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03Y1 -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03Y1
KR200480403Y1 KR2020150001278U KR20150001278U KR200480403Y1 KR 200480403 Y1 KR200480403 Y1 KR 200480403Y1 KR 2020150001278 U KR2020150001278 U KR 2020150001278U KR 20150001278 U KR20150001278 U KR 20150001278U KR 200480403 Y1 KR200480403 Y1 KR 200480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harging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숙
송민종
오종희
동경래
김정근
김형철
김변준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1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장착되며, 내측면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케이스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며, 설정된 양의 정전용량을 충전하는 보조배터리; 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전력공급단자가 설치되며, 전력공급단자는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력공급단자를 당기면 길이가 연장되는 충전용 케이블; 및 케이스 내의 공간에 설치되며, 충전용 케이블을 권취하고, 충전용 케이블이 보조배터리의 방향으로 감기도록 탄성력이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이동통신단말기와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전 시에 용이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다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타인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인터넷 검색기능, 게임 실행기능, 동영상 또는 음향 재생기능, 사용자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에게 업어서는 안 되는 소지품 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가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반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자체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정전용량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야외로 외출한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충전된 전기가 모두 방전되어 더 이상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우를 위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보조배터리를 소지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전 시에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보조배터리로 교환하거나, 별도의 휴대용 충전장치를 소지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전 시에 방전된 배터리를 휴대용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충전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방이나 배낭 등을 소지한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배터리나 휴대용 충전장치를 함께 챙기는 것이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가방이나 배낭 등이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배터리나 휴대용 충전장치를 챙기는 것이 상당히 성가시며 휴대하기가 불편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보조배터리로 교환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기 장착된 배터리를 분해하고 보조배터리로 다시 장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이 사용자에게 상당히 수고를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6976호 (공개일자: 2001. 04. 06)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이동통신단말기와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전 시에 용이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다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장착되며, 내측면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케이스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며, 설정된 양의 정전용량을 충전하는 보조배터리; 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전력공급단자가 설치되며, 전력공급단자는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고, 전력공급단자를 당기면 길이가 연장되는 충전용 케이블; 및 케이스 내의 공간에 설치되며, 충전용 케이블을 권취하고, 충전용 케이블이 보조배터리의 방향으로 감기도록 탄성력이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자와 탈착이 가능하게 접속하는 배터리접속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용 케이블의 일단은 배터리접속단자와 연결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충전용 케이블의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회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이 충전용 케이블의 전력공급단자에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스토퍼에 의한 탄성전달 차단여부를 선택하는 탄성차단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케이스에 설치되며, 보조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충전용 단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를 이동통신단말기와 함께 휴대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전 시에 용이하게 이동통신단말기를 다시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에 이동통신단말기가 결합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의 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케이스(100), 보조배터리(120), 충전용 케이블(130), 회전체(140), 배터리접속단자(160), 충전용 단자(180), 스토퍼(190) 및 탄성차단버튼(19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후면에 장착되며, 내측면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사이에 공간(110)이 마련된다. 이때, 케이스(110)는 이동통신단말기(10)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면의 외곽에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결합부(1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결합부(17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보조배터리(120)는 케이스(100)에 마련된 공간(110)에 설치되며, 설정된 양의 정전용량을 충전한다. 이때, 보조배터리(120)는 케이스(100)에 마련된 공간(110)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해당 케이스(100) 내의 공간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00)는 보조배터리(120)를 삽입하는 배터리 삽입공(112) 및 보조배터리(120)가 삽입되었을 때 해당 보조배터리(12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배터리 걸림쇠(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용 케이블(130)은 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충전용 케이블(130)은 타단에 이동통신단말기(10)의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전력공급단자(150)가 설치된다. 이때, 전력공급단자(150)는 케이스(10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전력공급단자(150)를 당기면 충전용 케이블(130)을 케이스(130)의 외부로 빼어내어 충전용 케이블(13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회전체(140)는 케이스(100) 내의 공간에 설치되며, 충전용 케이블(130)을 권취한다. 이때, 회전체(140)는 케이스(100) 내의 보조배터리(120)가 위치하는 공간과 다른 공간에 설치되며, 충전용 케이블(130)을 보조배터리(120)의 방향으로 감도록 탄성력이 형성된다. 이 경우, 회전체(14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배터리접속단자(160)는 보조배터리(120)의 출력단자와 탈착이 가능하게 접속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가 보조배터리(120)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경우, 배터리접속단자(160)는 보조배터리(120)의 출력단자와 접속된다. 이 경우, 충전용 케이블(130)의 일단은 배터리접속단자(160)와 연결됨으로써 보조배터리(120)를 장착한 경우에 보조배터리(120)의 출력단자와 자동으로 연결된다.
