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66Y1 - 실 삽입기 - Google Patents

실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66Y1
KR200480466Y1 KR2020140007476U KR20140007476U KR200480466Y1 KR 200480466 Y1 KR200480466 Y1 KR 200480466Y1 KR 2020140007476 U KR2020140007476 U KR 2020140007476U KR 20140007476 U KR20140007476 U KR 20140007476U KR 200480466 Y1 KR200480466 Y1 KR 200480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eedle
needle
hole
thread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330U (ko
Inventor
김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치메디
Priority to KR2020140007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6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실 삽입기는 주사 바늘, 고정부, 실, 실 지지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주사 바늘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다. 고정부는 주사 바늘의 후방에 결합되어 주사 바늘을 지지한다. 실은 주사 바늘의 전방에서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된다. 실 지지 부재는 적어도 2개의 관통공을 구비한다. 제1 관통공은 주사 바늘을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제2 관통공은 노출된 실을 삽입한다.

Description

실 삽입기 {A Device for Inserting a Medical Suture}
본 고안은 실 삽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에 실을 삽입하는 의료용 실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스스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자연 치유능력이 있다. 자연 치유능력이란 몸에 열이 날 때 땀을 배출하여 체온을 유지하는 것, 상한 음식을 먹거나 과음/과식했을 때 토하여 속을 보호하고 소화 기능을 정상화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인체의 근육을 이루는 근육 섬유도 자연 치유력을 가지고 있다. 즉, 근육 내에 이물질이 들어오면 이물질 근처로 자생 물질이 모여들어 침범한 이물질에 대항한다. 이러한 자생 물질은 근육을 보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결과적으로 근육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7310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는, 약해진 근육 내로 봉합사를 삽입하여 해당 부위의 근육을 강화하는 봉합사 삽입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 구성을 보면, 주사 바늘, 봉합사, 보호 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봉합사는 그 일부가 주사 바늘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튜브는 주사 바늘과 봉합사를 내장하여 이들을 보호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봉합사 삽입기는 봉합사가 주사 바늘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보관 중에 또는 봉합사를 인체에 삽입하기 전에 주사 바늘에서 봉합사가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 주사 바늘에 봉합사를 다시 삽입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손으로 봉합사나 주사 바늘을 만지게 되어 봉합사나 주사 바늘을 오염시키게 된다.
특허등록제10-0473108호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의료용 실을 주사 바늘에 안정적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고,
둘째, 의료용 실이 보관 또는 시술 중에 주사 바늘에서 쉽게 빠지지 않으며,
셋째, 의료용 실 또는 주사 바늘이 시술 중에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료용 실 삽입기의 폐기율을 줄일 수 있는, 의료용 실 삽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실 삽입기는 주사 바늘, 고정부, 실, 실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 바늘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부는 주사 바늘의 후방에 결합되어 주사 바늘을 지지한다.
실은 주사 바늘의 전방에서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된다.
실 지지 부재는 적어도 2개의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관통공은 주사 바늘을 삽입할 수 있다. 제2 관통공은 노출된 실을 삽입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 삽입기에서, 실 지지 부재는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실 지지 부재의 제1 관통공은 측방으로 개방되는 절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절결부는 제1 관통공의 최장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 삽입기에서, 실 지지 부재는 3개의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관통공은 노출된 실을 삽입하는 여분 관통공으로 또는 다른 실을 삽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 삽입기에서, 실 지지 부재는 제1 관통공의 내부에 지지막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막은 주사 바늘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 삽입기에 의하면, 주사 바늘과 의료용 실을 분리하여 고정함으로써 주사 바늘과 의료용 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 삽입기에 의하면, 주사 바늘과 의료용 실을 2개의 이격된 관통공에 각각 삽입하므로 주사 바늘과 의료용 실을 실 지지 부재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여분의 제3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어 삽입 작업이 용이하고, 나아가 주사 바늘에 여러 가닥의 실을 삽입하는 경우에도 각 실을 분리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 삽입기에 의하면, 주사 바늘을 지지막으로 고정하고 있어 보관 또는 시술 중에 주사 바늘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의료용 실도 주사 바늘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본 고안의 실 삽입기 의하면, 의료용 실이나 주사 바늘이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술에서 실 삽입기를 폐기하는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사용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1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2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3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4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5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6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실 삽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료용 실 삽입기는 주사 바늘(10), 고정부(11), 손잡이(20), 의료용 실(30), 실 지지 부재(40), 커버(5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주사 바늘(10)은 인체의 피부 조직을 쉽게 뚫을 수 있게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H)은 주사 바늘(10)의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사 바늘(10)의 후단에는 고정부(11)가 구비되어 있는데, 고정부(11)에 주사 바늘(10)이 고정 결합된다. 고정부(11)는 외주면이 커버(50)의 일측 내면과 면 결합하면서 커버(5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는, 손잡이(20)가 그 후단에 추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손잡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손잡이(20)는 고정부(11)에서 후방으로 연장 결합되며, 주사 바늘(10)을 파지하거나 그것을 인체에 삽입할 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20)는 원통, 플레이트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손잡이(20)는 다른 구성요소로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실(30)은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실을 말한다. 실(30)은 인체에 무해하며, 근육 내에 삽입되어 잔존하더라도 인체와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실(30)은 일부가 주사 바늘(10)의 중공(H) 내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주사 바늘(10)의 외부에 위치한다. 주사 바늘(16)을 인체 속에 삽입할 때, 주사 바늘(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실(30)이 뒤로 밀리면서 실(30)이 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려면 주사 바늘(10)의 중공(H) 내에 삽입하는 실(30)을 길게 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실 지지 부재(40)는 원통,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 지지 부재(40)는 상하로 관통하는 2개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관통공에는 주사 바늘(10)을 삽입하고, 제2 관통공에는 노출된 실(30)을 삽입할 수 있다. 