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01Y1 - 치마 겸용 셔츠 - Google Patents

치마 겸용 셔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01Y1
KR200480801Y1 KR2020160000877U KR20160000877U KR200480801Y1 KR 200480801 Y1 KR200480801 Y1 KR 200480801Y1 KR 2020160000877 U KR2020160000877 U KR 2020160000877U KR 20160000877 U KR20160000877 U KR 20160000877U KR 200480801 Y1 KR200480801 Y1 KR 200480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contractible
extension
skirt
sh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애
Original Assignee
(주)참트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트웰브 filed Critical (주)참트웰브
Priority to KR2020160000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00Shirts
    • A41B1/06Shirts exchangeably attached to underbodices, draw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부와 확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확장부에 제1트임부와 제2트임부가 형성됨으로써, 셔츠로 착용하였다가, 상하를 뒤집어서 치마로도 착용할 수 있는 치마 겸용 셔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치마 겸용 셔츠는, 신축부(100); 상기 신축부(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확장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200)에는 양측으로 각각 개방된 제1트임부(210)와, 상기 신축부(100)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제2트임부(220)가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치마 겸용 셔츠{Combination shirt skirt}
본 고안은 치마 겸용 셔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벌의 옷으로 치마 또는 셔츠로 착용할 수 있는 치마 겸용 셔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의식주(衣食住)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먹거리와 휴식을 취하기 위한 집, 그리고, 몸을 가리고 추위나 더위, 기타 외부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옷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옷(이하 의류)은 몸을 보호하는 기능보다는, 최근 들어서는 패션과 스타일을 뽑내는 수단으로 인식되고있고,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류가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의류는 아무리 패션과 스타일을 뽑내는 것이라 하여도 궁극적으로는 최초 형태에서 특정한 스타일로의 변화가 어렵고, 기능적으로 의류의 형태를 변화시키기란 더더욱 어렵다.
또한, 종래의 의류는 다양한 스타일을 연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결국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의 의류를 새로이 구매하여야 함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2541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축부와 확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확장부에 제1트임부와 제2트임부가 형성됨으로써, 셔츠로 착용하였다가, 상하를 뒤집어서 치마로도 착용할 수 있는 치마 겸용 셔츠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치마 겸용 셔츠는, 신축부(100); 상기 신축부(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확장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200)에는 양측으로 각각 개방된 제1트임부(210)와, 상기 신축부(100)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제2트임부(22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200)에는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을 조절하는 제1결합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신축부(100)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주름지게 형성되고, 내부에 고무밴드가 장착되며, 상기 확장부(200)는 상기 신축부(100)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의 하단 양끝단은 상호 봉제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전면부(200a)와 상기 후면부(200b)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추(310)와 홈으로 이루어지되, 2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부(200a)와 상기 후면부(200b)의 끝단에 좌우 이격되며, 상호 결합시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은 좁아지고, 상호 분리시 상기 제2트임부의 폭은 넓어진다.
일단이 상기 신축부(100)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부(100)의 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착용자의 어께에 걸치게 배치되어 상기 신축부(100)를 착용자의 상체에 고정시키는 연결끈(400); 상기 연결끈(400)의 미사용시 상기 연결끈(400)을 상기 신축부(100) 또는 상기 확장부(200)의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결합수단(500); 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치마 겸용 셔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확장부(200)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셔츠 겸용 치마로 사용할 수 있어 한벌의 옷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연결끈(400)의 타단을 탈부착시키는 상기 제2결합수단(500)이 상기 신축부(100) 또는 상기 확장부(200)의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끈(400)의 미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하여 활동시 불편함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셔츠로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투피스형 치마로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원피스형 치마로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연결끈(400)의 미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셔츠로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타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투피스형 치마로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원피스형 치마로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의 