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15Y1 -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 Google Patents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15Y1
KR200480915Y1 KR2020150001276U KR20150001276U KR200480915Y1 KR 200480915 Y1 KR200480915 Y1 KR 200480915Y1 KR 2020150001276 U KR2020150001276 U KR 2020150001276U KR 20150001276 U KR20150001276 U KR 20150001276U KR 200480915 Y1 KR200480915 Y1 KR 200480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oring force
safety
support plate
block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송민종
김연주
김세훈
강태욱
시미연
김명중
김영도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1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는, 응급 환자의 몸체를 지지하며, 양측면을 상면의 안쪽 방향으로 감아 말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지지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의 후면 양측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전결합부; 및 쌍을 이루는 안전결합부의 적어도 한 측에 설치되며, 설치된 측의 안전결합부가 지지판에 고정된 방향으로 감기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Backbone Protector Capable of Collecting Safety Belt}
본 고안은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보호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띠를 자동으로 정리함으로써 안전띠의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으로 진입할수록 산업화에 따른 교통사고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저개발 국가는 교통사고율보다 추락사고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고, 특히 국내의 경우 교통사고의 발생이 1년에 80만 건에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교통사고나 추락사고 뿐만 아니라 기타 예기치 않은 사고로 인하여 척추골절을 입는 환자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척추골절 환자는 이송이나 기타 환자를 다루는 과정에서 척추골절에 2차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척추골절의 2차 손상은 척추골절이 경미한 환자도 척추골절의 손상을 더욱 더 진행시켜 전신 또는 하반신이 마비되는 중환자가 되게 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척추골절 환자가 발생하면 척추보호대로 환자의 척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척추보호대는 환자를 눕힌 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안전띠를 구비한다. 이때, 안전띠는 환자의 여러 부위를 고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가닥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그 길이도 환자의 몸을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안전띠는 환자를 병원까지 이송한 후나 척추보호대를 보관하는 도중에 서로 엉킬 수 있기 때문에, 척추보호대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안전띠를 정리하여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당한 수고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6222호 (공개일자: 2009. 03. 12)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척추보호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띠를 자동으로 정리함으로써 안전띠의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는, 응급 환자의 몸체를 지지하며, 양측면을 상면의 안쪽 방향으로 감아 말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지지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의 후면 양측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전결합부; 및 쌍을 이루는 안전결합부의 적어도 한 측에 설치되며, 설치된 측의 안전결합부가 지지판에 고정된 방향으로 감기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부여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및 회전체가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체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전결합부는 복원력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복원력의 방향으로 회전체의 둘레에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여부는, 복원력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복원력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여부는, 복원력차단부에 의한 회전복원력의 차단여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차단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여부는, 안전결합부를 회전체의 설정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안전결합부를 끼워 복원력제공부에 의한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복원력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척추보호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띠를 자동으로 정리함으로써 안전띠의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수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척추보호대의 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척추보호대의 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안전결합부가 감겨진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회전체에 회전복원력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의 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척추보호대의 전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척추보호대의 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척추보호대는 응급 환자의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및 환자의 몸체를 고정하기 위한 안전띠(100)를 구비한다. 이때, 지지판(100)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며, 양측면을 상면의 안쪽 방향으로 감아 말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안전띠(100)는 띠 형상으로 쌍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100)의 후면 양측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제1결합부(210) 또는 제2결합부(220)가 설치되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때, 안전띠(100)는 각각의 일부분에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230)가 설치되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안전띠(200), 제1결합부(210), 제2결합부(220), 제3결합부(230) 등을 통합하여 안전결합부(100)라고 일컫는다.
한편, 안전결합부(100)는 환자 몸체의 여러 부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 또한 설정된 길이 이상으로 구현되는데, 척추보호대를 사용한 이후나 보관 시에는 각각의 안전결합부(100)가 서로 엉킬 수 있기 때문에 척추보호대를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안전결합부(100)를 엉키지 않도록 정리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결합부의 정리과정은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만일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에는 응급 환자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띠의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는 쌍을 이루는 안전결합부(200)의 적어도 한 측에 설치되며, 설치된 측의 안전결합부(200)가 지지판(100)에 고정된 방향으로 감기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여부(310)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부여부(310)는 케이스(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케이스(300)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그 상면이 지지판(100)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지지판(100)에 굴곡이 형성되어 응급 환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안전결합부가 감겨진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회전체에 회전복원력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상부여부(31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체(310)가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체(3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제공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결합부(200)는 복원력제공부(32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복원력의 방향으로 회전체(310)의 둘레에 감긴다. 이때, 복원력제공부(320)는 태엽과 같은 형태로 회전체(310)의 회전방향에 대한 회전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결합부(200)를 회전체(310)에 감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그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그에 따라 복원력제공부(320)는 회전체(31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복원력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안전결합부(200)에는 회전체(310)에 다시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복원력제공부(320)는 회전체(310)에 회전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복원력제공부(32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복원력의 형태는 기재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회전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는 복원력제공부(32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복원력차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원력차단부(330)는 케이스(300)에 설치된 차단제어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제어부(340)는 복원력차단부(330)에 의한 회전복원력의 차단여부를 온/오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단제어부(340)를 이용하여 복원력차단부(330)의 회전복원력의 차단을 온 하는 경우, 복원력차단부(330)는 회전체(310)가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체(3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체(310)는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어느 정도 길이가 연장된 안전결합부(200)에는 복원력제공부(320)에 의한 회전복원력이 미치지 않게 된다.
도 7은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력차단부(350)는 케이스(300)에서 안전결합부(200)가 연장되는 입구의 일측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원력차단부(350)는 안전결합부(200)의 두께 이하의 폭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안전결합부(200)를 잡아당겨 길이를 연장한 다음에 복원력차단부(350)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끼우면, 복원력차단부(350)는 안전결합부(200)를 고정시켜 복원력제공부(320)에 의한 회전복원력을 차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는 안전결합부(200)를 잡아당겨 대향하는 안전결합부(200)와 서로 결합하는 경우, 복원력제공부(32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복원력이 환자에게 미쳐 압박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보호대의 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띠의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는, 척추보호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복원력제공부(320)가 안전결합부(200)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지지판(100)에 고정된 방향으로 자동으로 감기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안전결합부(200)를 정리하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100: 지지판 110: 머리고정부
200: 안전결합부 210: 제1결합부
220: 제2결합부 230: 제3결합부
300: 탄성부여부 310: 회전체
320: 복원력제공부 330, 350: 복원력차단부
340: 차단제어부

