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39Y1 -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39Y1
KR200480139Y1 KR2020140003958U KR20140003958U KR200480139Y1 KR 200480139 Y1 KR200480139 Y1 KR 200480139Y1 KR 2020140003958 U KR2020140003958 U KR 2020140003958U KR 20140003958 U KR20140003958 U KR 20140003958U KR 200480139 Y1 KR200480139 Y1 KR 200480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rill
derrick
drill pipe
drill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313U (ko
Inventor
서재원
김정민
김웅지
홍진철
추길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3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3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3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6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inclined or vertical conveyor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8Connecting or disconnecting drill bit and drilling pipe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은, 선체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들을 연속적으로 수평 이동시킨 후, 상부로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드릴 파이프들을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정렬시키는 캣워크와, 상기 데릭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위치된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를 연결시켜 파이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데릭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후 핑거보드에 거치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드릴 파이프를 연결한 파이프 조립체를 수평 이동시킨 후, 상부로 방향을 전환시켜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위치시키는 캣워크 및, 상기 데릭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후 핑거보드에 거치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DRILL PIPE ASSEMBLIES SYSTEM FOR DRILLSHIP}
본 고안은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 홀을 없앨 수 있어 선체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고, 드릴 파이프들을 신속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에 사용되는 드릴 파이프(이하, 파이프)는 다수를 조립하여 하나의 파이프 조립체로 형성시킨 후, 핑거보드(Fingerboard)에 수직하게 세워서 보관하고 있다.
드릴 파이프 조립과정을 보면, 먼저 파이프 파이프 적치대(pipe rack)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를 캣워크(catwalk) 상부의 컨베이어 상에 안착시킨 후, 드릴 플로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드릴 플로어 방향으로 이동된 드릴 파이프는 파이프 조작장치에 의해 파지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며, 파이프 조작장치는 파지된 드릴 파이프를 마우스홀(mouse hole)에 넣어 상부갑판 근처까지 내린다.
이와 같은 과정을 다수로 진행한 후, 파이프 조작장치가 파이프를 마우스홀 위에 위치시키면 철재 라프넥(roughneck)이 다수의 드릴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파이프 조립체로 형성시킨다.
이후, 파이프 조작장치는 하나의 몸체로 조립된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여 핑거보드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시키며, 시추 작업시 파이프 조작장치는 파이프 조립체를 이동시켜 시추 장비에 연결시키는 과정을 등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드릴 파이프 조립 과정에서는 캣워크를 따라 드릴 플로어로 수평 이동된 드릴 파이프를 파이프 조작장치로 들어올린 후, 파이프 조립체를 마우스홀에 꽂아 넣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드릴 파이프 연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마우스홀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작업공간 확보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1405호(2012년 04월 0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보조구조물을 탑재한 시추선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드릴 파이프 이송용 캣워크를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시켜 드릴 파이프를 수직으로 정렬시킨 후에 조립을 완료함으로써, 마우스 홀을 없앨 수 있어 선체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고, 드릴 파이프들을 신속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은, 선체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들을 연속적으로 수평 이동시킨 후, 상부로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드릴 파이프들을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정렬시키는 캣워크와, 상기 데릭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위치된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를 연결시켜 파이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데릭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후 핑거보드에 거치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캣워크는 상기 선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 적재 위치와 대릭을 연결하는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데릭의 측부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컨베이어 및,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직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를 수직하게 정렬시키는 다수의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직 컨베이어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드릴 