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40Y1 -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 Google Patents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40Y1
KR200480840Y1 KR2020140003269U KR20140003269U KR200480840Y1 KR 200480840 Y1 KR200480840 Y1 KR 200480840Y1 KR 2020140003269 U KR2020140003269 U KR 2020140003269U KR 20140003269 U KR20140003269 U KR 20140003269U KR 200480840 Y1 KR200480840 Y1 KR 200480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pe
dirt
drain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005U (ko
Inventor
윤동승
Original Assignee
(주)엔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비건설 filed Critical (주)엔비건설
Priority to KR2020140003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4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0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 등의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관 사이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개폐되는 관형상의 모듈을 구성하여, 배수관 내에 쌓이는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배수관의 개폐를 위한 모듈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개방된 모듈이 정확한 위치에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오물 제거 후에도 배수관으로서의 역할을 반영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휴대용손잡이만을 휴대하면, 배수관로에 설치된 본 고안의 연결모듈 모두를 개폐하여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오물제거과정에서 오물제거구만 분리하여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오물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관 구조 분야, 특히 도로나 교량 등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오물제거구조에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Drainpipe connection module for waste drain}
본 고안은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 등의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관 사이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개폐되는 관형상의 모듈을 구성하여, 배수관 내에 쌓이는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배수관의 개폐를 위한 모듈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개방된 모듈이 정확한 위치에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오물 제거 후에도 배수관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교량 등에는 빗물 등의 배수를 위한 집수관 및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집수관은 노면이나 교량상판 등에 노출되어 오수가 흘러서 모일 수 있도록 매설되고, 집수관으로 모인 오수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빗물 등의 오수와 함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이물질이 배수관 내에 축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관 내에 이물질이 축적되면, 집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배출되지 못한 오수가 노면이나 교량상판에 고이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통행이나 행인의 이동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나 교량 등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배수시설에는 집수관과 배수관에 모인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오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오물수거구조 등이 적용되어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5138호 '교량배수시설 오물수거를 위한 클립형 청소구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배수시설 시공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도 상기한 오물수거구조에 관한 기술이며, 선행기술은 일정간격 이격된 배수관 사이에 클립형의 플랜지를 구성하고, 배수관에 결합된 플랜지를 분리하여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클립형 플랜지가 원통형의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하는 과정에서 강한 힘으로 플랜지를 벌려야 하므로, 플린지의 분리에 어려움이 있어, 오물제거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플랜지의 분리과정에서 플랜지의 형상변형이 발생하므로, 플랜지의 결합 및 분리가 반복될수록 플랜지의 내구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그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플랜지를 과도하게 벌리게 되면, 플랜지가 복원력을 잃어버리게 되어, 재설치가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를 배수관에 결합함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체결되므로,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정확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플랜지가 배수관의 일측으로 밀려나면서 배수관으로부터 플랜지가 이탈되거나 공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등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선행기술의 경우 작업자의 편리성과 오물제거에 따른 배수기능의 연속성 확보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선행기술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오물수거구조에서 동일 내지 유사하게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5138호 '교량배수시설 오물수거를 위한 클립형 청소구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배수시설 시공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오물제거과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오물제거과정을 반복하더라도 구조적 특성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빗물 등의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관 사이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개폐되는 관형상의 모듈을 구성하여, 배수관 내에 쌓이는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배수관의 개폐를 위한 모듈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개방된 모듈이 정확한 위치에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오물 제거 후에도 배수관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은, 일측이 어느 하나의 배수관로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일측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관; 일측이 상기 지지관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의 종단부 외측면에는 결합편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가 일체로 형성된 이동관; 및 일측이 상기 이동관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다른 하나의 배수관로에 고정설치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분리되는 결합편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관;을 포함한다.
또한, 일측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휴대용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의 일측면에는, 상기 휴대용손잡이의 나사돌기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관의 다른 일측 내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이동관의 일측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동관의 다른 일측 내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 및 상기 결합관의 일측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관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물제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는, 일측방향으로 손잡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작업자가 결합부재를 분리하고 이동관을 지지관측으로 슬라이드이동하면, 용이하게 배수관을 개방하여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이동관은, 지지관 및 결합관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오물제거과정을 반복하더라도 구조적 특성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방된 모듈의 이동관이 정확한 위치에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오물 제거 후에도 배수관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는 하나 또는 한 쌍의 휴대용손잡이만을 휴대하면, 배수관로에 설치된 본 고안의 연결모듈 모두를 개폐하여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의 개폐부에, 배수관 내부의 오물을 수집할 수 있는 오물제거구를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오물제거시 오물제거구만을 분리하여 세척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오물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오물제거과정에서 작업자는 배수관에 축적된 오물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제거하지 않고, 오물제거구만 분리하여 세척 또는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오물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관 구조 분야, 특히 도로나 교량 등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오물제거구조에 관련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이동관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A)은 지지관(100), 이동관(200) 및 결합관(300)을 포함한다.
