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80Y1 - 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 Google Patents

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380Y1
KR200480380Y1 KR2020140004737U KR20140004737U KR200480380Y1 KR 200480380 Y1 KR200480380 Y1 KR 200480380Y1 KR 2020140004737 U KR2020140004737 U KR 2020140004737U KR 20140004737 U KR20140004737 U KR 20140004737U KR 200480380 Y1 KR200480380 Y1 KR 200480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ressure
stationary
flow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7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0001U (en
Inventor
이천호
Original Assignee
이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호 filed Critical 이천호
Priority to KR2020140004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80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8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밀을 위하여 벌통으로부터 소비(巢脾)를 분리시 사용되는 집게로서 집게를 이용한 소비의 파지 및 해제 동작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집게가 원상태로 간편하게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봉용 소비 집게에 관한 것으로, 양봉용 소비 집게는,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는 제1 및 제2고정가압대;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교차위치되어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유동가압대; 상기 제1유동가압대와 제2고정가압대의 상측부와 제1고정가압대와 제2유동가압대의 상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손잡이; 및 상기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를 상호간 연결시키되, 일단이 제1유동가압대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1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유동가압대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2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토션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를 가압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에 고정된 토션바가 비틀리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를 향하여 근접 이동되고, 제1 및 제2손잡이의 가압 해제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에 고정된 토션바가 비틀림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로부터 원위치로 이격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per for separating consumption (巢脾) from a beehive for beeing, wherein the grasping and releasing operation of the beeper is performed by a simple separation of the beeper Wherein the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comprises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ads having fingers for gripping consumption at a lower end thereof;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izing bands having fingers for gripping consumption at a lower end thereof and respectively located at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ortions to form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First and second handles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low pressure zone and the second stationary pressure zon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tionary pressure zone and the second flow zone,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clamping ban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compressing ban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flow compressing band, And a torsion bar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ed pressure bar,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pressed, the torsion bar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torsions is twisted, And the torsion bar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ortions are restored in the twisted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released from the pressur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lows And the pressing ba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ing portio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scription

양봉용 소비 집게{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본 고안은 양봉용 소비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밀을 위하여 벌통으로부터 소비(巢脾)를 분리시 사용되는 집게로서 집게를 이용한 소비의 파지 및 해제 동작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집게가 원상태로 간편하게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봉용 소비 집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umable forceps for beekeep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ceps forceps which is used for separating consumable (spleen) from a beehive for harvesting. So that the bean sprout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일반적으로, 양봉 후 벌통으로부터 벌꿀을 수확하는 채밀작업은 벌집과 벌꿀이 형성된 소비를 벌통에서 분리한 후 채밀기를 통해 원심력으로 꿀을 분리시키는 작업을 말하며, 이때, 채밀작업시 벌통으로부터 소비를 분리하기 위해서 집게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harvesting of honey from beehives after beekeeping is performed by separating the honeycomb and honey-formed consumption from the beehive, and then separating the honey from centrifugal force through the harvesting machine. At this time, Tongs are used for this purpose.

여기서, 양봉용 소비 집게의 종례 예는 도 1에 도시된 공개특허 10-2014-229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되도록 고정가압대(1)와 유동가압대(2)가 크로스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제1 및 제2집게(3,4)와, 상기 제1 및 제2집게의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 상단을 각각 연결대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제1 및 제2손잡이(5,6)와, 상기 제1 및 제2집게의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의 중심 교차 부위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하는 진동몸체와 진동모터(7)와, 상기 제1 또는 제2손잡이의 고정가압대 상측과 유동가압대의 하측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며 제1 및 제2손잡이의 가압을 통하여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 하단부의 핑거를 통한 소비를 파지후 파지 해제 동작시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가 원상태로 손쉽게 복원되도록 하는 탄력스프링(8) 등을 포함한다.As 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beeping consumable forceps, as shown in FIG. 1, the fixed pressure pedal 1 and the fluid pressure pedal 2 are cross-mounted The first and second grips (5, 6)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3, 4) constituted by connecting the fixed pressurizing band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s and the upper end of the fluidized- And a vibrating motor and a vibration motor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lamps between a fixed pressurizing z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s and a center crossing region of the fluid pressurizing zone, And the lower side of the flow pressure zon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grip the consumption through the fingers of the fixed pressure zone and the lower pressure zone through the pressuriz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knobs, and then the fixed pressure zone and the fluid pressure zone A resilient spring (8) for easy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It includ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봉용 소비 집게는, 손잡이의 가압을 통하여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의 핑거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간 근접되어 소비의 일부를 파지되도록 한 후 손잡이의 가압 해제를 통하여 소비의 파지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 사이에 연결된 탄력스프링에 의해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가 원래의 이격된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eeping consumable tongs such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consumption is held close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ixed presser bar and the fingers of the fluid presser ba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pushing of the handle, And the resilient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ressurizing band and the fluid pressurizing band restores the fixed pressurizing band and the fluid pressurizing band to their originally spaced positions.

