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16Y1 - Soundproof Wall - Google Patents

Soundproof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16Y1
KR200481216Y1 KR2020150007887U KR20150007887U KR200481216Y1 KR 200481216 Y1 KR200481216 Y1 KR 200481216Y1 KR 2020150007887 U KR2020150007887 U KR 2020150007887U KR 20150007887 U KR20150007887 U KR 20150007887U KR 200481216 Y1 KR200481216 Y1 KR 200481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frame
sub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0163U (en
Inventor
봉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to KR2020150007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16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6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1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음벽은,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이격된 제2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제1 수직프레임;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브라켓;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수직프레임; 상기 제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브라켓;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barrier. The soundproofing wall may include a first support frame and a second support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the soundproof wall comprising: a first vertical frame; A first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support frame; A second vertic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A second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a soundproof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Description

방음벽{Soundproof Wall}Soundproof Wall {Soundproof Wall}

본 고안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2 지지프레임에 방음벽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제1,2 지지프레임을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디자인적 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proof wall that allows a soundproof wall to be easi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and does not expos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thereby enhancing the design aesthetic appearance.

방음벽은 주행하는 자동차 또는 기차 등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의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방음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The sound barrier is installed to reduce noise of a running automobile or a train. These soundproof wall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structures. 1 and 2 show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ound barrier.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해서 기초옹벽(1)이 타설되고, 상기 기초옹벽(1)에 베이스플레이트(2)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으로 H 빔(3)이 세워지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H 빔(3) 사이에 방음벽(4)이 삽입되어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1, a base retaining wall 1 is installed for installing a soundproof wall, and a base plate 2 is installed on the base retaining wall 1. As shown in Fig. The H beams 3 are vertically erected on the base plate 2 and the sound insulating walls 4 are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H beams 3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음벽은 H 빔(3) 사이의 공간에 방음벽을 삽입하므로, H 빔(3)이 그대로 노출되어 디자인적 미관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sound barrier wall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 beam 3 is directly exposed as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H beams 3, thereby hindering the design aesthetic appearance.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8622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28622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2 지지프레임에 방음벽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제1,2 지지프레임을 노출시키지 않음으로써 디자인적 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한 방음벽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undproof wall which can easily b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and which does not expos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ound barrier.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이격된 제2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제1 수직프레임;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브라켓;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수직프레임; 상기 제2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브라켓;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ound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and a second support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the sound barrier wall comprising: a first vertical frame; A first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first support frame; A second vertic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A second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a soundproof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또한,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판의 일측이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일면,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지지부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판의 타측이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일면,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vertical fram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Is sandwiched in a space formed by on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second vertical frame including a second projecting portion projecting from one side and a second projecting portion projecting from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larger width and being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wherein the other sid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

또한,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은 제1 서브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에 끼움결합되는 제2 서브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은 제3 서브수직프레임과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에 끼움결합되는 제4 서브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vertical frame includes a first sub-vertical frame and a second sub-vertical frame to be fitted to the first sub-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includes a third sub- And a fourth sub-vertical frame fitted to the frame.

또한,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방음판의 후면과 접촉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완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방음판의 후면과 접촉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a first cushioning member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 plate, and a second cushioning member,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sound- .

또한, 상기 제1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제2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1 끼움부와 상기 제1 끼움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과 접촉되는 제1 접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제2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2 끼움부와 상기 제2 끼움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과 접촉되는 제2 접촉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vertical frame is form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ushioning member is inserted, a second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vertical frame, Wherein the member includes a first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a first contacting portion that protrudes outside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is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and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contacting the sound insulation plate.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상기 방음판의 전면과 접촉되는 제3 완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방음판의 전면과 접촉되는 제4 완충부재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cushio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fourth cushio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being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상기 제3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제4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과 접촉되는 제1 밀착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완충부재는 상기 제2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과 접촉되는 제2 밀착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have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third buffer member is inserted,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ourth buffer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buffer member And a first contact surface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insertion groove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wherein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has a first insertion portion which is fitt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portion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또한, 상기 제3 완충부재 및 상기 제4 완충부재는 상기 방음판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third cushioning member and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are formed by pressing protrusions for pressing the sound insulation plate.

또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면에는 마감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finishing cap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제1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서브브라켓 및 제2 서브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이 삽입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서브브라켓 및 제4 서브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may include a first sub bracket and a second sub brack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insert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a third sub bracket and a fourth sub bracke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2,3,4 서브브라켓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 또는 제2 수직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면부와,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또는 제2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b brackets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or the second vertical frame, and a coupling surfac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or the second support frame. .

또한, 상기 제1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이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방음판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프레임, 하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horizontally are provided, and the soundproof panel includes the horizontal fram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the horizontal fram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And is preferably coupl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방음판이 거치되도록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 상기 거치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판의 일측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면, 상기 거치부, 및 상기 압착부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horizontal frame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so as to mount the soundproof plate and a compression bonding part coupled to an end of the mounting part when the width of the mounting par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art, ,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pace formed by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방음판의 후면과 접촉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패킹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압착부에는 상기 방음판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재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elastically deformable packing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 plate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a pressing member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press the entire surface of the soundproof plate is coupled to the compression unit.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패킹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과 접촉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packing member is inserted, and the packing membe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a packing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coupling groove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Do.

또한, 상기 압착부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과 접촉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into which the pressing member is inserted, and the pressing member includes a latch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and a pressing portion which protrudes outside the latching groove and contacts the sound- Do.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방음판의 표면을 압착하는 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is protruded from the pressing portion.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이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inforcing frame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frame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또한,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이 지지베이스 위에 설치되고, 최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지지베이스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are provided on the support base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support base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

또한, 상기 제1 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덮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over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또한, 상기 방음판에는 줄무늬가 인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strips are printed on the soundproof plate.

또한, 상기 제1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이 상기 제1,2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may be formed with a first slot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lot,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re configured to adjust a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은, 제1,2 지지프레임에 방음벽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지지베이스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방음벽을 설치 시공할 때 방음벽을 사전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the soundproof wall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Since the soundproof wall can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in a state where the soundproof wall is assembled beforehand when the soundproof wall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provided on the support base,

또한, 제1,2 지지프레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Further, by preven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from being expo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nhancing the appearance.

도1은 종래 방음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Ⅲ-Ⅲ선 단면도,
도4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의 요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6은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7은 연결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도2의 Ⅷ-Ⅷ선 단면도,
도9는 도8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9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11 내지 도13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설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oundproof wal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2,
FIG. 4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4,
FIG. 6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4,
7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connection bracket,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2,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essential part of Fig. 9,
11 to 13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soun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도4의 요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6은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연결브라켓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2의 Ⅷ-Ⅷ선 단면도이고, 도9는 도8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10은 도9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 barri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II in FIG. FIG. 4 is an excerpt of the main part of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FIG. 4 separated, and FIG. 6 is an illustration exaggerating the main part of FIG. 7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connection bracket.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2,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and FIG. 10 is an illustration exaggerating the main part of FIG.

