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65Y1 - 호스관 연결체 - Google Patents

호스관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65Y1
KR200480965Y1 KR2020160000627U KR20160000627U KR200480965Y1 KR 200480965 Y1 KR200480965 Y1 KR 200480965Y1 KR 2020160000627 U KR2020160000627 U KR 2020160000627U KR 20160000627 U KR20160000627 U KR 20160000627U KR 200480965 Y1 KR200480965 Y1 KR 200480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se
bonding layer
flange
hos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봉코포레이션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봉코포레이션, 김경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봉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160000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0Adhesive or cement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호스관 연결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는 내부에 호스관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결합홀의 내경에 외경이 용접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에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호스관; 상기 호스관과 연결 파이프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스관과 연결 파이프 및 플랜지를 접합하는 제1 접합부;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압축 파이프; 및 상기 압축 파이프와 호스관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스관과 압축 파이프 및 플랜지를 접합하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스관 연결체{HOSEPIPE CONNECTOR}
본 고안은 호스관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관과 플랜지의 결합력을 높이며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할 수 있는 호스관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선, 원유처리운반선, 시추선, 가스처리운반선 등의 선박에는 필수적으로 유체화물을 하역하거나 목적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다기관(manifold)에 호스관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호스관은 플랜지에 구멍을 뚫은 관을 설치하고 호스관의 단부를 관에 연결한 후 볼트 등을 이용해 접합 후 다기관에 연결된 플랜지와 호스관에 연결된 플랜지를 연결하는 플랜지 접합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호스관은 플랜지와 연결된 연결부위가 약하여 호스관과 플랜지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호스관은 플랜지에 연결된 관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이에 따라 호스관의 곡률 반경이 제한되어 이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스관은 플랜지와의 연결부위 파손 시 가스와 같은 유독성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플랜지에는 별도의 통전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가스의 누출 시 작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스파크와 전기적 누전으로 인한 가스의 폭발과 화재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05-0072282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플랜지와 호스관을 연결하는 호스관 연결체를 통해서 호스관의 굴곡 반경을 높여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가스와 같은 유독성 물질의 누출을 차단하여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호스관 연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는 내부에 호스관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결합홀의 내경에 외경이 용접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일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호스관; 상기 호스관과 연결 파이프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스관과 연결 파이프 및 플랜지를 접합하는 제1 접합부;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압축 파이프; 및 상기 압축 파이프와 호스관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스관과 압축 파이프 및 플랜지를 접합하는 제2 접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용접 부위에 도포되는 제1 접합층;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1 접합층이 연결 파이프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접합층을 외측부를 감싸며 연결 파이프에 결합되는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1 커버층의 외측부에 도포되는 제2 접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플랜지와 호스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 및 호스관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제3 접합층; 상기 플랜지와 호스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 사이에서 가스와 같은 유독 물질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3 접합층을 감싸며 플랜지와 호스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누출 방지층;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3 접합층이 호스관에서 흐르른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누출 방지층과 제3 접합층을 감싸며 호스관에 결합되는 제2 커버층; 상기 제2 커버층의 외측부에 도포되는 제4 접합층; 및 상기 제4 접합층이 제2 커버층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제4 접합층의 외측부를 감싸며 호스관에 결합되는 제3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합층과 제2 접합층은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커버층은 면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접합층과 제4 접합층은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출 방지층은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과 플랜지와 호스관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위가 밀폐되도록 접합 시킬 수 있는 면 소재의 접합 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커버층과 제3 커버층은 면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 파이프는 철판을 원통 형상으로 절곡 형성 시킨 후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에 접합된 제2 접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볼트에 의해 조절되어 압축 파이프를 압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 밴드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플랜지와 호스관을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에 구성되는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를 