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02Y1 - Cup holder - Google Patents

Cup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02Y1
KR200481302Y1 KR2020130010614U KR20130010614U KR200481302Y1 KR 200481302 Y1 KR200481302 Y1 KR 200481302Y1 KR 2020130010614 U KR2020130010614 U KR 2020130010614U KR 20130010614 U KR20130010614 U KR 20130010614U KR 200481302 Y1 KR200481302 Y1 KR 200481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ray
holder
space
stopp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6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2532U (en
Inventor
엄석현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20130010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02Y1/en
Publication of KR20150002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3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0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 중단에 컵수용부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하우징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폴딩 조작되는 홀더트레이; 및 상기 홀더트레이와 하우징의 내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폴딩 조작된 홀더트레이에 언폴딩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텐션을 제공하는 제1텐션스프링;을 포함하는 컵홀더가 소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pace opened; A holder tray having a cup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housing forming the receiving space and being fold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a first tensio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holder tray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tension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ray to an unfolded state.

Description

컵홀더{CUP HOLDER}Cup Holder {CUP HOLDER}

본 고안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홀더를 이루는 홀더트레이의 폴딩 및 언폴딩 조작을 통해 컵홀더의 기능과 수납공간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functions of a cup holder and a storage space through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of a holder tray constituting a cup holder.

통상, 자동차에는 탑승자를 위해 음료수 컵이나 캔을 놓아둘 수 있는 컵홀더가 차량의 중앙패널이나 센터콘솔 등에 마련되며, 후석측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후석 시트백 중앙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암레스트의 단부에 컵홀더가 설치되기도 한다.
Usually, a cup holder for allowing a drinker cup or a can to be placed for a passenger is provided on a central panel or a center console of a vehicle, and an end portion of an arm res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back seatback A cup holder is also installed.

도 1은 후석시트의 암레스트에 설치된 컵홀더를 도시한 것으로, 암레스트 전방에 컵홀더(1)가 설치되며, 상기 컵홀더(1)에는 컵이 수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컵수용부(2)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Fig. 1 shows a cup holder provided on the arm rest of a seatsheet. A cup holder 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rm rest. The cup holder 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up receiving portion 2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그런데, 상기한 컵홀더는 상기 컵수용부의 형상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컵수용부가 고정 형성되어 있는바, 컵홀더에 컵을 보관하는 기능 이 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이 어려워, 컵홀더의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up hold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up holder is fixedly formed, it is difficult to use the cup holder for other purposes besides the function of storing the cup in the cup hol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nge is extremely limited.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070908호의 "컵 홀더가 구비된 암 레스트"가 소개된바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70908, "Armrest with cup holder"

그러나, 이같은 방식의 컵홀더는 컵홀더가 출입되는 구조로서, 이 역시 컵홀더 기능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up holder of this typ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up holder is put in and out, which is also difficult to use for other purposes other than the function of the cup holder.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2006-007090810-2006-0070908 AA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컵홀더를 이루는 홀더트레이의 폴딩 및 언폴딩 조작을 통해 컵홀더의 기능과 수납공간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which can selectively utilize functions of a cup holder and a storage space by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of a holder tray constituting a cup holde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 중단에 컵수용부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하우징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폴딩 조작되는 홀더트레이; 및 상기 홀더트레이와 하우징의 내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폴딩 조작된 홀더트레이에 언폴딩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텐션을 제공하는 제1텐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holder tray having a cup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housing forming the receiving space and being fold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a first tensio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holder tray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tension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ray to an unfolded state.

상기 홀더트레이의 폴딩 조작시, 상기 홀더트레이의 타단부가 걸려져 상기 홀더트레이의 폴딩 조작상태로 걸려지도록 구성된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locking unit configured to hook the other end of the holder tray to the folding state of the holder tray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holder tray.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측에 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홀더트레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걸림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제1걸림부에 대응되어 걸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der tray; And a second latch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tching part.

상기 제1텐션스프링은, 일단이 홀더트레이의 일면 상측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 상측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The first tension spring may be a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holder tray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제2걸림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부를 밀어내어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걸려진 홀더트레이를 록킹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록킹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ocking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configured to unlock the holder tray held by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by pushing the first locking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cking portion deviates from the second locking portion; As shown in FIG.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며, 통 형상으로 상단이 개방 형성된 작동공간; 일단부가 상기 작동공간의 상측으로 노출 구비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공간을 이루는 바닥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걸림부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일단부의 누름 조작시 타단부가 상기 제1걸림부를 밀어내도록 구성된 해제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locking release means comprises: a working space provid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n upper end open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tching portion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operation space, And a release switch configured to push out the engagement portion.

