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12Y1 - 수동예초기 - Google Patents

수동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12Y1
KR200480612Y1 KR2020140003486U KR20140003486U KR200480612Y1 KR 200480612 Y1 KR200480612 Y1 KR 200480612Y1 KR 2020140003486 U KR2020140003486 U KR 2020140003486U KR 20140003486 U KR20140003486 U KR 20140003486U KR 200480612 Y1 KR200480612 Y1 KR 200480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ear
shaft
pai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799U (ko
Inventor
윤대한
김승남
Original Assignee
윤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한 filed Critical 윤대한
Priority to KR2020140003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1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7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7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12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날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어부가 내장되고 전동기어부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하부관통공이 저면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 이격되게 마련되어 각 일단이 상기 덮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동력전달바; 상기 수용부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칼날; 및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바퀴가 구비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기어부는,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래칫기어;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리며 전달축에 결합된 제1기어; 전달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 하부에 마련되는 제2기어; 상기 래칫기어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3기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3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는 각각 타단이 한 쌍의 연결바의 각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연결바의 각 타단은 상기 회전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연결바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하부가 상기 하부관통공을 통해 돌출되고 상기 칼날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수동예초기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나 엔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소음공해와 매연공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예초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칼날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식 예초기에 비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동예초기{Selp-help lawn mower}
본 고안은 수동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또는 모터의 구동력없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만 예초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동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삭제
예초기는 농가에서뿐만 아니라 일반가정에도 널리 보급되어 조상묘의 벌초작업시 또는 풀이 자랄 수 있는 다양한 장소에서 제초작업을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구이다.
현재, 엔진 또는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칼날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톱모양의 칼날을 상대이동시켜 예초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자동예초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121533호에는 원판의 회전칼날이 장착된 작용부와 모터가 수납된 모터부와 전지가 수납된 전원부를 구비한 모터 구동식 예초기에 대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자동예초기는 칼날이 강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예초작업시 지면이나 돌에 칼날이 부딪히게 되는 경우, 원심력으로 인해 파손된 칼날이나 칼날에 부딪힌 돌이 튀어 올라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휘발유를 사용하는 엔진식 자동예초기는 시동걸기가 쉽지 않고 소음이 많이 발생되며 무거워 초보자는 물론, 특히 여성들은 전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나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하기 간편하고 보관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소음공해와 매연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동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칼날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어부가 내장되고 전동기어부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하부관통공이 저면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 이격되게 마련되어 각 일단이 상기 덮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동력전달바; 상기 수용부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칼날; 및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바퀴가 구비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기어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래칫기어;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리며 전달축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전달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 하부에 마련되는 제2기어; 상기 래칫기어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3기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3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는 각각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의 각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바의 각 타단은 상기 회전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연결바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하부가 상기 하부관통공을 통해 돌출되고 상기 칼날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외측기어; 상기 외측기어의 내부에 결합되면서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내측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기어의 내주면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기어의 외주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연결바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축연결바와 제2회전축연결바로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연결바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연결바의 일단은 상기 연결바의 각 타단과 결합된 결합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결합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수동예초기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연결바는, 그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고, 그 양 단에 상기 연결바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수동예초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손잡이바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덮개부로부터 절곡형성된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에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는 수동예초기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나 엔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소음공해와 매연공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예초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칼날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식 예초기에 비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래칫기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내측으로 모았을 때, 도 4b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외측으로 벌렸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내측으로 모았을 때, 도 5b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외측으로 벌렸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수동예초기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래칫기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내측으로 모았을 때, 도 4b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외측으로 벌렸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는 전동기어부(30)가 내장된 