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04Y1 -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 Google Patents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04Y1
KR200480604Y1 KR2020140007693U KR20140007693U KR200480604Y1 KR 200480604 Y1 KR200480604 Y1 KR 200480604Y1 KR 2020140007693 U KR2020140007693 U KR 2020140007693U KR 20140007693 U KR20140007693 U KR 20140007693U KR 200480604 Y1 KR200480604 Y1 KR 200480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ide window
bar
screw portion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6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1426U (en
Inventor
김정진
이승길
강이욱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2020140007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04Y1/en
Publication of KR20160001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2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가압부, 창가압부를 지지하는 지지바, 지지바를 철도차량의 차체와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바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그 경량화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게 하고 유리창 자체의 중량에 의해 유리창과 차체의 기부가 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car,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window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a side window of a railway car, a supporting bar for supporting the window pressing portion, and a pair of supporting bars for fixing the supporting bar to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car By including the swivel portion, the weigh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through the weight reduction, and the glass window and the base por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adhering to each other by the weight of the glass window itself.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을 교환하는 경우 접착제 및 씰 처리제가 경화되기까지 유리창의 이탈 및 기부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car, which is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detachment of a windshield and deformation of a base until the adhesive and sealant are hardened To a side window fixing device.

일반적으로, 승객탑승용 철도차량에는 탑승객의 시야 확보를 위한 측면 유리창이 소단위로 나뉘어져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측면 유리창은 철도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때문에 비교적 자주 교환된다.Generally, the passenger boarding railway vehicle is formed with a long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ith a side window for securing the visibility of the passenger is divided into small sections. Side window windows are relatively frequently exchanged because they are damaged by vibration and external impact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railway vehicle.

이 경우, 측면 유리창을 설치 또는 교환하기 위하여 새로운 유리창을 차체에 끼운 후 접착 및 씰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접착 및 씰 처리 재료로는 우레탄접착제와 실리콘 등이 사용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install or replace the side glass window, a new window is generally sandwich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n subjected to adhesion and sealing. Urethane adhesives and silicones are used as adhesive and seal treatment materials.

이 때, 접착 및 씰 처리 과정 이후 접착제 및 씰 처리제가 경화되기까지 유리창의 이탈 및 기부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the bonding and sealing process, the release of the glass window and the deformation of the base may occur until the adhesive and sealant are cured.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고 유리창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재 등의 고정부재를 복수개 사용하여 유리창을 가압 지지하도록 세워놓는 방식으로 접착제 및 씰 처리제가 경화되기까지 유리창을 고정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is and to improve the positional precision of the window,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such as wood are used to fix the window so that the adhesive and the sealing agent are hardened by fixing the window so as to support the window.

한편,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511445호(특허문헌 1),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511447호(특허문헌 2)가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0511445 (Patent Document 1) and Korean Patent No. 0511447 (Patent Document 2) have been disclosed as related arts.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및 취부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무재의 스페이서을 차체와 유리창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유리창을 설치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Literature 1 and Patent Literature 2 relate to a structure for mounting a windshield of a light rail vehicle and a mounting method thereof, and a technique of installing a glass window more effectively by placing a spacer of rubber material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windshield.

그러나,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의 유리창 고정에 관련된 기술은 고정부재가 유리창을 불규칙하게 지지하여 접착 및 씰 처리 부분의 변형이나 뒤틀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fixing of the window of the railway vehicle as described above has the problem that the fixing member irregularly supports the glass window, which causes deformation and warping of the adhesive and seal-processed portion.

아울러, 고정부재의 이동 및 설치 시 그 중량에 의한 안전사고 및 작업의 비효율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weight and an inefficiency of work are caused when the fixing member is moved and installed.

또한, 고정부재가 바람 등에 의해 쓰러지는 경우 유리창의 이탈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when the fixing member is collapsed by the wind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lass window is released.