상기 해제스위치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상하 직선변위로 이동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바닥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부가 이동되는 직선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텐션스프링; 상기 조작부의 하단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위치스토퍼; 상기 작동공간을 이루는 측면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스토퍼의 상면이 걸려지도록 구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operatio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lease switch and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by a linear displacement in the operation space; A second tension spring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portion and the bottom plate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a linear displacement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is moved; A switch stopper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forming the operating space and configured to catch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stopper.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는 홀더트레이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트레이가 회전하는 일정 회전반경 위치에서 상기 홀더트레이의 회전경로를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단부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언폴딩스토퍼;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트레이의 언폴딩시 상기 언폴딩스토퍼가 걸려지도록 구성된 언폴딩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stopper plat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tray facing the support member and formed in a arc shape along the rotation path of the holder tray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position at which the holder tray rotates; An unfolding stopper protruding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topper plate; And an unfolding stopper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forming the receiving space and adapted to hang the unfolding stopper when unfolding the holder tray.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고안은, 홀더트레이가 수용공간 내에서 폴딩 또는 언폴딩 조작 가능함으로써, 홀더트레이의 폴딩 또는 언폴딩 위치에 따라, 상기 컵홀더가 컵홀더 본연의 기능과, 수납공간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선택적으로 활용 가능한바, 상기 컵홀더의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tray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the receiving space, so that the cup holder can be folded or unfolded according to the folding or unfolding position of the holder tra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sability of the cup hold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암레스트에 설치된 컵홀더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컵홀더에 설치된 홀더트레이의 폴딩 및 언폴딩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에서 홀더트레이의 폴딩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에서 홀더트레이의 언폴딩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hape of a cup holder provided on an armres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relationship of a holder tray installed in a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folding state of a holder tray in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n unfolded state of a holder tray in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컵홀더에 설치된 홀더트레이의 폴딩 및 언폴딩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에서 홀더트레이의 폴딩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컵홀더에서 홀더트레이의 언폴딩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a holder tray installed in 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holder tray in the unfolded state in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의 컵홀더는, 크게 하우징(10)과, 홀더트레이(30) 및 제1텐션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up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10, a holder tray 30, and a first tension spring 4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상면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10); 중앙에 컵수용부(32)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2)을 이루는 하우징(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12)의 내부로 폴딩 조작되는 홀더트레이(30); 및 상기 홀더트레이(30)와 하우징(10)의 내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폴딩 조작된 홀더트레이(30)에 언폴딩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텐션을 제공하는 제1텐션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5,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housing 10 has a housing space 12 formed therei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pace 12 is opened. And a cup receiving portion 32 formed at the center and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 constituting the receiving space 12 and being fold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 30); And a first tension spring (40) provided between the holder tray (30)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provide a tension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ray (30) to an unfolded state .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암레스트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암레스트의 전방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housing 10 may be an armrest, and a receiving space 12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armrest.

즉,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홀더트레이(30)가 상기 수용공간(12) 내로 폴딩 조작되는 경우, 상기 홀더트레이(30)에 형성된 컵수용부(32)가 대략 수직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컵홀더를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holder tray 30 is fold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 the cup receiving portion 32 formed in the holder tray 30 is position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The accommodation space 12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up holder is used as a storage space.

반면, 상기 홀더트레이(30)가 상기 수용공간(12)의 상면으로 언폴딩 조작되는 경우, 상기 홀더트레이(30)에 형성된 컵수용부(32)가 상기 수용공간(12)의 상면 위치에 대략 수평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컵홀더 본연의 기능으로 사용하게 된다.When the holder tray 30 is unfo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2, the cup receiving portion 32 formed on the holder tray 30 is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receiving space 12 So that it is used as a function of the cup holder.