파이프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 컨베이어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컨베이어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하나 또는 다수의 직선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컨베이어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1차 상향 절곡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직선구간 및, 상기 제1직선구간으로부터 2차 상향 절곡되어 상기 수직 컨베이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직선구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컨베이어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상부를 향해 곡선으로 밴딩되어 상기 수직 컨베이어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들은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직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파지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를 파지하는 그립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데릭의 측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은 다수의 드릴 파이프를 연결한 파이프 조립체를 수평 이동시킨 후, 상부로 방향을 전환시켜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위치시키는 캣워크 및, 상기 데릭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후 핑거보드에 거치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캣워크는 상기 선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 적재 위치와 대릭을 연결하는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데릭의 측부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컨베이어 및,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를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캣워크를 따라 이동된 드릴 파이프를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정렬시킨 후에 조립을 완료함으로써, 드릴 파이프들을 신속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마우스 홀과 드릴 파이프 리프팅 장비를 없앨 수 있어 선체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캣워크의 수평 컨베이어 상에서 드릴 파이프들의 조립을 완료한 후, 데릭의 측면으로 이동 위치시킴으로써, 드릴 파이프들을 신속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조립을 하게 되므로 조립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서 수평 컨베이어를 따라 드릴 파이프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서 연결 컨베이어를 따라 드릴 파이프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서 수직 컨베이어를 따라 드릴 파이프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서 연결 컨베이어를 곡선으로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은 캣워크(Catwalk, 100)와, 결합부(200) 및, 크레인(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캣워크(100)는 선체(10)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P)를 데릭(Derrick, 20)의 측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캣워크(100)는 드릴 파이프(P)를 연속적으로 수평 이동시킨 후, 데릭(20)의 측부에 수직하게 이동시켜 일렬로 위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캣워크(100)는 수평 컨베이어(110)와, 수직 컨베이어(120) 및, 이송부(13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컨베이어(110)와 상기 수직 컨베이어(120)의 사이에는 연결 컨베이어(140)가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컨베이어(110)는, 선체(10)의 상부에 일정 길이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드릴 파이프(P) 적재 위치와 데릭(20)으로 1차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수직 컨베이어(120)는, 수평 컨베이어(110)의 종 방향과 연결된 상태로 데릭(20)의 측부를 따라 수직하게 2차 이송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평 컨베이어(110)와 수직 컨베이어(120)는 연결 컨베이어(14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직각 방향에 각각 위치한다.
연결 컨베이어(140)는, 수평 컨베이어(110)와 수직 컨베이어(120)를 연결하며, 상기 수직 컨베이어(120)로 드릴 파이프(P)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컨베이어(14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수평 컨베이어(110)의 종 방향 일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다수의 직선 구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컨베이어(140)는 제1직선구간(141) 및, 제2직선구간(142)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직선구간(141)은, 수평 컨베이어(110)로부터 1차로 상향 절곡되어 이송부(130)가 상부 컨베이어(120)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직선구간(141)은 수평 컨베이어(110)의 종 방향 일단이 최초 상승되는 부위로, 이송부(130)가 일정 각으로 상승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직선구간(142)은, 제1직선구간(141)으로부터 2차로 상향 절곡되어 수직 컨베이어(120)의 하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직선구간(142)은 제1직선구간(141)의 종 방향 일단으로부터 다시 한번 더 큰 각으로 절곡되는 직선 구간을 형성한다.