이에, 상기 종래의 양봉용 소비 집게를 통하여 장시간 반복하여 소비를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는 경우 상기 탄력스프링의 형상 변형에 따른 복원 기능이 상실되어 주기적으로 탄력스프링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유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consumer grasps or grasps the consump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conventional beeping consumable forceps, the restoration function due to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resilient spring is lost and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resilient spring periodically, There is a problem.

또한, 상기 탄력스프링이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의 외측에 위치됨에 따라 압축과 복원 동작시 이물질이나 벌 또는 작업자의 의복 일부가 스프링 사이에 끼이게 되거나 작업에 불편을 초래하고 녹이 발생하게 되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resilient spring is located outside the fixed pressurizing band and the fluid pressurizing band, foreign substances, bees, or a part of the garment of the worker are caught between the springs during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pera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los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채밀을 위하여 벌통으로부터 소비를 분리시 사용되는 집게로서, 집게를 통한 소비의 파지 및 해제 동작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집게가 원상태로 간편하게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봉용 소비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ngue for separating consumption from a beehive for compacting, wherein the gripping and releasing action of the tongue is accomplished through a simple separation of the tongue without using a spring, It is to provide the forceps.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양봉용 소비 집게는,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는 제1 및 제2고정가압대;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교차위치되어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유동가압대; 상기 제1유동가압대와 제2고정가압대의 상측부와 제1고정가압대와 제2유동가압대의 상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손잡이; 및 상기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를 상호간 연결시키되, 일단이 제1유동가압대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1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유동가압대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2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고정되는 토션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를 가압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에 고정된 토션바가 비틀리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를 향하여 근접 이동되고, 제1 및 제2손잡이의 가압 해제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에 고정된 토션바가 비틀림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로부터 원위치로 이격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comprising: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ads having fingers for gripping consumption at a lower end;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izing bands having fingers for gripping consumption at a lower end thereof and respectively located at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ortions to form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First and second handles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low pressure zone and the second stationary pressure zon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tionary pressure zone and the second flow zone,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clamping ban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compressing ban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flow compressing band, And a torsion bar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ed pressure bar,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pressed, the torsion bar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torsions is twisted, And the torsion bar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ortions are restored in the twisted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are released from the pressur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lows And the pressurizing ban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ortions to the original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양봉용 소비 집게에 의하면, 집게를 통한 소비의 파지 및 해제 동작이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를 연결하는 손잡이와 토션바 및 이동방지바의 구조적 결합을 토대로 상호간 연쇄 동작을 통하여 유동가압대가 비틀림의 반발력으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집게가 원상태로 간편하게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sping and releasing operation of the consuming force through the forceps is performed by the mutual cascade operation based on the structural combination of the handle, the torsion bar, and the movement preventing bar connecting the fixed pressure pad and the fluid pressure pad The flow pressure restrain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twist, so that the tong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riginal state without using a spring as in the conventional case.

또한, 종래와 같이 집게의 외측에 스프링이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스프링의 구성에 따른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ring is not formed outside the clamp,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ll the conventional problem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pring.

