, 상기 피시술자의 뼈는 척추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는 상기 피시술자의 복부(腹部)에 형성하고,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복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피시술자의 복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팁 유닛은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등분되는 한 쌍의 분할체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분할체는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팁 유닛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피시술자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상호 이격 또는 근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로 연장된 제1 외측면을 가진 장 연장부와, 상기 본체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연장된 제2 외측면을 가진 단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 연장부의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단 연장부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상기 팁 유닛에 걸쳐 상기 채널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원호 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점검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로 연장된 제1 외측면을 가진 장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면은 상기 본체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채널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을 향하여 점차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는,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팁 유닛을 이등분하여 형성되며,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에 직교한 방향에서 본 단면이 원호 형상인 한 쌍의 분할체와,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팁 유닛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피시술자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상호 이격 또는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의 내주면을 통하여 삽입되는 간격 유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보강 리브와, 상기 보강 리브의 형성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상기 간격 유지봉이 삽입되는 삽입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팁 유닛에 대응되는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본체에 대응되는 부분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로 연장된 제1 외측면을 가진 절반 장 연장부와, 상기 본체에 대응되는 부분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연장된 제2 외측면을 가진 절반 단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반 장 연장부와 상기 절반 단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의 내주면이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은 본체와 팁 유닛을 구비하되, 팁 유닛의 단부 가장자리가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체액이 흐르는 체액관이나 혈관 또는 인대 등과 같은 민감하고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한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OLIF)에 적합하며, 피시술자의 뼈는 불특정한 부위의 뼈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주로 전술한 바와 같은 OLIF 시술이 이루어지는 척추뼈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본체와 팁 유닛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본체와 팁 유닛을 탈착 가능하게 제작할 수도 있으므로, 척추뼈를 포함한 다양한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최소 침습 시술에 적용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본체와 팁 유닛을 본체 내부의 채널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등분한 한 쌍의 분할체로 형성되게 하여 복잡한 수술이나 내시경이나 임팩터 등 각종 수술 도구가 들어감에 있어서 지장이 없도록 채널의 단면적을 가변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OLIF)에 따른 수술 과정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외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도 4와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OLIF)에 따른 수술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보형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11은 종래의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에 따른 시술 과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OLIF)에 따른 수술 과정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 이하 미도시)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부에 채널(10c, 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10)와, 본체(10)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21)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50)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2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10)와 팁 유닛(20)을 구비하되, 팁 유닛(20)의 단부 가장자리(21)가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50)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요도관(uc)과 같이 체액이 흐르는 체액관이나, 동맥(ar)과 같은 혈관 또는 인대(ga) 등과 같은 민감하고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한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팁 유닛(20)의 단부 가장자리(21)가 뼈(50)에 접촉된 상태에서 본체(10)는 뼈(50) 및 피시술자의 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
즉, 팁 유닛(20)은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이하 OLIF)에 적합하며, 피시술자의 뼈(50)는 불특정한 부위의 뼈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OLIF 시술이 이루어지는 척추뼈(50)일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피시술자의 개구는 피시술자의 복부(腹部)에 형성하고, 팁 유닛(20)은 복부로부터 삽입되어 피시술자의 복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시술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팁 유닛(20)과 본체(10)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팁 유닛(20)과 본체(10)를 탈착 가능하게 제작할 수도 있으므로, 척추뼈(50)를 포함한 다양한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최소 침습 시술에 적용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팁 유닛(20)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L1)로 연장된 제1 외측면(24a)을 가진 장 연장부(22a)와, 본체(10)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로 연장된 제2 외측면(24b)을 가진 단 연장부(22b)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장 연장부(22a)의 단부 가장자리와 단 연장부(22b)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호 연결되어 뼈(50)의 외곽 형상에 대응(도 1 참조)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1 외측면(24a)은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뼈(50)의 외곽까지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채널(10c)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v)을 향하여 점차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을 삽입하여 동맥(ar, 이하 도 1 참조)과 같은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며 시술을 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본체(10)와 팁 유닛(20)에 걸쳐 채널(10c)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v)에 대하여 경사지게 원호 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점검 절개홈(2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와 팁 유닛(20)은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채널(10c)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등분되는 한 쌍의 분할체(15a, 15b)를 형성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외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도 4와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OLIF)에 따른 수술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한 쌍의 분할체(15a, 15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분할체(15a, 15b) 중 팁 유닛(20)에 대응되는 부분이 피시술자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채널(10c)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상호 이격 또는 근접 가능하다.
