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92Y1 -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 Google Patents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92Y1
KR200481192Y1 KR2020140007266U KR20140007266U KR200481192Y1 KR 200481192 Y1 KR200481192 Y1 KR 200481192Y1 KR 2020140007266 U KR2020140007266 U KR 2020140007266U KR 20140007266 U KR20140007266 U KR 20140007266U KR 200481192 Y1 KR200481192 Y1 KR 200481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rame
user
vertical frame
high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2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1240U (en
Inventor
조재춘
Original Assignee
조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춘 filed Critical 조재춘
Priority to KR2020140007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92Y1/en
Publication of KR20160001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4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외측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폴리기구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터플라이기구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apparatus for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care apparatus for a toilet, which comprises a main fram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a toilet, And a fitness device coupled to the main frame, the fitness device comprising a high poly instrument that is vertically rotatab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and a butterfly mechanism that is horizontally pivotal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toilet bowl Wherein the exercising device is us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a toilet seat so as to be able to induce a pleasant condition through instantaneous pressure act upon defecation.

Description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0001]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0002]

본 고안은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이폴리기구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터플라이기구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apparatus for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lthcare apparatus for a toilet, And a fitness device coupled to the main frame, the fitness device comprising a high poly instrument that is vertically rotatab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eat, and a butterfly mechanism that is horizontally pivotal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toilet bowl Wherein the exercising device is us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a toilet seat so as to be able to induce a pleasant condition through instantaneous pressure act upon defecation.

많은 현대인들이 식생활의 서구화 등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변비를 겪고 있다. 변비는 항문과 직장에서 분변이 배출됨에 있어서, 분변을 축적한 상태로 장시간 지속되었을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직장팽만과 복통,피부발진, 어깨결림 등의 증상이 생기며, 항문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장내 세균의 이상증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대장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Many modern people are suffering from constipation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westernization of their diet. Constipation is the discharge of feces in the anus and rectum, when the fecal matter has accumul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such cases, symptoms such as rectal bloating, abdominal pain, skin rash, and shoulder stiffness may occur and may cause anal disease. In addition, abnormal proliferation of intestinal bacteria may occur and may progress to colon cancer.

이러한 변비의 원인에는 대장, 직장 및 항문의 구조적 이상에서 발생하는 기질적 변비와 기능적 이상에서 오는 기능적 변비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기능적 변비의 70%이상이 직장형 변비로 약물이나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복부 내압을 증가시키는 쪼그려 앉는 자세나, 직장감압을 증가시키는 앉는 자세를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다.Causes of constipation include functional constipation resulting from functional constipation and functional constipation resulting from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he large intestine, rectum and anus. Of these, 70% or more of functional constipation is rectal constipation, which does not require medication or surgery. In this case, you can get help through squatting posture that increases abdominal pressure or sitting posture that increases rectal decompression .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양변기좌석은 사용자의 배변활동시 인체공학적 즉, 해부학적으로 배변활동이 용이하게 설계되어 있지 못하고 단지 양변기 위에 양변기좌석이 수평적으로 얹혀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양변기 좌석을 이용하여 배변활동을 하는 과정을 인체공학적(해부학적)관점에서 살펴 보면, 배변활동자는 양변기 좌석에 착석하여 배변활동을 하게 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엉덩이와 대퇴부가 양변기 좌석과 수평으로 밀착하게 되고 아울러 허리는 자연스럽게 대퇴부와 수직에 가깝게 되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대퇴부와 엉덩이 주변에 배변 활동자의 중량이 실리게 되고 또한 허리도 대퇴부와 수직에 가깝게 됨에 따라 엉덩이 주변을 상부의 내향으로 직접 압박하여 직장의 통로를 수축시키고 마지막 배변통로를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배변활동을 원할 치 못하게 하며 아울러 복부근육도 긴장을 시켜 복부내 장(intestine)의 연동운동도 방해받게 된다. 이는 결국 변비 및 치질등 항문관련 질환을 야기 시킨다.Currently, the commonly used toilet seat is ergonomic, ie, it is not designed to facilitate anatomical defecation at the time of the user's bowel movement, and the seat of the toilet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toilet. In view of the ergonomic (anatomic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using such a toilet seat, the toilet attendant is seated in the seat of the toilet seat to perform the bowel movement, wherein the user's hips and thigh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 And the waist is naturally closer to vertical to the thigh. In this posture, the weight of the pancreas is weighted around the thigh and hip, and as the waist is close to vertical to the thigh, the waist is directly pressed inward toward the upper part to constrict the passage of the rectum and bend the last defecation passageway, And the abdominal muscles are also strained to interfere with the peristalsis of the intestine. This eventually causes anal-related diseases such as constipation and hemorrhoids.