도 1은 종래의 양봉용 소비 집게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소비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양봉용 소비 집게의 분해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소비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양봉용 소비 집게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sumptive forceps for beeping of FIG.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소비 집게는,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111,121)를 가지는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131,141)를 가지며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의 내측에 교차 위치되어 제1집게부(A)와 제2집게부(B)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 상기 제1유동가압대(130)와 제2고정가압대(120)의 상측부와 제1고정가압대(110)와 제2유동가압대(140)의 상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손잡이(150,160), 상기 제1집게부(A)와 제2집게부(B)를 상호간 연결시키되, 일단이 제1유동가압대(130)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1고정가압대(11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유동가압대(140)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2고정가압대(120)의 내측에 고정되는 토션바(170) 및 상기 토션바가 내부에 위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및 제2 유동가압대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면서 위치되어, 제1유동가압대와 제1고정가압대 및 제2유동가압대와 제2고정가압대가 상호 이격되어 교차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바(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150,160)를 가압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에 고정된 토션바(170)가 비틀리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를 향하여 근접 이동되고,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가압 해제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에 고정된 토션바(170)가 비틀림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로부터 원위치로 이격 복원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 bars 110 and 120 having fingers 111 and 121 for gripping consumption at the lower end, Which form the first clamping unit A and the second clamping unit B, which are located at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clamping band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have fingers 131 and 141 for gripping the first clamping unit A and the second clamping unit B,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130 and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13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110 and 140,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connect the upper and lower grips A and B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grips A and B, A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pressure bar 110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ed pressure bar 120 while the other e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flow pressure bar 140, Torsion And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pads and the second fluid pressure pads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are position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And a movement preventing bar (180) for preventing the two pressurizing press bars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releasing the crossing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knobs 150 and 160 are pressed, the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bars 110 and 120 is twis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low pressure restraints 130 and 140 The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arts 110 and 120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re released from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150 and 160 is mov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ing parts 110 and 120, The first and second flow pressure restraints 130 and 14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restraints 110 and 120 to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의 내측에는 각각 스토퍼(S)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가압 해제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로부터 복원 원위치보다 더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topper S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ing members 110 and 1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130 and 140 are opened when the first and second knobs 150 and 160 are released,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stored home posi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ing members 110 and 120,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는,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111,121)를 가지며 상기 토션바(17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가압시 움직임 없이 고정된 위치를 가지는 것으로, 몸체의 중심부에는 상기 토션바(170)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토션바(170)의 단부가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핑거(111,121)에 대향되는 상측부에는 상기 제2 및 제1손잡이(160,150)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60,150)의 단부가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ing bars 110 and 120 have fingers 111 and 121 for gripping consumption at their lower ends and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torsion bar 170 so as to press the first and second fixed knobs 150 and 160,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torsion bar 170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an end of the torsion bar 170 is fix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111 and 121, respectively, through which the ends of the second and first fingers 160 and 150 pass, and the ends of the fingers 160 and 150 are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는,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131,141)를 가지고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의 내측에 교차 위치되어 제1집게부(A)와 제2집게부(B)를 형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토션바(170)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되어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가압시 상기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를 향해 근접 이동되어 상기 핑거(131,141)들에 의해 소비가 파지되도록 하거나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가압 해제시 원상태로 이격되어 소비가 파지 해제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몸체의 중심부에는 상기 토션바(170)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핑거(131,141)에 대향되는 상측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50,160)의 단부가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The first and second flow pressure restraints 130 and 140 have fingers 131 and 141 for gripping consump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re located at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pads 110 and 120,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torsion bar 170 penetr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ing portions 150 and 160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re pressed, 110 and 120 so as to grasp the consumption by the fingers 131 and 141 or to release the consum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re released from pressur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torsion bar 170 passes is formed and an upper portion opposed to the fingers 131 and 14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re respectively passed, Is fix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150,160)는, 상기 제1유동가압대(130)과 제2고정가압대(120)의 상측부와 제1고정가압대(110)과 제2유동가압대(140)의 상측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손잡이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제1손잡이(150)는 제1집게부(A)에 교차 위치된 제1고정가압대(110)와 제1유동가압대(130) 중 내측의 제1유동가압대(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집게부(B)에 교차 위치된 제2고정가압대(120)와 제2유동가압대(140) 중 외측의 제2유동가압대(140)에 타단이 연결되며, 제2손잡이(160)는 제1집게부(A)에 교차 위치된 제1고정가압대(110)과 제1유동가압대(130) 중 외측의 제1고정가압대(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집게부(B)에 교차 위치된 제2고정가압대(120)과 제2유동가압대(140) 중 내측의 제2유동가압대(140)에 타단이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knobs 150 and 160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ing bands 13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ing bands 110 and 140 The first handle 150 includes a first fixed pressing portion 110 and a first fixed pressing portion 110 which are located at intersections of the first grip portion A and the first fixed pressing portion 110, The second fixed pressure member 120 and the second movable pressure member 140 that are connected to the first fluid pressure member 130 and the second fluid pressure member 130, And the second handle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pressure pad 110 and the first fluid pressure pad 130 which are located at the first fixed pressure pad 110 and the second floating pressure pad 140, A second fixed pressure pad 1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pressure pad 110 of the first pressure pad 110 and the second fixed pressure pad 120 crossing the second pressure pad B, (140).