지지관(100)은 일측(도 1에서 우측상부)이 어느 하나의 배수관로(DP1)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배수관로를 구성하는 원형관인 배수관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관(100)을 배수관에 고정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배수관 및 지지관(100)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배수관의 형상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지지관(100)과 더불어 하기에 설명될 이동관(200) 및 결합관(3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관(200)은 일측이 지지관(100)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동관(200)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201)는 이동관(200)의 이동에 의해 이동관(200)이 지지관(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관(20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일측(도 1에서 좌측하부)의 종단부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210)가 형성된다.
결합구(210)는 하기에 설명될 결합편(310)과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결합구(210)와 결합편(310)을 결합부재(400)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이동관(200)의 축회전방향으로 유동(Rolling)되면 결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결합구(210)는,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합과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편(310)이 끼워지는 결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관(300)은 일측이 이동관(200)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다른 하나의 배수관로(DP2)의 배수관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결합관(300)이 이동관(20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고 설명하였으나, 결합관(300)이 배수관에 고정설치되므로, 실질적으로는 이동관(200)의 다른 일측이 결합관(300)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결합관(300)은 배수관로(DP2)를 구성하는 배수관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관(300)의 외측면에는, 결합구(210)와 결합되어 결합부재(400)에 의해 결합분리되는 결합편(310)이 형성된다.
도 1에서, 결합부재(400)는 볼트(410), 너트(420) 및 와셔(4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결합구(210) 및 결합편(310)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면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물제거를 위하여 이동관(200)을 결합관(30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오물제거후 이동관(200)을 결합관(3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이동관(2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구(210)의 일측방향(도 1에서 우측상부방향으로 결합부분의 반대방향)으로 손잡이홈(21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결합구(210)의 손잡이홈(212)을 잡고 이동관(200)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동관(200)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관(200)의 이동에 대한 용이성 향상은 하기에 설명될 휴대용손잡이(500)에 의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이동관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A)은 결합구(21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휴대용손잡이(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용손잡이(500)는 결합구(2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용손잡이(500)의 일측에 나사돌기(513)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구(210)의 일측면에는 나사돌기(513)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나사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용손잡이(500)가 나사결합 이외의 결합방식으로 결합구(210)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관(100), 이동관(200) 및 결합관(30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면, 이동관(200)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축회전방향으로 유동(Rolling)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구(210)와 결합편(31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이동관(200)을 롤링(Rolling)시켜야 하므로, 다소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다소간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관(200)은 가이드홈 및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관(100)에 대한 이동관(2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관(100)의 다른 일측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홈(120)을 형성할 수 있고, 이동관(200)의 일측 외부면에 제1 가이드홈(120)에 끼워져 제1 가이드홈(12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레일(2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관(300)에 대한 이동관(20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이동관(200)의 다른 일측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230)을 형성할 수 있고, 결합관(300)의 일측 외부면에 제2 가이드홈(230)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레일(33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관(200)의 이동시, 제1 가이드홈(120) 및 제1 가이드레일(220), 제2 가이드홈(230) 및 제2 가이드레일(330)에 의해 이동관(200)의 롤링(Rolling)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동관(200)이 결합관(300)으로부터의 분리, 슬라이드이동, 결합관(300)과 결합되는 과정을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 가이드홈(120) 및 제1 가이드레일(220)만을 형성하거나, 제2 기이드홈(230) 및 제2 가이드레일(330)만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어느 하쌍의 가이드홈 및 가이드레일만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A)은, 결합관(300)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물제거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물제거구(600)는 오수와 함께 이동(도 5에서 박스형 화살표 방향)하는 오물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오물이 수집되는 거름망(620)이 결합틀(610)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틀(6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611)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관(300)의 