또한, 자연스런 배변을 위해 하복부에 적절한 힘을 주어야 하지만, 변비시 의학적 대처방안외에 운동부족 등으로 근육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힘을 줄 수 있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 더불어, 최근 IT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발달로 활용도가 높아져 배변시에도 IT기기를 사용하는 일이 많으며, 허리와 고개를 구부린 상태에서 아래를 쳐다보며 사용함에 따라 목과 허리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배변이 이루어져 원활한 배변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잘못된 배변습관으로 항문관련 질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proper abdominal force should be given to the lower abdomen for natural defecation, but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to give strength in the condition that muscles are not developed due to lack of exercise besides medical coping in constipation. In addition, IT devices (smart phones, for example) have recently become more and more util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devices, and many IT devices are used at times of bowel movements. With the back and the head bent, And bowel movements are being performed. Therefore, this anomalous disease is accelerating due to the wrong bowel habi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해 쾌변을 유도하고, IT기기나 책 등을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바른자세를 유지하면서 신체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화장실용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nduces a refreshing effect through momentary pressurizing activity at the time of defecation, and it enables the IT device or the book to be mounted in a crad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care apparatus for a toilet which can be used for a toil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양변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양손으로 잡고 당기면서 근육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양손으로 잡는 하이폴리바를 구비한 하이폴리기구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팔을 밀착시킨 후 힘을 가해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면서 근육운동을 할 수 있도록 팔을 밀착시키는 플라이패드를 구비한 버터플라이기구로 구성되는 운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감싸는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수직으로 소정길이의 랙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frame vertically installed outside a toilet; And a high poly instrument having a high poly bar which is engaged with the main frame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muscular movement while holding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y both hands while pulling the muscles and a forc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toilet, And a butterfly mechanism having a fly pad for pivotally moving the arm forward and closing the arm so that the arm can be muscularly moved. When the exerciser is seated in the toilet, Wherein the main frame comprises a vertical frame vertically installed and a horizontal frame horizontal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wherein the main frame includes a fixed frame And a fixed frame surrounding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And a rack of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combination an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terior of the fixe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ion gear engaging with the rack and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하이폴리기구 및 버터플라이기구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파워컨트롤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파워컨트롤밸브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웨이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양변기 외측에 설치할 때 설치공간을 줄여 화장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ylinder in which a piston rod is connected to the high poly mechanism and the butterfly mechanism; And a power control valve provided in the cylinder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The user can easily change a desired weight through the power control valve,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when installing the cylinder outside the toilet.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toilet can be efficiently used.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버터플라이기구에는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도록 플라이패드에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erfly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a cradle is provided on the fly pad so that an IT device or a book can be mounted.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수평프레임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수직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fram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when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horizontal frame is measured to rotate the driving motor, And a sensor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배변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순간적인 가압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쾌변을 유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fecation is performed, the exercising device is used to instantaneously perform the pressing action, thereby inducing a pleasant feeling.

또한, 사용자의 조건에 맞는 웨이트 설정이 용이하며, 화장실 내부에 설치시 설치공간을 줄여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easy to set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internal space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in the inside of the toilet.

또한,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거치대가 구비되어 양변기에 IT기기나 책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목과, 목, 팔 등의 부하를 감소시켜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has a folding table that can hold IT equipment or books, so it can prevent IT devices and books from falling out of the toilet, and can reduce the loads on the wrists, neck, arms, etc. .

도 1 내지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레임의 승하강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illustration of a health care apparatus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descent of the vertica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ealthcare apparatus for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양변기의 외측에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배변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가압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care apparatus for a toilet that can provide a pleasant condition by providing a fitness device on the outer side of a toilet, and using the exercise device when defecating, so that instantaneous pressurization can be performed.