통해서 플랜지와 호스관의 결합력을 높여 호스관과 플랜지의 연결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와 호스관을 연결하는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를 통해서 호스관의 곡률반경을 개선하여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와 호스관의 연결부위에 누출 방지층이 결합되어 가스와 같은 유독성 물질의 누출을 차단함으로써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에 통전성을 갖는 통전부재를 연결하여 가스와 같은 유독성 물질의 유출 시 스파크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의 연결 파이프가 플랜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 파이프에 제1 접합층이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접합층에 제1 커버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커버층에 제2 접합층이 도포되어 제1 접합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접합부에 호스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호스관에 제3 접합층이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제3 접합층에 누출 방지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누출 방지층과 제3 접합층에 제2 커버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커버층에 제4 접합층이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4 접합층에 제3 커버층이 결합되어 제2 접합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접합부에 압축 파이프와 압축 밴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의 결합 방법에 따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의 연결 파이프가 플랜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결 파이프에 제1 접합층이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1 접합층에 제1 커버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커버층에 제2 접합층이 도포되어 제1 접합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제1 접합부에 호스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호스관에 제3 접합층이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은 도 8의 제3 접합층에 누출 방지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누출 방지층과 제3 접합층에 제2 커버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제2 커버층에 제4 접합층이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4 접합층에 제3 커버층이 결합되어 제2 접합부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제2 접합부에 압축 파이프와 압축 밴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의 결합 방법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100)는 선박 등에 공급되는 유체 및 가스를 하역하는 화물 운송용 호스관(140)과 플랜지(110)의 체결력을 높여 가스 및 유독 물질 등의 누출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호스관 연결체(100)는 플랜지(110), 연결 파이프(120), 제1 접합부(130), 호스관(140), 제2 접합부(150), 압축 파이프(160)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호스관(140)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 파이프(120)가 결합되도록 결합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파이프(120)는 호스관(140)을 플랜지(110)에 연결하는 것으로, 플랜지(110)의 결합홀(111)의 내경에 외경이 용접(W)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관(140)은 연결 파이프(120)의 일부를 수용하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합부(130)는 호스관(140)과 연결 파이프(120)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호스관(140)과 연결 파이프(120) 및 플랜지(110)를 접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접합부(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합층(131), 제1 커버층(132), 제2 접합층(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합층(131)은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연결 파이프(120)의 외주면과 플랜지(110)의 용접(W) 부위에 고르게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버층(132)은 연결 파이프(120)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1 접합층(131)이 연결 파이프(120)에서 흐르른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접합층(131)의 외측부를 감싸며 연결 파이프(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접합층(133)은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1 커버층(132)의 외측부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접합부(130)는 연결 파이프(120)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2 접합층(131)(133)과 제1,2 접합층(131)(133)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커버층(132)으로 적층구조를 이루며 연결 파이프(120)와 호스관(140)을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합층(131)과 제2 접합층(133)은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연결 파이프(120)와 호스관(14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층(132)은 면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져 제1 접합층(131)이 제1 커버층(132)으로 흡수되어 제1 접합층(131)이 연결 파이프(120)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 파이프(120)에 도포된 제1 접합층(131)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관(1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합층(133)이 도포된 연결 파이프(120)에 일부을 수용하며 결합된다
즉, 상기 호스관(140)의 외주면은 연결 파이프(120)의 외주면을 수용하며 결합되고, 제1 접합부(130)를 통해서 연결 파이프(120)와 호스관(140)이 접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합부(150)는 압축 파이프(160)와 호스관(140)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호스관(140)과 압축 파이프(160) 및 플랜지(110)를 접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접합부(150)는 압축 파이프(160)의 내주면과 호스관(140)의 외주면 사이에 구비되어 호스관(140)과 플랜지(110) 및 압축 파이프(160)를 접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접합부(150)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접합층(151), 누출 방지층(152), 제2 커버층(153), 제4 접합층(154), 제3 커버층(155)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접합층(151)은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부위 및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고르게 도포된다.
