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05Y1 - 문구용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문구용품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1005Y1 KR200481005Y1 KR2020150007261U KR20150007261U KR200481005Y1 KR 200481005 Y1 KR200481005 Y1 KR 200481005Y1 KR 2020150007261 U KR2020150007261 U KR 2020150007261U KR 20150007261 U KR20150007261 U KR 20150007261U KR 200481005 Y1 KR200481005 Y1 KR 2004810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commodating
- space
- housing
- case
- storage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43M99/001—Desk se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구용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삼각형상의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메모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납부(110); 상기 제1 수납부(110)와 동일한 형체를 갖는 삼각형상의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서, 내부에 포스트잇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납부(120);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수직 배치된 채로 양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됨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에 배치되어 전후로 수납공간을 나눔으로써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으로 필기구(2)를 수납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공간을 형성시켜주기 위한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일측 상부에 장착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클립(4)을 부착 및 비치할 수 있도록 한 제1 자성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는 서로 분리 형성되게 구비하거나 또는 일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 형성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모지나 필기구, 포스트잇, 클립의 문구용품들을 한 곳에 수납하여 책상 위에 보관할 수 있으면서 용이하고도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모지나 필기구, 포스트잇, 클립의 문구용품들을 한 곳에 수납하여 책상 위에 보관할 수 있으면서 용이하고도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문구용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 위의 메모지나 필기구 및 클립 등의 다수 문구용품들을 한 곳에 모아 수납 및 정리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문구용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 위에서 사무를 보는 경우, 펜 등의 필기구나 메모지 또는 클립 등 다수 문구용품들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이러한 문구용품들을 책상 위에 비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필기구는 필기구 보관함을 많이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이 필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 수납공간을 갖는 원통이나 사각통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수직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각종 기록을 남기거나 메모하는데 사용되는 메모지는 책상 위에 그냥 비치하거나 또는 메모지 수납공간을 갖는 메모지 보관함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덧붙여, 종이나 서류 따위를 한데 집어 끼워 두도록 만든 클립이 함께 사용되는데, 클립 수납공간을 클립 보관함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필기구나 메모지 또는 클립 등의 문구용품들을 사용시 각각의 보관함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책상 위의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등 책상 위의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으며, 각각의 문구용품을 사용하는데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 및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필기구뿐만 아니라 다른 문구용품도 함께 수납이 가능하게 한 문구용품이 제안 및 출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부피가 크고 콤팩트하지 못하여 책상 위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으며, 능률적인 사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선행기술문헌에 있어 국내등록특허 제10-1437598호에서는 "다용도 수납대"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88815호에서는 "다용도 문구함"의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하에서 제안하는 본 고안의 기술과는 구조설계 및 기술 구현에 있어 차이를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책상 위의 메모지나 필기구 및 클립 등의 다수 문구용품들을 한 곳에 모아 수납 및 정리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문구용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사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모지나 필기구, 포스트잇, 클립을 한 곳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용이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책상 등 사용공간을 깨끗하게 정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책상 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문구용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성을 가지면서 각종 문구용품의 능률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때로는 스마트폰의 거치 기능을 갖게 하는 등 활용도를 넓힐 수 있도록 한 문구용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문구용품 케이스는, 삼각형상의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메모지(1)를 수납하기 위한 메모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납부(110); 상기 제1 수납부(110)와 동일한 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삼각형상의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포스트잇(3)을 수납하기 위한 포스트잇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납부(120);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수직 