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93Y1 -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93Y1
KR200480293Y1 KR2020140004246U KR20140004246U KR200480293Y1 KR 200480293 Y1 KR200480293 Y1 KR 200480293Y1 KR 2020140004246 U KR2020140004246 U KR 2020140004246U KR 20140004246 U KR20140004246 U KR 20140004246U KR 200480293 Y1 KR200480293 Y1 KR 200480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flange portion
cable
present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462U (ko
Inventor
홍연수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93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1플랜지부가 형성된 제1몸체 부재,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몸체 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와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된 제2몸체 부재 및 상기 제2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랜지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가 상기 제1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1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장치{Cable fixing apparatus}
본 고안은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제조 시에는 매우 많은 수의 부품들이 조립된다. 선박을 구성하는 전기적인 장비의 경우, 장비가 선박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도 바닥에 시트를 설치하고 세우는 형태의 장비는 하부 바닥에 케이블용 코밍을 시공하고 인입하여 설치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장비 상부나 옆면에 케이블 글랜드(Gland)를 시공하여 인입시켜서 설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선박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 중에서도 케이블 글랜드는 접속 박스나 제어 박스 등의 장치에 전기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글랜드를 시공하고 작업을 할 때에는 천장이나 벽면에서 장비와 연결되는 전로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포설한다.
이 때, 케이블의 굵기, 장비에 시공되는 케이블 글랜드의 위치를 일일이 고려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기 때문에 포설 작업 후 필요한 부분에는 진동 관련, 혹은 케이블 휨에 따른 위치 변형 값을 고려하여 전로 작업을 추가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로 작업으로는 용접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면 화기 작업으로 인하여 선체 또는 장비의 도장면이 손상되고, 손상된 부분을 재벌 작업하게 되면서 선박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의 방향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게 한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1플랜지부가 형성된 제1몸체 부재,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몸체 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와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된 제2몸체 부재, 및 상기 제2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랜지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가 상기 제1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1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제2몸체 부재의 회전축은 서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 부재는, 상기 제2플랜지부를 따라 호(Ar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 부재가 상기 제1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위치 고정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 부재에는 하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3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3플랜지부와 밀착되는 제4플랜지부가 형성된 제3몸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하측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 부재의 상측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제3몸체 부재의 회전축은 서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4플랜지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가 상기 제3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2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 부재는, 상기 제3플랜지부를 따라 호(Ar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가 상기 제3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위치 고정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몸체 부재의 상측에 케이블의 둘레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글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제2몸체 부재의 회전으로 케이블의 위치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대상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브라켓에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설치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에서 제2몸체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에서 제2몸체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에서 제2몸체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에서 제2몸체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1몸체 부재도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제1몸체 부재(110)와, 제2몸체 부재(120)와, 제1위치 고정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 부재(1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몸체 부재(110)에는 상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1플랜지부(111)가 형성된다. 제1플랜지부(111)는 띠(ribbon)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몸체 부재(1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몸체 부재(1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제2몸체 부재(120)의 높이 및 직경은 제1몸체 부재(110)의 높이 및 직경과 유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2몸체 부재(120)에는 하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111)와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121)가 형성된다. 제2플랜지부(121)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몸체 부재(110)의 상측에 제2몸체 부재(12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플랜지부(111)의 하면과 제2플랜지부(121)의 상면이 밀착된다. 