상기 누출 방지층(152)은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 부위 사이에서 가스와 같은 유독 물질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3 접합층(151)을 감싸며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의 연결 부위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커버층(153)은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3 접합층(151)이 호스관(140)에서 흐르른 것을 방지하도록 누출 방지층(152)과 제3 접합층(151)을 감싸며 호스관(140)에 결합된다.
상기 제4 접합층(154)은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2 커버층(153)의 외측부에 도포된다.
상기 제3 커버층(155)은 제4 접합층(154)이 제2 커버층(153)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제4 접합층(154)의 외측부를 감싸며 호스관(14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접합부(150)는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제3 접합층(151), 누출 방지층(152), 제2 커버층(153), 제4 접합층(154), 제3 커버층(155)이 적층되는 적층구조를 갖게 되며, 호스관(140)의 외측에 결합되는 압축 파이프(160)를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3,4 접합층(151)(154)를 통해서 호스관(140)과 압축 파이프(160)를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접합층(151)과 제4 접합층(154)은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호스관(140)과 플랜지(110) 및 압축 파이프(16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커버층(153)과 제3 커버층(155)은 면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져 제3 접합층(151) 및 제4 접합층(154)이 제2 커버층(153)과 제3 커버층(155)으로 흡수되어 제3 접합층(151)과 제4 접합층(154)이 호스관(140)의 외주면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호스관(140)에 도포된 제3,4 접합층(151)(154)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출 방지층(152)은 호스관(140)의 일단과 플랜지(110)가 연결된 연결 부위가 밀폐되도록 접합시킬 수 있는 면 소재의 접합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 파이프(16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2 접합부(150)를 통해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파이프(160)는 연결 파이프(120)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1 접합부(130)와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2접합부(150)를 압축하여 제1,2 접합부(130)(150)의 접합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 파이프(160)는 철판을 원통 형상으로 절곡 형성 시킨 후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접합된 제2 접합부(1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 파이프(160)의 외주면에는 볼트에 의해 조절되어 압축 파이프(160)를 압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 밴드(161)가 결합된다.
상기 압축 파이프(160)는 압축 밴드(161)를 통해서 압축되어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2 접합부(150)와 호스관(140) 및 연결 파이프(120)에 대응되는 공간에 개재된 제1 접합부(130)을 압축 시켜, 호스관(140), 플랜지(110) 및 연결 파이프(12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압축 파이프(160)가 압축 밴드(161)를 통해 압축되며, 제1 접합부 (130)는 연결 파이프(120)와 호스관(140)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로 밀착되고, 제2 접합부(150)는 호스관(140)과 압축 파이프(160)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로 밀착되어 제1,2 접합부(130)(150)가 연결 파이프(120), 호스관(140) 및 압축 파이프(160)를 견고하게 접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호스관 연결체(100)는 제1 접합부(130)와 제2 접합부(150)는 연결 파이프(120)와 호스관(140) 사이에서 제1,2,3,4 접합층(131)(133)(151)(154), 누출 방지층(152) 제1,2,3 커버층(132)(153)(155)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호스관(140)과 플랜지(11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호스관(140)의 곡률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호스관 연결체(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 파이프(120)의 외경을 플랜지(110)의 개구홀(111)의 내경에 용접(W)한다(S1단계).
이때, 상기 연결 파이프(120)와 플랜지(110)가 용접(W)된 부위에는 별도의 통전부재를 결합 시켜 플랜지(110)의 통전효율을 높인다.
상기 연결 파이프(120)와 플랜지(110)가 용접(W)된 부위와 연결 파이프(120)의 외주면에 제1 접합층(131)을 고르게 도포한다(S2단계).
상기 제1 접합층(131)의 외측부에 면소재의 시트로 이루어진 제1 커버층(132)을 감싸며 연결 파이프(120)에 결합시켜 연결 파이프(120)에서 제1 접합층(131)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S3단계).
상기 제1 커버층(132)의 외측부에 제2 접합층(133)을 고르게 도포한다(S4단계).