먼저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제1 지지프레임(1)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1)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지지프레임(2)에 결합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1)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은 지지베이스(3) 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1)과 제2 지지프레임(2)과 인접하여 또 다른 제1 지지프레임(1)과 제2 지지프레임(2)이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베이스(3) 위에는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데, 이때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을 본 명세서에서 제1 지지프레임(1)및 제2 지지프레임(2)으로 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프레임(1)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은 H 빔이다.2 and 3, a sound b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frame 1 and a second support frame 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1 Lt; / RTI >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provided on a support base 3 and are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The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can be continuously installed. That is, on the support base 3, support frames for installing the sound barrier walls are continuously provided. Here, the support fram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referred to as a first support frame 1 and a second support frame 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H beams.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제1 수직프레임(10), 제2 수직프레임(20), 제1 연결브라켓(30), 제2 연결브라켓(40), 및 방음판(50)을 포함한다.Th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10, a second vertical frame 20, a first connection bracket 30, a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and a sound insulation board 50 .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은 상기 제1 지지프레임(1)과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은 제1 돌출부(11), 제1 지지부(12)를 구비한다.The first vertical frame 10 is a fram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1. The first vertical frame 10 has a first protrusion 11 and a first support 12.

상기 제1 돌출부(11)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11)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된다.The first protrusion 1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s shown in Fig. 4, the first projection 11 protrudes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상기 제1 지지부(12)는 상기 제1 돌출부(11)의 단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12)의 중앙부가 상기 제1 돌출부(11)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1 지지부(12)는 상기 제1 돌출부(1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상기 방음판(50)의 일측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일면, 상기 제1 돌출부(11), 및 상기 제1 지지부(1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진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projection 11. [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is coupled to the first projection 11 using bolts.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has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 One side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sandwich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1, and a space formed by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 [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은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은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에 끼움결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ncludes a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a second sub-vertical frame 14, and the second sub- And is fitted into the vertical frame 13.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은 대략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1
" 형상으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1
Quot; shape.

도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은 그 상측에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13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132)이 형성된다. 또한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돌출부(1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리브(133)가 돌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has a first groove 131 in which an upper side of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is fitted, and a second sub- A second groove 132 into which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4 is fitted is formed. And a first rib 133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to form a part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은 대략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2
"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2
Quot; shape.

도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의 상측은 상기 제1 홈(131)에 끼워지고, 하측은 상기 제2 홈(132)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11)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리브(141)가 돌출 형성된다. 5,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is fitted into the first groove 131, and the lower side thereof is fitted into the second groove 132. A second rib 141, which forms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projection 11, is protruded.

따라서, 상기 제1 돌출부(11)는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이 서로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1 리브(133)와 상기 제2 리브(14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12)의 중앙부는 상기 제1 리브(133)에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11 is formed on the first rib 133 and the second rib 141 when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is fastened to the first rib 133 by bolts.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에는 제1 완충부재(60)가 결합된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에는 상기 제1 완충부재(60)가 삽입되는 제1 끼움홈(15)이 형성된다. The first buffer member (60) is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0).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s form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15 into which the first cushioning member 60 is inserted.

상기 제1 완충부재(60)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방음판(50)의 후면과 접촉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완충부재(60)는 방음판(5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시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1 완충부재(60)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하며, 방음판(50)에 밀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cushioning member 6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The first cushioning member (60) is provided to prevent shaking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and to absorb an impact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he first cushioning member 6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such as rubbe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상기 제1 완충부재(60)는 제1 끼움부(61)와 제1 접촉면부(62)를 포함한다. The first cushioning member (60) includes a first fitting portion (61) and a first contact surface portion (62).

상기 제1 끼움부(61)는 상기 제1 끼움홈(15)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제1 접촉면부(62)는 상기 제1 끼움홈(1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The first fitting portion 61 is a portion that fits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5 and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62 protrudes outside the first fitting groove 15, .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은 상기 제2 지지프레임(2)과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은 제2 돌출부(21), 제2 지지부(22)를 구비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a fram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frame 2.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10.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has a second projection 21 and a second support 22.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substanti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vertical frame 10.

상기 제2 돌출부(21)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돌출부(21)는 제1 돌출부(11)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돌출된다.The second protrusion 2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protrudes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like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

상기 제2 지지부(22)는 상기 제2 돌출부(21)의 단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22)의 중앙부가 상기 제2 돌출부(21)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2 지지부(22)는 상기 제2 돌출부(2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상기 방음판(50)의 타측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일면, 상기 제2 돌출부(21), 및 상기 제2 지지부(2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진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projection 21.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using bolts.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has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ojection 21. The other side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sandwiched by a space formed by on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second projec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22.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판(50)의 일측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우측에 끼워지고, 상기 방음판(50)의 타측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좌측에 끼워진다. 물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좌측으로 또 다른 방음판(50)이 끼워지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우측으로 또 다른 방음판(50)이 끼워지게 되어 방음판(5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4, one sid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s fitted t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s fitted to the left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Loses. Another soundproofing plate 50 is fitted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another soundproofing plate 50 is fitt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so that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continuous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제3 서브수직프레임(23)과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은 상기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에 끼움결합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ncludes a third sub-vertical frame 23 and a fourth sub-vertical frame 24, like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ub-vertical frame 23 is fitted to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이고, 우측에 배치되는 부분이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이다.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은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의 구성과 동일하고,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은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의 구성과 동일한다. As shown in FIG. 4, the portion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and the portion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and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is the same as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은 대략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3
" 형상으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3
Quot; shape.

상기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은 그 상측에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3 홈(24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4 홈(242)이 형성된다. 또한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2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3 리브(243)가 돌출 형성된다.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has a third groove 241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a lower side of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on the lower side thereof. A fourth groove 242 is formed. And a third rib (243) forming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21)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은 대략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4
" 형상으로 형성된다.And,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15117950014-utm00004
Quot; shape.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의 상측은 상기 제3 홈(241)에 끼워지고, 하측은 상기 제4 홈(242)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부(21)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4 리브(231)가 돌출 형성된다.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is fitted into the third groove 241 and the lower side is fitted into the fourth groove 242. A fourth rib 231 forming the remaining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21 is protruded.

