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08Y1 -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08Y1
KR200480108Y1 KR2020150004225U KR20150004225U KR200480108Y1 KR 200480108 Y1 KR200480108 Y1 KR 200480108Y1 KR 2020150004225 U KR2020150004225 U KR 2020150004225U KR 20150004225 U KR20150004225 U KR 20150004225U KR 200480108 Y1 KR200480108 Y1 KR 200480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aste heat
heating
compresso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Original Assignee
윤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호 filed Critical 윤재호
Priority to KR2020150004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 과정에서 폐열을 방출하는 컴프레서(100)와, 컴프레서(100)에서 방출되는 폐열의 흐름을 유도하는 메인덕트(200)와,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배기덕트(300)와,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폐열을 난방이 필요한 난방장소(A)로 유도하는 난방덕트(400)와, 메인덕트(200)와 배기덕트(300)와 난방덕트(400)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메인덕트(200)에서 유도되는 폐열의 흐름 방향을 배기덕트(300)나 난방덕트(400)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 제어하는 메인개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컴프레서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폐열을 덕트를 이용해 필요한 장소까지 유도, 공급하여 폐열을 그대로 난방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난방비 절감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Heating using a compressor waste heat}
본 고안은 컴프레서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난방용으로 활용하는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프레서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난방이 필요한 장소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한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프레서(compressor)란 기체를 압축해 압력 및 속도를 높이는 기계를 말하는데, 흔히 '압축기(103)'라고도 한다.
압축된 공기의 송출 압력이 대략 1.5kg/cm 이하의 것은 송풍기라 하고, 그 이상의 송출 압력을 가진 것을 컴프레서로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기체를 압축하는 목적은 ① 고압가스가 갖는 힘을 이용하거나, ② 큰 유동저항을 줄여 송기(送氣)하거나, ③ 부피를 축소해 저장 또는 수송하거나, ④ 액화하거나(냉각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⑤ 팽창에 의해 저온을 발생(액화·증발과정을 거치는 방법도 있다)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연소로용·착암기용·건설공사용·화학공업용·제동용·공기조화용 등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된다.
특히, 공업계에서 사용되는 압축공기는 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합리화가 요구되기 시작하면서부터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여 현대산업사회에서는 유압과 더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에너지원으로써 산업이 고도화될수록 그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컴프레서(100)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01)와, 인가된 전원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02)와,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모터(10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압축기(103)와, 상기 압축기(103)에 의해 압축된 압축공기에 포함된 기름 성분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유분분리기(104)와, 상기 유분분리기(104)에서 기름 성분이 분리된 후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였다가 현장으로 공급하는 리시브탱크(105)와, 리시브탱크(105)에서 배출되는 토출공기의 온도를 냉각시켜주는 냉각팬(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컴프레서의 종류는 상기 압축기(103)의 작동 원리에 따라 왕복형 컴프레서와, 터보형 컴프레서와, 스크루형 컴프레서로 나눌 수 있다.