이때, 이송부(130)는 상기 제1직선구간(142)와 제2직선구간(142)를 통해 수직 컨베이어(120)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 컨베이어(140)는 제1직선구간(141) 및, 제2직선구간(142)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구간의 개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다르게, 상기 연결 컨베이어(140)는 도 5에서처럼 수평 컨베이어(110)로부터 상부를 향해 곡선으로 밴딩되어 수직 컨베이어(12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 컨베이어(140)를 곡선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드릴 파이프(P)를 수직 컨베이어(120)로 이송하는 과정에서의 간섭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부(130)는, 수평 컨베이어(110)와 연결 컨베이어(140) 및 수직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릴 파이프(P)를 수직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부(130)들은 이동부재(131) 및, 한 쌍의 그립부재(1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31)는, 수평 컨베이어(110)와 연결 컨베이어(140) 및 수직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재(131)에는 도 1과 도 4에서처럼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13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31)의 외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33)의 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기어(13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평 컨베이어(110)와 연결 컨베이어(140) 및 수직 컨베이어(120)의 일면에도 기어(134)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수평 컨베이어(110)와 연결 컨베이어(140) 및 수직 컨베이어(120)에 형성된 톱니와 기어(134)를 래크와 피니언(Rack & Pinion)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133)가 구동될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133)의 구동력에 의해 기어(134)가 회전되면서 이동부재(131)를 양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131)는 수평 컨베이어(110)와 연결 컨베이어(140) 및 수직 컨베이어(120)의 측부와 이동 가능하게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부재(131)의 하부에는 수평 컨베이어(110)와 연결 컨베이어(140) 및 수직 컨베이어(1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립부재(132)는, 이동부재(131)의 일면에 설치되며, 파지 동작을 통해 드릴 파이프(P)의 일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립부재(132)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파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132)는 별도의 유압 실린더(미도시) 등을 이용해 대응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그립부재(132)의 구조와 전술한 이동부재(131)의 구조는 바람직한 구성을 일 예로 든 것이므로, 기존에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그립부재(132)를 이용해 드릴 파이프(P)의 일부분을 파지한 후, 이동부재(131)를 수평 컨베이어(110)와 연결 컨베이어(140) 및 수직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재(132)에 의해 파지된 드릴 파이프(P)는 이동부재(131)의 견인력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된 후, 데릭(20)의 측부에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결합부(200)는, 데릭(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데릭(20)의 측부에 수직하게 위치된 드릴 파이프(P)들 간의 대응 단부를 연결시켜 하나의 파이프 조립체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00)는 드릴 파이프(P)들의 대응 단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릴 파이프(P)들의 대응 단부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결합부(200)는 데릭(20)의 측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다수가 설치되어, 드릴 파이프(P)들 간의 대응 단부에 각각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00)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종래의 라프넥(roughneck)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크레인(300)은, 데릭(20)의 일정 높이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이 완료된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후 핑거보드(Fingerboard)에 거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300)에는 파이프 조립체의 일부분 또는 다수의 부분을 파지하기 위한 별도의 그립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서는 캣워크는 다수의 드릴 파이프를 연결한 파이프 조립체를 수평 이송시킨 후,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이송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컨베이어(110)의 상면에 드릴 파이프(P)들을 일렬로 위치시킨 후, 드릴 파이프(P)들의 대응 단부를 연결시킨 후, 이송부(130)를 이용해 하나의 파이프 조립체를 수직 컨베이어(12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하부(200)를 이용해 드릴 파이프(P)를 수직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는데 비해 안정적이며, 이를 통해 조립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결합부(200)를 없앨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처럼 선체(10)의 적재 위치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P)를 수평 컨베이어(110)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수평 컨베이어(110)에 안착된 드릴 파이프(P)를 이송부(130)의 그립부재(132)로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130)는 수평 컨베이어(110)를 따라 수평 이동하면서 드릴 파이프를 데릭(20)으로 이동한다.
이때, 드릴 파이프(P)는 이송부(130)의 견인력에 의해 수평 컨베이어(110)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처럼 이송부(130)는 연결 컨베이어(140)에 의해 상부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수직 컨베이어(120)로 이동한다.
이때, 드릴 파이프(P)의 전단은 이송부(130)의 견인력에 의해 수직 컨베이어(120)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다음으로, 도 4에서처럼 이송부(130)는 수직 컨베이어(120)를 따라 수직하게 이동하면서 드릴 파이프(P)를 수직하게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이송부(130)는 드릴 파이프(P)의 연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되며, 최초 드릴 파이프(P)를 이송하는 이송부(130)가 수직 컨베이어(120)의 최 상측에 위치한다.