배치된 채로 양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됨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에 배치되어 전후로 수납공간을 나눔으로써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으로 필기구(2)를 수납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공간을 형성시켜주기 위한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일측 상부에 장착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클립(4)을 부착 및 비치할 수 있도록 한 제1 자성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는 일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 형성되게 구비하거나 또는 서로 분리 형성되게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에는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각각 제2 자성체(150)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제1 수납부(110)에 제2 수납부(120)를 덮어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수납부(120)에 제1 수납부(110)를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수납부(110)는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직판(111)과,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평판(112) 및, 삼각형상을 갖는 2개의 측면판(113)(114)을 일체 구성으로 하여 내부에 메모지(1)를 수납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몸체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수납부(120)는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직판(121)과,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평판(122) 및, 삼각형상을 갖는 2개의 측면판(123)(124)을 일체 구성으로 하여 내부에 포스트잇(3)을 수납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몸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 자성체(140)는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수직판(111) 상부에 장착하여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수납부(110) 내 메모지 수납공간으로 메모지(1)를 수납할 시 수납되는 메모지(1)와 간섭되지 않게 클립(4)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는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삽입 배치 또는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ㄷ"자 형상의 몸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수직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를 전방으로 당겨 경사 배치함에 의해 스마트폰(5)을 제2 수납부(120) 상에 안착 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지지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모지나 필기구, 포스트잇, 클립의 문구용품들을 한 곳에 수납하여 책상 위에 보관할 수 있으면서 용이하고도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책상 등 사용공간을 깨끗하게 정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등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심플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성을 제공하면서 각종 문구용품의 능률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때로는 스마트폰의 거치 기능을 갖게 하는 등 활용도를 넓힐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동일한 형체로 이루어진 2개의 삼각형상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자성체의 장착 및 이를 이용하여 1개의 사각형상 케이스로 만들 수 있어 비 사용시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있어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에 대한 경사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메모지와 필기구를 비롯한 각종 문구용품을 수납 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있어 자성체를 이용한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안착 배치하여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있어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에 대한 경사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메모지와 필기구를 비롯한 각종 문구용품을 수납 처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있어 자성체를 이용한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안착 배치하여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체의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제1 수납부(110) 및 제2 수납부(120)와,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와, 제1 자성체(140), 및 제2 자성체(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문구용품 케이스(100)는 상기 제1 수납부(110) 및 제2 수납부(120)와,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를 구성함에 있어 두꺼운 종이나 판지 등의 종이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는 서로 이웃되게 좌우 배치하여 사용하는 구성이라 할 것인데, 일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 형성되게 구비할 수 있으며, 때로는 서로 분리 형성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부(110)는 삼각형상을 갖는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메모지(1)를 수납하기 위한 메모지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수납부(110)는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직판(111)과,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평판(112) 및, 삼각형상을 갖는 2개의 측면판(113)(114)을 일체 구성으로 하여 내부에 메모지(1)를 수납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몸체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납부(110)는 수직판(111)의 하측 전방에 위치하도록 수평판(112)을 연결 배치하고, 수직판(111)과 수평판(112)의 좌우측면으로 삼각형상의 측면판(113)(114)을 각각 연결 배치함으로써 삼각형상을 갖는 수납 가능한 케이스몸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부(120)는 제1 수납부(110)와 동일한 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삼각형상을 