상기 토션바(170)는, 상기 제1고정가압대(110)와 제1유동가압대(130)의 교차부위와 제2고정가압대(120)과 제2유동가압대(140)의 교차부위를 상호간 연결시키되 일단이 제1유동가압대(130)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1고정가압대(11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유동가압대(140)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2고정가압대(120)의 내측에 고정되는 막대바 형상의 비틀림 제공수단으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를 향하여 근접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연쇄 작용을 통하여 소정 크기의 비틀림이 형성된다. The torsion bar 170 is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fixed pressure bar 110 and the first pressure bar 130 and at an intersection of the second fixed pressure bar 120 and the second pressure bar 140 And one e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presser bar 11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resser bar 130 and the other end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presser bar 140, Shaped bar-shaped torsion providing means which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pedal 120. When the first and second flow pressure restricting portions 130 and 140 are mov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tappet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twist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through the chain a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knobs 150 and 160.

즉,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와 토션바(170)에 의하면, 상기 제1집게부(A)의 경우 외측의 제1고정가압대(110)는 몸체 상측부에 제2손잡이(160)의 일단이 고정되고 몸체 중심부에 토션바(170)의 일단이 고정되며 내측의 제1유동가압대(130)는 몸체 상측부에 제1손잡이(150)의 일단이 고정되고 몸체 중심부에 토션바(170)의 일단이 관통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2집게부(B)의 경우 외측의 제2고정가압대(120)는 몸체 상측부에 제1손잡이(150)의 일단이 고정되고 몸체 중심부에 토션바(170)의 타단이 고정되며 내측의 제2유동가압대(140)는 몸체 상측부에 제2손잡이(160)의 일단이 고정되고 몸체 중심부에 토션바(170)의 타단이 관통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nd the torsion bar 170, the first fixed pressing portion 110 on the outer side in the case of the first gripping portion A has the second handle One end of the torsion bar 17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e first fluid pressure pad 130 on the inner side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handle 150 on the body side, One end of the bar 170 is penetrated and one end of the first handle 15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second fixed pressing bar 120 on the outer side in the case of the second clamping part B,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7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e second end of the torsion bar 170 is fixed to the body of the second fluid pressure pad 140. [ .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손잡이(150,160)가 가압되면, 제1손잡이(150)의 일단이 고정된 제1집게부(A)의 제1유동가압대(130)는 토션바(170)의 일단이 고정된 제1고정가압대(110)에 비해 토션바(170)의 일단이 관통된 자유단 상태를 가짐에 따라 토션바(170)가 소정 크기의 비틀림을 가지면서 제1고정가압대(110)를 향해 근접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제2손잡이(160)의 타단이 고정된 제2집게부(B)의 제2유동가압대(140)는 토션바(170)의 타단이 고정된 제2고정가압대(120)에 비해 토션바(170)의 타단이 관통된 자유단 상태를 가짐에 따라 토션바(170)가 소정 크기의 비틀림을 가지면서 제2고정가압대(120)를 향해 근접 이동하게 되어, 핑거(111,121,131,141)들을 통하여 소비의 상측부위가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re pressed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first fluid pressure pad 130 of the first gripper part A, to which the one end of the first grip 150 is fixed, The torsion bar 170 has a free end state where one end of the torsion bar 170 penetrates compared to the first fixed presser bar 110 having one end of the torsion bar 170, The second fluid pressure pad 140 of the second gripper portion B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ip 160 is fixed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70 is fixed Since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70 penetrates the second fixed presser bar 120, the torsion bar 170 is twist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econd fixed presser bar 12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sumption can be gripped through the fingers 111, 121, 131,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손잡이(150,160)가 가압 해제되면,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에 고정된 토션바(170)가 비틀림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로부터 원위치로 이격 복원 되어, 핑거(111,121,131,141)들을 통한 소비의 상측부위 파지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knobs 150 and 160 are released from pressure in the above state, the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ing bars 110 and 120 is restored in the twisted state, The two fluid pressure bands 130 and 14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bands 110 and 120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released from the upper portion of consumption through the fingers 111, 121, 131 and 141.