따라서, 상기 홀더트레이(30)의 폴딩 및 언폴딩 조작에 따라, 상기 컵홀더가 컵홀더 본연의 기능과, 수납공간의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선택적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상기 컵홀더의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holder tray 30, the cup holder can be selectively used as one of functions of the cup holder and the function of the storage space, It becomes possible to maximize it.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상기 홀더트레이(30)의 폴딩 조작시, 상기 홀더트레이(30)의 타단부가 걸려져 상기 홀더트레이(30)의 폴딩 조작상태로 걸려지도록 구성된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and 4, in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folding operation of the holder tray 30, the other end of the holder tray 30 is hooked so as to be hooked in the folding state of the holder tray 30 And locking means.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수용공간(12)의 후방측에 설치된 지지부재(20); 상기 홀더트레이(30)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걸림부(34);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단부에 상기 제1걸림부(34)에 대응되어 걸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걸림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support member (2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A first engaging part 3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der tray 30; And a second latching part 24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latching part 34.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걸림부(34)가 상기 지지부재(20)를 향하는 홀더플레이트의 타단부 일면에 쐐기 형상의 후크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부(24)는 상기 쐐기 형상의 후크 구조에 걸려지도록 지지부재(20)의 하단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rst latching portion 34 is formed as a wedge-shaped hook structure on on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holder plate facing the support member 20. The second latching part 24 is formed to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so as to be hooked on the wedge-shaped hook structure.

즉, 상기 홀더트레이(30)의 폴딩 조작시, 상기 제1걸림부(34)의 쐐기 형상이 상기 제2걸림부(24)의 하단 배면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홀더트레이(30)가 폴딩 조작된 상태로 홀더트레이(30)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holder tray 30 is folded, the wedge shape of the first retaining portion 34 is caught by the lower back surface of the second retaining portion 24, It is possible to hold the holder tray 30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tray 30 is hel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텐션스프링(40)은, 일단이 홀더트레이(30)의 일면 상측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전면 상측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4 and 5, the first tension spring 40 includes a torsion spring 30 having one end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holder tray 30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 .

즉, 상기 제1텐션스프링(40)은 상기 홀더트레이(30)의 상측 및 지지부재(20)의 상측 사이에서 상기 홀더트레이(30)가 회전하는 회전변위에 대해 텐션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폴딩 조작된 홀더트레이(30)에 언폴딩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first tension spring 40 provides tension to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holder tray 30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tray 30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2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holder tray 30 in the unfolding direc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부재(20)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걸림부(34)가 상기 제2걸림부(24)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부(34)를 밀어내어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단부에 걸려진 홀더트레이(30)를 록킹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록킹해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and 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4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34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24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 And lock releasing means configured to unlock the holder tray (30), which is pushed out of the holder (34) and hook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지지부재(20)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며, 통 형상으로 상단이 개방 형성된 작동공간(22); 일단부가 상기 작동공간(22)의 상측으로 노출 구비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공간(22)을 이루는 바닥플레이트(22a)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걸림부(34)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일단부의 누름 조작시 타단부가 상기 제1걸림부(34)를 밀어내도록 구성된 해제스위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nlocking means includes a working space 22 provid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20 and having a top open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4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bottom plate 22a constituting the working space 22 And a release switch (50) configured to push the first latching portion (34) at the other end in the pushing operation of the one end portion.

여기서, 조작부(52)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플레이트(22a)를 관통하여 연결부(54)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4)의 하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34)를 향해 절곡된 형상으로 작동부(56)가 형성될 수 있다.A connecting portion 5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52 through the bottom plate 22a and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54 is bent toward the first engaging portion 34 A portion 56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2)의 후방측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0)의 내부에 록킹해제수단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 후술하는 스토퍼플레이트(36)가 회전 작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The support member 2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box an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The support member 2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releasing means,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for allowing the stopper plate 36 to rotate.

즉, 상기 해제스위치(50)를 하부로 눌러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해제스위치(50) 하단에 형성된 작동부(56)가 상기 제1걸림부(34)의 쐐기 부분을 하측방으로 밀게 됨으로써, 상기 제2걸림부(24)에 걸려져 있던 제1걸림부(34)가 상기 제2걸림부(24)로부터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홀더트레이(30)가 회전되어 언폴딩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release switch 50 is pressed downward, the actuating part 5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switch 50 pushes the wedge part of the first retaining part 34 downward, The first engaging portion 34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 is released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 and the holder tray 30 is rotated and unfolded.

