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38Y1 - 곡률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곡률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38Y1
KR200480238Y1 KR2020140004845U KR20140004845U KR200480238Y1 KR 200480238 Y1 KR200480238 Y1 KR 200480238Y1 KR 2020140004845 U KR2020140004845 U KR 2020140004845U KR 20140004845 U KR20140004845 U KR 20140004845U KR 200480238 Y1 KR200480238 Y1 KR 200480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measurement
radius
measuring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047U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3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5/21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adius of curv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는, 일면 상에 눈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의 타단이 관통하여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률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CURVATURE RADIUS}
본 고안은 곡률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케이블 등의 일정 곡률 또는 가변 곡률로 벤딩된 대상물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 광 케이블 등의 케이블을 설치할 때에는 케이블 최소 곡률 반경을 만족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파이프를 대략 수직하는 경로로 설치할 때에도 벤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설계 기준을 만족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의 케이블 또는 파이프 등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설치된 케이블 또는 파이프 등의 곡률 반경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없어서, 검사자가 눈짐작으로 곡률 반경의 중심점을 어림잡고 줄자 등을 이용해 중심점으로부터의 길이를 측정하여 곡률 반경을 측정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한 측정 결과는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며, 특히 곡률 반경이 큰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경우 눈짐작만으로 곡률 반경의 중심점을 어림잡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곡률 반경을 측정할 수 있는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는, 일면 상에 눈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의 타단이 관통하여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눈금에 대응하는 수치는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눈금까지의 거리를 2π로 나눈 값이며, 상기 측정부의 타단이 상기 슬릿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었을 때, 상기 측정부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형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부는 단위 길이에 따른 탄성력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점은 상기 측정부의 일단과 상기 헤드부의 경계 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부는, 상기 측정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릿이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곡률 반경의 중심점을 어림잡아 측정할 필요없이, 측정 대상체의 곡률과 측정부의 곡률을 일치시켜 곡률 반경을 측정하므로 정확한 곡률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의 눈금이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수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측정 대상체의 곡률과 측정부의 곡률을 일치시킨 후, 곡률 반경을 별도로 연산할 필요가 없이, 측정부의 눈금을 읽는 것만으로 측정 대상체의 곡률 반경 측정이 완료된다.
휴대가 용이하여 수시로 휴대하고 다니며 필요시 측정 대상체의 곡률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률 반경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1)는 헤드부(10) 및 측정부(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20)는 두께에 비해 폭이 다소 넓고, 두께 및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측정부(20)의 일면 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눈금(21)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21)은 측정부(20)의 일면 상에 프린팅되거나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정부(20)의 끝단(타단)은 후술하는 헤드부(10)의 슬릿(11)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정부(20)의 타단이 후술하는 헤드부(10)의 슬릿(1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경우에 측정부(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측정부(20)는 단위 길이에 따른 탄성력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정부(20)의 일단에는 헤드부(10)가 구비된다. 측정부(20)는 헤드부(10)에 삽입되도록 조립거나 헤드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과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슬릿(1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11)은 헤드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는 중심축의 상부를 지나도록 형성되어, 슬릿(11)의 타측은 측정부(20)와 헤드부(10)가 연결되는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슬릿(11)은 헤드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는 중심축의 하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슬릿(11)의 타측이 측정부(20)와 헤드부(10)가 연결되는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20)의 일면 상에 형성된 눈금(21)들은 기준점(C)으로부터 해당 눈금(21)까지의 거리(L)를 2π로 나눈 값들이 될 수 있다. 기준점(C)은 측정부(20)의 일단과 헤드부(10)의 경계 라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20)의 타단이 후술하는 헤드부(10)의 슬릿(1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측정부(20)가 대략 원형의 형성된 상태에서, 기준점(C)의 상부, 즉 슬릿(11)의 타측에 인접하는 눈금값은 L/2π로서 측정부(20)가 형성하는 원의 반지름 값에 대응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여, 대략 수직으로 벤딩된 측정 대상체(100)의 벤딩 부분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측정 대상체(100)는 케이블, 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측정부(20)의 타단을 헤드부(10)에 형성된 슬릿(1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삽입하여 측정부(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한다. 측정부(20)는 단위 길이에 따른 탄성력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측정부(20)의 타단이 슬릿(11)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면 전체적인 곡률이 일정한 대략적인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20)의 일부를 측정 대상체(100)의 벤딩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측정부(20)의 곡률이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과 일치할 때까지 측정부(20)의 타단을 꾸준하게 잡아 당겨 측정부(20)의 곡률과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을 일치시킨다.
슬릿(11)의 타측에 인접하는 눈금(A)이 바로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 반경(r)이 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1)와 비교할 때, 측정부(20)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이스(41, 42) 및 베이스(41, 4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릿(44)이 형성된 슬리브(43)를 포함하는 헤드부(40)를 구비한다.
베이스(41, 42)는, 회전 베이스(42)와 돌출 베이스(41)를 포함하며, 회전 베이스(42)는 슬리브(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돌출 베이스(41)는 회전 베이스(42)로부터 돌출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측정부(20)의 일단을 지지한다.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돌출 베이스(41)가 생략되고, 측정부(20)의 일단이 회전 베이스(42)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슬리브(43)에는 슬리브(43)의 회전축이 되는 돌출단(45)이 형성되고, 회전 베이스(42)의 일면에는 돌출단(45)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43)는 회전 베이스(42)의 일면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2)를 이용해 대략 수직으로 벤딩된 측정 대상체(100)의 벤딩 부분의 곡률 반경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측정부(20)의 타단을 슬리브(43)에 형성된 슬릿(44)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삽입하여 측정부(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한다. 측정부(20)의 타단이 슬릿(43)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면 전체적인 곡률이 일정한 대략적인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후, 측정부(20)의 일부를 측정 대상체(100)의 벤딩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측정부(20)의 곡률이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과 일치할 때까지 측정부(20)의 타단을 꾸준하게 잡아 당겨 측정부(20)의 곡률과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을 일치시킨다.
이후, 기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눈금을 통해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 반경(r)을 측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기준점은 슬리브(43)의 회전축, 측정부(20)의 일단과 돌출 베이스(41)의 경계 라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측정부(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눈금들은 해당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2π로 나눈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1,2)는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 반경의 중심점(O)을 어림잡는 방식으로 곡률 반경을 측정할 필요가 없고,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과 측정부(20)의 곡률을 일치시켜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 반경(r)을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곡률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1,2)는 측정부의 눈금(21)이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수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과 측정부(20)의 곡률을 일치시킨 후, 곡률 반경을 별도로 연산할 필요가 없이, 측정부(20)의 눈금을 읽는 것만으로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 반경 측정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곡률 반경 측정 장치(1,2)는 상호 연결된 헤드부(10)와 측정부(20)로 구성되며 측정부(2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휴대가 용이하므로, 수시로 휴대하고 다니며 필요시 측정 대상체(100)의 곡률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곡률 반경 측정 장치
10, 40: 헤드부
11, 44: 슬릿
20: 측정부
21: 눈금
41: 돌출 베이스
42: 회전 베이스
43: 슬리브
45: 돌출단
100: 측정 대상체
C: 기준점