따라서, 상기 제2 돌출부(21)는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과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이 서로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3 리브(243)와 상기 제4 리브(23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22)의 중앙부는 상기 제3 리브(243)에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Accordingly,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is formed on the third rib 243 and the fourth rib 231 when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and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is fastened to the third rib 243 by bolts.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에는 제2 완충부재(70)가 결합된다.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에는 상기 제2 완충부재(70)가 삽입되는 제2 끼움홈(25)이 형성된다.A second buffer member (70) is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formed with a second fitting groove 25 into which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70 is inserted.

상기 제2 완충부재(70)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방음판(50)의 후면과 접촉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완충부재(70)는 제1 완충부재(60)와 그 기능이 동일하며, 이에 관하여 상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7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nd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second buffering member 7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buffering member 6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 완충부재(70)는 제2 끼움부(71)와 제2 접촉면부(72)를 포함한다. The second buffer member (70) includes a second fitting portion (71)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portion (72).

상기 제2 끼움부(71)는 상기 제2 끼움홈(25)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제2 접촉면부(72)는 상기 제2 끼움홈(2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The second fitting portion 71 is a portion that fits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25 and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72 protrudes outside the second fitting groove 25, .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완충부재(60)는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완충부재(70)는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에도 상기 제1 완충부재(60)와 동일한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에도 상기 제2 완충부재(70)와 동일한 부재가 결합된다. 4, the first buffer member 60 is coupled to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70 is coupled to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do. Of course, the same member as the first buffer member 60 is coupled to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and the same member as the second buffer member 70 is coupled to the fourth sub- do.

상기 제1 지지부(12)에는 제3 완충부재(80)가 결합된다.The third cushioning member (8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상기 제1 지지부(12)에는 상기 제3 완충부재(8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121)은 도4 및 도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 지지부(12)의 우측에 구비되는 홈을 의미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12)의 좌측에는 상기 제1 삽입홈(121)과 동일한 홈이 마련된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2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121 into which the third buffer member 80 is inser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1 refers to a groov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and 5, the same groove as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1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As shown in FIG.

상기 제3 완충부재(80)는 상기 방음판(50)의 전면과 접촉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완충부재(80)는 상기 방음판(50)의 전면을 탄성 가압하여 상기 방음판(5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방음판(50)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third cushioning member (8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third cushioning member 80 is provided to elastically press the front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to prevent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from shaking and to protect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from an external impact.

상기 제3 완충부재(80)는 제1 삽입부(81)와 제1 밀착면부(82)를 포함한다.The third buffer member 80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81 and a first contact surface portion 82.

상기 제1 삽입부(81)는 상기 제1 삽입홈(121)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제1 밀착면부(82)는 상기 제1 삽입홈(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완충부재(80)는 상기 방음판(50)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00)가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돌기(100)는 상기 제1 밀착면부(82)에 형성된다.The first inserting portion 81 is a portion that fits into the first inserting groove 121.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82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inserting groove 121 and the sound inserting plate 50, .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cushioning member (80)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100) protruding to press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Specifically, the pressing projection 100 is formed on the first contact surface portion 82. [

상기 제2 지지부(22)에는 제4 완충부재(90)가 결합된다.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90)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상기 제2 지지부(22)에는 상기 제4 완충부재(9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22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홈(221)은 도4 및 도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 지지부(22)의 좌측에 구비되는 홈을 의미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22)의 우측에는 상기 제2 삽입홈(221)과 동일한 홈이 마련된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is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221 into which the fourth buffer member 90 is inser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1 refers to a groov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4 and 5, the same groove as that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1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상기 제4 완충부재(90)는 상기 방음판(50)의 전면과 접촉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 완충부재(90)의 기능은 상기 제3 완충부재(80)와 동일하며, 그 기능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fourth cushioning member (9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function of the fourth buffer member 90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buffer member 80, and the function thereof has been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4 완충부재(90)는 제2 삽입부(91)와 제2 밀착면부(92)를 포함한다. The fourth buffer member 90 includes a second insertion portion 91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portion 92.

상기 제2 삽입부(91)는 상기 제2 삽입홈(221)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제2 밀착면부(92)는 상기 제2 삽입홈(2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완충부재(90)는 상기 방음판(50)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00)가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돌기(100)는 상기 제2 밀착면부(92)에 형성된다.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91 is a portion that fits into the second inserting groove 221. The second inserting surface portion 92 protrudes outward from the second inserting groove 221 and is inserted into the sound inserting plate 50, .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90)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100) protruding to press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Specifically, the pressing projection 100 is formed 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portion 92. [

상기 제1 지지부(12)와 상기 제2 지지부(22)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3 완충부재(80)와 상기 제4 완충부재(90)의 구성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third buffer member 80 and the fourth buffer member 90 are substantially the same.

상기 제1 지지부(12) 및 상기 제2 지지부(22)의 전면에는 마감캡(1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12)의 양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110)의 양단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캡(110)은 제1 지지부(12) 및 상기 제2 지지부(22)를 체결하는 볼트가 녹슬지 않도록 하고, 볼트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않도록 마감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5는 제1 지지부(12)에 결합되는 마감캡(110)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2 지지부(22)에 결합되는 마감캡(110) 역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finishing cap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 As shown in FIG. 5,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2, and both ends of the finishing cap 110 are formed with lock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grooves. The finishing cap 110 is provided to prevent the bolts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12 and 22 from rusting and to finish the bolts so as not to expose them to the outside. 5 shows the finishing cap 110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part 12 and the finishing cap 110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ing part 22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연결브라켓(3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제1 지지프레임(1)을 연결한다.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connects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

상기 제1 연결브라켓(30)은 제1 서브브라켓(31)과 제2 서브브라켓(32)을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includes a first sub bracket 31 and a second sub bracket 32.

상기 제1 서브브라켓(31)과 상기 제2 서브브라켓(3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브라켓(31)과 상기 제2 서브브라켓(32)의 사이에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The first sub bracket 31 and the second sub bracket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sub bracket 31 and the second sub bracket 32.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브브라켓(31) 및 상기 제2 서브브라켓(32)은 지지면부(120)와 체결면부(121)를 포함한다. 6, the first sub bracket 31 and the second sub bracket 32 include a support surface portion 120 and a coupling surface portion 121. As shown in FIG.

상기 지지면부(120)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체결면부(121)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면부(12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12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체결면부(121)가 연장된다. 상기 지지면부(120)의 연장방향과 상기 체결면부(121)의 연장방향은 서로 수직하다. 상기 지지면부(120)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 및 상기 체결면부(121)와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은 각각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is a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coupling surface portion 121 is a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frame 1. A connecting portion 122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is provided and the connecting surface portion 121 is extended by being bent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22. [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20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surface portion 12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20,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fastening surface portion 121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 are bolted together.

상기 제1 연결브라켓(30)에는 제1 장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장공(33)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A first elongated hole (33)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The first elongated hole (33) is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that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1).

