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44Y1 - 휴대기기용 거치구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거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44Y1
KR200481344Y1 KR2020150005187U KR20150005187U KR200481344Y1 KR 200481344 Y1 KR200481344 Y1 KR 200481344Y1 KR 2020150005187 U KR2020150005187 U KR 2020150005187U KR 20150005187 U KR20150005187 U KR 20150005187U KR 200481344 Y1 KR200481344 Y1 KR 200481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support
coupling portion
coupl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열
Original Assignee
황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열 filed Critical 황준열
Priority to KR2020150005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제1면에서 휴대기기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거나 휴대기기를 수용하는 휴대기기 결합부 및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지지체에 접착하도록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가지는 지지체 결합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제2면은 상기 지지체 결합부가 접착하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 및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의 테두리에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로부터의 상기 돌출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의 두께보다 작다.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접착되어 휴대기기와 함께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여 사용상 활용도가 높고,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간단하게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으며, 지지체 결합부의 접착특성이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면서도 지지체 결합부를 휴대기기 결합부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접착시키는 일이 용이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없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거치구{Holder For Mobile Devices}
본 고안은 휴대기기용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접착되어 휴대기기와 함께 휴대하면서 필요한 경우 휴대기기를 지지체에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휴대기기용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는 이제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다. 스마트폰은 TV 및 영화 등의 영상 매체를 시청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차량 네비게이션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이 이러한 용도로 사용될 때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및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시판되어 왔다. 그러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 내에 고정하여 사용함에 따라 이동성이 없고, 가정용 스마트폰 거치대도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모바일 기기 거치구를 제안하였고, 이것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76114호(2015. 01. 23. 등록)로 등록되었다. 제안된 모바일 기기 거치구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와 거치수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과 별개로 형성된 것으로 구분되는데, 모바일 기기를 지지체에 거치하는 거치수단을 공통적으로 가진다. 여기에서, 거치수단은 보호제 상에 접착제가 부착된 한 쌍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기재에 결합하는 것이고, 사용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펼쳐져서 지지체에 고정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지지체에 거치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고정부재는 기재(전면 커버 등)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데, 수납된 고정부재를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기 위하여 수납홈의 가장자리에는 손가락을 넣어 고정부재를 손쉽게 떼어내기 위한 추가 홀이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에서 추가 홀이란 고정부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납홈 형상에서 연장하여 형성되는 추가적인 홈을 의미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납홈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면 고정부재를 기재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그러한 추가적인 홈이 없는 경우보다 용이하지만, 여전히 고정부재를 기재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접착시키는 것이 불편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접착되어 휴대기기와 함께 휴대하면서 필요한 경우 휴대기기를 지지체에 편리하게 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휴대기기용 거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체 결합부의 접착특성을 충분히 보호하면서도 지지체 결합부를 휴대기기 결합부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접착시키는 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거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는 제1면에서 휴대기기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거나 휴대기기를 수용하는 휴대기기 결합부 및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지지체에 접착하도록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가지는 지지체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제2면은 상기 지지체 결합부가 접착하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 및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의 테두리에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로부터의 상기 돌출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의 두께보다 작다.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상기 휴대기기용 거치구가 휴대기기를 지지체에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에 접착된 상태로 있고, 상기 휴대기기용 거치구가 휴대기기를 지지체에 거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로부터 떼어내어져서 지지체에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 테두리부에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이하, '높이 차이 판'이라 함)이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에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이 배치되지 않아 높이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테두리부와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의 경계에는 실로 박음질이 되어 있어 상기 돌출 테두리부에 배치된 상기 높이 차이 판이 상기 돌출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테두리부의 바깥 경계에도 실로 박음질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 및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의 제1면에 결합하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와 결합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 및 지지체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로부터의 상기 테두리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는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의 케이스에 접착하도록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 및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의 제1면에 결합하는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와 결합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접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는 상기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는 제1면에 휴대기기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기기 케이스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에는 카드가 꽂힐 수 있는 카드꽂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연결부와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에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을 사선으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탈착 손잡이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 결합부의 연결부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한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이고, 또한 연결되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는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접착되어 휴대기기와 함께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여 사용상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는 차량의 대시보드, 가정의 벽 또는 기구물 등에 간단하게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는 지지체 결합부의 접착특성이 오랫동안 유지되게 하면서도 지지체 결합부를 휴대기기 결합부로부터 떼어내고 다시 접착시키는 일이 용이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의 제1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의 제1 상태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의 제2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의 절단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를 휴대기기 케이스에 부착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를 휴대기기 케이스에 부착하여 지지체에 거치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10)는 휴대기기 결합부(100)와 지지체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휴대기기 결합부(100)와 지지체 결합부(20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휴대기기 결합부(100)는 휴대기기(30)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20)에 접착하도록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가진다. 