수용부(10)와, 상기 수용부(10)를 덮는 덮개부(20)와, 상기 덮개부(20) 상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각 일단이 상기 덮개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동력전달바(50)와, 상기 수용부(10) 하부에서 상기 전동기어부(30)의 회전축(32)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칼날(40)과, 상기 수용부(10)와 결합되고 바퀴(82)가 구비된 이동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20)와 상기 수용부(10)에는 상기 회전축(32)이 관통되는 상부관통공(21)과 하부관통공(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상부관통공(21) 및 하부관통공(11)으로 양 단부가 관통되어 상단에서는 회전축연결바(70)와 하단에서는 후술할 연결부(37)를 통해 칼날(4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기어부(30)는, 상기 회전축(32)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래칫기어(31)와, 상기 래칫기어(31)와 맞물리며 전달축(33)에 결합된 제1기어(34)와, 상기 전달축(33)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34) 하부에 마련되는 제2기어(35)와, 상기 래칫기어(31)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32)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35)와 맞물리는 제3기어(36)와, 상기 회전축(32)에 결합되며 상기 제3기어(36)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3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37)는 하부가 상기 하부관통공(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데, 이렇게 돌출된 연결부(37)의 하부에 칼날(4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칼날(40)은 연결부(37)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칼날(40)은 다양한 형태의 공지의 칼날(40)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칫기어(31)는 상기 제1기어(34)와 맞물리는 외측기어(311)와, 상기 외측기어(311)의 내부에 결합되면서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내측기어(3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기어(311)의 내주면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31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내측기어(312)의 외주면에는 삽입홈(3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315)에 탄성부재(316)에 의해 탄지되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314)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16)는 내측기어(312)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 링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314)을 탄지하고 있지만, 공지의 코일스프링이나 토션스프링을 사용하여 걸림편(314)을 탄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편(314)의 작용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다면 공지의 다른 래칫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50)는 각각 타단이 한 쌍의 연결바(60)의 각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연결바(60)의 각 타단은 상기 회전축(3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연결바(7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연결바(70)는 힌지축(9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축연결바(71)와 제2회전축연결바(7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연결바(71)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3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연결바(72)의 일단은 상기 연결바(60)의 각 타단과 결합된 결합축(9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에는 상기 결합축(9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2)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은 연결바(60)의 결합축(92)이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게 안내되어 상기 동력전달바(50)로부터의 동력을 회전축(32)에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50)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손잡이바(9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80)는 상기 덮개부(20)로부터 절곡형성된 레그부(81)와 상기 레그부(81)에 결합된 바퀴(82)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이동부 이외에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를 이동할 수 있다면, 상기 레그부(81)는 상기 수용부(10)의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고, 그 외 다른 공지수단으로 이동부(8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바(93)를 내측으로 모으게 되면 회전축(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칫기어(3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래칫기어(31)와 맞물린 제1기어(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기어(3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기어(35)와 맞물린 제3기어(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3기어(36)에 결합된 연결부(37)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부(37)와 결합된 칼날(40)도 회전하면서, 잡초를 자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바(93)를 외측으로 벌리게 되면, 회전축(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32)과 결합된 내측기어(312)만 회전하게 되고, 외측기어(311)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칼날(40)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후 다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바(93)를 내측으로 모으게 되면, 래칫기어(31)의 외측기어(311) 및 내측기어(312)가 모두 회전하면서 제1, 2, 3기어(34, 35, 36), 및 연결부(37)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부(37)와 결합된 칼날(40)도 회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바, 회전축연결바, 및 가이드레일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내측으로 모았을 때, 도 5b는 한 쌍의 손잡이바를 외측으로 벌렸을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예초기에 있어서, 한 쌍의 동력전달바(50)는 각각 타단이 한 쌍의 연결바(60)의 각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연결바(60)의 각 타단은 상기 회전축(3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연결바(7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연결바(70)는 중앙에 상기 회전축(32)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7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50)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손잡이바(93)가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바(93)를 내측으로 모으게 되면, 한 쌍의 손잡이바(93)와 연결되지 않은 한 쌍의 동력전달바(50)의 타단이 벌어지면서, 연결바(60)가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연결바(60)와 결합된 회전축연결바(70)가 상기 연결바(6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덮개부(20)의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연결바(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연결바(70)와 결합된 회전축(32)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래칫기어(3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래칫기어(31)와 맞물린 제1기어(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기어(3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기어(35)와 맞물린 제3기어(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3기어(36)에 결합된 연결부(37)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부(37)와 결합된 칼날(40)도 회전하면서, 잡초를 자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바(93)를 외측으로 벌리게 되면, 한 쌍의 손잡이바(93)와 연결되지 않은 한 쌍의 동력전달바(50)의 타단이 내측으로 모이면서, 벌어져 있던 연결바(60)도 내측으로 모이게 되고, 연결바(60)와 결합된 회전축연결바(70)가 상기 연결바(6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덮개부(2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연결바(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연결바(70)와 결합된 회전축(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축(32)과 결합된 내측기어(312)만 회전하게 되고, 외측기어(311)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칼날(40)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후 다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바(93)를 내측으로 모으게 되면, 래칫기어(31)의 외측기어(311) 및 내측기어(312)가 모두 회전하면서 제1, 2, 3기어(34, 35, 36), 및 연결부(37)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부(37)와 결합된 칼날(40)도 회전하게 된다.