Claims (5)

  1. 일면 상에 눈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측정부의 타단이 관통하여 삽입 가능한 슬릿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측정부의 일단을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릿이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곡률 반경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에 대응하는 수치는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눈금까지의 거리를 2π로 나눈 값이며,
    상기 측정부의 타단이 상기 슬릿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었을 때, 상기 측정부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형이 되는, 곡률 반경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단위 길이에 따른 탄성력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곡률 반경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은 상기 측정부의 일단과 상기 헤드부의 경계 라인에 형성되는, 곡률 반경 측정 장치.
  5. 삭제
KR2020140004845U 2014-06-27 2014-06-27 곡률 측정 장치 KR200480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45U KR200480238Y1 (ko) 2014-06-27 2014-06-27 곡률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45U KR200480238Y1 (ko) 2014-06-27 2014-06-27 곡률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47U KR20160000047U (ko) 2016-01-06
KR200480238Y1 true KR200480238Y1 (ko) 2016-04-28

Family

ID=5517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45U KR200480238Y1 (ko) 2014-06-27 2014-06-27 곡률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3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10843U (zh) * 1986-12-27 1987-12-16 中国民航一零三厂 主尺有导向结构的直径、周长、长度多用尺
CN102778192A (zh) 2012-07-30 2012-11-14 天津市电力公司 高压电缆转弯半径测量工具
KR101411505B1 (ko) 2013-01-17 2014-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곡률반경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10843U (zh) * 1986-12-27 1987-12-16 中国民航一零三厂 主尺有导向结构的直径、周长、长度多用尺
CN102778192A (zh) 2012-07-30 2012-11-14 天津市电力公司 高压电缆转弯半径测量工具
KR101411505B1 (ko) 2013-01-17 2014-07-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곡률반경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47U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5665A (zh) 光纤型弯曲参量的测定装置及方法
CN104180761A (zh) 壁厚测量仪
KR101373222B1 (ko) 곡면부 두께 측정 장치
KR101411505B1 (ko) 곡률반경 측정장치
US8601709B2 (en)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length of an electrical wire between two connectors
KR101306307B1 (ko) 클리노미터 장치
KR20120006561U (ko) 크랙진행측정장치
KR200480238Y1 (ko) 곡률 측정 장치
CN103968741A (zh) 电力电缆拐弯半径测定仪
JPWO2015178323A1 (ja) 圧力センサ
CN108072310A (zh) 一种电缆弯曲半径测量器及检测方法
KR200488675Y1 (ko) 선체 곡블록 단차측정 치공구
CN203798285U (zh) 一种多功能测量仪
BR112017006560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a orientação de componentes de tubo e máquina para a produção de tubos flexíveis
KR200481125Y1 (ko) 다용도 플렉시블 공극 측정장치
CN104457957A (zh) 一种光纤光栅传感器
US2388897A (en) Electrical indicating instrument
CN205156802U (zh) 一种宽度测量装置
CN105043666A (zh) 一种用于固定扇形纸浆磨片的固定尺
CN105627940A (zh) 一种基于光纤光栅传感器的土体内部变形的测量方法
CN205483360U (zh) 一种推拉力计
CN209166273U (zh) 一种尺寸外形检测装置及检测系统
CN203981203U (zh) 一种可准确定位传感器的婴儿培养箱自动校准装置
CN106091898A (zh) 一种弯管角度测量装置
CN203719762U (zh) 一种屏亮度测试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