Claims (5)

  1. 응급 환자의 몸체를 지지하며, 양측면을 상면의 안쪽 방향으로 감아 말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지지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의 후면 양측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전결합부; 및
    쌍을 이루는 상기 안전결합부의 적어도 한 측에 설치되며, 설치된 측의 상기 안전결합부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방향으로 감기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여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가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체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제공부; 및
    상기 안전결합부를 상기 회전체의 설정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안전결합부를 끼워 상기 복원력제공부에 의한 회전복원력을 차단하는 복원력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결합부는 상기 복원력제공부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복원력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의 둘레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는,
    상기 복원력차단부에 의한 회전복원력의 차단여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차단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5. 삭제
KR2020150001276U 2015-02-26 2015-02-26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KR200480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76U KR200480915Y1 (ko) 2015-02-26 2015-02-26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76U KR200480915Y1 (ko) 2015-02-26 2015-02-26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15Y1 true KR200480915Y1 (ko) 2016-07-22

Family

ID=5661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76U KR200480915Y1 (ko) 2015-02-26 2015-02-26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1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222A (ko) 2007-09-08 2009-03-12 이윤선 척추 보호대
KR20090067823A (ko) * 2007-12-21 2009-06-25 충청북도 응급환자 이송용 분리형 척추보호대
KR20110076230A (ko) * 2009-12-29 2011-07-06 김경 다기능 안전복대
KR20140125598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오텍 안전벨트를 구비한 주들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222A (ko) 2007-09-08 2009-03-12 이윤선 척추 보호대
KR20090067823A (ko) * 2007-12-21 2009-06-25 충청북도 응급환자 이송용 분리형 척추보호대
KR20110076230A (ko) * 2009-12-29 2011-07-06 김경 다기능 안전복대
KR20140125598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오텍 안전벨트를 구비한 주들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8164B2 (en) Helmet having magnetically coupled cheek pads
EP2983627B1 (en) Strap attachment system for orthopedic device
CN108136235B (zh) 用于连接条带的带扣和包括该带扣的呼吸器束具
US9072331B2 (en) Goggle attachment system for a helmet
US5046687A (en) Adaptive torso restraint system
EP3824956B1 (en) Apparatuses for providing fall protection systems
KR102079505B1 (ko)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US3915166A (en) Earplug attached to an elastic band
US11554057B2 (en) Human stabilization platforms and related mattresses
US20110137336A1 (en) Skin protecting tourniquet apparatus
KR200480915Y1 (ko) 안전띠 회수가 가능한 척추보호대
US67551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it and bite protection from dangerous persons
KR101371166B1 (ko) 경추 보조기
US10188882B2 (en) Component for fitting to a safety harness
KR100983907B1 (ko) 응급환자 이송용 분리형 척추보호대
WO2015121787A1 (en) Helmet
WO2017091741A1 (en) Helmet fit adjustment system with releasable hair aperture
KR101507681B1 (ko) 분리형 척추 보호대
WO2023044560A1 (en) Entanglement prevention harness for breathing apparatus
KR102399182B1 (ko) 귀 통증 완화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가드
US20160287426A1 (en) Apparatus restraining hand digit contact with the face
KR101752047B1 (ko) 분리형 척추 보호대
WO2017037433A1 (en) Restraint
EP3229626B1 (en) Helmet removal system and method
CA2884727A1 (en) Ankle br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