상기 제1 장공(33)은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브브라켓(31) 및 상기 제2 서브브라켓(32)의 체결면부(121)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지지면부(120)에는 제1 장공(33)이 형성된다.The first elongated hole 33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6, a bolt hole is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 portion 121 of the first sub bracket 31 and the second sub bracket 32, and a bolt hole is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 portion 120 of the second sub bracket 32. In this embodiment, One long hole 33 is formed.

상기 제2 연결브라켓(40)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과 제2 지지프레임(2)을 연결한다. 상기 제2 연결브라켓(4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연결브라켓(3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connects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상기 제2 연결브라켓(40)은 제3 서브브라켓(41)과 제4 서브브라켓(42)을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includes a third sub bracket 41 and a fourth sub bracket 42.

상기 제3 서브브라켓(41)과 상기 제4 서브브라켓(42)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3 서브브라켓(41)과 상기 제4 서브브라켓(42)의 사이에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The third sub bracket 41 and the fourth sub bracket 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third sub bracket 41 and the fourth sub bracket 42.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서브브라켓(41) 및 상기 제4 서브브라켓(42)은, 상기 제1 서브브라켓(31) 및 상기 제2 서브브라켓(32)과 마찬가지로 지지면부(120)와 체결면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면부(120)와 상기 체결면부(121)의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4, the third sub bracket 41 and the fourth sub bracket 42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b bracket 31 and the second sub bracket 32, And a fastening surface portion 121.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and the coupling surface portion 121 is omitted.

상기 제3 서브브라켓(41) 및 상기 제4 서브브라켓(42)의 지지면부(120)와 체결면부(121) 역시 연결부(12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부(120)와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 및 상기 체결면부(121)와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은 각각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of the third sub bracket 41 and the fourth sub bracket 42 is also connected to the coupling surface portion 121 by the connection portion 122.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and the second vertical The frame 20, and the fastening surface portion 12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bolted together.

상기 제2 연결브라켓(40)에도 상기 제1 연결브라켓(30)과 동일하게 제2 장공(4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장공(43)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이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다. A second long hole 43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The second long hole (43) is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frame (2).

상기 제2 장공(43)은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장공(43)은 제3 서브브라켓(41) 및 제4 서브브라켓(42)의 지지면부(120)에 형성된다.The second elongated hole 43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ong hole 43 is formed in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of the third sub bracket 41 and the fourth sub bracket 42. [

도7은 제1 연결브라켓(3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의 좌측과 도7의 우측에 도시된 상태의 차이는 제1 지지프레임(1)의 크기에 있다. 도7의 좌측에 도시된 제1 지지프레임(1)이 도7의 우측에 도시된 제1 지지프레임(1)보다 작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Fig. 7 shows the use state of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Fi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side of Fig. 7 and the right side of Fig. 7 lies in the siz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7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support frame 1 shown on the left side is smaller than the first support frame 1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도7과 같이 제1 지지프레임(1)의 크기가 작은 경우는 체결면부(121)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제1 지지프레임(1)의 크기가 큰 경우는 체결면부(121)의 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도7은 제1 연결브라켓(3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연결브라켓(40)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7, when the siz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small, the end portions of the fastening surface portion 121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siz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is large, So that the end portions thereof are orien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Of course, FIG. 7 illustrates the use of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but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may also be used in the same manner.

따라서, 본 고안 실시예에 채용된 제1 연결브라켓(30) 및 제2 연결브라켓(40)은 제1 지지프레임(1)또는 제2 지지프레임(2)의 크기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Therefore,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generally used depending on the siz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or the second support frame 2 .

상기 방음판(5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 사이에 배치된다. The sound insulating plate 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구체적으로, 상기 방음판(50)의 일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일면, 제1 돌출부(11), 및 제1 지지부(1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지고, 상기 방음판(50)의 타측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일면, 제2 돌출부(21), 및 상기 제2 지지부(2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진다.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s sandwiched by a space formed by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side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sandwiched by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and a space formed by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2.

상기 방음판(50)에는 줄무늬(51)가 인쇄된다. 상기 줄무늬(51)는 조류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줄무늬(51)의 인쇄 방식은 실크 인쇄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tripes (51) are printed on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The stripes 51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collision of algae, and the printing of the stripes 51 can be performed by a known method such as silk printing.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수평프레임(130), 보강프레임(160), 덮개프레임(180) 및 스크린부재(170)를 더 포함한다.Th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30, a reinforcing frame 160, a cover frame 180, and a screen member 170.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일단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에 볼트 또는리벳을 이용하여 체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타단은 상기 제2 수직프엠에 볼트 또는 리벳을 이용하여 체결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 또는 제2 수직프레임(2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41)가 각각 2개씩 형성된다. The horizontal frame 130 is a frame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horizontally.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s fasten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0 using bolts or rivets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s fasten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130 using bolts or rivets . 9, two fastening portions 141 for fastening the first vertical frame 10 or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respectively, do.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복수 개 마련된다. 상기 방음판(50)은 상부에 위치한 수평프레임(130), 하부에 위치한 수평프레임(130), 및 상기 제1,2 수직프레임 사이에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frames 130 are provided. The soundproof panel 50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horizontal frame 130,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거치부(131)와 압착부(132)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horizontal frame 13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31 and a pressing portion 132.

상기 거치부(131)는 상기 방음판(50)이 거치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 도9를 기준으로 "ㄷ"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The mounting portion 131 is a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o be mounted on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and protruding in a "C" shape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압착부(132)는 상기 거치부(131)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1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상기 방음판(50)의 일측은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일면, 상기 거치부(131), 및 상기 압착부(13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진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음판(50)의 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일면, 상기 거치부(131), 및 상기 압착부(13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진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방음판(50)의 상단 역시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일면, 상기 거치부(131), 및 상기 압착부(13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진다.The pressing part 132 is coupled to an end of the mounting part 131 and has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art 131. One side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sandwiched by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space formed by the pressing portion 132. 9, the lower end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fitted into a space formed by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pressing portion 132.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end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also fitted into a space formed by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mounting portion 131, and the pressing portion 132.

상기 수평프레임(130)에는 패킹부재(140)가 결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30)에는 상기 패킹부재(140)가 삽입되는 체결홈(133)이 형성된다. A pack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horizontal frame 13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33 into which the packing member 140 is inserted.

상기 패킹부재(140)는 상기 방음판(50)의 후면과 접촉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고무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40)는 체결부(141)와 패킹부(142)를 포함한다.The packing member 14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For example, rubber or the like. The packing member 140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141 and a packing portion 142.