왕복형 컴프레서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기체를 압축하는 것으로서, 효율이 우수하고 특히 무부하 시 동력비가 타종에 비해 우수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은 구조이다. 토출공기의 온도는 약 120℃ 수준으로써 반드시 에어 쿨러가 필요하고 오일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터보형 컴프레서는 밀폐된 케이싱 내에서 날개차(임펠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기체를 압축시키는 형태이다. 약 20년 정도를 사용할 수 있고 고수준의 밸런스가 유지되며 부식의 염려가 없다. 효율이 가장 우수하고 베어링, 로터 등의 교환이 불필요하며 소모성 필터만 교환하면 된다. 또한, 단순 구조로 관리가 용이하고 수명이 길다. 토출공기의 온도는 약 100℃ 수준으로 압축 작용 시 오일이 필요 없으므로 양질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루형 컴프레서는 밀폐된 케이싱 내에서 암수로터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기체를 압축시키는 형태이다. 스크루형은 마력당 토출되는 공기량이 왕복동형에 비해 떨어지나, 부품 등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면 최초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이 적어서 300Hp 이하의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토출공기의 온도는 약 100℃ 수준으로써 압축 작용시 오일 주유 형이므로 토출공기 속에 오일이 함유될 가능성이 크므로 필터, 드라이어, 유분제거기 등을 설치하여 오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토출공기의 온도는 압축열에 의해 100℃를 상회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고온의 토출공기를 그대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데는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컴프레서 내부에는 토출공기의 배출라인에 토출공기의 압축열을 식혀주는 냉각팬을 설치함으로써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최종 토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컴프레서가 설치된 대부분의 사업장에서는 컴프레서의 냉각팬이 토출공기의 배출라인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각폐열(이하, '폐열'이라 함)을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함으로써 상당한 열 에너지를 가진 폐열이 그대로 버려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기술은 기존에도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는데,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27042호에는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유동성과 전열성을 갖는 제 1열교환매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0); 유동파이프에 형성되어 유동되는 유동매체를 고온으로 가열 후 토출하는 압축기(30);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해당되는 상기 유동파이프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여 상기 유동매체와 열교환하는 상기 제 1열교환매체를 가열하는 파워사이클부(20); 상기 제 1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는 제 2열교환매체를 순환시키며 냉방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열교환매체로부터 증발 잠열을 흡수하여 냉각작용을 하며 냉기를 분출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방사이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유동매체와 함께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한 흡입기류 온도저감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507140호에는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냉매를 응축시켜 공기를 가온하는 응축기(1); 상기 냉매를 증발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4); 상기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응축기로 공급하는 압축기(5);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제습부와, 상기 흡착된 수분을 탈착하는 재생부를 가지는 제습로터(3); 상기 응축기를 거쳐 가온된 공기를 상기 제습로터의 재생부로 안내하는 메인유로; 및 상기 압축기의 방열에 의해 가열된 방열공기를 상기 메인유로로 안내하는 방열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폐열 이용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제습기"가 게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27042호(2012. 03. 26.) 등록특허공보 제10-1507140호(2015.03.31.)
이상과 같이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주로 대용량 압축기나 제습기 등 기체를 압축하고 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장치 자체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사용함으로써 사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 뿐만 아니라, 높은 열 에너지를 가진 컴프레서의 폐열의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127042호의 "대용량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한 흡입기류 온도저감장치"는 압축기의 고온 폐열을 이용함에 따라 온도 회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방시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507140호의 "압축기의 폐열 이용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제습기"는 압축기에서 발생된 열을 제습로터의 재생에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동시에 제습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국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높은 열 에너지를 가진 컴프레서 폐열을 재활용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 크기 않은 결점이 있는바,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폐열 활용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냉각팬(106)을 통해 방출하는 컴프레서(100)와;
상기 컴프레서(100)의 폐열방출부(107)와 연결되어 컴프레서(100)에서 방출되는 폐열의 흐름을 유도하는 메인덕트(2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되는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배기덕트(3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를 통해 유도되는 폐열을 난방이 필요한 난방장소(A)로 유도하는 난방덕트(4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배기덕트(300)와 난방덕트(400)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메인덕트(200)에서 유도되는 폐열의 흐름 방향을 배기덕트(300)나 난방덕트(400)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 제어하는 메인개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컴프레서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폐열을 덕트를 이용해 필요한 장소까지 유도, 공급하여 폐열을 그대로 난방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난방비 절감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한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컴프레서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냉각팬으로 냉각할 때 발생하는 폐열을 덕트를 이용해 필요한 장소까지 유도, 공급하여 폐열을 그대로 난방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컴프레서 사용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비 절감 효과가 탁월하여 경제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이 컴프레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됨으로써 컴프레서의 냉각 효율성이 향상되어 컴프레서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열에 냉각팬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프레서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폐열을 난방용으로 공급하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상태도.