휴대기기 결합부(100)의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갖게 하는 한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 결합부(100)의 제1면에 접착패드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면, 휴대기기 결합부(100)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와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로 구분된다. 물론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 없이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의 제1면(111)에 결합한다.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와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 간의 결합은 접착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열융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강력하게 형성되어 그 결합이 통상적인 힘에 의해서는 해제되지 않는다.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형성하는 것이 제품의 미적 감각 및 사용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는 다양한 고분자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분자 재료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다.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의 표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층에 의하여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는 휴대기기(30)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20)에 접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게 된다.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의 이러한 접착특성은 휴대기기 케이스(20)에 한번 접착하면 다시 떼어낼 때에는 접착특성을 잃어버리는, 즉 재사용을 할 수 없는 강력한 접착특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휴대기기 케이스(20)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접착특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120)의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 상에는 이형지가 덮여있어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10)가 휴대기기 케이스(20)에 처음으로 부착되기 전까지는 접착층을 보호한다.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의 제1면(111)에 대향하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의 제2면(1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 및 돌출 테두리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의 제2면(112)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데, 지지체 결합부(200)가 접착하게 되며, 돌출 테두리부(11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함몰영역이다. 반면에 돌출 테두리부(114)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의 테두리에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로부터의 돌출 테두리부(114)의 높이는 지지체 결합부(200)의 두께보다 작다. 이러한 상대적 높이 및 두께의 관계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 결합부(200)가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 접착할 때 접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탈착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외부요인에 의하여 지지체 결합부(200)의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출 테두리부(114)의 높이를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 방법은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 및 돌출 테두리부(114)를 동일한 두께의 재질, 예를 들어 동일한 두께의 인조가죽으로 형성하면서, 돌출 테두리부(114) 영역에만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이하, '높이 차이 판'이라 함)(130)을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면, 높이 차이 판(130)에 의하여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와 돌출 테두리부(114) 간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돌출 테두리부(114)에 배치되는 높이 차이 판(130)이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즉 돌출 테두리부(114)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한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와 돌출 테두리부(114)의 경계에는 실로 박음질을 하여 박음질부(115)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박음질부(115)는 돌출 테두리부(114)의 바깥 경계에도 실로 박음질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박음질에 의하여 높이 차이 판(130)을 고정하는 대신에 높이 차이 판(130)을 접착제에 의하여 돌출 테두리부(114)에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한 방법이다.
지지체 결합부(2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면에서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지지체 결합부(200)에 이러한 접착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 결합부(200)의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갖게 하는 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결합부(200)의 제1면에 접착패드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면, 지지체 결합부(200)는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와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로 구분된다. 물론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 없이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체 결합부(200)는 또한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연결부(230)는 휴대기기 결합부(100)의 한 모서리에 연결되고,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230)의 폭은 연결부(230)에 연결되는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의 모서리 길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지만, 지지체 결합부(200)를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 및 지지체(40)에 접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부(230)의 폭은 연결부(230)에 연결되는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의 모서리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30)에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는 형성될 필요가 없다.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는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의 제1면(211)에 결합한다.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와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 간의 결합은 접착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열융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강력하게 형성되어 그 결합이 통상적인 힘에 의해서는 해제되지 않는다.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형성하는 것이 제품의 미적 감각 및 사용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는 다양한 고분자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분자 재료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의 표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착층에 의하여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 및 지지체(40)에 접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게 된다.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의 이러한 접착특성은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 및 지지체(40)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접착특성으로 구성된다.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로부터 돌출 테두리부(114)의 높이는 지지체 결합부(200)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는데, 지지체 결합부(200)가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 및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로부터 돌출 테두리부(114)의 높이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 의하면,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에 형성된 접착제층은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 완전히 매몰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요인에 의하여 그러한 접착제층의 접착특성이 저하되는 일은 최소화하게 된다. 반면에,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 또는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210)와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220)의 일부가 돌출 테두리부(114)보다 높게 노출되는데, 이러한 노출부분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체 결합부(200)를 잡는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체 결합부(200)를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 접착 및 탈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체 결합부(200)를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 접착 및 탈착시키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결합부(200)의 연결부(230)에 대향하는 위치에 탈착 손잡이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탈착 손잡이부(240)는 연결부(230)에 대향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을 사선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탈착 손잡이부(240)에 의하여 지지체 결합부(200)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지지체 결합부(200)의 접착 및 탈착이 더욱 용이해진다.