상기 체결부(141)는 상기 체결홈(133)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패킹부(142)는 상기 체결홈(13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체결홈(133)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140)가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패킹부재(140)는 상술한 제1 완충부재(60) 또는 제2 완충부재(70)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upling part 141 is a part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3 and the packing part 142 is a part protruding outside the coupling groove 133 and contacting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9, fastening grooves 13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packing member 140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respectively . Since the packing member 14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buffer member 60 or the second buffer member 7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압착부(132)에는 가압부재(150)가 결합된다. 상기 압착부(132)에는 상기 가압부재(150)가 삽입되는 걸림홈(1321)이 형성된다. The pressing member 150 is coupled to the pressing part 132. The pressing part 132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1321 into which the pressing member 150 is inserted.

상기 가압부재(1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가압부재(150)는 상기 패킹부재(140)와 마찬가지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50)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방음판(50)의 전면을 가압하여 압축된다. The pressing member 150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pressing member 150 may be made of rubber or the like as the packing member 140. The pressing member 15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presses the front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to be compressed.

상기 가압부재(150)는 걸림부(151)와 가압부(152)를 포함한다.The pressing member 150 includes a latching portion 151 and a pressing portion 152.

상기 걸림부(151)는 상기 걸림홈(1321)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가압부(152)는 상기 걸림홈(13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13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걸림홈(132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150)가 상기 압착부(13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가압부재(150)는 상술한 제3 완충부재(80) 또는 제4 완충부재(90)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압부재(150)의 가압부(152)에는 방음판(50)의 표면을 압착하는 압착돌기(1521)가 돌출 형성된다. The engaging portion 151 is a portion of the engaging groove 1321 and the pressing portion 152 protrudes outside the engaging groove 1321 and contacts the sound insulating plate 50. 9, latching grooves 1321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rimping portion 132 and the pressing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rimping portion 132, respectively . Since the pressing member 15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third buffer member 80 or the fourth buffer member 9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 pressing protrusion 1521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is protruded from the pressing portion 152 of the pressing member 150.

상기 보강프레임(160)은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60)은 방음벽이 설치되는 지역의 풍향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frame 16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13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reinforcing frame 160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 consideration of the wind dir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soundproof wall is installed.

상기 덮개프레임(18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 제2 지지프레임(2), 제1 수직프레임(10), 및 제2 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단부를 마감처리한다.The cover frame 180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the second support frame 2,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So as to finish the upper end portion.

상기 스크린부재(170)는 제1 수직프레임(10) 및 제2 수직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된 방음판(50)이 고압의 물청소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The screen member 170 is provided to prevent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from being pushed back when cleaning the high pressure water.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은 지지베이스(3) 위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에 제1 수직프레임(10)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에 제2 수직프레임(2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제2 수직프레임(2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30)이 배치될 때, 최하측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30)과 상기 지지베이스(3)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부재(170)는 상기 이격 공간에 설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base 3. A first vertical frame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a second vertical frame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2. [ When the horizontal frame 130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horizontally is disposed,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support base 3, The screen member 170 is installed in the spaced space.

상기 스크린부재(170)의 일단은 상기 지지베이스(3)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평프레임(130)에 고정된다. 방음판(50)의 유지 관리를 위해서 주기적으로 고압을 이용하여 물청소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재(170)에 의해 방음판(50)의 하단부가 고압의 물에 의해 뒤로 밀려서 방음판(50)이 구조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One end of the screen member 170 is fixed to the support base 3,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Water cleaning is performed periodically using high pressure for maintenance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At this tim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is pushed back by the high-pressure water by the screen member 170 to prevent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from being structurally deformed.

이하,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soun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베이스(3) 위에 제1 지지프레임(1)과 제2 지지프레임(2)을 서로 이격하여 설치한다. 도11에는 제1 지지프레임(1)과 제2 지지프레임(2)이 각각 한 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베이스(3)에는 제1 지지프레임(1)및 제2 지지프레임(2)이 복수 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provided on the support base 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11 shows one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but a plurality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provided in the support base 3 Can be arranged continuously.

이어서,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에 제1 연결브라켓(30)을 체결하고, 제2 지지프레임(2)에 제2 연결브라켓(40)을 체결한다. 제1 연결브라켓(30)은 제1 서브브라켓(31)과 제2 서브브라켓(32)이 이격되어 고정되고, 제2 연결브라켓(40)은 제3 서브브라켓(41)과 제4 서브브라켓(42)이 이격되어 고정된다.Next,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is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is fasten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2. The first and second sub brackets 31 and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is fixed to the third sub bracket 41 and the fourth sub bracket 42 are spaced apart and fixed.

이어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프레임(10)을 제1 연결브라켓(30)을 이용하여 제1 지지프레임(1)에 고정하고, 제2 수직프레임(20)을 제2 연결브라켓(40)을 이용하여 제2 지지프레임(2)에 고정한다. 12,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using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2) by using the bracket (40).

이때,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제2 수직프레임(20) 사이에는 복 수개의 수평프레임(130)이 설치된 상태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제2 수직프레임(20)에 고정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30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Both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are fix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이러한 상태에서, 방음판(50)을 설치한다. 최하측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30)의 거치부(131)와, 상기 최하측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30)의 거치부(131)에 방음판(50)을 놓고, 상기 거치부(131)에 압착부(132)를 결합하여 상기 방음판(50)의 위치를 1차적으로 셋팅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30)과 그와 인접한 수평프레임(130) 사이에 방음판(50)을 거치하고 압착부(132)를 결합하여 1차적으로 방음판(50)의 위치를 셋팅한다.In this state, the soundproof plate 50 is installed. The sound insulating plate 50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31 of the horizontal frame 130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and the mounting portion 131 of the horizontal frame 130 disposed above the lowermost horizontal frame 130. [ And the position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is first set by connecting the compression unit 132 to the mounting unit 131. [ The soundproof panel 50 is plac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adjacent horizontal frame 130 in the same manner and the compression panel 132 is coupled to set the position of the soundproof panel 50 primarily.

상하 방향으로 방음판(50)이 모두 배치되면, 방음판(50)의 좌우측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 지지부(12)를 제1 돌출부(11)에 결합하고, 제2 지지부(22)를 제2 돌출부(21)에 결합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압착부(132)의 가압부재(150), 상기 제1 지지부(12)의 제3 완충부재(80), 및 제2 지지부(22)의 제4 완충부재(90)가 방음판(50)을 가압하여 밀착시킨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2 is coupled to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11 in order to fix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And engages with the projection 21. In this process, the pressing member 150 of the pressing portion 132, the third buffer member 80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and the fourth buffer member 90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50) is press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물론, 상기한 방음판(50)의 설치 과정은, 수평프레임(130)에 압착부(132)를 결합하여 1차적인 위치 셋팅을 수행하고, 제1 수직프레임(10)과 제2 수직프레임(20)에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22)를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1차적으로 방음판(50)의 좌우 측면을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22)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위치 셋팅하고 수평프레임(130)에 압착부(132)를 체결하여 설치를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the compression unit 132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to perform a primary position setting,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so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by first setting the position by using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ightening the compression part 132 with the horizontal frame 130.