아울러, 종래의 기술은 유리창 자체의 중량에 의해 유리창과 차체의 기부가 밀착되어 적정량의 접착제가 침투되지 않아 외부의 이물질이 차체 내부로 유입되는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due to the weight of the windshield itself, the base of the windshiel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base of the windshield so that a proper amount of the adhesive is not penetrated.

더 나아가, 유리창의 위치 정밀도의 감소로 인하여 운행 중 유리창 이탈 등의 사고를 초래할 위험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risk of causing an accident such as a deviation of a window during operation due to a reduction in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window glass.

한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스페이서라는 별도의 부재가 요구되고, 접착제 및 씰 처리제가 경화되기까지 유리창을 고정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s 1 and 2, a separate member called a spacer is required, and a technique for fixing the glass window until the adhesive and the sealant are hardened is not disclos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511445호Korean Patent No. 0511445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511447호Korean Patent No. 0511447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화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which can be installed and disassembled more easily by reducing the weight.

또한, 유리창 자체의 중량에 의해 유리창과 차체의 기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적정량의 접착제가 침투되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which prevents infiltration of a proper amount of adhesive by preventing the base portion of the windshield from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windshield by the weight of the windshield itself.

아울러, 동작 위치를 조정 가능하여 유리창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an operation position to improve the positional accuracy of a windshield.

더 나아가, 유리창의 위치정밀도 향상을 통하여 객차를 이용하는 탑승객의 안전을 담보하고 및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which assures the safety of a passenger using a passenger car by improving the positional accuracy of a window glass and provides a more pleasant environmen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가압부, 창가압부를 지지하는 지지바, 지지바를 철도차량의 차체와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바고정부를 포함한다.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window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a side window of a railway vehicle, a supporting bar for supporting a window pressing portion, and a pair for fixing the supporting bar to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ca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이 경우, 창가압부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과 접촉되는 흡착부재, 흡착부재를 가압하도록 지지바에 대하여 유리창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ndow pressing portion may include an adsorption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glass window of the railway car,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movably provided to the window so as to press the adsorption member.

이 때, 가압부재는 흡착부재를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suction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indow of the railway car.

또한, 가압부재는 지지바를 관통하여 축회전하면서 스크류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membe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a screw manner while rotating the shaft through the supporting bar.

이 때, 지지바의 관통홀에는 가압부재가 가이드되는 너트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nut portion guiding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r.

한편, 창가압부는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ndow press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or rotating the pressing member.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는 한 쌍의 바고정부 사이에서 지지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창가압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지바와 바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바위치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bar support portions and a pair of bar support portio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ars, As shown in FIG.

이 경우, 바위치조정부는 턴버클 방식으로 지지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ck algebra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ar in a turnbuckle manner.

한편, 바고정부는 철도차량의 차체 상부와 하부에 걸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arge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vehicle.

이 때, 바고정부는 그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arge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its end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는 경량화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disassembled more easily through the weight reduction.

또한, 유리창 자체의 중량에 의해 유리창과 차체의 기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적정량의 접착제가 침투되도록 한다.In addition, by the weight of the glass window itself, the glass window and the base of the vehicle body are prevented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 proper amount of adhesive is infiltrated.

아울러, 동작 위치를 조정 가능하여 유리창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operating position can be adjusted to improve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windshield.

더 나아가, 유리창의 위치정밀도 향상을 통하여 객차를 이용하는 탑승객의 안전을 담보하고 및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Further, by improving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windshield, the safety of the passenger using the passenger car is secured and a more pleasant environment is provid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가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바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위치조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가 동작하는 역학적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ndow pressing portion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bar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rge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ck corrugated part shown in Fig. 1.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chanical relationship in which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clarity, and ease of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from the prior art. Also, since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and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ill be. On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가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은 도 1에 도시된 바고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위치조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가 동작하는 역학적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ow pressing part shown in FIG. 1, and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ck crest portion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ck crest portion shown in FIG. And schematically showing the mechanical relationship in which the device operates.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는 창가압부(10), 지지바(20), 및 바고정부(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6,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ow pressing portion 10, a support bar 20, and a bar fixing portion 30.