갖는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포스트잇(3)을 수납하기 위한 포스트잇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수납부(120)는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직판(121)과,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평판(122) 및, 삼각형상을 갖는 2개의 측면판(123)(124)을 일체 구성으로 하여 내부에 포스트잇(3)을 수납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몸체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수납부(120)는 수직판(121)의 하측 전방에 위치하도록 수평판(122)을 연결 배치하고, 수직판(121)과 수평판(122)의 좌우측면으로 삼각형상의 측면판(123)(124)을 각각 연결 배치함으로써 삼각형상을 갖는 수납 가능한 케이스몸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는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수직 배치된 채로 양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됨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에 배치되어 전후로 수납공간을 나눔으로써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으로 필기구(2)를 수납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공간을 형성시켜주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때, 상기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는 "ㄷ"자 형상의 몸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삽입 끼움하여 배치 및 상기 제2 수납부(120)의 측면판(123)(124)에 밀착되어 지지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를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배치함에 따라 상기 제2 수납부(120)의 후측으로는 각종 필기구(2)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수납부(120)의 나머지 영역인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의 앞쪽으로 포스트잇(3)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스트잇(3)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즉, 상기 제2 수납부(120)는 내부에 "ㄷ"자 형상의 몸체로 구비되는 상기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를 삽입 배치함에 따라 필기구 수납공간과 포스트잇 수납공간을 양분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문구용품들의 수납에 따른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는 상기 제2 수납부(120)와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수직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를 전방으로 당겨 경사 배치함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5)을 제2 수납부(120) 상에 안착 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지지체로서 사용 및 기능토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문구용품 케이스(100)는 스마트폰(5)의 거치 기능을 갖게 하는 등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제1 자성체(140)는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일측 상부에 장착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클립(4)을 부착 및 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부연하여, 상기 제1 자성체(140)는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수직판(111) 상부에 장착하여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수납부(110) 내 메모지 수납공간으로 메모지(1)를 수납할 시 수납되는 메모지(1)와 간섭되지 않게 클립(4)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수납부(110) 상에 클립(4)을 다수 고정 배치할 수 있으며, 케이스(100) 상에 노출 배치되므로 필요시 사용자가 바로 클립(4)을 뜯어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150)는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의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일측 측면판(113) 또는 양측 측면판(113)(114)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수납부(120)의 일측 측면판(124) 또는 양측 측면판(123)(124)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자성체(150)는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를 일체 구성으로 하느냐 또는 분리 구성으로 하느냐에 따라 장착 위치 및 개수가 달리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자성체(150)를 장착하여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서는 상기 제1 수납부(110)에 제2 수납부(120)를 덮어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수납부(120)에 제1 수납부(110)를 덮어 고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형체로 이루어지는 2개의 삼각형상 케이스몸체의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를 서로 마주하도록 하는 상태로 덮을 수 있고, 상기 자성체(150)의 자성을 이용하여 1개의 사각형상 케이스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100)를 비 사용시 부피를 줄여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를 다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품 케이스(100)는 사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모지(1)나 필기구(2), 포스트잇(3), 클립(4)의 문구용품들을 한 곳에 수납 및 정리할 수 있으며,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능률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메모지 2: 필기구
3: 포스트잇 4: 클립
5: 스마트폰 100: 문구용품 케이스
110: 제1 수납부 120: 제2 수납부
130: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 140: 제1 자성체
150: 제2 자성체
3: 포스트잇 4: 클립
5: 스마트폰 100: 문구용품 케이스
110: 제1 수납부 120: 제2 수납부
130: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 140: 제1 자성체
150: 제2 자성체
Claims (4)
- 삼각형상의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메모지(1)를 수납하기 위한 메모지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1 수납부(110);