이어서, 제1 지지부(12), 제2 지지부(22), 및 압착부(132)에 마감캡(110)을 체결하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프레임(10) 및 제2 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에 덮개프레임(180)을 체결하고, 최하측에는 스크린부재(170)를 체결하여 방음판(50)의 시공을 완료한다. Next, the finishing cap 110 is fastened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2, and the pressing portion 132 so that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0, The cover frame 180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and the screen member 170 is fastened to the lowermost side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

한편, 현장에서의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판(50)은 개별적인 단위체를 미리 가조립하고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최종 조립을 완료하여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horten the assembling time in the field and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y assembling individual unit bodies in advance and finally final assembling in the field.

구체적으로, 제1 수직프레임(10)의 제1 서브수직프레임(13), 제2 수직프레임(20)의 제3 서브수직프레임(23),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을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30), 그리고 제1 서브수직프레임(13), 제3 서브수직프레임(23), 및 수평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방음판(50),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에 체결되는 제1 지지부(12), 상기 수평프레임(130)에 체결되는 압착부(132)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위체를 사전에 복수개를 가조립해 둔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부(12) 및 압착부(132)는 방음판(50)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느슨하게 가조립하는 것으로 족하다.Specifically,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the third sub-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30 connecting vertical frames 23 and a plurality of sound insulation boards 50 arranged between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A first supporting part 12 fastened to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a pressing part 132 fastened to the horizontal frame 130 are used to form one unit. A plurality of such unit bodies are assembled in advance. At this time, it is enough that the first support part 12 and the compression part 132 loosely assemble to the extent that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s not detached.

설명의 편의상 개별적으로 3개의 단위체가 가조립된 후에 시공 현장에서 조립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단위체를 중심으로 좌측에 제2 단위체가 결합되고, 우측으로 제3 단위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rocess of assembling three unit pieces separately on a construction site after they are assembled will be described.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unit body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unit body and the third unit body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will be described.

이렇게 사전에 준비된 단위체들을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시공 현장에서는 상기 단위체를 서로 끼움 결합한다. The previously prepared units are transferred to the construction site so that the unit pieces are fitted to each other at the construction site.

구체적으로, 제1 단위체의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2 단위체의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을 끼움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의 구조가 동일하고, 제2 서브수직프레임(14)과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기 제1 단위체의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2 단위체의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이 끼움 결합되어 결국 제1 수직프레임(10)을 구성하게 된다.Concretely,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of the first unit piece and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of the second unit piec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are the same, and the structures of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and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are the same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of the first unit body and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of the second unit body are fitt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the first vertical frame 10.

또한, 제2 수직프레임(20) 역시 상술한 단위체를 끼움 결합하여 완성된다. 즉, 제3 단위체의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은 상기 제1 단위체의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에 끼움 결합하고,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의 끼움결합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2 수직프레임(20)이 만들어지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을 제2 연결브라켓(40)을 이용하여 제2 지지프레임(2)에 고정한다. 최종적으로 제2 수직프레임(20)에 제2 지지부(22)를 견고히 체결하고, 상기 제1 지지부(12), 압착부(132)가 충분히 방음판(50)을 압착하도록 조여준다. 그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lso,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completed by fitting the above-described unit pieces. That is,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of the third unit piece is fitted into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of the first unit body, and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the third sub-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2 by using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2 by using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 Finally,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2 is firmly fasten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 and the pressing portion 132 tightly tightly press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Since the processes thereafter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제1 지지프레임(1)과 제2 지지프레임(2)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단위체를 이용하여 방음판(50)을 시공하는 경우, 가조립 상태로 이송 후 최종 조립이 수행되므로 시공을 신속하게 하고, 시공 현장에서 방음벽을 구성하는 구성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und barrier wa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uch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not exposed, Since the final assembling is performed after transfer to the assembled state, it is possible to speed up the construction and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sound barrier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제1 지지프레임 2... 제2 지지프레임 3... 지지베이스
10... 제1 수직프레임 11... 제1 돌출부 12... 제1 지지부
121... 제1 삽입홈 13... 제1 서브수직프레임 131... 제1 홈
132.. 제2 홈 133... 제1 리브 14... 제2 서브수직프레임
141... 제2 리브 15.. 제1 끼움홈 20... 제2 수직프레임
21... 제2 돌출부 22... 제2 지지부 221... 제2 삽입홈
23... 제3 서브수직프레임 231... 제4 리브 24... 제4 서브수직프레임
241... 제3 홈 242... 제4 홈 243... 제3 리브
25... 제2 끼움홈 30... 제1 연결브라켓 31... 제1 서브브라켓
32... 제2 서브브라켓 33... 제1 장공 40... 제2 연결브라켓
41... 제3 서브브라켓 42... 제4 서브브라켓 43... 제2 장공
50... 방음판 51... 줄무늬 60... 제1 완충부재
61... 제1 끼움부 62... 제1 접촉면부 70... 제2 완충부재
71... 제2 끼움부 72... 제2 접촉면부 80... 제3 완충부재
81... 제1 삽입부 82... 제1 밀착면부 90... 제4 완충부재
91... 제2 삽입부 92... 제2 밀착면부 100...가압돌기
110... 마감캡 120... 지지면부 121... 체결면부
122... 연결부 130... 수평프레임 131... 거치부
1321... 걸림홈 132... 압착부 133... 체결홈
140... 패킹부재 141... 체결부 142... 패킹부
150... 가압부재 151... 걸림부 152... 가압부
1521... 압착돌기 160... 보강프레임 170... 스크린부재
180... 덮개프레임
1 ... first support frame 2 ... second support frame 3 ... support base
10 ... first vertical frame 11 ... first projecting portion 12 ... first supporting portion
121 ... first insertion groove 13 ... first sub-vertical frame 131 ... first groove
132. Second groove 133 ... First rib 14 ... Second sub-vertical frame
141 ... second rib 15 .. first fitting groove 20 ... second vertical frame
21 ... second projecting portion 22 ... second supporting portion 221 ... second insertion groove
23 ... third sub-vertical frame 231 ... fourth rib 24 ... fourth sub-vertical frame
241 ... third groove 242 ... fourth groove 243 ... third rib
25 ... second fitting groove 30 ... first connecting bracket 31 ... first sub bracket
32 ... second sub bracket 33 ... first long hole 40 ... second connection bracket
41 ... third sub bracket 42 ... fourth sub bracket 43 ... second elongated hole
50 ... soundproof plate 51 ... stripe 60 ... first buffer member
61 ... first fitting portion 62 ... first contacting surface portion 70 ... second buffering member
71 ... second fitting portion 72 ... second contacting surface portion 80 ... third buffering member
81 ... first insertion portion 82 ... first close contact surface portion 90 ... fourth buffer member
91 ... second insertion portion 92 ... second close contact surface portion 100 ... pressing projection
110 ... finishing cap 120 ...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1 ... fastening surface portion
122 ... connection part 130 ... horizontal frame 131 ... mounting part
1321 ... engaging groove 132 ... pressed portion 133 ... fastening groove
140 ... packing member 141 ... fastening part 142 ... packing part
150 ... pressing member 151 ... engaging portion 152 ... pressing portion
1521 ... compression protrusion 160 ... reinforcing frame 170 ... screen member
180 ... cover frame