충전용 단자(180)는 케이스(100)에 설치되며, 보조배터리(120)의 충전단자와 접속된다. 즉, 충전용 단자(180)는 보조배터리(120)를 케이스(100) 내에 장착하였을 때 보조배터리(120)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며, 외부의 전원공급 장치에 연결된 충전용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보조배터리(120)에 전달하여 충전시킨다. 이때, 도 1에는 충전용 단자(180)가 케이스(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충전용 단자(180)의 위치는 보조배터리(120)의 사양 및 충전단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스토퍼(190)는 충전용 케이블(130)의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회전체(140)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이 충전용 케이블(130)의 전력공급단자(150)에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충전용 케이블(130)의 전력공급단자(150)를 당겨 이동통신단말기(10)의 충전단자에 연결하면, 충전용 케이블(130)에는 회전체(140)에 의한 탄성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케이스(100)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이 팽팽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작은 충격에도 충전용 케이블(130)이 쉽게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190)는 충전용 케이블(130)을 케이스(100)의 외부로 연장하는 경우에 회전체(140)에 의한 탄성력이 충전용 케이블(130)에 전달되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에 이동통신단말기가 결합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의 케이스(1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의 전면 외곽에 설치된 결합부(170)가 이동통신단말기(10)를 조이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0)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사용 도중에 이동통신단말기(10)에 설치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의 전력공급단자(150)를 당겨 이동통신단말기(10)의 충전단자에 연결하면 바로 이동통신단말기(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여 다른 보조배터리로 교환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의 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그 후면에 스토퍼(190)에 의한 탄성전달 차단여부를 선택하는 탄성차단버튼(19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그 후면에 탄성차단버튼(192)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탄성차단버튼(192)을 통해 스토퍼(190)의 탄성차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공급단자(1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용 케이블(130)을 회전체(140)에 감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전원공급의 여부를 선택하는 전원선택버튼(19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의 전력공급단자(150)를 상시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충전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원선택버튼(194)는 이동통신단말기(10)에 대한 전원공급의 여부를 선택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원선택버튼(194)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만 해당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는 각각의 기능에 대한 버튼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로 표현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와 일체로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캐릭터의 표현은 도시한 표현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장착되며, 내측면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며, 설정된 양의 정전용량을 충전하는 보조배터리;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자와 탈착이 가능하게 접속하는 배터리접속단자;
    설정된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배터리접속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전력공급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전력공급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력공급단자를 당기면 길이가 연장되는 충전용 케이블;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충전용 케이블을 권취하고, 상기 충전용 케이블이 상기 보조배터리의 방향으로 감기도록 탄성력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충전용 케이블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하는 경우, 상기 회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이 상기 충전용 케이블의 전력공급단자에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토퍼; 및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에 의한 탄성전달 차단여부를 선택하고, 상기 전력공급단자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충전용 케이블이 상기 회전체에 감기도록 상기 스토퍼를 조절하는 탄성차단버튼;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보조배터리를 삽입하는 배터리 삽입공, 및 삽입된 상기 보조배터리가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배터리 걸림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단자와 접속되는 충전용 단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KR2020150001278U 2015-02-26 2015-02-26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KR200480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78U KR200480403Y1 (ko) 2015-02-26 2015-02-26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78U KR200480403Y1 (ko) 2015-02-26 2015-02-26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03Y1 true KR200480403Y1 (ko) 2016-05-20

Family

ID=5609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78U KR200480403Y1 (ko) 2015-02-26 2015-02-26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098B1 (ko) * 2016-12-23 2017-09-11 박창식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30306B1 (ko) * 2016-06-29 2018-02-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구조체
KR101848780B1 (ko) * 2017-12-26 2018-04-13 김정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89Y1 (ko) * 2003-05-27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보조 전원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89Y1 (ko) * 2003-05-27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보조 전원 연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306B1 (ko) * 2016-06-29 2018-02-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구조체
KR101777098B1 (ko) * 2016-12-23 2017-09-11 박창식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WO2018117383A1 (ko) * 2016-12-23 2018-06-28 하이포츠 주식회사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48780B1 (ko) * 2017-12-26 2018-04-13 김정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8174B2 (en) Integrated, detachable ear bud device for a wireless phone
US20070287514A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portable device
KR200480403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충전장치
US20130182387A1 (en) Accesso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s
KR102020145B1 (ko) 무선 이어폰용 케이스
KR20160043199A (ko) 블루투스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6233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53913Y1 (ko) 휴대용 기기의 소켓 보호커버
CN205336382U (zh) 一种摄像头及带有该摄像头的智能终端
KR200465348Y1 (ko)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71487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KR20150003818U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91500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용 거치대
KR200342564Y1 (ko) 버클폰
KR200471111Y1 (ko)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317586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ケース
CN105915671B (zh) 一种手机保护壳结构
KR101771845B1 (ko) 블루투스 수신기를 구비하는 안경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KR101612672B1 (ko) 이어폰 겸용 휴대폰 케이스
CN208479737U (zh) 方便充电时使用手机的手机壳
CN206350054U (zh) 简约式手机壳
CN205490779U (zh) 一种蓝牙手机自拍杆
KR101603753B1 (ko)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
KR20120125413A (ko) 부착형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