내측면에는 끼움돌기(611)가 끼워지는 끼움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돌기(611)가 일측방향에서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움홈(310)에 결합되면서, 오물제거구(600)가 결합관(3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배수관로를 통과하는 오수의 유량이 많은 경우, 다시 말해 배수관로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오수가 흐르는 힘에 의해 오물제거구(600)가 결합관(300)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실되거나 오히려 배수관을 막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물제거구(600)의 결합틀(610)을 탄성재질로 구성하고, 끼움홈(310)을 결합관(300)의 종단부에서 이격되도록 내측에 형성한 후, 오물제거구(600)를 결합관(300)에 끼우는 과정에서 결합틀(610)을 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관(300)의 일측 내부로 삽입하고, 삽입된 결합틀(610)의 삽입깊이와 롤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하여 끼움돌기(611)가 끼움홈(31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오수에 의해 오물제거구(6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관(3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물제거구(600)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오물제거과정에서 배수관 내부에 축적된 오물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제거하지 않고, 오물제거구(600)만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100 : 지지관 120 : 제1 가이드홈
200 : 이동관 210 : 결합구
212 : 손잡이홈 213 :나사홀
220 : 제1 가이드레일 230 : 제2 가이드홈
300 : 결합관 310 : 결합편
330 : 제2 가이드레일
400 : 결합부재
500 : 휴대용손잡이 513 : 나사돌기
600 : 오물제거구

Claims (5)

  1. 일측이 어느 하나의 배수관로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일측 내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관;
    일측이 상기 지지관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레일이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의 종단부 외측면에는 결합편이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구가 일체로 형성된 이동관; 및
    일측이 상기 이동관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다른 하나의 배수관로에 고정설치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분리되는 결합편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휴대용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의 일측면에는,
    상기 휴대용손잡이의 나사돌기가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의 다른 일측 내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 및
    상기 결합관의 일측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물제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일측방향으로 손잡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KR2020140003269U 2014-04-23 2014-04-23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KR200480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69U KR200480840Y1 (ko) 2014-04-23 2014-04-23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69U KR200480840Y1 (ko) 2014-04-23 2014-04-23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05U KR20150004005U (ko) 2015-11-02
KR200480840Y1 true KR200480840Y1 (ko) 2016-07-15

Family

ID=5470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69U KR200480840Y1 (ko) 2014-04-23 2014-04-23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4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504Y1 (ko) * 2000-06-21 2000-12-01 은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200291457Y1 (ko) * 2002-06-29 2002-10-11 (주)신성엔지니어링 볼트-너트를 이용한 곡관의 교량 배수관 오물제거 장치
US20060043735A1 (en) * 2004-08-26 2006-03-02 Tadros Fred M Remote pipe coup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138A (ko) 2009-05-20 2010-11-30 이지용 교량배수시설 오물수거를 위한 클립형 청소구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배수시설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504Y1 (ko) * 2000-06-21 2000-12-01 은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연장관의 길이조절장치
KR200291457Y1 (ko) * 2002-06-29 2002-10-11 (주)신성엔지니어링 볼트-너트를 이용한 곡관의 교량 배수관 오물제거 장치
US20060043735A1 (en) * 2004-08-26 2006-03-02 Tadros Fred M Remote pipe coup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005U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EP3842151A1 (en) Air-and-dirt separator with modular magnetic assembly
KR200480840Y1 (ko) 오물제거용 배수관 연결모듈
KR102131749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90126063A (ko) 오수받이
JP2009121198A (ja) 雨水取水装置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US20020050473A1 (en) Strainer for collecting debris from a drain
KR101548047B1 (ko) 하수로용 다단 스크린장치
KR101127097B1 (ko) 청소용 배관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AU2016269535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GB2561760A (en) Air-and-dirt separator with modular magnetic assembly
US20180112384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JP6068159B2 (ja) 歯科診療装置における排水トラップ
US8136304B2 (en) Downspout claw
US20140115998A1 (en) Downspout adapter with cleanout
KR101940395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0612931B1 (ko) 공동주택 배수관의 막힘 방지장치
KR101564958B1 (ko)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KR200291457Y1 (ko) 볼트-너트를 이용한 곡관의 교량 배수관 오물제거 장치
KR20110005255U (ko) 정수기용 배수 장치
WO2011134027A1 (en) Treatment system for drainage systems
KR200273503Y1 (ko)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