본 고안에서, 상기 해제스위치(5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공간(22) 내에서 상하 직선변위로 이동 조작되는 조작부(52); 상기 조작부(52)의 저면과 바닥플레이트(22a)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부(52)가 이동되는 직선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텐션스프링(60); 상기 조작부(52)의 하단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위치스토퍼(53); 상기 작동공간(22)을 이루는 측면플레이트(22b)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스토퍼(53)의 상면이 걸려지도록 구성된 걸림턱(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operating portion 52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lease switch 50 and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by a linear displacement within the working space 22; A second tension spring 60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52 and the bottom plate 22a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gainst a linear displacement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52 is moved; A switch stopper 53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52; And a latching jaw 2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22b forming the operating space 22 and configured to hook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stopper 53. [

여기서, 상기 제2텐션스프링(60)은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Here, the second tension spring 60 may be a compression spring.

즉, 상기 조작부(52)를 하방으로 조작한 후에, 상기 조작부(52)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텐션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52)가 상부로 상승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스위치스토퍼(53)가 상기 걸림턱(23)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해제스위치(50) 상단의 조작부(52)가 상기 작동공간(22)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That is,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portion 52 is removed after the operating portion 52 is operated downward, the operating portion 52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ension spring 60 The switch stopper 53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23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52 at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switch 50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space 22.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20)를 향하는 홀더트레이(30)의 양측 배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홀더트레이(30)가 회전하는 일정 회전반경 위치에서 상기 홀더트레이(30)의 회전경로를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플레이트(36); 상기 스토퍼플레이트(36)의 단부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언폴딩스토퍼(38); 상기 수용공간(12)을 이루는 하우징(1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트레이(30)의 언폴딩시 상기 언폴딩스토퍼(38)가 걸려지도록 구성된 언폴딩걸림턱(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holder tray 30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lder tray 30 facing the support member 20, and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path of the holder tray 30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position at which the holder tray 30 rotates. A stopper plate 36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nfolding stopper 38 formed laterally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stopper plate 36; And an unfolding stopper 18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0 constituting the accommodation space 12 and adapted to receive the unfolding stopper 38 when the holder tray 30 is unfolded .

여기서, 스토퍼플레이트(36)의 회전경로와 만나는 지지부재(20)의 양측에는 상기 스토퍼플레이트(36)의 회전에 대해서 간섭되지 않도록 관통홀(26)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through holes 26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0 that meet the rotation path of the stopper plate 36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stopper plate 36.

즉, 상기 홀더트레이(30)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회전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36)가 상기 관통홀(26)에 관통된 상태로 함께 회전되다가, 상기 홀더트레이(30)가 대략 수평 위치의 언폴딩 상태로 위치하는 지점에서, 상기 스토퍼플레이트(36)에 형성된 언폴딩스토퍼(38)가 상기 언폴딩걸림턱(18)에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트레이(30)가 상기 수용공간(12)의 상부로 과도하게 언폴딩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holder tray 30 is rotat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the stopper plate 36 rotates together with the through hole 26 passing therethrough, The unfolding stopper 38 formed on the stopper plate 36 is caught by the unfolding latching jaw 18 at a position located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position. Thus, the holder tray 3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unfolded and rota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natural.

10 : 하우징 12 : 수용공간
18 : 언폴딩걸림턱 20 : 지지부재
22 : 작동공간 23 : 걸림턱
24 : 제2걸림부 30 : 홀더트레이
32 : 컵수용부 34 : 제1걸림부
36 : 스토퍼플레이트 38 : 언폴딩스토퍼
40 : 제1텐션스프링 50 : 해제스위치
52 : 조작부 53 : 스위치스토퍼
60 : 제2텐션스프링
10: housing 12: accommodation space
18: unfolding jaw 20: support member
22: operating space 23: latching jaw
24: second latching part 30: holder tray
32: cup accommodating portion 34: first engaging portion
36: stopper plate 38: unfolding stopper
40: first tension spring 50: release switch
52: Operation part 53: Switch stopper
60: second tension spring