제1 관통공과 주사 바늘(10)은 밀착 결합할 수도 있고, 이격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관통공의 내면과 주사 바늘(10)의 외면이 접하는 경우, 실 지지 부재(40)는 탄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실리콘, 스폰지 등일 수 있다. 제1 관통공의 내면과 주사 바늘(10)의 외면이 이격되는 경우, 제1 관통공은 주사 바늘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공은 노출된 실(30)을 쉽게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관통공은 다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관통공은 제1 관통공보다 작게 구성할 수도 있고, 동일한 크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커버(50)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된 타단은 고정부(11)의 외면에 결합하며, 내부 공간에는 주사 바늘(10), 봉합사(30), 실 지지 부재(40)를 내장하여 이들을 외부 오염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커버(50)는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 재질의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4는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사용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10)에 1개의 실 지지 부재(4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 지지 부재(40)는 실(30)과 주사 바늘(10)을 삽입한 채 주사 바늘(10)의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실 지지 부재(40)에 힘이 가해지면, 실 지지 부재(40)는 주사 바늘(10)의 외면을 따라 그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사 바늘(10)이 인체 내로 삽입될 때, 실 지지 부재(40)는 주사 바늘(10)의 후단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10)에 결합하여 다수의 실 지지 부재(40a,40b)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수의 실 지지 부재(40a,40b)는 주사 바늘(10)의 외면에 실(30)을 더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수의 실 지지 부재(40a,40b)는 주사 바늘(10)이 긴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1 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실 지지 부재(41)는 2개의 관통공(H11,H21)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할 수 있다.
원통형 몸체는 스폰지,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비탄성 재질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제1 관통공(H11)에는 주사 바늘(10)을 삽입하고, 제2 관통공(H21)에는 실(30)을 삽입할 수 있다. 제1 관통공(H11)의 직경은 주사 바늘(10)의 외면과 밀착되는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관통공(H21)의 직경은 실의 유연성이나 쉬운 삽입을 위해 실(30)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관통공(H11)이 제2 관통공(H21)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관통공(H21)의 직경을 제1 관통공(H21)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제1 관통공(H11)과 제2 관통공(H21)를 구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주사 바늘(10)과 실(30)을 실 지지 부재(41)에 삽입할 때 관통공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 삽입 작업이 더 용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2 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실 지지 부재(42)는 2개의 관통공(H13,H21)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하고, 관통공(H13)에는 절결부(S)를 형성하고 있다. 절결부(S)는 관통공(H13)의 일측을 측방으로 개방하고 있다. 절결부(S)의 폭은 관통공(H13)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하되, 절결부(S)를 통해 주사 바늘(10)을 탄성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할 수 있다. 실 지지 부재(42)를 탄성 재질로 구성할 경우, 절결부(S)의 절결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사 바늘(10)을 관통공(H13)에서 절결부(S)를 통해 빠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절결부(S)를 갖는 실 지지 부재(42)는 주사 바늘(10)의 측면에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 삽입기의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실 지지 부재(42)의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3 실시예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실 지지 부재(43)는 2개의 관통공(H13,H21)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하고, 관통공(H13)에는 절결부(S)를 형성하고, 나아가 관통공(H13) 내에 지지막(TP)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막(TP)은 예를들어 얇은 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관통공(H13) 내의 어느 위치에 구비하여도 좋다. 지지막(TP)은 주사 바늘(10)을 고정하는 것으로, 주사 바늘(10)의 외경보다 관통공(H13)의 직경이 클 경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지지막(TP)은 금형을 이용하여 실 지지 부재(43)를 형성할 때 2개 금형의 결합부에 생기는 형성막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2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실 지지 부재(43)의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4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실 지지 부재(44)는 3개의 관통공(H11,H23,H25)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실(30)을 삽입하는 관통공(H23,H25)을 2개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실(30)을 삽입하는 관통공(H23,H25)를 여럿 구비하면, 실(30)을 삽입하기가 쉽고, 삽입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주사 바늘(10)에 다수의 실(30)을 삽입하는 경우에 각 실(30)을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실 지지 부재(44)의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5 실시예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실 지지 부재(45)는 3개의 관통공(H13,H23,H25)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하고, 관통공(H13)에 절결부(S)를 형성하고 있다. 제5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실(30)을 삽입하는 관통공(H23,H25)을 2개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5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2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실 지지 부재(4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4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실 지지 부재의 제6 실시예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실 지지 부재(46)는 3개의 관통공(H13,H23,H25)을 갖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하고, 관통공(H13)에 절결부(S)를 형성하며, 관통공(H13) 내에는 지지막(TP)을 구비하고 있다. 제6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실(30)을 삽입하는 관통공(H23,H25)을 2개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6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3 실시예의 대응 구성과 동일하므로, 실 지지 부재(4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3,4 실시예의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의료용 실 삽입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근육 부위에 의료용 실을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료용 실 삽입기에서 커버(50)를 제거하고, 의료용 실(30)이 내장된 주사 바늘(10)을 근육 부위에 삽입한다. 주사 바늘(10)이 근육 부위에 삽입되면서, 주사 바늘(10)에 내장된 의료용 실(30)도 근육 속으로 삽입된다. 한편, 주사 바늘(10)의 외면에서 의료용 실(30)을 내장하고 있는 실 지지 부재(40~46)은 주사 바늘(10)이 근육 내로 이동함에 따라 주사 바늘(10)이 삽입된 지점의 피부 표면에 걸려 주사 바늘(10)의 후단으로 밀려난다. 이후, 주사 바늘(10)을 근육 부위에서 이탈시키면, 주사 바늘(10)만 이탈되고 삽입된 의료용 실(30)은 근육 속에 남아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므로, 통상의 기술자가 행하는 그러한 변형들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 : 주사 바늘 11 : 고정부
20 : 손잡이 30 : 실
40,40a,40b,41~46 : 실 지지 부재
50 : 커버
H11,H13,H21,H23,H25 : 관통공 S : 절결부
TP : 지지막