상기 제2 접합층(133)이 도포된 연결 파이프(120)의 외주면에 호스관(140)의 내주면을 결합시킨다(S5단계).
상기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이 연결된 부위와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제3 접합층(151)을 고르게 도포한다(S6단계).
상기 제3 접합층(151)이 접착된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의 연결부위에 가스와 같은 유독물지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누출 방지층(152)을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의 연결 부위에 접합된 제3 접합층(151)의 외측부에 2-3회 감싸 호스관(140)과 플랜지(110)의 연결 부위에 결합시킨다(S7단계).
상기 제3 접합층(151)의 외측부에 면소재의 시트로 이루어진 제2 커버층(153)을 감싸며 호스관(140)에 결합시켜 호스관(140)에서 제3 접합층(151)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S8단계).
상기 제4 접합층(154)을 제2 커버층(153)의 외측부에 고르게 도포한단(S9단계).
상기 제4 접합층(154)이 제2 커버층(153)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면 소재의 시트로 이루어진 제3 커버층(155)으로 제4 접합층(154)을 감싸 결합한다(S10단계).
철판을 원통 형상으로 절곡 형성 시킨 후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제3 접합층(151), 누출 방지층(152), 제2 커버층(153), 제4 접합층(154) 및 제3 커버층(155)으로 이루어진 제2 접합부(150)의 외주면에 결합 시킨다(S11단계).
상기 제2 접합부(150)의 외주면에 결합된 압축 파이프(160)의 외주면에 압축 밴드(161)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압축 밴드(161)는 압축 파이프(160)를 압축 시켜 호스관(140)의 외주면에 결합된 제2 접합부(150)와 호스관(140) 및 연결 파이프(120)에 대응되는 공간에 접합된 제1 접합부(130)을 압축하여 호스관(140), 플랜지(110) 및 연결 파이프(120)의 접합력을 높인다(S12단계).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관 연결체(100)는 제1 접합부(130)와 제2 접합부(150)가 연결 파이프(120)와 호스관(140) 사이의 대응되는 공간에 적층되는 구조로 연결 파이프(120)와 호스관(140) 및 압축 파이프(16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을 접합하는 제1 접합부(130)와 제2 접합부(150)를 통해서 호스관(140)의 곡률반경을 개선하여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10)와 호스관(140)의 연결부위에 누출 방지층(152)이 결합되어 가스와 같은 유독성 물질의 누출을 차단하여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10)에 통전성을 갖는 통전부재를 연결하여 가스와 같은 유독성 물질의 유출 시 스파크와 전기적 누전으로 폭발과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호스관 연결체 110: 플랜지
111: 결합홀 120: 연결 파이프
130: 제1 접합부 131: 제1 접합층
132 제1 커버층 133: 제2 접합층
140: 호스관 150: 제2 접합부
151: 제3 접합층 152: 누출 방지층
153: 제2 커버층 154: 제4 접합층
155: 제3 커버층 160: 압축 파이프
161: 압축 밴드 W: 용접

Claims (6)

  1. 내부에 호스관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결합홀의 내경에 외경이 용접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일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호스관;
    상기 호스관과 연결 파이프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스관과 연결 파이프 및 플랜지를 접합하는 제1 접합부;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압축 파이프; 및
    상기 압축 파이프와 호스관의 대응되는 공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호스관과 압축 파이프 및 플랜지를 접합하는 제2 접합부;
    를 포함하는 호스관 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과 플랜지의 용접 부위에 도포되는 제1 접합층;
    상기 연결 파이프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1 접합층이 연결 파이프에서 흐르른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접합층을 외측부를 감싸며 연결 파이프에 결합되는 제1 커버층; 및
    상기 제1 커버층의 외측부에 도포되는 제2 접합층;
    을 포함하는 호스관 연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플랜지와 호스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 및 호스관의 외주면에 도포되는 제3 접합층;
    상기 플랜지와 호스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위 사이에서 가스와 같은 유독 물질의 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3 접합층을 감싸며 플랜지와 호스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누출 방지층;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에 도포된 제3 접합층이 호스관에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누출 방지층과 제3 접합층을 감싸며 호스관에 결합되는 제2 커버층;
    상기 제2 커버층의 외측부에 도포되는 제4 접합층; 및
    상기 제4 접합층이 제2 커버층에 고르게 도포되도록 제4 접합층의 외측부를 감싸며 호스관에 결합되는 제3 커버층;
    을 포함하는 호스관 연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층과 제2 접합층은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커버층은
    면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호스관 연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합층과 제4 접합층은
    내화학성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레진(epoxy resin),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출 방지층은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과 플랜지와 호스관의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위가 밀폐되도록 접합 시킬 수 있는 면 소재의 접합 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커버층과 제3 커버층은
    면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호스관 연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파이프는
    철판을 원통 형상으로 절곡 형성 시킨 후 상기 호스관의 외주면에 접합된 제2 접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볼트에 의해 조절되어 압축 파이프를 압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 밴드가 결합되는 호스관 연결체.