연결끈(400)의 미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치마 겸용 셔츠는 신축부(100), 확장부(200), 제1결합수단(300), 연결끈(400) 및 제2결합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부(100)는 상하 폭이 넓은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주름지게 형성되고, 내부에 고무밴드가 장착되어 둘레가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신축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츠로 착용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피스형 치마로 착용할 시 허리 부분에 밀착 배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피스형 치마로 착용할 시 가슴 부분에 밀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신축부(100)에는 후술할 상기 연결끈(400)과 제2결합수단(500)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확장부(200)는 상기 신축부(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부(100)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며,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폭이 상기 신축부(10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의 끝단의 양측 꼭지점 부근은 상호 봉제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200)에는 양측으로 각각 제1트임부(210)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100)의 반대 방향,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는 제2트임부(220)가 개방 형성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츠로 착용할 시 상기 제1트임부(210)는 양 팔을 삽입하는 소매 부분이 되고, 상기 제2트임부(220)는 머리가 통과되는 카라 부분이 된다.
또한, 상기 제2트임부(220)는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해 좌우 폭이 조절된다.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전면부(200a)와 상기 후면부(200b)를 상호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구체적으로 단추(310)와 구멍(3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2개로 이루어져 좌우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전면부(200a)에는 상기 구멍(320)이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기 후면부(200b)에는 단추(310)가 좌우 이격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결합수단(300)의 사이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제2트임부(220)가 되고,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상호 분리되었을 때에는 상기 전면부(200a)와 상기 후면부(200b)의 양끝단 꼭지점 사이가 제2트임부(220)가 된다.
즉,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이 좁아지고,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상호 분리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해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이 좁아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트임부(210)에 양팔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트임부(220)에 머리를 통과시켜 셔츠로 착용하게 되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해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을 넓게 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트임부(220)로 양 다리가 통과되어 치마로 착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셔츠로 사용시 상기 확장부(200)를 상체에 걸쳐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을 줄이고, 치마로 사용시에는 다리의 보폭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을 확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확장부(200)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셔츠 겸용 치마로 사용할 수 있어 한벌의 옷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연결끈(400)은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신축부(100)의 타단에 좌우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끈(400)은 일단이 상기 신축부(100)의 전면 내측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부(100)의 후면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연결끈(400)의 타단에는 구멍(410)이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100)의 후면 내측에 상기 구멍(410)에 삽입되는 단추(420)가 구비되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끈(4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피스형 치마로 착용하기 위해 상기 신축부(100)를 가슴 부근에 밀착되게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어깨에 전,후방향으로 걸치게 배치되어 상기 신축부(100)를 착용자의 상체에 고정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끈(400)은, 원피스형 치마로 착용하지 않을 때, 즉 미사용시에는, 타단을 후술할 상기 제2결합수단(500)에 의해 상기 신축부(100) 또는 상기 확장부(200)의 내측에 고정시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수단(500)은 단추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축부(1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결합수단(500)은 상기 연결끈(400)의 미사용시 상기 연결끈(400)의 타단이 상기 신축부(10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셔츠로 착용하더라도 상기 신축부(100)의 하부로 늘어져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2결합수단(500)은 상기 연결끈(400)의 길에 따라 상기 확장부(20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끈(400)의 타단을 탈부착시키는 상기 제2결합수단(500)이 상기 신축부(100) 또는 상기 확장부(200)의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끈(400)의 미사용시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하여 활동시 불편함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신축부 200 : 확장부
200a : 전면부 200b : 후면부
210 : 제1트임부 220 : 제2트임부
300 : 제1결합수단 310 : 단추
320: 구멍 400 : 연결끈
500 : 제2결합수단