도 4, 도 5는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는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냉각팬(106)을 통해 방출하는 컴프레서(100)와, 상기 컴프레서(100)의 폐열방출부(107)와 연결되어 컴프레서(100)에서 방출되는 폐열의 흐름을 유도하는 메인덕트(2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되는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배기덕트(3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를 통해 유도되는 폐열을 난방이 필요한 난방장소(A)로 유도하는 난방덕트(4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배기덕트(300)와 난방덕트(400)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메인덕트(200)에서 유도되는 폐열의 흐름 방향을 배기덕트(300)나 난방덕트(400)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 제어하는 메인개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컴프레서(10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01)와, 인가된 전원으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02)와, 상기 흡입부(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모터(10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압축기(103)와, 상기 압축기(103)에 의해 압축된 압축공기에 포함된 기름 성분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유분분리기(104)와, 상기 유분분리기(104)에서 기름 성분이 분리된 후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였다가 현장으로 공급하는 리시브탱크(105)와, 리시브탱크(105)에서 배출되는 토출공기의 온도를 냉각시켜주는 냉각팬(10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컴프레서(100)의 냉각팬(106)에 의해 컴프레서(100) 내부에서 폐열을 배출하는 폐열배출부의 위치는 통상 컴프레서(100) 본체의 상부에 형성하되, 그 위치는 한정하니 아니한다.
이와 같은 컴프레서(100)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주지된바, 컴프레서(100)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인덕트(200)는 상기 컴프레서(100)의 폐열방출부(107)와 연결되어 컴프레서(100)에서 방출되는 폐열의 흐름을 유도하되,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다수의 컴프레서(10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컴프레서(100)마다 메인덕트(200)를 설치한 후, 각 컴프레서(100)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수집하여 단일 메인덕트(200)를 통해 그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덕트(300)는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되는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배기덕트(300)의 일단부는 메인덕트(200)와 연결하고, 배기덕트(300)의 타단부는 건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덕트(300)를 통해 폐열을 대기중으로 배출할 때, 배출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배기덕트(300)의 단부에는 배기팬(301)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난방덕트(400)는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를 통해 유도되는 폐열을 난방이 필요한 난방장소(A)로 유도할 수 있도록 난방덕트(400)의 일단부는 메인덕트(200)와 연결하고, 난방덕트(400)의 타단부는 난방장소(A)에 위치하게 설치한다.
이때, 난방장소(A)에 위치하는 상기 난방덕트(400)의 타단부에는 각각의 서로 다른 난방장소(A)로 분기되는 개별덕트(40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개별덕트(401)를 이용하여 다수의 난방장소(A)에 개별적으로 난방용 폐열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개별덕트(401)에는 각각의 개별덕트(401)를 개폐하는 개별개폐기(402)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난방장소(A)에 난방용 폐열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난방이 불필요한 난방장소(A)에 난방용 폐열이 공급되지 않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난방용 폐열의 효율적인 공급 제어가 가능하다.
아울러, 각 난방장소(A) 내부에는 온도센서(800)를 개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각 온도센서(800)에서 측정된 각 난방장소(A)의 온도측정값을 제공받는 컨트롤러(미도시)가 사전 저장된 정적온도 설정 기준에 따라서 각각의 난방장소(A)에 설치되는 개별개폐기(402)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난방용 폐열의 효율적인 공급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메인덕트(200)와 난방덕트(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덕트에는 폐열의 흐름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폐열의 흐름이 원활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폐열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키는 송풍팬(60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덕트(400)의 최종부, 바람직하게는 난방덕트(400)와 개별덕트(401)의 연결부에는 난방덕트(400)에 의해 흐름 유도된 폐열이 개별덕트(401)를 통해 난방열로 최종 배출되는 과정에서 폐열에 혼입된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수단(70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덕트(200)와 난방덕트(400)는 폐열의 흐름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메인덕트(200)와 난방덕트(400)를 구성하는 벽체의 내, 외부를 단열재 등을 이용하여 단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개폐기(500)는 상기 메인덕트(200)에서 유도되는 폐열의 흐름 방향을 배기덕트(300)나 난방덕트(400)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덕트(200)와 배기덕트(300)와 난방덕트(400)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한다.