10 : 수용부 11 : 하부관통공
20 : 덮개부 21 : 상부관통공
30 : 전동기어부 31 : 래칫기어
32 : 회전축 33 : 전달축
34 : 제1기어 35 : 제2기어
36 : 제3기어 40 : 칼날
50 : 동력전달바 60 : 연결바
70 : 회전축연결바 71, 72 : 제1,2회전축연결바
80 : 이동부 81 : 레그부
82 : 바퀴 91 : 힌지축
92 : 결합축 311 : 외측기어
312 : 내측기어 313 : 걸림턱
314 : 걸림편 315 : 삽입홈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칼날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어부가 내장되고 전동기어부의 회전축이 관통하는 하부관통공이 저면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상부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 이격되게 마련되어 각 일단이 상기 덮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동력전달바; 상기 수용부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칼날; 및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바퀴가 구비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기어부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래칫기어; 상기 래칫기어와 맞물리며 전달축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전달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 하부에 마련되는 제2기어; 상기 래칫기어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3기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3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는 각각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바의 각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바의 각 타단은 상기 회전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연결바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하부가 상기 하부관통공을 통해 돌출되고 상기 칼날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외측기어; 상기 외측기어의 내부에 결합되면서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내측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기어의 내주면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기어의 외주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연결바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축연결바와 제2회전축연결바로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연결바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회전축연결바의 일단은 상기 연결바의 각 타단과 결합된 결합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결합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수동예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연결바는, 그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고, 그 양 단에 상기 연결바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수동예초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동력전달바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손잡이바가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덮개부로부터 절곡형성된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에 결합된 바퀴를 포함하는 수동예초기.
  6. 삭제
KR2020140003486U 2014-05-01 2014-05-01 수동예초기 KR200480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486U KR200480612Y1 (ko) 2014-05-01 2014-05-01 수동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486U KR200480612Y1 (ko) 2014-05-01 2014-05-01 수동예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99U KR20140003799U (ko) 2014-06-19
KR200480612Y1 true KR200480612Y1 (ko) 2016-06-15

Family

ID=5244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486U KR200480612Y1 (ko) 2014-05-01 2014-05-01 수동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1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895Y1 (ko) 1998-08-10 2001-04-02 최승욱 예초기
KR101328331B1 (ko) * 2013-05-23 2013-11-11 양규철 수동식 제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895Y1 (ko) 1998-08-10 2001-04-02 최승욱 예초기
KR101328331B1 (ko) * 2013-05-23 2013-11-11 양규철 수동식 제초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5977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99U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14278A (ja) 刈払機
JP4566062B2 (ja) 刈払機
US6370854B1 (en) Guard and dolly for line trimming apparatus
AU2017100183A4 (en) Lawnmower
CA2919032A1 (en) String trimmer head
US2648187A (en) Rotary grass and weed trimmer
JP4491320B2 (ja) 刈払機
KR200480612Y1 (ko) 수동예초기
JP4251441B2 (ja) 刈取機の安全装置
WO2011131909A1 (fr) Appareil motorise portatif pour le travail du sol
US8522519B2 (en) Lawn mower
EP2770813B1 (en) A folding arrangement for a handle assembly of walk-behind power tool, a handle assembly and a walk-behind power tool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JP7077160B2 (ja) 芝刈機
WO2014141481A1 (ja) 草刈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機
CN216399524U (zh) 可互换的工具附件和系统
CN114173547B (zh) 园艺用修剪机
CN211910277U (zh) 多功能打草机
JP4606244B2 (ja) 刈払機
CN218218344U (zh) 可调手柄组件及具有该可调手柄组件的农林工具
CN208317416U (zh) 一种可调节式割草机
KR200455962Y1 (ko) 예초기의 절단장치
EP3417692A1 (en) Discharge guard assembly for a mower
KR102439468B1 (ko) 블레이드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깎기 장치
KR100662731B1 (ko) 예초기 및 그의 결합 방법
KR102547624B1 (ko) 다목적 양손 예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