Claims (16)

제1 지지프레임(1)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1)과 이격된 제2 지지프레임(2)에 결합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제1 수직프레임(10);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을 연결하는 제1 연결브라켓(30);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수직프레임(20);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을 연결하는 제2 연결브라켓(40);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방음판(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브라켓(30)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이 삽입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서브브라켓(31) 및 제2 서브브라켓(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브라켓(40)은,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이 삽입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서브브라켓(41) 및 제4 서브브라켓(42)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4 서브브라켓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 또는 제2 수직프레임(20)에 결합되는 지지면부(120)와, 상기 지지면부(12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비스듬이 연장되는 연결부(122), 및 상기 연결부(122)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지면부(12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프레임(1) 또는 제2 지지프레임(2)에 결합되는 체결면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와, 상기 제1 돌출부(1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1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12)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판(50)의 일측이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일면, 상기 제1 돌출부(11), 및 상기 제1 지지부(1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은,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21)와, 상기 제2 돌출부(2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돌출부(2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22)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판(50)의 타측이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일면, 상기 제2 돌출부(21), 및 상기 제2 지지부(2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은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에 끼움결합되는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은 제3 서브수직프레임(23)과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에 끼움결합되는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30)이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방음판(50)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프레임(130), 하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프레임(130), 및 상기 제1,3 서브수직프레임(13,23)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상기 방음판(50)이 거치되도록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거치부(131)와, 상기 거치부(1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 상기 거치부(131)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부(132)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음판(50)의 일측은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일면, 상기 거치부(131), 및 상기 압착부(132)가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끼워지되,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은 상측에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13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132)이 형성되며, 하측에 상기 제1 돌출부(1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리브(13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은 상측은 상기 제1 홈(131)에 끼워지고, 하측은 상기 제2 홈(132)에 끼워지며, 하측에는 상기 제1 돌출부(1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리브(1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11)는 상기 제1 서브수직프레임(13)과 제2 서브수직프레임(14)이 서로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1 리브(133)와 상기 제2 리브(141)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12)의 중앙부는 상기 제1 리브(133)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은 상측에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3 홈(241)을 갖고, 하측에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4 홈(242)을 가지며,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2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3 리브(2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은 상측이 상기 제3 홈(241)에 끼워지고, 하측은 상기 제4 홈(242)에 끼워지며, 하측에 상기 제2 돌출부(21)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4 리브(2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21)는 상기 제3 서브수직프레임(23)과 제4 서브수직프레임(24)이 서로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3 리브(243)와 상기 제4 리브(231)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제2 지지부(22)의 중앙부는 상기 제3 리브(243)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A soundproof wall coupled to a first support frame (1) and a second support frame (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frame (1)
A first vertical frame (10);
A first connection bracket (30)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
A second vertical frame (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connect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nd a sound insulation plate (50) dispos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includes a first sub bracket 31 and a second sub bracket 32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insert the first vertical frame 10,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includes a third sub bracket 41 and a fourth sub bracket 42 which are spaced from each other to insert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first, second, third,
A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0 or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 connecting portion 122 bent from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120 and extending obliquely, And a fastening surface portion 121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surface portion 120 extends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 or the second support frame 2 and,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1 protruding from one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11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protrusion 11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1, Wherein one sid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the first protrusion 11, and a space formed by the first support 12 Fitte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ncludes a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projecting from one side and a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and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 And the other sid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Fitted,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ncludes a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a second sub-vertical frame 14 fitted to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includes a third sub-vertical frame 23 and a fourth sub-vertical frame 24 fitted to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30 connecting horizontally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are provided,
The soundproof panel 50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horizontal frame 130,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first and third sub vertical frames 13 and 23, The mounting part 130 includes a mounting part 131 protruded from one side so as to mount the soundproofing board 50 and a pressing part 13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unting part 131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art 131. [ Wherein one side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is sandwiched betwee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space formed by the mounting part 131 and the pressing part 132,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has a first groove 131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is fitted, and a lower side of the second sub- And a first rib 133 protru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first groove 133 to form a part of the first protrusion 11,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is fitted into the first groove 131,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is fitted into the second groove 13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b- A second rib 141 is protruded,
The first protrusion 11 is formed by the first rib 133 and the second rib 141 when the first sub-vertical frame 13 and the second sub-vertical frame 14 are fitted to each oth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 is fastened to the first rib 133 by bolts,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has a third groove 241 on the upper side of which the upper side of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is fitted, and a lower side of the third sub- A third rib 243 having a fourth groove 242 and forming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1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ide,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has an upper side fitted into the third groove 241, a lower side fitted into the fourth groove 242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21 A fourth rib 231 is protruded,
The second protrusion 21 is formed by the third rib 243 and the fourth rib 231 when the third sub-vertical frame 23 and the fourth sub-vertical frame 24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is fastened to the third rib (243) by bol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의 일면에는 상기 방음판(50)의 후면과 접촉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완충부재(60)가 결합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일면에는 상기 방음판(50)의 후면과 접촉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완충부재(7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ushioning member 60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ing plate 50 on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oundproofing plate 5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70) is elastically deform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에는 상기 제1 완충부재(60)가 삽입되는 제1 끼움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에는 상기 제2 완충부재(70)가 삽입되는 제2 끼움홈(2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60)는 상기 제1 끼움홈(15)에 끼워지는 제1 끼움부(61)와 상기 제1 끼움홈(1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제1 접촉면부(6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부재(70)는 상기 제2 끼움홈(25)에 끼워지는 제2 끼움부(71)와 상기 제2 끼움홈(2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제2 접촉면부(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vertical frame 10 is formed with a first fitting groove 15 into which the first cushioning member 60 is inserted and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The second fitting groove 25 is formed,
The first cushioning member 60 includes a first fitting portion 61 that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5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61 that protrudes outside the first fitting groove 15 and is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 1 contact surface portion 62,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70 includes a second fitting portion 71 that is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25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71 that protrudes outside the second fitting groove 25 and is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 2 contact surface portion (7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12)에는 상기 방음판(50)의 전면과 접촉되는 제3 완충부재(80)가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부(22)에는 상기 방음판(50)의 전면과 접촉되는 제4 완충부재(9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cushioning member 8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unit 12 and a fourth cushioning member 80 that contacts the front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unit 22. [ And a member (90) is coupl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12)에는 상기 제3 완충부재(8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22)에는 상기 제4 완충부재(9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완충부재(80)는 상기 제1 삽입홈(121)에 끼워지는 제1 삽입부(81)와 상기 제1 삽입홈(1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제1 밀착면부(82)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완충부재(90)는 상기 제2 삽입홈(221)에 끼워지는 제2 삽입부(91)와 상기 제2 삽입홈(2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되는 제2 밀착면부(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121 into which the third buffer member 80 is inserted and the second buffer portion 22 is formed with a second buffer member 2 insertion grooves 221 are formed,
The third cushioning member 80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81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1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that protrudes outside the first insertion groove 121 and is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 1 contact surface portion 82,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90 includes a second insertion portion 91 tha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1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1 and is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 2 contact surface (9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완충부재(80) 및 상기 제4 완충부재(90)는 상기 방음판(50)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0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rd cushioning member (80) and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90) are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100) protruding to press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12) 및 상기 제2 지지부(22)의 전면에는 마감캡(11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nishing cap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12)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30)에는 상기 방음판(50)의 후면과 접촉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패킹부재(140)가 결합되고, 상기 압착부(132)에는 상기 방음판(50)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재(15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frame 130 is coupled with an elastically deformable packing member 14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The compression unit 132 is provided with a pressing frame And a member (150) is coupl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30)에는 상기 패킹부재(140)가 삽입되는 체결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140)는 상기 체결홈(133)에 끼워지는 체결부(141)와 상기 체결홈(13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하는 패킹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9. The method of claim 8,
The horizontal frame 130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33 into which the packing member 140 is inserted,
The packing member 140 includes a coupling part 141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3 and a packing part 142 protruding outside the coupling groove 133 to be in contact with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Features a sound barri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32)에는 상기 가압부재(150)가 삽입되는 걸림홈(1321)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150)는 상기 걸림홈(1321)에 끼워지는 걸림부(151)와 상기 걸림홈(13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음판(50)과 접촉하는 가압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essing part 132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1321 into which the pressing member 150 is inserted,
The pressing member 150 includes a latching portion 151 that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1321 and a pressing portion 152 that protrudes outside the latching groove 1321 and contacts the soundproofing plate 50 Features a sound barr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52)에는 상기 방음판(50)의 표면을 압착하는 압착돌기(1521)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compression protrusion (1521)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sound insulation plate (50) is protruded from the pressing portion (15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30)을 보강하는 보강프레임(16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frame (160) for reinforcing the horizontal frame (13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frame (1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프레임(1)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이 지지베이스(3) 위에 설치되고, 최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프레임(130)과 상기 지지베이스(3)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frame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2 are provided on the support base 3 and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support base 3, Further comprising a screen member (170) installed in the spaced apart space, if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프레임(10) 및 상기 제2 수직프레임(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덮개프레임(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frame (18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50)에는 줄무늬(51)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ripe (51) is printed on the sound insulation board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브라켓(30)에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1)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장공(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브라켓(40)에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2)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장공(43)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이 상기 제1,2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longated hole 33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bracket 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1,
The second connection bracket 40 is formed with a second slot 43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frames are adjustable in spacing dista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KR2020150007887U 2015-12-02 2015-12-02 Soundproof Wall KR20048121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87U KR200481216Y1 (en) 2015-12-02 2015-12-02 Soundproof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87U KR200481216Y1 (en) 2015-12-02 2015-12-02 Soundproof Wal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29A Division KR20150090327A (en) 2014-01-27 2014-01-27 Soundproof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3U KR20160000163U (en) 2016-01-15
KR200481216Y1 true KR200481216Y1 (en) 2016-08-31