먼저, 본 고안은 양변기(1)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이 구비된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frame 10 installed vertically on the outside of the toilet machine 1 is provided.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본 고안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화장실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흡착판 또는 앙카나 칼브럭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의 구조나 양변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천장에 고정설치할 수도 있다. The main frame 10 forms the basic frame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frame 10 may be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fixing to the floor, ceiling, or wall surface of the toilet. As the fixing means, there can be used a bracket having a fastening hole to be fastened through a fastener such as an attracting plate or an anchor or a knife. Also, the main frame 10 may be fixed to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toilet or the position of the toilet bowl.

상기 운동기구(20)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이폴리기구(30) 및 버터플라이기구(40)로 이루어진다. The exercise device 20 includes a high poly mechanism 30 and a butterfly mechanism 40 coupled to the main frame.

하이폴리기구라 함은 와이어와 풀리 및 웨이트(무게추)를 통해 상하로 왕복운동되는 하이폴리바가 구비되는 운동기구로서, 사용자는 상기 하이폴리바를 양손으로 잡아당기면서 근육 운동을 하게 되고, 하이폴리바에 가한 힘을 풀면 웨이트의 하중으로 인해 하이폴리바가 다시 상승하게 된다. The high poly device is a fitness device equipped with a high poly bar that is reciprocated vertically through a wire, a pulley, and a weight. The user pulls the high poly bar with both hands to perform muscle exercis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ar is released, the load of the weight causes the high poly bar to rise again.

버터플라이기구는 와이어와 풀리 및 웨이트(무게추)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북운동되는 플라이패드가 구비되는 운동기구로서, 사용자는 상기 플라이패드에 팔을 밀착시킨 후 힘을 가해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면서 근육 운동을 하게 되고, 플라이패드에 가한 힘을 풀면 웨이트의 하중으로 인해 플라이패드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The butterfly mechanism is a fitness mechanism provided with a fly pad which is horizontally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wire, a pulley, and a weight (weight).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fly pad to bring the arm into contact with the fly pad,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fly pad is released, the fly pa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load of the weight.

이러한 종래의 하이폴리기구 및 버터플라이기구는 반복적인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필수적으로 웨이트(무게추)가 구비되어야만 했다. 그런데, 이러한 웨이트를 화장실에 설치하게 되면 내부공간이 협소해져 화장실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웨이트 수를 변경하는 작업이 어려우며, 사용하지 않는 웨이트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더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Such conventional high poly mechanism and butterfly mechanism have to be provided with a weight (weight) essentially so that repetitive reciprocating motion is possible. However, when such a weight is installed in the toilet, the internal space becomes narrow and inconvenient to use the toile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number of weights, and a separate space for storing unused weights is required.

본 고안은 웨이트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화장실 내부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이폴리기구(30) 및 버터플라이기구(40)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32,42)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파워컨트롤밸브(3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iston rod is connected to the high poly mechanism 30 and the butterfly mechanism 40 so as to prevent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weight and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inside the toilet, And a power control valve (33, 43)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inside the cylinder.

먼저, 상기 하이폴리기구(30)에 구비되는 실린더(32)는 피스톤 로드가 하이폴리바(31)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버터플라이기구(40)에 구비되는 실린더(42)는 피스톤 로드가 플라이패드(32)가 구비되는 회동바(46)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0)과 결합된다.First,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32 provided in the high poly mechanism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high poly bar 31,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main frame.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42 of the butterfly mechanism 40 is connected to the pivot bar 46 provided with the ply pad 3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0.

상기 실린더(32,42)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압식에 비해 설비가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청결한 장점이 있는 공압식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cylinder (32, 42) can be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and it is better to use a pneumatic cylinder that is simpler, more economical and cleaner than a hydraulic system.

상기 파워컨트롤밸브(33,43)는 상기 각 실린더(32,42)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본인의 체중이나 조건에 따라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웨이트를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는 설정된 웨이트 값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세정수의 온도나 시트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비데가 설치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하이폴리기구용 실린더(32) 및 버터플라이기구용 실린더(42)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 및 디스플레이 화면을 추가할 수도 있다.The power control valves 33 and 43 are mounted on the cylinders 32 and 42 to adjust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weight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cylind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his / A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lso,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set weight value. When a bidet including a controller for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or the temperature of the seat is installed, A button and a display screen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32 for the mechanism and the cylinder 42 for the butterfly mechanism may be added.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배변시 IT기기나 책이 양변기 내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더욱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플라이패드(41)에 거치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버터플라이기구(40)와 힌지결합된다. Next, referring to FIG. 3,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at a cradle 50 is provided on the fly pad 41 so as to prevent IT devices or books from falling inside the toilet, . The cradle is hinged to the butterfly mechanism 40 so that the user can rotate and use the cradle as needed.