상기 이동방지바(180)는, 상기 토션바(170)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면서 위치되어, 제1유동가압대(130)와 제1고정가압대(110) 및 제2유동가압대(140)와 제2고정가압대(120)가 상호 이격되어 교차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수단으로, 중공의 원통형상의 막대바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ement preventing bar 180 is positioned while the torsion bar 170 is received therein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70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ressure restraints 130 and 140, The first pressure restraining bar 130 and the first pressure restraining bar 110 and the second pressure restraining bar 140 and the second pressure restraining bar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the crossing state from being released , It is preferable that the bar bar is a hollow cylindrical bar ba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소비 집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sumable forceps for beep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벌통의 내부에 삽입 위치된 소비를 분리하거나 반대로 벌통의 내부에 소비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소비를 파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process of grasping consumption for separating consumption placed inside the beehive or for inserting consumption into the beehi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양봉용 소비 집게를 해당 소비의 상측부에 위치시켜 소비의 파지 부위가 제1집게부(A)와 제2집게부(B)의 핑거(111,121,131,141)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손잡이(150,160)가 가압되면, 제1손잡이(150)의 일단이 고정된 제1집게부(A)의 제1유동가압대(130)는 토션바(170)의 일단이 고정된 제1고정가압대(110)에 비해 토션바(170)의 일단이 관통된 자유단 상태를 가짐에 따라 토션바(170)가 소정 크기의 비틀림을 가지면서 제1고정가압대(110)를 향해 근접 이동하게 되고 또한, 동시에, 제2손잡이(160)의 타단이 고정된 제2집게부(B)의 제2유동가압대(140)는 토션바(170)의 타단이 고정된 제2고정가압대(120)에 비해 토션바(170)의 타단이 관통된 자유단 상태를 가짐에 따라 토션바(170)가 소정 크기의 비틀림을 가지면서 제2고정가압대(120)을 향해 근접 이동하게 되어, 핑거(111,121,131,141)들이 소비의 파지부위를 파지하게 된다.The beeping consumer tongu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sumption, so that the grasping portion of consumption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ngers 111, 121, 131, 141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er portions A,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re pressed in the state that the first grip 150 and the second grip 150 are pressed, the first fluid pressure pad 130 of the first gripper A, The torsion bar 170 has a predetermined torsion as the one end of the torsion bar 170 passes through the free end of the first fixed presser bar 110 The second fluid pressure pad 140 of the second gripper portion B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rip 160 is fixed is moved in the direction 2 torsion bar 170 has a free-end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170 penetrates compared to the second fixed pressure bar 120, and the second fixed pressure bar 120 So that the fingers 111, 121, 131, and 141 grip the grasping portion of the consumption.

한편, 상기와 같이 양봉용 소비 집게에 파지된 소비의 파지를 해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releasing the grasp of the consumption grasped in the beeping consumer tongu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손잡이(150,160)가 가압 해제되면,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에 고정된 토션바(170)가 비틀림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로부터 원위치로 이격 복원 되어, 핑거(111,121,131,141)들이 소비의 파지부위를 파지 해제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knobs 150 and 160 are released from pressure, the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ing bars 110 and 120 is restored in the twisted state, The flow pressure pads 130 and 14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pads 110 and 120 in the home posi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fingers 111, 121, 131 and 141 grasp the grasped portion of the consumption.

따라서 상기 양봉용 소비 집게에 의하면, 집게를 통한 소비의 파지 해제 동작이 고정가압대와 유동가압대를 연결하는 손잡이와 토션바 및 이동방지바의 구조적 결합을 토대로 상호간 연쇄 동작을 통하여 유동가압대가 비틀림의 반발력으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집게가 원상태로 간편하게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beeping consumable forceps, 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consumption of power through the forceps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locking operation based on the structural combination of the handle, the torsion bar, and the movement preventing bar connecting the stationary pressure pad and the fluid pressure pad, By restoring the original state by the repulsive force, the tong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riginal state without using a spring as in the conventional art.