한편, 휴대기기 결합부(100)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카드가 꽂힐 수 있는 카드꽂이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꽂이부(140)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110)가 2개의 판상 재료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그러한 2개의 판상 재료의 내측면들에 의하여 카드꽂이부(140)의 포켓이 형성되고, 그러한 2개의 판상 재료의 외측면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1면(111) 및 제2면(11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기기용 거치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 케이스(20)에 부착된다. 이때, 지지체 결합부(200)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 접착한 상태로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10)는 휴대기기(30)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10)는 휴대기기 케이스(20)에 함께 부착되어 휴대되기 때문에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부담 및 번거로움이 없어 휴대성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기기 케이스(20)에 부착된 본 고안의 휴대기기용 거치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113)에 부착된 지지체 결합부(200)를 떠어내어 지지체(40)에 부착함으로써 휴대기기(30)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지지체(40)에 거치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상기에서는 휴대기기 결합부(100)가 휴대기기 케이스(20)와 별도로 형성되어 휴대기기 케이스(20)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휴대기기 결합부(10)가 휴대기기 케이스(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른 실시예로 성립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구체적 구성은 도면으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기기 결합부(100)가 휴대기기 케이스(20)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휴대기기용 거치구 20: 휴대기기 케이스
30: 휴대기기 40: 지지체
100: 휴대기기 결합부 110: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
111: 제1면 112: 제2면
113: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 114: 돌출 테두리부
115: 박음질부 120: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
130: 높이 차이 판 140: 카드꽂이부
200: 지지체 결합부 210: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
211: 제1면 212: 제2면
220: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 230: 연결부
240: 탈착 손잡이부

Claims (13)

  1. 제1면에서 휴대기기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거나 휴대기기를 수용하는 휴대기기 결합부 및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지지체에 접착하도록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가지는 지지체 결합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이고,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제2면은 상기 지지체 결합부가 접착하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 및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의 테두리에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로부터의 상기 돌출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상기 휴대기기용 거치구가 휴대기기를 지지체에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에 접착된 상태로 있고, 상기 휴대기기용 거치구가 휴대기기를 지지체에 거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로부터 떼어내어져서 지지체에 접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테두리부에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이하, '높이 차이 판'이라 함)이 배치되는 반면에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에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이 배치되지 않아 높이 차이가 발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테두리부와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의 경계에는 실로 박음질이 되어 있어 상기 돌출 테두리부에 배치된 상기 높이 차이 판이 상기 돌출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테두리부의 바깥 경계에도 실로 박음질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 및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의 제1면에 결합하는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와 결합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 및 지지체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 함몰부로부터의 상기 돌출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지지체 결합부 접착패드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는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의 케이스에 접착하도록 제1면에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는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 및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의 제1면에 결합하는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몸체부와 결합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접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 접착패드는 상기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반복적으로 접착 및 탈착하는 접착특성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는 제1면에 휴대기기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기기 케이스로 기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에는 카드가 꽂힐 수 있는 카드꽂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부는 연결부와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에서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에 대향하는 모서리의 꼭지점을 사선으로 절단하여 형성되는 탈착 손잡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결합부의 연결부는 상기 휴대기기 결합부의 한 모서리에 연결되는 것이고, 또한 연결되는 상기 지지체 결합부 몸체부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거치구.
KR2020150005187U 2015-08-03 2015-08-03 휴대기기용 거치구 KR200481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87U KR200481344Y1 (ko) 2015-08-03 2015-08-03 휴대기기용 거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87U KR200481344Y1 (ko) 2015-08-03 2015-08-03 휴대기기용 거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44Y1 true KR200481344Y1 (ko) 2016-09-19

Family

ID=5704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87U KR200481344Y1 (ko) 2015-08-03 2015-08-03 휴대기기용 거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4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057248U (zh) * 2013-02-01 2013-07-10 胡志军 一种隐藏式360度旋转支架手机保护壳
KR20140001553U (ko) * 2012-09-05 2014-03-14 최동일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KR200472724Y1 (ko) * 2014-03-04 2014-05-20 황준열 고정밴드를 갖는 모바일폰 케이스
KR200476114Y1 (ko) * 2014-10-16 2015-01-30 황준열 모바일 기기 거치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553U (ko) * 2012-09-05 2014-03-14 최동일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CN203057248U (zh) * 2013-02-01 2013-07-10 胡志军 一种隐藏式360度旋转支架手机保护壳
KR200472724Y1 (ko) * 2014-03-04 2014-05-20 황준열 고정밴드를 갖는 모바일폰 케이스
KR200476114Y1 (ko) * 2014-10-16 2015-01-30 황준열 모바일 기기 거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9077B2 (en) Elastic securing apparatus and mount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9954569B2 (en) Elastic securing apparatus and mount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KR101502738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EP2856900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CN107833775B (zh) 防水组件、移动终端、以及防水组件的装配方法
TWI279291B (en) Adhesive tape for fixing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using the same
KR20160108112A (ko) 흡착판
KR101608931B1 (ko) 모바일 단말기 거치용 스탠딩 케이스
US2009026248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US20120024560A1 (en) Case for enclosing and remaining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pplied fabric
KR200481344Y1 (ko) 휴대기기용 거치구
KR20180060460A (ko)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US11231056B2 (en) Clip and mounting system
CN220298955U (zh) 手机贴膜器和手机膜
KR101769579B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GB253735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ses
US8611075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audio player
KR20160003392A (ko)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89241Y1 (ko) 차량용 거치대
US7878706B2 (en) Strip for securing a device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7165A (ko) 점착 패드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
KR20170002299U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CN215970108U (zh) 贴膜总成及贴膜器具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