Family

ID=5517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87U KR200481216Y1 (en) 2015-12-02 2015-12-02 Soundproof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16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4385A (en) 2008-12-18 2010-07-01 Central Japan Railway Co Gap filling structure
KR101039875B1 (en) 2011-01-21 2011-06-09 솔로몬산업 주식회사 Assembly soundproofing wall which can be easily taken amaintenance
KR101091767B1 (en) 2011-07-06 2011-12-08 도아기업주식회사 Soundproofing walls using laminated glas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550A (en) * 2007-07-26 2009-02-02 (주)대원시스템 Transparent sound absorbing walls with a layered pattern
KR20110128622A (en) 2010-05-24 2011-11-30 (주) 퓨어텍이엔씨 Soundproofed wa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4385A (en) 2008-12-18 2010-07-01 Central Japan Railway Co Gap filling structure
KR101039875B1 (en) 2011-01-21 2011-06-09 솔로몬산업 주식회사 Assembly soundproofing wall which can be easily taken amaintenance
KR101091767B1 (en) 2011-07-06 2011-12-08 도아기업주식회사 Soundproofing walls using laminated g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3U (en)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174B1 (en) Partition having connecting device
CA2597186A1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245237B1 (en) Panel structure including cover
CN105828668A (en) Drawer wall element and filler element for a drawer wall, and item of furniture
GB2531643A (en) Hood for motor vehicle body
US20110107696A1 (en) Item of wall-like standing furniture
KR200303366Y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cable tray
JP2012132296A (en) Attachment structure of glass panel
KR200481216Y1 (en) Soundproof Wall
KR100989890B1 (en) Soundproofing panel
KR20150090327A (en) Soundproof Wall
KR101005163B1 (en) Prefabricated soundproof pannel
KR101838436B1 (en) A frame module for prefabricated structures
KR100900508B1 (en) Drainage plate for wall
US9675173B2 (en) Drawer sidewall assembly
US10231543B2 (en) Covering device for a surface side of a wall element
JP2007031935A (en) Soundproof panel installing structure
KR200403203Y1 (en) Plastic panel for sound insulation fence
KR101422543B1 (en) Flooring panel assembly and clip used for the same
KR101387577B1 (en) Soundproof wall
JP3575447B2 (en) Wall panel equipment
KR101824461B1 (en) Coupling unit for sandwich panel
KR200448355Y1 (en) Uupper frame connecting structure for a partition and the connector
JP2005282168A (en) Sound insulation panel
KR101608441B1 (en) Frame for Soundproof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