Claims (4)

  1. 실 삽입기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 주사 바늘;
    상기 주사 바늘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주사 바늘의 전방에서 상기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되는 실;
    상기 주사 바늘을 삽입하고 측방으로 개방되는 절결부를 갖는 제1 관통공과 노출되는 상기 실을 삽입하는 제2 관통공을 구비하고,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실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관통공의 내부에 상기 주사 바늘을 고정하는 지지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4. 실 삽입기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을 갖는 주사 바늘;
    상기 주사 바늘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주사 바늘을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주사 바늘의 전방에서 상기 주사 바늘의 중공 내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되는 실;
    상기 주사 바늘을 삽입하고 내부에 상기 주사 바늘을 고정하는 지지막을 갖는 제1 관통공과 노출되는 상기 실을 삽입하는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실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삽입기.
KR2020140007476U 2014-10-15 2014-10-15 실 삽입기 KR200480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76U KR200480466Y1 (ko) 2014-10-15 2014-10-15 실 삽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76U KR200480466Y1 (ko) 2014-10-15 2014-10-15 실 삽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30U KR20160001330U (ko) 2016-04-25
KR200480466Y1 true KR200480466Y1 (ko) 2016-05-27

Family

ID=5591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76U KR200480466Y1 (ko) 2014-10-15 2014-10-15 실 삽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305B1 (ko) * 2016-05-24 2017-02-06 송미희 약물 주입기 및 봉합사를 이용한 성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7581A1 (en) 2010-04-19 2011-10-20 Gold Thread Llc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KR101396672B1 (ko) * 2012-12-04 2014-05-16 이준집 매선 시술용 로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7581A1 (en) 2010-04-19 2011-10-20 Gold Thread Llc Fila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KR101396672B1 (ko) * 2012-12-04 2014-05-16 이준집 매선 시술용 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30U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68941B1 (da) Apparat til applikation af implantater
KR101105647B1 (ko)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JP2014519891A (ja) 長さ調節型カニューレ
KR100473108B1 (ko)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CA2925429C (en) Magnetic u-stitch device
EA201070703A1 (ru) Имплант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а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мочевого пузыря и других полостей тела или трубчатых органов
KR101748755B1 (ko) 의료용 실 삽입장치
JP6540048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BRPI0706472B1 (pt) Kit e método para montagem de um aplicador descartável, e, aplicador descartável
KR20130010734A (ko) 의료용 자입키트
KR200480466Y1 (ko) 실 삽입기
CA3124933A1 (en)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and medicine administering system
KR101485454B1 (ko) 자입요법용 바늘키트
US20150012005A1 (en) Intraocular lens surgical system and method
KR200470622Y1 (ko) 실 삽입기
KR101825736B1 (ko) 조직 수복용 메쉬 어셈블리
KR20180002764U (ko) 실고정 절개홈을 갖는 실 삽입기
KR101494298B1 (ko) 혈액 누출 방지 구조를 갖는 체내 의료용 실 삽입장치
KR20070120225A (ko) 근육강화용 실 삽입기
JP7105423B2 (ja) 創外固定器
KR200479054Y1 (ko) 탄성 인장부를 갖는 의료용 실
SK50792010U1 (sk) Kanyla a kanylové zariadenie na implantáciu implantátu
KR20150002146U (ko) 의료용 실 삽입기
TWI616194B (zh) 用於骨部再生之注射器
RU2016141668A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тродьюс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