여기서, 한 쌍의 분할체(15a, 15b)는 채널(10c)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에서 본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분할체(15a, 15b)는 한 쌍의 분할체(15a, 15b) 각각에 형성되고, 한 쌍의 분할체(15a, 15b) 중 팁 유닛(20)에 대응되는 부분을 형성하며, 한 쌍의 분할체(15a, 15b) 중 본체(10)에 대응되는 부분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L1)로 연장된 제1 외측면(24a)을 가진 절반 장 연장부(22ah)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분할체(15a, 15b)는 본체(10)에 대응되는 부분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로 연장된 제2 외측면(24b)을 가진 절반 단 연장부(22bh)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절반 장 연장부(22ah)와 절반 단 연장부(22bh)는 한 쌍의 분할체(15a, 15b) 각각의 내주면이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뼈(50)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원호 형상의 단부, 즉 한 쌍의 분할체(15a, 15b) 중 본체(10)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전술한 원호 형상의 단부를 따라 간격 유지 리브(19)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간격 유지 리브(19)는 복잡한 수술에서 내시경(이하 미도시)이나 임팩터(40, 이하 도 10 및 도 11 참조) 등 각종 수술 도구가 들어감에 있어서 지장이 없도록 채널(10c)의 단면적을 가변되도록 함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한 쌍의 분할체(15a, 15b) 중 팁 유닛(20)에 대응되는 부분이 피시술자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채널(10c)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상호 이격 또는 근접 가능하도록, 한 쌍의 분할체(15a, 15b) 각각의 내주면을 통하여 삽입되는 간격 유지봉(1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간격 유지봉(16)의 탈착 결합을 위하여, 한 쌍의 분할체(15a, 15b) 각각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보강 리브(17)와, 보강 리브의 형성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간격 유지봉(16)이 삽입되는 삽입 채널(18)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한 쌍의 분할체(15a, 15b)를 삽입하고, 간격 유지봉(16)을 쥐고 한 쌍의 분할체(15a, 15b)가 상호 이격 또는 근접하는 방향으로 적절히 변위시키면서 가변되는 채널(10c)의 단면적을 통하여 임팩터(40)나 점검 절개홈(23)을 통하여 내시경을 투입하여 혈관이나 중요 기관 등의 위치를 파악하며 해당 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수술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보형재(30)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복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OLIF에 따른 시술 방법으로써 본체(10)의 팁 유닛(20) 단부 가장자리(21)부터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고, 단부 가장자리(21)를 척추뼈(50)의 외곽 형상에 맞게 밀착시킨다.
이후, 시술자는 임팩터(40)를 이용하여 채널(10c, 이하 도 2 및 도 3 참조)을 통하여 보형재(30)를 도 9와 같이 척추뼈(50)와 이웃한 척추뼈(50)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임팩터(40)나 별도로 투입된 도구(이하 미도시)를 이용하여 척추뼈(50)와 이웃한 척추뼈(50) 사이의 공간에서 보형재(30)를 도 10과 같이 원하는 방향으로 맞춰 정렬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시술자는 채널(10c)을 통하여 투입된 내시경으로 동맥(ar)과 같은 주요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면서 시술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팁 유닛(20)의 단부 가장자리(21) 형상과 점검 절개홈(23)의 형상은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인대(ga)나 요도관(uc) 및 동맥(ar)과 같은 인체의 주요 조직을 거의 건드리지 않고도 척추뼈(50)의 외곽 형상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일련의 시술 과정이 무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체액이 흐르는 체액관이나 혈관 또는 인대 등과 같은 민감하고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본체
10c...채널
15a, 15b...분할체
16...간격 유지봉
17...보강 리브
18...삽입 채널
19...간격 유지 리브
20...팁 유닛
21...단부 가장자리
22a...장 연장부
22ah...절반 장 연장부
22bh...절반 단 연장부
22b...단 연장부
23...점검 절개홈
24a..제1 외측면
24b...제2 외측면
50...뼈(척추뼈)
L1...제1 길이
L2...제2 길이
v...가상선

Claims (13)

  1.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며, 내부에 채널(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 유닛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뼈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뼈 및 상기 피시술자의 몸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 유닛은 사측방 접근 척추유합술(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Techniques, OLIF)용이며, 상기 피시술자의 뼈는 척추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피시술자의 복부(腹部)에 형성하고,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복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피시술자의 복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팁 유닛은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등분되는 한 쌍의 분할체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분할체는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팁 유닛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피시술자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상호 이격 또는 근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8.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며, 내부에 채널(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로 연장된 제1 외측면을 가진 장 연장부와,
    상기 본체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연장된 제2 외측면을 가진 단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 연장부의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단 연장부의 단부 가장자리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9.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며, 내부에 채널(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상기 팁 유닛에 걸쳐 상기 채널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원호 형상으로 절개 형성된 점검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10.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며, 내부에 채널(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팁 유닛은,