상기 메인개폐기(500)는, 폐열의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개폐셔터(501)와, 상기 개폐셔터(501)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모터(502)를 구비함으로써 개폐모터(502)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셔터(501)가 메인덕트(200)와 상호 연결되는 배기덕트(300) 또는 난방덕트(400)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메인덕트(200)에서 유도되는 폐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메인개폐기(500)의 개폐모터(502)는 상기 각 난방장소(A)에 설치된 온도센서(800)의 온도측정값에 따라서 각 난방장소(A)에 설치된 개별개폐기(402)를 자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상기 개별개폐기(402)와 연동하여 자동 제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컨트롤러에 의해 모든 개별개폐기(402)가 닫힘 제어된 경우에는 메인개폐기(500)의 개폐모터(502)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셔터(501)가 난방덕트(400) 닫힘 방향으로 제어되게 함으로써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된 폐열이 배기덕트(300)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되게 함으로써 난방장소(A)의 효율적인 난방 온도 자동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을 생산하거나, 가공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압축공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1대 이상의 컴프레서(100)를 설치한 경우에 컴프레서(100)의 압축기(103)가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축열에 의해 과열된 토출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팬(106)에 의해 폐열을 방출하는 폐열방출부(107)에 메인덕트(200)의 일단부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컴프레서(100)에서 냉각팬(106)에 의해 배출되는 폐열은 메인덕트(200)에 의해 일방향으로 수집, 유도된다.
한편, 상기 메인덕트(200)의 타단부에는 폐열을 건물 외부, 즉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배기덕트(300)와 폐열을 난방용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난방이 필요한 난방장소(A)로 흐름을 유도하는 난방덕트(400)를 연결하되, 메인덕트(200)와 배기덕트(300)와 난방덕트(400)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는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된 폐열의 흐름 방향을 배기덕트(300) 방향이나 난방덕트(400) 방향으로 선택 제어할 수 있는 메인개폐기(500)가 설치된다.
따라서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개폐기(500)의 개폐모터(502)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셔터(501)가 메인덕트(200)와 연결되는 난방덕트(400)의 입구는 막고, 배기덕트(300)의 입구는 개방함으로써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된 폐열의 흐름 방향을 배기덕트(300) 방향으로 유도하여 폐열이 배기덕트(300)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반면에, 폐열을 난방용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메인개폐기(500)의 개폐모터(502)에 의해 회전하는 개폐셔터(501)가 메인덕트(200)와 연결되는 배기덕트(300)의 입구는 막고, 난방덕트(400)의 입구는 개방함으로써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된 폐열의 흐름 방향을 난방덕트(400) 방향으로 유도하여 폐열이 난방덕트(400)를 통해 난방장소(A)로 유도되어 폐열을 이용한 난방이 가능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난방덕트(400)에 의해 유도된 폐열을 이용해 난방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난방 제어를 위하여 난방덕트(400)에는 각각의 서로 다른 난방장소(A)로 분기되는 개별덕트(401)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개별덕트(401)별로 개별개폐기(402)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난방장소(A)에 난방용 폐열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난방이 불필요한 난방장소(A)에 난방용 폐열이 공급되지 않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난방용 폐열의 효율적인 공급 제어가 가능케 되고, 그로 인해 난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 난방장소(A)에 개별 설치된 온도센서(800)를 이용하여 각 난방장소(A)의 온도를 측정하여 난방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메인개폐기(500)의 개폐모터(502)와, 상기 각 개별덕트(401)별로 설치된 개별개폐기(402)의 작동을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연동 제어함으로써 난방 제어의 자동화가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컴프레서 101: 흡입부
102: 모터 103: 압축기
104: 유분분리기 105: 리시브탱크
106: 냉각팬 107: 폐열방출부
200: 메인덕트 300: 배기덕트
301: 배기팬 400: 난방덕트
401: 개별덕트 402: 개별개폐기
500: 메인개폐기 501: 개폐셔터
502: 개폐모터 600: 송풍팬
700: 필터수단 800: 온도센서
A: 난방장소

Claims (4)

