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19Y1 -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19Y1
KR200480919Y1 KR2020140002268U KR20140002268U KR200480919Y1 KR 200480919 Y1 KR200480919 Y1 KR 200480919Y1 KR 2020140002268 U KR2020140002268 U KR 2020140002268U KR 20140002268 U KR20140002268 U KR 20140002268U KR 200480919 Y1 KR200480919 Y1 KR 200480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odule
solar
fixed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585U (ko
Inventor
최봉석
Original Assignee
최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석 filed Critical 최봉석
Priority to KR2020140002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1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건물 외벽에 'L/I'형 고정구를 건물 지지기둥 상단부에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하고 'L/I'형 고정구의 높이는 건물의 지붕 용마루 높이에 맞게 설치하고, 'L/I'형 고정구 상측으로 지지대를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모듈 고정대를 형성하여 모듈 고정대의 상측으로 태양광 모듈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건물의 방향에 상관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structures for securing the solar modules}
본 고안은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붕 위에 모듈을 설치할 때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붕 위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태양광 모듈을 건물의 방향과 상관없이 남쪽을 향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석유에너지 및 각종 에너지의 고갈 또는 비용 상승으로 대체 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됨에 따라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선호하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화석연료를 대체하면서도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인 태양광, 풍력, 조력을 이용한 친환경 발전설비의 시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발전설비 중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다수 진열시켜 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통상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태양전지판을 직병렬로 연결한 태양전지 집광판과, 집광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 그리고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조절기 및 직교류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 등으로 구성되며, 통상 슬라브 상면 등에 설치하게 되며, 동일 기술분야의 선행기술로는 20-2007-0009640호가 개시되어있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발전량이 일사시간 및 태양광의 태양전지모듈로의 입사각도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태양광 태양전지모듈의 전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건물의 방향이 남쪽이 아니면 태양광을 충분히 받지 못하여 태양광 발전의 효율이 떨어졌으며,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고 있는 구조물은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지 않아 바람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대규모화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에 따른 경제적 부담 및 유지보수를 위해 발생되는 유지보수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 'L/I'형 고정구를 건물 지지기둥 상단부에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하고 'L/I'형 고정구의 높이는 건물의 지붕 용마루 높이에 맞게 설치하고, 'L/I'형 고정구 상측으로 지지대를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모듈 고정대를 형성하여 모듈 고정대의 상측으로 태양광 모듈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건물의 방향에 상관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실시예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건물 외벽에 'L/I'형 고정구(10),(11)의 상단 끝부분이 지붕의 용마루 높이에 맞게 구비하여 볼트 또는 용접으로 'L/I'형 고정구(10),(11)를 건물 외벽에 고정하고, 'L/I'형 고정구(10),(11)의 상측으로 지지대(20),(21)를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대(20),(21)에 일정 간격으로 모듈 고정대(30)를 형성하여 모듈 고정대(30)의 상측으로 태양광 모듈이 남쪽을 향하게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경사지게 형성된 'ㅅ'형 지붕을 가진 건물이어도 'L/I'형 고정구(10),(11)를 건물 외벽에 고정한 후 상측에 지지대(20),(21)와 모듈 고정대(30)를 구비할 수 있어 건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L/I'형 고정구(10),(11)와 지지대(20),(21), 그리고 모듈 고정대(30)는 각각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부식되지 않는 경량철재료(아연도금, 알루미늄, 하이샤시 등)을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11; 'L/I'형 고정구
20,21; 지지대
30; 모듈 고정대

Claims (1)

  1.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건물 외벽에 'L/I'형 고정구(10),(11)의 상단 끝부분이 지붕의 용마루 높이에 맞게 구비하여 볼트 또는 용접으로 'L/I'형 고정구(10),(11)를 건물 외벽에 고정하고, 'L/I'형 고정구(10),(11)의 상측으로 지지대(20),(21)를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대(20),(21)에 일정 간격으로 모듈 고정대(30)를 형성하여 모듈 고정대(30)의 상측으로 태양광 모듈이 남쪽을 향하게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KR2020140002268U 2014-03-21 2014-03-21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KR200480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68U KR200480919Y1 (ko) 2014-03-21 2014-03-21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68U KR200480919Y1 (ko) 2014-03-21 2014-03-21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85U KR20150003585U (ko) 2015-10-02
KR200480919Y1 true KR200480919Y1 (ko) 2016-07-22

Family

ID=5434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68U KR200480919Y1 (ko) 2014-03-21 2014-03-21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19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647B1 (ko) * 2012-06-22 2012-12-14 김동회 작물재배온실을 구비한 태양전지발전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85U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649B2 (en) Photovoltaic module attached to guardrail
KR20120011660A (ko) 평 지붕 각도조절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23686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
KR101218237B1 (ko) 경사 지붕 고정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098122A (ko) 승강식 태양광셀 모듈 고정체
KR101929786B1 (ko)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37231B1 (ko) 지붕형 태양광 구조물의 각도 조절장치
KR101586783B1 (ko) 태양광 발전식 조립형 한식 담장
KR200480919Y1 (ko) 정남향으로 태양광 모듈을 건물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KR20060067673A (ko) 유리창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
CN104104319A (zh) 一种单立柱手动可调式地面固定支架及其安装方法
RU2009108286A (ru) Солнечная установка
JP2014175582A (ja) 太陽光発電装置
JP2014075426A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0479259Y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태양광모듈
KR20120005985U (ko) 집광발전용 채광블록
KR20210088147A (ko) 벽면 태양광 구조시스템
KR20160073844A (ko) 태양광 모듈 지지대
CN106253803B (zh) 太阳能发电系统
KR101301551B1 (ko) 태양광 발전모듈의 고정장치
KR20190012625A (ko) 수직 양면발전형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다목적 방음벽
CN204272010U (zh) 一种增加晶体硅太阳能电池组件转换效率的装置
CN219611715U (zh) 一种光伏发电装置
KR101427763B1 (ko) 루프탑용 일체형 앵커 시스템
CN210179561U (zh) 一种太阳能照明灯的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