창가압부(10)는 철도차량(1)의 측면에 설치되는 유리창(2)을 가압한다. 즉, 철도차량(1)의 측면 유리창(2)을 새로 설치하거나 교환하는 경우 유리창(2)을 차체 쪽으로 가압한다.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presses the window 2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ailway car 1. That is, when the side windshield 2 of the railway car 1 is newly installed or exchanged, the windshield 2 is pressed toward the vehicle body.

이 경우, 창가압부(10)는 흡착부재(11)와 가압부재(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창가압부(10)는 유리창(2)을 분산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uction member 11 and the pressing member 12. In addition, 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windows to pressurize the window glass 2 in a dispersed manner.

흡착부재(11)는 철도차량(1)의 측면 유리창(2)과 접촉되는 부재이다. 흡착부재(10)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히 유리보다 경도가 낮은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유리창(2)의 중량 또는 표면 특성에 의한 미끌어짐 없이 가압부재(12)에 의한 가압력을 유리창(2)에 전달할 수 있다.The suction member (11) is a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indow (2) of the railway car (1). The pressing force by the pressing member 12 can be transmitted to the windshield 2 without the slippage due to the weight or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windshield 2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member having a hardness lower than that of the glass simply by using the suction member 10 have.

가압부재(12)는 흡착부재(11)를 가압한다. 이를 위해, 가압부재(12)는 후술할 지지바(20)에 대하여 유리창(2)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가압부재(12)는 흡착부재(11)의 일측에 직결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sure member (12) presses the adsorption member (11). To this end, the pressing member 12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toward the windshield 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ar 20 to be described later. Needless to say, the pressure member 1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dsorption member 11.

이 때, 가압부재(12)는 흡착부재(11)를 철도차량(1)의 측면 유리창(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흡착부재(11)를 유리창(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면 유리창(10)의 중량 또는 표면 특성에 의한 미끌어짐 없이 흡착부재(11)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member 12 may be provided so as to press the suction member 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indow glass 2 of the railway car 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ssurize the adsorption member 11 without slipping due to the weight or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window 10 by pressing the adsorption member 11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lass window 2. [

또한, 가압부재(12)는 지지바(20)를 관통하여 축회전하면서 스크류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2)는 그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지지바(20)의 관통홀(21)을 스크류 방식으로 관통하게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the pressing member 1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a screw manner while being pivoted through the support bar 20. That is, the pressing member 12 may be provided with a threaded portion 12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penetrate the through hole 21 of the supporting bar 20 in a screw manner.

이 경우, 가압부재(12)의 축회전에 의한 이동 시 흡착부재(11)가 그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면 뒤틀리거나 변형될 수 있으므로 흡착부재(12)의 일측에 댐퍼부재(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회전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mper memb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member 12 because the suction member 11 may be twisted or deformed when the suction member 11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when the pressing member 12 is moved by rotation of the shaft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can be buffered.

한편, 창가압부(10)는 가압부재(12)를 회전시키는 핸들(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13)은 유리창(2)을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자가 지지바(20)를 관통하여 가압부재(12)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3 for rotating the pressing member 12. The handle 13 allows the pressing member 12 to be easily moved through the self-supporting bar 20 using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fixing the windshield 2.

지지바(20)는 철도차량(1)의 차체와 이격되게 고정되어 창가압부(10)를 지지한다. 즉, 지지바(20)는 창가압부(10)가 지지바(20)를 기준으로 유리창(2) 쪽으로 이동하여 유리창(2)을 가압하도록 지지한다.The support bar 20 is fix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car 1 to support the window presser portion 10. That is, the support bar 20 supports the window presser portion 10 to move toward the window pane 2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ar 20 so as to press the window pane 2.

이 때, 지지바(20)에는 그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가압부(10)가 관통하는 관통홀(2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창가압부(10)의 가압부재(12)는 관통홀(21)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동없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upporting bar 2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1 through which at least one window pressing part 10 passes. That is, the pressing member 12 of 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is guided by the through-hole 21 so as to be movable without flowing.