이때, 이송부(130)가 수직 컨베이어(1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되며, 드릴 파이프(P)들은 동일 선상으로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수직하게 정렬된 드릴 파이프(P)들 간의 대응되는 단부가 근접 위치되거나 밀착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데릭(20)의 상하로 승강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결합부(200)를 이용해, 다수의 드릴 파이프(P)를 하나의 파이프 조립체로 연결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4에서처럼 크레인(300)을 이용해 하나의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후, 데릭에 설치된 핑거보드(30)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해 핑거보드(30)에 거치된 파이프 조립체를 하나씩 파지하여 시추 장비(미도시)에 연결시키는 공정을 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캣워크(100)를 따라 이송된 드릴 파이프(P)를 데릭(20)의 측부에 수직하게 정렬시킨 후에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로써, 드릴 파이프(P)들을 신속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마우스 홀(미도시)과 드릴 파이프(P) 리프팅 장비(미도시)를 없앨 수 있어 선체(10)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캣워크(100)의 수평 컨베이어(110) 상에서 드릴 파이프(P)들의 조립을 완료한 후, 데릭(20)의 측면으로 이송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드릴 파이프(P)들을 신속히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조립을 하게 되므로 조립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선체 20: 데릭
30: 핑거보드 100: 캣워크
110: 수평 컨베이어 120: 수직 컨베이어
130: 이송부 131: 이동부재
132: 그립부재 133: 구동모터
134: 기어 140: 연결 컨베이어
141: 제1직선구간 142: 제2직선구간
200: 결합부 300: 크레인
P: 드릴 파이프

Claims (11)

  1. 선체에 적재된 드릴 파이프들을 연속적으로 수평 이동시킨 후, 상부로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드릴 파이프들을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정렬시키는 캣워크와, 상기 데릭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데릭의 측부에 수직하게 위치된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를 연결시켜 파이프 조립체를 형성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데릭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조립체를 파지한 후 핑거보드에 거치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캣워크는, 상기 선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 적재 위치와 데릭을 연결하는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데릭의 측부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컨베이어 및,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직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를 수직하게 정렬시키고, 상기 드릴 파이프의 연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는, 최초 드릴 파이프를 이송하는 이송부가 수직 컨베이어의 최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직 컨베이어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드릴 파이프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 컨베이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들은,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수직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파지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를 파지하는 그립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부재의 외부에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기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와 상기 연결 컨베이어 및 상기 수직 컨베이어의 일면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톱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컨베이어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하나 또는 다수의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컨베이어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1차 상향 절곡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직선구간 및,
    상기 제1직선구간으로부터 2차 상향 절곡되어 상기 수직 컨베이어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직선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컨베이어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상부를 향해 곡선으로 밴딩되어 상기 수직 컨베이어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를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데릭의 측부에 서로 다른 높이로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드릴 파이프들의 대응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2020140003958U 2014-05-23 2014-05-23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KR200480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58U KR200480139Y1 (ko) 2014-05-23 2014-05-23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58U KR200480139Y1 (ko) 2014-05-23 2014-05-23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13U KR20150004313U (ko) 2015-12-02
KR200480139Y1 true KR200480139Y1 (ko) 2016-04-18

Family

ID=5502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958U KR200480139Y1 (ko) 2014-05-23 2014-05-23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96Y1 (ko) 2016-03-08 2020-10-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5883A1 (en) 2004-11-29 2009-07-23 Monte Neil Wright Vertical offline stand building and manipulating system
US20120121364A1 (en) 2010-11-12 2012-05-17 Mark Charles Taggart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i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5883A1 (en) 2004-11-29 2009-07-23 Monte Neil Wright Vertical offline stand building and manipulating system
US20120121364A1 (en) 2010-11-12 2012-05-17 Mark Charles Taggart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13U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361B2 (en) Wellbore drilling system
US20180328123A1 (en) Methods for handling pipe
CA2967040C (en) Modular racker system for a drilling rig
JP4690486B2 (ja) チューブ状体を同時に取り扱うシステム
WO2017133561A1 (zh) 一种自动化钻机
US9157286B2 (en) Portable pipe handling system
US7967540B2 (en) Vertical offline stand building and manipulating system
US20140054089A1 (en) Auxiliary Arm for Drilling Equipment
US20030159854A1 (en) Tubular transfer system
RU2008116158A (ru)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руб
WO2022033401A1 (zh) 一种管具移运系统及输送方法
CN107869315B (zh) 一种自动化修井机
CN206360662U (zh) 海洋钻井平台多功能排管机
KR200480139Y1 (ko) 시추선의 드릴 파이프 조립 시스템
CN103615204B (zh) 半自动化送排钻杆的排管系统
CN107869317A (zh) 一种新型钻杆上扣对中装置
WO2014074429A1 (en) Cantilever contained drilling unit
CN105937371A (zh) 修井设备一体化设备及其管柱拆接装置
KR20150007170A (ko) 크레인의 라이저 리프팅 장치
KR101594103B1 (ko) 이종파이프 이송장치를 이용한 시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749312U (zh) 一种可伸缩的游车装置
CN113775302B (zh) 杆管输送装置、杆管输送系统以及自动化输送杆管的方法
AU2014201872B2 (en) Simultaneous tubular handling system
KR20160041593A (ko) 라이저 인양 장치 및 이를 가지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KR20160041594A (ko) 라이저 인양 장치 및 이를 가지는 라이저 이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