Claims (4)

  1. 신축부(100);
    상기 신축부(10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된 확장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200)에는 양측으로 각각 개방된 제1트임부(210)와, 상기 신축부(100)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제2트임부(220)가 각각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신축부(100)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신축부(100)의 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착용자의 어께에 걸치게 배치되어 상기 신축부(100)를 착용자의 상체에 고정시키는 연결끈(400);
    상기 연결끈(400)의 미사용시 상기 연결끈(400)을 상기 신축부(100) 또는 상기 확장부(200)의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결합수단(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 겸용 셔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200)에는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을 조절하는 제1결합수단(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치마 겸용 셔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00)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주름지게 형성되고, 내부에 고무밴드가 장착되며,
    상기 확장부(200)는 상기 신축부(100)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부(200a)와 후면부(200b)의 하단 양끝단은 상호 봉제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전면부(200a)와 상기 후면부(200b)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추(310)와 홈으로 이루어지되, 2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부(200a)와 상기 후면부(200b)의 끝단에 좌우 이격되며, 상호 결합시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은 좁아지고, 상호 분리시 상기 제2트임부(220)의 폭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마 겸용 셔츠.
  4. 삭제
KR2020160000877U 2016-02-19 2016-02-19 치마 겸용 셔츠 KR200480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77U KR200480801Y1 (ko) 2016-02-19 2016-02-19 치마 겸용 셔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77U KR200480801Y1 (ko) 2016-02-19 2016-02-19 치마 겸용 셔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01Y1 true KR200480801Y1 (ko) 2016-07-08

Family

ID=5649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77U KR200480801Y1 (ko) 2016-02-19 2016-02-19 치마 겸용 셔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459A (ko) * 2017-07-22 2019-01-30 김재훈 변형 의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874U (ko) * 1997-12-15 1999-07-05 유세환 스판덱스 원피스 바지
JP2006214021A (ja) * 2005-02-02 2006-08-17 Oshima Medias Kk 着回し自在被服
KR20090085183A (ko) * 2008-02-04 2009-08-07 전태봉 상의로 착용가능한 한복바지
KR101077621B1 (ko) * 2010-04-23 2011-10-27 삼양모피 주식회사 다용도 모피의류
KR20140022541A (ko) 2012-08-14 2014-02-25 박혜자 기능성 치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874U (ko) * 1997-12-15 1999-07-05 유세환 스판덱스 원피스 바지
JP2006214021A (ja) * 2005-02-02 2006-08-17 Oshima Medias Kk 着回し自在被服
KR20090085183A (ko) * 2008-02-04 2009-08-07 전태봉 상의로 착용가능한 한복바지
KR101077621B1 (ko) * 2010-04-23 2011-10-27 삼양모피 주식회사 다용도 모피의류
KR20140022541A (ko) 2012-08-14 2014-02-25 박혜자 기능성 치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459A (ko) * 2017-07-22 2019-01-30 김재훈 변형 의류
KR101974157B1 (ko) 2017-07-22 2019-04-30 김재훈 변형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2428A (en) Convertible fur piece
KR200480801Y1 (ko) 치마 겸용 셔츠
US20150164155A1 (en) Convertible Garment
JP6422602B1 (ja) 衣服
US1944482A (en) Bathing garment
KR200404490Y1 (ko) 간편 상의
US11606983B2 (en) Detachable T-shirt collar
KR200476110Y1 (ko) 앞치마
KR200487702Y1 (ko) 탄성밴드가 구비된 셔츠 또는 드레스 셔츠
TW202045050A (zh) 外衣
KR100656591B1 (ko) 바지의 허리사이즈 조절구조
TWM506495U (zh) 未使用帶扣的皮帶
KR101110338B1 (ko) 교복 스커트
EP2871987B1 (en) Man or woman trousers
KR100902417B1 (ko) 기능성 의복
CN218869449U (zh) 一种可调节领型的卫衣
KR101249088B1 (ko) 바지의 허리선 높이 조절 방법 및 허리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바지
CN214759196U (zh) 一种冒领结合型上衣
KR200189045Y1 (ko) 의류용 착탈식 보조칼라
US2436724A (en) Gale hood
TWM550555U (zh) 組合式衣物
KR101738991B1 (ko) 셔츠 소매
KR20170078117A (ko) 반바지에 탈부착이 가능한 랩 스커트
TWM542985U (zh) 連結穿戴物的背包
KR101263596B1 (ko) 머리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