본 발명의 유리창(2)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목적을 고려하면 복수개의 관통홀(21)은 유리창(2)의 높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should be formed at interval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windshield 2 in view of the purpose of fixing and supporting the windshield 2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경우, 관통홀(21)에는,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압부재(12)의 나사부(12a)가 가이드되는 너트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hole 21 is formed with a nut portion, though not shown, to which the threaded portion 12a of the pressing member 12 is guided.

한편, 지지바(20)의 양 단부에는 후술할 바위치조정부(40)와 결합되는 제 1 수나사부(2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On both ends of the supporting bar 20, a first male threaded portion 22 to be coupled with a rock forming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xtended.

한 쌍의 바고정부(30)는 지지바(20)를 철도차량(1)의 차체와 이격되게 고정시킨다. 즉, 한 쌍의 바고정부(30)는 각각 차체의 상, 하부에 설치되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20)의 양 단부와 연결되어 지지바(20)를 고정 지지하게 된다.A pair of bar fixing portions (30) fix the support bar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car (1). That is, the pair of bar fixing portions 30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20 positioned therebetween to fix and support the support bar 20.

이 경우, 바고정부(30)는 지지바(20)의 양 단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지지바(20)와 함께 긴장된 상태로 장력을 발생시킨다. 간접적인 연결은 후술할 바위치조정부(40)가 개재되는 경우를 예정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bar 3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20 to generate tension in a state of being tensed together with the support bar 20. The indirect connection is a case where the rock rough part 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terposed.

한편, 바고정부(30)는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할 있도록 철도차량(1)의 차체 상부와 하부에 걸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30 is preferably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car 1 so as to more easily mount and disassemble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고정부(30)는 그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바고정부(30)는 그 단부가 제 1 절곡부(31) 및 이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절곡부(32)로 구성됨으로써 차체 상, 하부에 걸려 설치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bar fixing part 30 may be formed by bending an end thereof. That is, the end portion of the bar fixing portion 30 is composed of the first bent portion 31 and the second bent portion 32 extending from the first bent portion 31, so that the bar fixing portion 30 can be installed so as to hang on the vehicle body.

한편, 바고정부(30)의 타단에는 후술할 바위치조정부(40)와 결합되는 제 2 수나사부(3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econd male threaded portion 33, which is to be coupled with a later-described rocky stone forming portion 40,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30.

이 경우, 제 2 수나사부(33)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차체에 설치했을 때 한 쌍의 바고정부(30)에 형성된 제 2 수나사부(33)와 지지바(20)가 가급적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the second male threaded portion 33 and the support bar 20 formed in the pair of bar fixing portions 3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아울러, 제 2 수나사부(33)는 바위치조정부(40)의 턴버클 방식의 기능 구현을 위하여 제 1 수나부(22)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33 is formed by forming a screw threa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22 in order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turnbuckle of the rock roughness portion 40.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는 바위치조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ck crest portion 40.

바위치조정부(40)는 한 쌍의 바고정부(30) 사이에서 지지바(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창가압부(1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지바(20)와 바고정부(30) 사이에 개재된다.The rock rough part 4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ar 20 and the bar fixing part 30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ar 20 between the pair of bar support parts 30, .

이 경우, 바위치조정부(40)는 턴버클 방식으로 지지바(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바위치조정부(40)는 몸체부(43) 및 암나사부(41,42)를 포함하여 턴버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ck rough part 40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ar 20 in a turnbuckle manner. That is, the rock rough part 40 may include a body part 43 and female screw parts 41 and 42 and may operate in a turnbuckle manner.