상기 제1 수납부(110)와 동일한 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삼각형상의 수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포스트잇(3)을 수납하기 위한 포스트잇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제2 수납부(120);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수직 배치된 채로 양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됨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에 배치되어 전후로 수납공간을 나눔으로써 상기 제2 수납부(120) 내 후측으로 필기구(2)를 수납할 수 있는 필기구 수납공간을 형성시켜주기 위한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일측 상부에 장착되며, 자성을 이용하여 클립(4)을 부착 및 비치할 수 있도록 한 제1 자성체(14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는 일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 형성되게 구비하거나 또는 서로 분리 형성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에는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각각 제2 자성체(150)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제1 수납부(110)에 제2 수납부(120)를 덮어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수납부(120)에 제1 수납부(110)를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품 케이스.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110)는,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직판(111)과,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평판(112) 및, 삼각형상을 갖는 2개의 측면판(113)(114)을 일체 구성으로 하여 내부에 메모지(1)를 수납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몸체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수납부(120)는,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직판(121)과, 사각형상을 갖는 1개의 수평판(122) 및, 삼각형상을 갖는 2개의 측면판(123)(124)을 일체 구성으로 하여 내부에 포스트잇(3)을 수납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몸체로 구비하며;
상기 제1 자성체(140)는,
상기 제1 수납부(110)의 수직판(111) 상부에 장착하여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수납부(110) 내 메모지 수납공간으로 메모지(1)를 수납할 시 수납되는 메모지(1)와 간섭되지 않게 클립(4)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품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수납공간형성부재(130)는,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삽입 배치 또는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ㄷ"자 형상의 몸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수납부(120) 내에 수직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를 전방으로 당겨 경사 배치함에 의해 스마트폰(5)을 제2 수납부(120) 상에 안착 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지지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품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261U KR200481005Y1 (ko) | 2015-11-09 | 2015-11-09 | 문구용품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261U KR200481005Y1 (ko) | 2015-11-09 | 2015-11-09 | 문구용품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1005Y1 true KR200481005Y1 (ko) | 2016-08-02 |
Family
ID=5671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261U KR200481005Y1 (ko) | 2015-11-09 | 2015-11-09 | 문구용품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100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4320A (ko) | 2020-11-27 | 2022-06-03 | 염선영 | 문구 박스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2722Y1 (ko) * | 1983-07-18 | 1987-08-17 | 김진구 | 클립박스 |
KR200388815Y1 (ko) | 2005-04-14 | 2005-07-07 | 정홍룡 | 다용도 문구함 |
KR101437598B1 (ko) | 2013-07-04 | 2014-09-11 | 최준민 | 다용도 수납대 |
JP2015093486A (ja) * | 2013-11-08 | 2015-05-18 | 株式会社ナカショウ | 連結自在の文房具類収納ユニット |
-
2015
- 2015-11-09 KR KR2020150007261U patent/KR20048100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70002722Y1 (ko) * | 1983-07-18 | 1987-08-17 | 김진구 | 클립박스 |
KR200388815Y1 (ko) | 2005-04-14 | 2005-07-07 | 정홍룡 | 다용도 문구함 |
KR101437598B1 (ko) | 2013-07-04 | 2014-09-11 | 최준민 | 다용도 수납대 |
JP2015093486A (ja) * | 2013-11-08 | 2015-05-18 | 株式会社ナカショウ | 連結自在の文房具類収納ユニット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4320A (ko) | 2020-11-27 | 2022-06-03 | 염선영 | 문구 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47243A (en) | Drawing tool holder & organizer | |
KR200481005Y1 (ko) | 문구용품 케이스 | |
US7416356B2 (en) | Note-pad holder with incorporated page mark/cover strap and writing utensil holder | |
US7201528B1 (en) | Notebook cover assembly with ergonomic support | |
KR200465875Y1 (ko) | 사무용품 수납함 | |
KR20110018079A (ko) | 수납 기능을 갖는 독서대 | |
CN210930369U (zh) | 一种财务专用多功能工具箱 | |
KR200463656Y1 (ko) | 탁상달력용 사무용품 수납장치 | |
JP3153094U (ja) | 付箋収納ケース付きペン | |
CN201109328Y (zh) | 多功能文具台 | |
KR20110004893U (ko) | 샤프심 케이스 수납함이 구비된 필통 | |
KR200265740Y1 (ko) | 다용도 수납함이 부설된 수첩 및 다이어리 | |
CN216453786U (zh) | 一种考试用文具盒 | |
CN201756019U (zh) | 一种多功能笔筒 | |
KR200459150Y1 (ko) | 다용도 서류가방 | |
CN211308018U (zh) | 一种便携式会计专用写字板 | |
CN109203806A (zh) | 一种新型笔筒 | |
CN218219609U (zh) | 一种多功能工作位 | |
CN215883108U (zh) | 一种野外地质多功能文件夹 | |
CN210617654U (zh) | 一种商务信息咨询专用文件夹 | |
CN220595477U (zh) | 一种多功能收纳盒 | |
CN201101216Y (zh) | 多功能办公文具盒 | |
RU12945U1 (ru) | Держатель для плоских предметов | |
CN100469596C (zh) | 复式办公用品盒 | |
KR200283526Y1 (ko) | 다기능 서류 보관용 화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