이를 위하여, 제1플래지부와 제2플랜지부(121)의 크기 및 형상은 서로 유사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위치 고정 부재(130)는 상기 제2플랜지부(121)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랜지부(111)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위치 고정 부재(130)는 상기 제1몸체 부재(110)가 상기 제1몸체 부재(110)에 대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제1위치 고정 부재(130)는 일례로, 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볼트가 제2플랜지부(121)를 관통한 다음, 제1플랜지부(111)에 형성된 결합홀(미도시)에 너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단, 제1위치 고정 부재(130)가 볼트와 너트인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리벳 또는 고정핀 등 다양한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몸체 부재(120)는 제1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22)는 상기 제2플랜지부(121)를 따라 호(Ar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 부재(120)가 상기 제1몸체 부재(110)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위치 고정 부재(130)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1가이드부(1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제1가이드부(122)가 두 개인 경우, 제1위치 고정 부재(130)도 두 개의 제1가이드부(122)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0)는 글랜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글랜드(123)는 상기 제2몸체 부재(120)의 상측에 케이블(10)의 둘레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글랜드(123)에 의해 케이블(10)이 제2몸체 부재(120)에 강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에서 제2몸체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100)에서 제1몸체 부재(110)의 상측과 제2몸체 부재(120)의 하측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몸체 부재(110)의 회전축과 상기 제2몸체 부재(120)의 회전축은 서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몸체 부재(120)가 제1몸체 부재(1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 예컨대 제2몸체 부재(120)가 제1몸체 부재(11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대략 180°회전하는 경우, 제2몸체 부재(120)는 제1몸체 부재(110)의 경사지게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몸체 부재(120) 내부를 따라 배치된 케이블(10)도 제2몸체 부재(120)를 따라 기울어지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 부재(120)가 제1몸체 부재(110)의 경사지게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위치 고정 부재(130)로 제1몸체 부재(110)와 제2몸체 부재(120)를 체결하여 제2몸체 부재(120)가 제1몸체 부재(110)에 대해 이동하지 않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100)는 제2몸체 부재(120)의 회전으로 케이블(10)의 위치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케이블(10)을 대상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여 케이블(10)을 브라켓에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10) 설치작업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에서 제2몸체 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200)는 제3몸체 부재(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200)에서 상기 제1몸체 부재(110)에는 하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3플랜지부(112)가 형성된다.
제3몸체 부재(14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몸체 부재(210)의 하측에 결합된다. 제3몸체 부재(140)에는 상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3플랜지부(112)와 밀착되는 제4플랜지부(141)가 형성된다. 제4플랜지부(141)는 전술한 제1플랜지부(111)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제3 몸체 부재의 하측은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은 선박의 배전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3몸체 부재(140)의 상세한 형상은 일례로, 하측 및 상측이 서로 평행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몸체 부재(110)의 회전축이 제3몸체 부재(140)의 중심과 동축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몸체 부재(110)가 제3몸체 부재(140)에 대해 회전되더라도 제1몸체 부재(110)와 제3몸체 부재(140)의 결합된 형상은 원기둥 형상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200)에서는 제1몸체 부재(110)가 대상물에 고정되어 있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200)에서는 대상물과 제1몸체 부재(110) 사이에 제3몸체 부재(140)가 위치되어 있고, 제1몸체 부재(110)가 제3몸체 부재(140)에 대해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제2몸체 부재(120)와 제1몸체 부재(11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블(10)이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 부재(210)의 하측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 부재(240)의 상측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몸체 부재(210)의 회전축과 상기 제3몸체 부재(240)의 회전축은 서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의해 제1몸체 부재(210)가 제3몸체 부재(240)에 대해 회전되는 경우, 제1몸체 부재(210)는 제3몸체 부재(240)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1몸체 부재(210) 내부를 따라 배치된 케이블(10)도 제1몸체 부재(210)를 따라 기울어지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는 제2위치 고정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제3플랜지부(112)를 관통하여 상기 제4플랜지부(141)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210)가 상기 제3몸체 부재(240)에 대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제2위치 고정 부재는 일례로, 제1위치 고정 부재(130)와 유사한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에서 상기 제1몸체 부재(210)는 제2가이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미도시)는 상기 제3플랜지부(112)를 따라 호(Ar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210)가 상기 제3몸체 부재(240)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위치 고정 부재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가이드부(미도시)는 전술한 제1가이드부(122, 도 1 참조)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에서 제2몸체 부재(120)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도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에서 제2몸체 부재(120)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1몸체 부재(210)도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에서는 가장 상측에 위치한 제2몸체 부재(120)가 제1몸체 부재(210)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의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에서는 제1몸체 부재(210)가 제3몸체 부재(240)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의해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장 상단에 위치한 제2몸체 부재(120)는 제1몸체 부재(210)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과 제3몸체 부재(240)의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의해 전술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300)보다 케이블(10)을 더욱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케이블(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케이블(10)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케이블 고정장치 110, 210: 제1몸체 부재