제 1 암나사부(41)는 제 1 수나사부(22)가 축회전하여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제 2 암나사부(42)는 제 2 수나사부(33)가 제 1 수나사부(22)와 동축상에서 축회전하여 그 반대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가이드한다.The first female screw portion 41 guides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22 to rotate linearly and linearly moves while the second female screw portion 42 guides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33 to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22, So as to linearl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몸체부(43)는 암나사부(41,42)에 회전력을 가하여 수나사부(22, 33)을 직선운동시킨다. 이 경우, 몸체부(43)에는 제 1 수나사부(22)와 제 2 수나사부(3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4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몸체부(43)를 회전시키면 암나사부(41, 42)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특히, 지지바(20)와 바고정부(30)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수나사부(22, 23)가 수용공간(44)에 수용된다.The body portion 43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s 41 and 42 to linearly move the male threaded portions 22 and 33.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43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44 for receiving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22 and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33. Specifical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ar 20 and the bar 30 is shortened, the male threaded portions 22 and 23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44.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철도차량(1)의 차체에 설치된 경우 바고정부(30), 바위치조정부(40), 및 지지바(20)가 서로 연결되어 장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바위치조정부(40)를 통해 지지바(2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바(20)의 위치 조정을 통해 창가압부(10)가 유리창(2)을 가압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유리창(2)의 위치정밀도가 향상된다. Accordingly, whe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railway car 1, the barge 30, the rocker unit 40, and the support ba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generate tension,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ar 20 is adjusted through the guide 40. [ Therefore, the position at which 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presses the window 2 can be se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ing bar 20, so that the positional precision of the window 2 is improved.

아울러, 바위치조정부(40)에 의해 바고정부(30), 바위치조정부(40), 및 지지바(20)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장력의 크기도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장력은 창가압부(10)에 의한 가압력의 변화를 통해서도 조절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created by the connection of the hopper 30, the rock rough section 40, and the support bar 20 by the rock rough section 40. In this case, the tension can also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ressing force by 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이하, 특히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에 의한 개략적인 역학적 관계를 그 동작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the schematic mechanical relationship of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its oper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1)의 측면에 바고정부(30), 바위치조정부(40), 및 지지바(20)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창가압부(10)가 지지바(20)를 관통하여 유리창(2)을 가압 지지한다.The rocker unit 40 and the support ba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railway car 1 and the window presser 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20 So that the glass window 2 is pressed and supported.

이 경우, 한 쌍의 바고정부(30)가 지지바(20) 및 바위치조정부(40)의 연장선과 이루는 활각을 각각 θ1, θ2라 하고, 한 쌍의 바고정부(30)에서 바위치조정부(40) 쪽으로 형성되는 장력을 각각 T1, T2라 한다.In this case, letting the pair of bucking portions 30 form the angle of inclination? 1 and? 2 with the extension line of the support bar 20 and the rock roughness portion 40, 40 are referred to as T1 and T2, respectively.

또한, 창가압부(10)가 지지바(20)를 관통하여 질량 m인 유리창(2)을 수직으로 가압력을 각각 F1, F2라 하고, 가압력과 대응되어 철도차량(1)의 차체가 유리창(2)을 지지하는 수직항력을 각각 N1, N2라 한다. 아울러, 차체와 유리창(2) 사이의 마찰계수는 μ이고, 중력가속도는 g라고 한다.
It is also assumed that the window pressing portion 10 penetrates through the supporting bar 20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glass window 2 whose mass m is vertical is F1 and F2 respectively so that the body of the railway car 1 corresponds to the pressing force, ) Are called N1 and N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indshield 2 is μ, and the acceleration of gravity is g.

이 경우, 수평방향의 힘의 평형을 고려하면, In this case, in consideration of the equilibrium of the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1sinθ1 + T2sinθ2 = F1 + F2 = N1 + N2T1sin? 1 + T2sin? 2 = F1 + F2 = N1 + N2

가 성립된다.
.

또한, 수직방향의 힘의 평형을 고려하면,Also, considering the equilibrium of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1cosθ1 + mg = T2cosθ2 + (N1 + N2)μT1cos? 1 + mg = T2cos? 2 + (N1 + N2)?

가 성립된다..

이 경우,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하여 활각을 θ1 = θ2 = θ, 장력을 T1 = T2 = T, 수직항력을 N1 = N2 = N이라 하면, 힘의 평형은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assuming an ideal case, the equilibrium of force is given by θ1 = θ2 = θ, the tension T1 = T2 = T, and the vertical drag N1 = N2 = N.