또한, 종래와 같이 집게의 외측에 스프링이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스프링의 구성에 따른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ring is not formed outside the clamp,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all the conventional problem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pring.

Claims (3)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는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
하단부에 소비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를 가지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고정가압대의 내측에 교차위치되어 제1집게부(A)와 제2집게부(B)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
상기 제1유동가압대와 제2고정가압대의 상측부와 제1고정가압대와 제2유동가압대의 상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손잡이(150,160); 및
상기 제1집게부(A)와 제2집게부(B)를 상호간 연결시키되, 일단이 제1유동가압대(130)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1고정가압대(11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유동가압대(140)에 관통된 상태에서 제2고정가압대(120)의 내측에 고정되는 토션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손잡이(150,160)를 가압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에 고정된 토션바(170)가 비틀리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를 향하여 근접 이동되고,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가압 해제시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에 고정된 토션바(170)가 비틀림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로부터 원위치로 이격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집게.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ing members (110, 120) having fingers for gripping consumption at a lower end thereof;
And first and second flow-pressurizing portions, which have fingers for gripping consumption at a lower end portion and are located at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portions, respectively, to form a first grip portion A and a second grip portion B, (130,140);
First and second handles (150, 160)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low pressure zone and the second stationary pressure zon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tionary pressure zone and the second flow zone,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ortions A and 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13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xed pressing portion 11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compressing portion 130, And a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ixed pressing part 120 in a state where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ressure rest 140,
When the first and second knobs 150 and 160 are pressed, the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tionary pressure bars 110 and 120 is twis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low pressure bars 130 and 140 are The torsion bar 170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er bars 110 and 120 is til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and 160 are released from the pressure, And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130, 14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pads (110, 120) in the hom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가 내부에 위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 및 제2 유동가압대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면서 위치되어, 제1유동가압대와 제1고정가압대 및 제2유동가압대와 제2고정가압대가 상호 이격되어 교차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바(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집게.The fluid pressu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rsion bar is positioned insid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bar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ressure chambers, respectively, And a movement preventing bar (180) for preventing the second flow pressurizing band and the second stationary pressurizing ban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releasing the crossing state.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손잡이(150,160)의 가압 해제시 제1 및 제2유동가압대(130,140)가 각각 제1 및 제2고정가압대(110,120)로부터 복원 원위치보다 더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비 집게. The fluid pressur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first and second grips (150, 160) are released from pressure, the first and second fluid pressure pads (130, 140) are spac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ed pressure pads And a stopper (S) for preventing the stoppers (S).
KR2020140004737U 2014-06-24 2014-06-24 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KR2004803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37U KR200480380Y1 (en) 2014-06-24 2014-06-24 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37U KR200480380Y1 (en) 2014-06-24 2014-06-24 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01U KR20160000001U (en) 2016-01-04
KR200480380Y1 true KR200480380Y1 (en) 2016-05-17

Family

ID=5517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37U KR200480380Y1 (en) 2014-06-24 2014-06-24 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80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84B1 (en) 2020-08-25 2022-08-23 박병교 Semi-auto gripper for extracting honey frames from beeh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01U (en)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12128A (en) Wire gripper
US7169033B1 (en) Seafood sheller
US1976623A (en) Jar clamping tool
KR200480380Y1 (en) Honeycomb nipper for apiculture
US4400025A (en) Leader-tying vise device
US2377953A (en) Abrasive stick holder
US1867342A (en) Device for removing finger rings
KR101863256B1 (en) Gripper for bee comb
TWI307329B (en)
US832143A (en) Policeman's nippers.
US2223147A (en) Mop wringer
US1458292A (en) Locking pliers
US1123929A (en) Grape-shears.
US1797452A (en) Clasp or toggle
US3114821A (en) Electrically heated soldering plier
US1105684A (en) Weed-puller.
US650369A (en) Wire stretcher and gripping device.
US1375268A (en) Hot-plate lifter
US2753905A (en) Nutcracker
US975304A (en) Handle-extractor for axes, hammers, &c.
US1615144A (en) Tool
US1236282A (en) Sanitary gut-clamp.
US1151670A (en) Wire-strainer.
US1219979A (en) Battery-tongs.
JP3184469U (en) Sushi nigi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