111: 제1플랜지부 112: 제3플랜지부
120: 제2몸체 부재 121: 제2플랜지부
122: 제1가이드부 123: 글랜드
130: 제1위치 고정 부재 140, 240: 제3몸체 부재
141: 제4플랜지부

Claims (8)

  1.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1플랜지부가 형성된 제1몸체 부재,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몸체 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와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가 형성된 제2몸체 부재, 및
    상기 제2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랜지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가 상기 제1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1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제2몸체 부재의 회전축은 서로 경사지게 위치된 케이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 부재는,
    상기 제2플랜지부를 따라 호(Ar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 부재가 상기 제1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위치 고정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부재에는 하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된 제3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3플랜지부와 밀착되는 제4플랜지부가 형성된 제3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하측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 부재의 상측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 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제3몸체 부재의 회전축은 서로 경사지게 위치된 케이블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4플랜지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가 상기 제3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제2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부재는,
    상기 제3플랜지부를 따라 호(Ar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부재가 상기 제3몸체 부재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위치 고정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 부재의 상측에 케이블의 둘레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글랜드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KR2020140004246U 2014-06-03 2014-06-03 케이블 고정장치 KR200480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46U KR200480293Y1 (ko) 2014-06-03 2014-06-03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46U KR200480293Y1 (ko) 2014-06-03 2014-06-03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62U KR20150004462U (ko) 2015-12-11
KR200480293Y1 true KR200480293Y1 (ko) 2016-05-09

Family

ID=5502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46U KR200480293Y1 (ko) 2014-06-03 2014-06-03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9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917A (ja) 2002-03-08 2002-12-13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方向転換具
JP2003339114A (ja) 2002-05-20 2003-11-28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線接続用スリーブ、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KR200429693Y1 (ko) 2006-08-11 2006-10-25 경신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917A (ja) 2002-03-08 2002-12-13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方向転換具
JP2003339114A (ja) 2002-05-20 2003-11-28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線接続用スリーブ、配線接続構造及び配線接続方法
KR200429693Y1 (ko) 2006-08-11 2006-10-25 경신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462U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501B2 (en) Adjustable mud ring assembly
US9562626B2 (en) Bracket for tubular element, in particular for aircraft
JP2018046704A (ja) グロメットの車体取付け構造
US10150217B2 (en) Tool adapter for robot wrist and robot with tool adapter attached thereto
KR102615299B1 (ko) 플레이트 형상 구조물 요소의 관통 개구에 도관을 실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480293Y1 (ko) 케이블 고정장치
JP2018527866A (ja) アーマード高電圧ケーブルのための一時荷重固定デバイス、および、アーマード高電圧ケーブルの据え付け関連の動作を促進させるための方法
KR20150037350A (ko) 원터치 롤러 방식의 케이블 포설용 클램프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US11179857B2 (en) Interface mechanism and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KR20140004686U (ko) 케이블 고정장치
KR20130061890A (ko) 서비스 타워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48211Y1 (ko) 스페이서 댐퍼 취부용 보조장치
KR200474689Y1 (ko) 케이블 행거
JP6912403B2 (ja) ワイヤ中途部の保持構造及びワイヤ保持装置
KR20150004635U (ko) 족장 연결장치
KR20150004541U (ko) 선박용 해치 조립체
KR102138379B1 (ko) 여객선의 승객 공용실 케이블 포설 구조 및 케이블 포설 방법
KR101525392B1 (ko) 케이블설치선의 케이블 설치시 충격방지용 컴펜세이터
JP6428030B2 (ja) 取付け部材の取付け構造
KR20180013497A (ko) 선박용 프로텍션 바 취부 장치
KR20150059426A (ko) 일체형 안전 손잡이
KR20130003647U (ko) 곡면 구조물의 지지수단
KR20140003857U (ko) 선박건조용 호스 걸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