본 고안은 상기 거치대(5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IT기기나 책을 거치대에 거치한 후 바른 자세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손목이나, 팔, 목, 허리 등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허리를 세운 상태로 배변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활한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load from being generated on the wrist, arms, neck, waist, and the like by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IT device or the book in a proper posture after the user hides the IT device or the book on the mount, So that the bowel movement can be induced in a state where the bowel movement is maintained.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화장실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이폴리기구(30) 및 버터플라이기구(40)가 메인프레임을 통해 승하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installing the main frame vertically on the floor of the toil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through the main frame of the high poly mechanism 30 and the butterfly mechanism 40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1)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감싸는 고정프레임(13)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수직으로 소정길이의 랙(14)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5)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6)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수평프레임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수직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ai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frame 11 vertically installed and a horizontal frame 12 horizont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 rack 14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vertically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is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15) and a driving motor (16)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fram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toilet se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horizontal frame is measured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17 for rotating the driving motor to move up and down the vertical frame.

본 고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1)이 구동모터(17)의 동력을 통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양변기(1)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신장(앉은 키)에 따라 하이폴리바(31)나 플라이패드(41)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vertical frame 11 is configur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7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machine 1, And the fly pad 41 can not be used.

예를 들어, 상기 하이폴리기구(30)가 수평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라도 성인의 경우 쉽게 하이폴리바를 잡을 수 있으나, 어린 아이는 앉은 키가 작고 팔이 짧기 때문에 하이폴리바를 잡을 수 없다. For example, even if the high poly instrument 30 is fixed to a horizontal frame, an adult can easily catch the high poly bar, but a child can not catch the high poly bar because the sitting height is small and the arm is short.

이에 본 고안은 상기 거리측정센서(17)를 통해 수평프레임(12)과 사용자의 머리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1)이 자동으로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앉은 키에 관계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12 and the user's head is sensed through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17 so that the vertical frame 11 is automatically raised and lowered, Allow the instrument to be used.

상기 버터플라이기구(40) 또한 상기 회동바(46)과 연결되는 실린더(42)가 상기 수직프레임(11)과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가압운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다. Since the cylinder 42 connected to the pivoting bar 46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1, the butterfly mechanism 40 can induce a pleasant movement through pressurization regardless of the user's height.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웨이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양변기 외측에 설치할 때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화장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user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minimized when installed outside the toilet bowl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inside the toilet.

또한,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induce a refreshment through momentary pressurization activity at the time of defecation by using the exercise machine while the user is seated in the toilet.

또한,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접이식 거치대가 구비되어 양변기에 IT기기나 책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목과, 목, 팔 등의 부하를 감소시켜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has a folding table that can hold IT equipment or books, so it can prevent IT devices and books from falling out of the toilet, and can reduce the loads on the wrists, neck, arms, etc. .

10 : 메인 프레임 11 : 수직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13 : 고정프레임
14 : 랙 15 : 피니언기어
16 : 구동모터 17 : 거리측정센서
20 : 운동기구
30 : 하이폴리기구 31 : 하이폴리바
32 : 실린더 33 : 파워컨트롤밸브
40 : 버터플라이기구 41 : 플라이패드
42 : 실린더 43 : 파워컨트롤밸브
46 : 회동바
50 : 거치대
10: main frame 11: vertical frame
12: Horizontal frame 13: Fixed frame
14: rack 15: pinion gear
16: drive motor 17: distance measuring sensor
20: Fitness equipment
30: high poly mechanism 31: high poly bar
32: cylinder 33: power control valve
40: Butterfly mechanism 41: Fly pad
42: cylinder 43: power control valve
46: Rotating bar
50: Cradle

Claims (4)