    상기 본체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로 연장된 제1 외측면을 가진 장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면은 상기 본체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채널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을 향하여 점차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11. 피시술자의 개구(opening)를 통하여 삽입되며, 내부에 채널(channel)이 형성된 양단 관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distal end)에 구비되고, 단부 가장자리는 시술 대상 부위인 피시술자의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와 상기 팁 유닛을 이등분하여 형성되며,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에 직교한 방향에서 본 단면이 원호 형상인 한 쌍의 분할체와,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팁 유닛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피시술자의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채널의 형성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상호 이격 또는 근접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의 내주면을 통하여 삽입되는 간격 유지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팁 유닛에 대응되는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분할체 중 상기 본체에 대응되는 부분의 선단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길이로 연장된 제1 외측면을 가진 절반 장 연장부와,
    상기 본체에 대응되는 부분의 선단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연장된 제2 외측면을 가진 절반 단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반 장 연장부와 상기 절반 단 연장부는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의 내주면이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뼈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분할체 각각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보강 리브와,
    상기 보강 리브의 형성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상기 간격 유지봉이 삽입되는 삽입 채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13. 삭제
KR2020150001500U 2015-03-10 2015-03-10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KR200481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00U KR200481475Y1 (ko) 2015-03-10 2015-03-10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PCT/KR2016/002403 WO2016144116A1 (ko) 2015-03-10 2016-03-10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00U KR200481475Y1 (ko) 2015-03-10 2015-03-10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52U KR20160003152U (ko) 2016-09-21
KR200481475Y1 true KR200481475Y1 (ko) 2016-10-05

Family

ID=56878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500U KR200481475Y1 (ko) 2015-03-10 2015-03-10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1475Y1 (ko)
WO (1) WO2016144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536B1 (ko) * 2017-08-28 2019-10-01 주식회사 텍코드 경피적 내시경 수술용 본스칼펠
CN110477977A (zh) * 2019-08-30 2019-11-22 江苏邦士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单侧双通道内镜技术内镜保护拉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3379A (ja) * 2011-01-12 2012-08-02 Ono Kogyo:Kk 骨固定用テン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2044A (en) * 1996-03-22 1998-08-11 Danek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ercutaneous surgery
US5944658A (en) * 1997-09-23 1999-08-31 Koros; Tibor B. Lumbar spinal fusion retractor and distractor system
US6929606B2 (en) * 2001-01-29 2005-08-16 Depuy Spine, Inc. Retractor and method for spinal pedicle screw placement
KR20050019784A (ko) * 2002-06-26 2005-03-03 에스디지아이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최소한의 침습성 조직 리트랙션 및 수술을 위한 장치 및방법
US7666189B2 (en) 2004-09-29 2010-02-23 Synthes Usa, Llc Less invasive surgical system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3379A (ja) * 2011-01-12 2012-08-02 Ono Kogyo:Kk 骨固定用テン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4116A1 (ko) 2016-09-15
KR20160003152U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954B2 (ja) 横方向に延在するダブテール係合機構を有する新規なインプラントインサータ
US9867713B2 (en) Surgical implant with guiding rail
US11013616B2 (en) Sagittal balance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S2593092T3 (es) Sistema para inserción de un dispositivo de implante intersomático
KR101358560B1 (ko) 경추간공 인터소매틱 케이지 및 그것의 삽입 기구
US8840620B2 (en) Spinal implant and instrument
ES2232836T3 (es) Instrumentacion para la correccion quirurgica de la columna vertebral humana a nivel toracico y lumbar desde la cara lateral de la columna vertebral.
US8114088B2 (en) Geared spinal implant inserter-distractor
US9358122B2 (en) Interbody spacer
US20060085077A1 (en) Intervertebral implant and associated method
US200602877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ing intervertebral disk prostheses
US20080306557A1 (en) Inserter for a spinal implant
US2010011409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a spinal region
US20090043312A1 (en) Articulating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Inserte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JP2008539013A (ja) 背骨インプラント
US9839529B2 (en) Method and system of installing a spinal fusion cage
AU2009231637A1 (en)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US8343164B2 (en) Implant insertion tool
KR200481475Y1 (ko) 최소 침습 시술용 리트랙터 어셈블리
KR101862984B1 (ko) 척추 수술용 케이지 삽입 기구의 외통
US10231845B2 (en) Cage apparatus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CN101669845B (zh) 椎体间隙植入物导入器
KR102195236B1 (ko) 사측방 척추 유합 케이지
KR102569258B1 (ko) 척추 수술용 가이더 및 이를 위한 척추 수술용 케이지
KR20090027993A (ko) 추간체 고정 보형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