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12Y1 -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 Google Patents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12Y1
KR200479712Y1 KR2020150001817U KR20150001817U KR200479712Y1 KR 200479712 Y1 KR200479712 Y1 KR 200479712Y1 KR 2020150001817 U KR2020150001817 U KR 2020150001817U KR 20150001817 U KR20150001817 U KR 20150001817U KR 200479712 Y1 KR200479712 Y1 KR 200479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ir
air curtain
inner spac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121U (ko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2020150001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12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는 컵을 포함한 주방 소품이 건조 소독되도록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장치들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개방한 후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양쪽의 각 측벽과 나란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개폐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벽에는, 여과된 공기를 발생시키기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연결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폐도어들의 힌지쪽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가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연결밸브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연결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도어들의 손잡이쪽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공급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입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밸브에 결합되면,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입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양쪽의 개폐도어에 에어커튼 노즐이 구비됨으로써, 개폐도어를 개방한 후 내부공간으로 수납하는 동작으로 여과된 공기가 각 노즐을 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CUPS DRYING-STERILIZING DEVICE HAVING AIR CURTAIN APPARATUS}
본 고안은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한 후 슬라이딩하여 수납할 때 에어 공급부와 입구에 설치된 노즐이 도어를 통하여 연결됨으로써, 에어가 입구로 토출되면서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이 점점 더 발전하고 또한 단체 급식이 증가함에 따라 음식 위생에 많은 신경을 쓰는 추세이고, 특히, 중고등학교뿐만 아니라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단체 급식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때때로 식중독이 발생하여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곤 한다.
이러한, 식중독의 발생은 식자재를 통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가끔은 식기와 물컵 또는 수저의 비위생적인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식기와 물컵 또는 수저의 비위생적인 처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살균소독을 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자외선 소독기를 사용하여 소독을 행하고 있다.
자외선 살균 소독기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유해한 균을 소독하는 장치로서, 현재는 고속도로 휴게소, 식당 및 학교 급식실에서 컵을 소독 또는 비치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학교 등의 단체 시설에서는 식중독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자외선 살균 소독기를 비치한다.
한편, 유치원이나 학교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 공동 생활을 하는 장소에서 개개인이 매일 사용하는 수저나 컵 등의 위생용품을 습한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유해한 미생물이나 세균이 쉽게 발생하여 번식하기 때문에 사용 후의 보관에 상당한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
특히, 컵은 컵 세척기나 손으로 수세시 잘 닦이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세척 후 살균이 필요하며 건조 보관이 필수적이다.
유치원이나 학교에 비치하는 컵 살균-건조 소독기는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몰리므로 전면도어를 열어놓아야 하여야 하고, 전면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컵 살균-건조 소독기 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17596호(공고일자 : 2011년02월28일)에 개시된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는, 자외선을 발생하여 컵에 있는 병원균을 살균 소독하는 자외선 램프와;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자외선 램프가 내장되며, 내부의 벽이 모두 반사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판 형태로 형성되고 층으로 구획되며, 각 층이 평형하게 배치되어 위에 상기 컵이 내장되는 다수 개의 수납선반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고,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전면도어와; 상기 본체의 상단 내부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컵을 건조시키며 필요한 부분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컵 살균 건조소독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 표시판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취출구로 구성되며, 좌우 문을 열고 뒤로 밀어 열린 상태로 많은 인원이 동시에 사용하더라도 열린 문 때문에 불편함이 없으며,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살균 소독을 하고, 특히 문 입구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취출구가 마련됨으로써 문이 개방되어 있더라도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는,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취출구가 본체의 입구 상단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에어커튼이 상부에서 하향으로만 형성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하여 에어커튼이 미치지 않는 본체 입구의 하부 영역을 통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17596호(공고일자 : 2011년02월28일)
본 고안의 목적은, 컵 건조 살균기의 입구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개폐도어에도 구비하여 입구의 에어커튼 사각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개폐도어를 개방하더라도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컵을 포함한 주방 소품이 건조 소독되도록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장치들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개방한 후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양쪽의 각 측벽과 나란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개폐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벽에는, 여과된 공기를 발생시키기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연결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폐도어들의 힌지쪽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가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연결밸브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연결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도어들의 손잡이쪽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공급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입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밸브에 결합되면,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입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컵을 포함한 주방 소품이 건조 소독되도록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장치들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개방한 후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양쪽의 각 측벽과 나란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개폐도어들과,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상기 입구에 토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 쪽 상부면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상부용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벽에는, 여과된 공기를 발생시키기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연결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개폐도어들의 