양변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10);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양변기의 상부에 양손으로 잡고 당기면서 근육운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양손으로 잡는 하이폴리바(31)를 구비한 하이폴리기구(30) 및 상기 양변기의 양측에 팔을 밀착시킨 후 힘을 가해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면서 근육운동을 할 수 있도록 팔을 밀착시키는 플라이패드(41)를 구비한 버터플라이기구(40)로 구성되는 운동기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변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운동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배변시 순간적인 가압활동을 통한 쾌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1)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을 감싸는 고정프레임(13)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수직으로 소정길이의 랙(14)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기어(15)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A main frame 1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oilet; And
A high poly instrument (30) having a high poly bar (31) gripped by both hands and capable of performing muscular movement while being pulled with both hands by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And a butterfly mechanism (40) having a fly pad (41) for bringing the arm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rm so that the muscle can move while applying a force and rotating it forwardly, The use of the exercise device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a toilet seat allows the user to induce a refreshment through momentary pressurization activity during defecation,
The main frame comprises a vertical frame (11) vertically installed and a horizontal frame (12) horizontally coupl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A fixed frame 13 fixed to the ground and surrounding the vertical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A rack (14)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vertically coupled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And a pinion gear (15) engaged with the rack and a driving motor (16)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are provided in the fixe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폴리기구(30) 및 버터플라이기구(40)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실린더(32,42); 및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파워컨트롤밸브(3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파워컨트롤밸브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웨이트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양변기 외측에 설치할 때 설치공간을 줄여 화장실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ylinders (32, 42) to which the piston rod is connected to the high poly mechanism (30) and the butterfly mechanism (40); And
And a power control valve (33, 43) provided in the cylinder for regulating a pressure in the cylinder,
Wherein a weight desired by the user can be easily changed through the power control valve, and a space for installing the toilet can be reduced when installed outside the toilet,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toilet can be efficiently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기구에는 IT기기나 책을 거치할 수 있도록 플라이패드에 거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2] The health care apparatus for a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tterfly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cradle on the fly pad to mount an IT device or a boo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양변기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와 수평프레임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수직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센서(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헬스케어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fram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when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horizontal frame is measured to rotate the driving motor, Characterized in that a measuring sensor (17) is provided.
KR2020140007266U 2014-10-06 2014-10-06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KR2004811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6U KR200481192Y1 (en) 2014-10-06 2014-10-06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6U KR200481192Y1 (en) 2014-10-06 2014-10-06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40U KR20160001240U (en) 2016-04-15
KR200481192Y1 true KR200481192Y1 (en) 2016-08-26

Family

ID=5579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266U KR200481192Y1 (en) 2014-10-06 2014-10-06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92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37A (en) * 1998-11-26 2000-06-13 Toto Ltd Toilet stool device
KR100869067B1 (en) * 2007-05-21 2008-1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 electronic health equipment from which user cancontrol exercising load
KR200463740Y1 (en) * 2009-03-13 2012-11-21 (주)맥디자인 Shoulder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36Y2 (en) * 1990-07-03 1995-04-05 株式会社コクサイ Multi-function train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37A (en) * 1998-11-26 2000-06-13 Toto Ltd Toilet stool device
KR100869067B1 (en) * 2007-05-21 2008-11-17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 electronic health equipment from which user cancontrol exercising load
KR200463740Y1 (en) * 2009-03-13 2012-11-21 (주)맥디자인 Shoulder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40U (en)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4247B (e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US11590045B2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synchronized body motions of a user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EP2381909B1 (en)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8510873B2 (en)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for toilets
US11089923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CN108836789B (en) Rolling type rehabilitation auxiliary instrument for medical treatment
CN112316378A (en) Knee osteoarthritis sports rehabilitation apparatus
CN205795990U (en) A kind of self tractive messaging machine
CN207745467U (en) Therapeutic instrument for rehabilitation after a kind of cranial vascular disease
CN106267717A (en) Body-building training apparatus
KR200481192Y1 (en) Health care apparatus for toilet
JP5006458B1 (en) Rehabilitation machine that can measure muscle strength of the legs,
CN20765466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vertical is healthy and strong assessment instrument
US11583147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CN115645853A (en) Comprehensive 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suitable for senile asthenia patients
CN107951678A (en) A kind of clinic Neurology Changes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s rehabilitation nursing device
KR200313393Y1 (en) isokinetic exercising machine of abdominal muscle, waist muscle, leg muscle
CN108853934B (en) Arm injured patient rehabilitation equipment for medical treatment
CN208465067U (en) One kind being used for yoga exercise fitness equipment
WO2009076731A3 (en)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upper limbs of people or patients with diverse physical limitations
RU170676U1 (en) Chair bed for stroke patients
CN108553820A (en) Sit-up exercise device and sit-up exercise device auxiliary exercise method
CN202445536U (en) Fitness chair for people who are old, weak, sick and disabled
CN106852721A (en) The massage machine that auxiliary goes to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