KR2020160000627U 2016-02-03 2016-02-03 호스관 연결체 KR200480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27U KR200480965Y1 (ko) 2016-02-03 2016-02-03 호스관 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27U KR200480965Y1 (ko) 2016-02-03 2016-02-03 호스관 연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65Y1 true KR200480965Y1 (ko) 2016-07-29

Family

ID=5661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627U KR200480965Y1 (ko) 2016-02-03 2016-02-03 호스관 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6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876U (ja) * 1991-11-13 1993-06-11 株式会社トヨツクス ホースの接続構造
JP2849640B2 (ja) * 1989-10-27 1999-01-20 金尾 茂樹 継手付波形管とその製造方法
KR20050072282A (ko) 2004-01-06 2005-07-11 이동익 플랜지 결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640B2 (ja) * 1989-10-27 1999-01-20 金尾 茂樹 継手付波形管とその製造方法
JPH0542876U (ja) * 1991-11-13 1993-06-11 株式会社トヨツクス ホースの接続構造
KR20050072282A (ko) 2004-01-06 2005-07-11 이동익 플랜지 결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889B2 (en) Pipe, pipe connection and pipeline system
CA1260981A (en) Flange connection assembly for fiber-reinforced plastic pipe members
US4398754A (en) Electrically insulated pipe coupl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942422B2 (en) Multiwall pipe lip seal joint
JP2014122706A (ja) アルミニウム箔ホース
JP5628146B2 (ja) 複合ホースのための流体密の端部の管継手及びそのような端部の管継手の上で複合ホースを組み立てる方法
US10632518B2 (en) Pipe end forming methods and pipe clamp
KR200398123Y1 (ko)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이음연결용 체결장치
US20180187835A1 (en) Two-part container assembly for compressed air
US20060244262A1 (en) Sleeve for protection and strengthening of head-to-head welds of plastic pipes
CA3004635C (en) Joint lock ring system for lined pipe
KR20120004547U (ko) 알곤 가스 퍼지용 지그
KR200480965Y1 (ko) 호스관 연결체
MX2013002899A (es) Conexion con ranura de presion nominal.
US6945567B2 (en) Flexible pipe connecting unit
US20040247472A1 (en) Multi-layer compressor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044752B2 (ja) 管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287061A (zh) 一种活法兰自锁接头大口径低刚度平衡挠性接管
US20220196199A1 (en) Pipe replacement system
JP2021076128A (ja) 漏洩補修装置
RU246176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20127862A (ko) 가스이송용 신축이음관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RU242693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выполненной из волокнонаполненной пластмассы трубы или армированной пластмассовой трубы к последующей детали
KR20180000828U (ko) 수밀 성능이 향상된 단관 플랜지붙이 관 구조
US20210025520A1 (en) Assembly comprising a double wall pe sump and an electro-weldable penetration fitting and relative instal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