T sinθ = F = N, T sin? = F = N,

mg = 2Nμmg = 2Nμ

따라서, T = mg/μ2sinθ 의 값이 도출된다.
Therefore, a value of T = mg / mu 2 sin [theta] is derived.

따라서, 장력의 크기가 mg/μ2sinθ 일 때, 유리창(2)이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철도차량(1) 차체의 기부로 처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is mg / mu 2 sin &thetas;, the windshield 2 does not fall on the base of the railway car body 1 due to its own weight.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는, 상술한 힘의 평형을 이루기 위해, 바고정부(30), 바위치조정부(40), 및 지지바(20)가 서로 연결되고, 창가압부(10)가 지지바(20)를 관통하여 유리창(2)을 가압함으로써 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equilibrium of force,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r fixing part 30, a rock forming part 40 and a supporting bar 20 connected to each other, Passes through the support bar 20 and presses the glass window 2 to generate tension.

아울러, 육안으로 유리창(2)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바위치조정부(40) 및 창가압부(10)를 조절함으로써 T = mg/μ2sinθ 에 근사적인 장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힘의 분산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힘의 평형에 근사적인 장력을 도출하기 위하여, 도 1 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치를 복수 개 사용하여 유리창(2)을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ock roughness part 40 and the window pressing part 10 to such an extent that no sagging of the windshield 2 occurs with the naked eye, an approximate tension is formed at T = mg / mu 2 sin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the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ix the windshield 2 in order to more easily obtain an approximate tension to the equilibrium of the force through dispersion of the force .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는 경량화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고, 유리창 자체의 중량에 의해 유리창과 차체의 기부가 밀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동작 위치를 조정 가능하여 유리창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disassembled more easily by reducing the weight, effectively preventing the base portion of the windshield and the vehicle body from being closely attached due to the weight of the windshield itself,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to improve the position accuracy of the windshiel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고안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on the basis of common knowledge in the art.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 부품의 조립 및 유지 보수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and is applicable to industrial fields related to assembly and maintenance of railway vehicle parts.

1: 철도차량 2: 유리창
10: 창가압부 11: 흡착부재
12: 가압부재 12a: 나사산
13: 핸들
20: 지지바 21: 관통홀
22: 제 1 수나사부
30: 바고정부 31: 제 1 절곡부
32: 제 2 절곡부 33: 제 2 수나사부
40: 바위치조정부 41: 제 1 암나사부
42: 제 2 암나사부 43: 몸체부
44: 수용공간
1: railway vehicle 2: windshield
10: Window pressure portion 11:
12: pressing member 12a: thread
13: Handle
20: Support bar 21: Through hole
22: First male thread
30: Barge section 31: 1st bend section
32: second bent portion 33: second male thread portion
40: rock crest portion 41: first female thread portion
42: second female screw part 43: body part
44: accommodation space