  1.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냉각팬(106)을 통해 방출하는 컴프레서(100)와; 상기 컴프레서(100)의 폐열방출부(107)와 연결되어 컴프레서(100)에서 방출되는 폐열의 흐름을 유도하는 메인덕트(2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에 의해 유도되는 폐열을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배기덕트(3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연결되어 메인덕트(200)를 통해 유도되는 폐열을 난방이 필요한 난방장소(A)로 유도하는 난방덕트(400)와; 상기 메인덕트(200)와 배기덕트(300)와 난방덕트(400)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메인덕트(200)에서 유도되는 폐열의 흐름 방향을 배기덕트(300)나 난방덕트(400)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 제어하는 메인개폐기(500)를 포함하여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덕트(200)와 난방덕트(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덕트에는 폐열의 흐름이 원활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폐열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키는 송풍팬(600)을 설치하며;
    상기 난방덕트(400)는, 각각의 서로 다른 난방장소(A)로 분기되는 개별덕트(401)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각의 개별덕트(401)에는 개별덕트(401)를 개폐하는 개별개폐기(402)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개폐기(500)는, 폐열의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개폐셔터(501)와, 상기 개폐셔터(501)의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모터(502)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모터(502)는 상기 난방장소(A)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80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서 자동 제어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4225U 2015-06-24 2015-06-24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480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25U KR200480108Y1 (ko) 2015-06-24 2015-06-24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25U KR200480108Y1 (ko) 2015-06-24 2015-06-24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08Y1 true KR200480108Y1 (ko) 2016-04-12

Family

ID=5579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225U KR200480108Y1 (ko) 2015-06-24 2015-06-24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862B1 (ko) * 2018-04-13 2018-11-23 안정수 컴프레셔의 폐열을 재활용한 열기 공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843B1 (ko) 2009-02-04 2010-11-0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
JP2013100930A (ja) 2011-11-08 2013-05-23 Orion Machinery Co Ltd 温度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843B1 (ko) 2009-02-04 2010-11-0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공기압축기 폐열 회수장치
JP2013100930A (ja) 2011-11-08 2013-05-23 Orion Machinery Co Ltd 温度調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862B1 (ko) * 2018-04-13 2018-11-23 안정수 컴프레셔의 폐열을 재활용한 열기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7069B2 (en) Dehumidification system
CN100443829C (zh) 热电联产系统
CA2973008C (en) Compressor system and lubricant control valve
US9958172B2 (en) Dehumidifier having split condenser configuration
CN102914011A (zh) 热回收空调机组
CN102635905A (zh) 复合式热泵型低温再生转轮除湿全热回收新风机组
US10240602B2 (en) Compressor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ing inlet air
WO2017110220A1 (ja) 空気圧縮機
CN105509161B (zh) 一种空气源双工况分体空调器及运行方法
CN202709344U (zh) 冰蓄冷热泵藕合多级全热回收新风处理机
KR100430278B1 (ko)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200480108Y1 (ko) 컴프레서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CN201277758Y (zh) 全天候全新风节能型工位送风空调机
CN105241220A (zh) 多级热回收空气能热泵烘干机
EP3136022A1 (en) Hybrid heat pump apparatus
CN102563825A (zh) 新风换热机组及其控制方法
CN109695917A (zh) 空调系统
KR200453902Y1 (ko) 냉. 온풍 교차건조기
CN209524583U (zh) 空调系统
KR101278549B1 (ko) 하이브리드 공조시스템
CN201222682Y (zh) 一种电机的冷却装置和使用该冷却装置的电机
CN205316490U (zh) 一种空气源双工况分体空调器
JP6634590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555165B1 (ko) 공기압축기
JPH08233380A (ja) 圧縮式冷凍機及びこの圧縮式冷凍機を用いた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