Claims (8)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이 개방 형성된 하우징;
중단에 컵수용부가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하우징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컵수용부와 함께 수용공간의 내부로 폴딩 조작되는 홀더트레이; 및
상기 홀더트레이와 하우징의 내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폴딩 조작된 홀더트레이에 언폴딩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텐션을 제공하는 제1텐션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트레이의 폴딩 조작시, 상기 홀더트레이의 타단부가 걸려져 상기 홀더트레이의 폴딩 조작상태로 걸려지도록 구성된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A hou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pened;
A holder tray in which a cup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holder tra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forming the receiving space and is folded into the receiving space together with the cup receiving portion; And
And a first tension spring provided between the holder tray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to provide a tension for restoring the folded holder tray to an unfolded state,
And a locking mean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holder tray when the other end of the holder tray is hooked upon folding operation of the holder tra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측에 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홀더트레이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걸림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상기 제1걸림부에 대응되어 걸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ing means comprises: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der tray;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텐션스프링은,
일단이 홀더트레이의 일면 상측에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 상측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tension spring comprises:
And a torsion spring having one end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holder tray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제2걸림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부를 밀어내어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걸려진 홀더트레이를 록킹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록킹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3,
Locking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configured to unlock the holder tray held by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by pushing the first locking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cking portion deviates from the second lock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up hold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 상측에 마련되며, 통 형상으로 상단이 개방 형성된 작동공간;
일단부가 상기 작동공간의 상측으로 노출 구비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공간을 이루는 바닥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걸림부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일단부의 누름 조작시 타단부가 상기 제1걸림부를 밀어내도록 구성된 해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ing-
A working space provid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n upper end open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working space, And a release switch configured to push out the engagement por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제스위치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상하 직선변위로 이동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바닥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부가 이동되는 직선변위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텐션스프링;
상기 조작부의 하단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위치스토퍼;
상기 작동공간을 이루는 측면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스토퍼의 상면이 걸려지도록 구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6,
An operatio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lease switch and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by a linear displacement in the operation space;
A second tension spring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portion and the bottom plate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a linear displacement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is moved;
A switch stopper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a stopp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side plate forming the operating space and adapted to catch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stopp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는 홀더트레이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트레이가 회전하는 일정 회전반경 위치에서 상기 홀더트레이의 회전경로를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플레이트;
상기 스토퍼플레이트의 단부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언폴딩스토퍼;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트레이의 언폴딩시 상기 언폴딩스토퍼가 걸려지도록 구성된 언폴딩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5,
A stopper plat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tray facing the support member and formed in a arc shape along the rotation path of the holder tray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position at which the holder tray rotates;
An unfolding stopper protruding laterally from an end of the stopper plate;
And an unfolding stopper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forming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dapted to engage the unfolding stopper when unfolding the holder tray.
KR2020130010614U 2013-12-20 2013-12-20 Cup holder KR2004813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14U KR200481302Y1 (en) 2013-12-20 2013-12-20 Cup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614U KR200481302Y1 (en) 2013-12-20 2013-12-20 Cup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32U KR20150002532U (en) 2015-06-30
KR200481302Y1 true KR200481302Y1 (en) 2016-09-09

Family

ID=5351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614U KR200481302Y1 (en) 2013-12-20 2013-12-20 Cup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02Y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81B1 (en) * 2004-05-25 2006-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a double folding by utilizing a cup holder for seat of vehicles
KR100610862B1 (en) 2004-12-21 200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rm rest with cu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32U (en)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4827B2 (en) Wheelbarrow loading unit connector and stroller with loading unit connected by the connector
JP6068986B2 (en) Containment structure for vehicles
JP2011225155A (en) Cup holder
CN110525303B (en) Side table assembly for vehicle seat
US10442367B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JP4015501B2 (en) Cup holder device
JP2010285127A (en) Lock device
JP5020321B2 (en) Remote control holding device
GB2335107A (en) Phone cradle with means to retain phone
KR200481302Y1 (en) Cup holder
WO2015146351A1 (en) Table for vehicle seat
KR20170102939A (en) Beve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JP5775433B2 (en) Vehicle table device
JP2002360377A (en) Operation lever
BE1017488A3 (en) Closing or locking device for boot of car, has bar or sections mounted relative to each other to pivot bar to bring tooth in position opposite to rotation of hook, when hook cooperates with buckle for closing or locking of hook and buckle
WO2015146352A1 (en) Table for vehicle seat
JP2001122034A (en) Storage partition chamber for container particularly in automobile
JP2017141000A (en) Handle device of vehicular board
JP3986706B2 (en) Cup holder device
JP5378178B2 (en) Vehicle storage box
JP2014162428A (en) Console box for vehicle
JP2019123408A (en) Container placement implement
KR102224398B1 (en) Locking Structure Of Arm Rest
JP2008230570A (en) Article holding device for vehicle
JP2010047069A (en) Table structure of vehicula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804

Effective date: 201607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5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804

Effective date: 201607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