Claims (10)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가압부;
상기 창가압부를 지지하고, 양단에 제 1 수나사부가 연장 형성된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철도차량의 차체와 이격되게 고정시키고, 일단에 상기 제 1 수나사부와 반대 방향의 제 2 수나사부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바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바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바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창가압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와 상기 바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바위치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위치조정부는,
상기 제 1 수나사부가 축회전하여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1 암나사부;
상기 제 2 수나사부가 상기 제 1 수나사부와 동축 상에서 축회전하여 그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암나사부; 및
상기 제 1 암나사부와 상기 제 2 암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암나사부와 상기 제 2 암나사부에 회전력을 가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지지바와 상기 바고정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제 1 수나사부와 상기 제 2 수나사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At least one window pressing portion pressing the side window of the railway car;
A support bar supporting the window pressing portion and having a first male screw portion extended at both ends thereof;
A pair of bar support members fixed to the support ba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body of the railway car and having a second male screw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And
A rock alveolar part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ar and the bar support part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ar between the pair of bar support parts so as to set the position of the window press part;
Wherein the rock rough construction unit includes:
A first female screw portion for guiding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to rotate in a linear direction;
A second female screw portion for guiding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to coaxially rotate with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and to linearl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Wherei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reduced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nal threads,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first male screw portion and the second male screw portion;
Wherein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가압부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과 접촉되는 흡착부재;
상기 흡착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바에 대하여 유리창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 adsorption member in contact with a side window of the railway car;
A pressing member mov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to urge the suction member toward the window;
And the side window fixing device of the railway c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흡착부재를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to press the suction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window of the railway c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지지바를 관통하여 축회전하면서 스크류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pport bar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 screw-like manner while rotating axially through the supporting ba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관통홀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가이드되는 너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nut portion for guiding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ba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창가압부는,
상기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는 핸들;
을 더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handle for rotating the press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side window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side window of the railway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고정부는,
철도차량의 차체 상부와 하부에 걸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ailroad car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고정부는,
그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9,
And the end portion of the side window is bent.
KR2020140007693U 2014-10-23 2014-10-23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KR2004806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93U KR200480604Y1 (en) 2014-10-23 2014-10-23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93U KR200480604Y1 (en) 2014-10-23 2014-10-23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26U KR20160001426U (en) 2016-05-03
KR200480604Y1 true KR200480604Y1 (en) 2016-06-21

Family

ID=5602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693U KR200480604Y1 (en) 2014-10-23 2014-10-23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0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1297A (en) * 2019-08-29 2019-12-13 南京中车浦镇城轨车辆有限责任公司 Combined type glass mount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256A (en) 2005-10-31 2007-05-17 Hiroshi Matsukuma Window glass damage preventive tool
KR101241383B1 (en) 2012-10-11 2013-03-11 전호언 The support for protective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7614U (en) * 1984-02-25 1985-09-12 日産車体株式会社 Automotive window glass fixing device
KR100511447B1 (en) 2003-11-26 2005-08-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 installation method of windows for light rail vehicle
KR100511445B1 (en) 2003-11-26 2005-08-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 installation structure of windows for light rail vehicle
KR101488346B1 (en) * 2013-07-12 2015-01-30 현대로템 주식회사 Jig for attaching windo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256A (en) 2005-10-31 2007-05-17 Hiroshi Matsukuma Window glass damage preventive tool
KR101241383B1 (en) 2012-10-11 2013-03-11 전호언 The support for protective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26U (en)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58463B (en) Guide rail for elevator is to Barebone
JP5784219B2 (en) Conveyor balustrade equipment
KR101842940B1 (en) Tensile strength test equipment of bolt thread
KR200480604Y1 (en) A fixing apparatus for side window of train
WO2014183602A1 (en) Vehicle door glass fastening installation structure and vehicle door glass installation method
WO2013132649A1 (en) Device for attaching elevator guide rail
FI8766U1 (en) Cable Fasteners
WO2014049685A1 (en) Roller guid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6391019B2 (en)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EP3118150A1 (en) Sound-reducing assembly and method for elevator system
CN205715565U (en) A kind of regulating wheel with rack-and-pinion
CN102359873B (en) Rigidity measuring clamp for automobile rubber bush
CN105873845B (en) Clamp down on device
DE102005052689A1 (en) Wedge brake with counter-rotating wedge elements
US10138670B2 (en) Lifting device and vehicle door with said lifting device
WO2010106641A1 (en) Clip device for elevator and support device for elevator
KR101638455B1 (en) Test device for shock absorbers
WO2016038678A1 (en) Equipment mounting device for elevators
JP4754891B2 (en) Glass holder
WO2016194139A1 (en) Elevator guide rail fixing device
CN212264296U (en) Novel punch boss benchmark hole mould
CN210794664U (en) Lossless tensioning casing of elevator
JP6305235B2 (en) Handrail guide adjustment device
WO2018229907A1 (en) Bracket support device
CN209280329U (en) A kind of fixation device f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