힌지쪽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가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연결밸브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연결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도어들의 손잡이쪽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공급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입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밸브에 결합되면,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입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 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의 각 측벽에 쌍을 이루어 각각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구름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각각의 안내바퀴; 및 상,하 단부에 상기 개폐도어의 하,단부가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각 안내바퀴가 축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면,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후진하여 공기 공급공을 개방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빠지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공기 공급공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쪽의 토출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는 합류지점에서 서로 부딪힌 공기가 상기 입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장선에 대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의 토출각도는, 양쪽의 토출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는 합류지점에서 서로 부딪힌 공기가 상기 입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상기 개폐도어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장선에 대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은, 상기 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가 균일하게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공급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 쪽에서 상기 토출구 쪽으로 확장되는 구조의 공기 확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확장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은, 상기 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가 균일하게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공급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 쪽에서 상기 토출구 쪽으로 확장되는 구조의 공기 확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확장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공급공과 거리를 유지한 위치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공기 공급공 사이에 개폐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한 쪽은 상기 걸림턱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며, 다른 쪽은 상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공기 공급공에 밀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수납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미는 동작으로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후진하여 상기 공기 공급공을 개방하도록 된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컵을 포함한 주방 소품이 건조 소독되도록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장치들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개방한 후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양쪽의 각 측벽과 나란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개폐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벽에는, 여과된 공기를 발생시키기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연결호스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들의 힌지쪽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호스의 끝단이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들의 손잡이쪽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호스의 끝단과 공급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입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면,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입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연결호스는, 신축성을 갖도록 주름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호스는, 상기 공기 공급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설치되는 호스 릴 장치에 권취되어,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상기 호스 릴 장치에서 풀리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납될 때에는 상기 호스 릴 장치에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벽 또는 개폐도어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도어가 내부공간으로 수납됨을 감지하여 공기가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로 분사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도어 수납감지용 스위치 또는 개폐도어 수납감지용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개폐도어가 내부공간으로 수납된 후 공기가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로 분사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양쪽의 개폐도어에 에어커튼 노즐이 구비됨으로써, 개폐도어를 개방한 후 내부공간으로 수납하는 동작으로 여과된 공기가 각 노즐을 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쪽의 개폐도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내부공간 바깥쪽으로 토출되므로, 공기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양쪽의 개폐도어를 개방하여 내부공간으로 수납하는 동작만으로 공기가 토출되므로,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개폐도어가 하나로 구성된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는, 컵을 포함한 주방 소품이 건조 소독되도록 수용되는 내부공간(S)을 구비하고,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 양쪽 측벽(12)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장치(20)들과, 내부공간(S)의 입구를 개방한 후 안내레일 장치(20)에 의해 내부공간(S)으로 인입되면서 양쪽의 각 측벽(12)과 나란하도록 내부공간(S)에 수납되는 개폐도어(30)들과, 본체(10)의 내측벽(14)에 설치되는 연결밸브(40)와, 이 연결밸브(4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공기가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재(32)와, 각 개폐도어(30)의 손잡이쪽 내측면에 마련되고 공급 파이프(52)에 의해 공기를 공급받아 토출하도록 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장치(18)와 여과기(19)가 설치됨은 당연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는, 컵을 포함는 주방용품 등을 건조 및 살균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부공간(S)을 구비하고, 내부공간(S)의 입구는 한 쌍의 개폐도어(30)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개폐도어(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구성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기 공급장치(18)와 여과기(19)가 설치된다. 공기 공급장치(18)는 외부공기를 강제(블로워 구조)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압축공기를 형성(콤프레셔 구조)하여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과기(19)는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거나, 공기 공급장치(18)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안내 레일장치(20)는, 각각의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의 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며, 개방한 상태에서는 내부공간(S)으로 슬라이딩시켜 측벽(12)과 평행하도록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내부 양쪽의 각 측벽(12)에 쌍을 이루어 각각 설치되는 레일부재(22)와, 레일부재(22)에 구름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각각의 안내바퀴(24)들과, 상,하 단부에 개폐도어(30)의 하,단부가 힌지로 결합되고, 각 안내바퀴(24)가 축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26)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내 레일장치(20)는,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지지함과 동시에, 각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납되도록 한다.
개폐도어(30)는, 내부공간(S)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투시창을 구비하며, 외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된다. 이러한 개폐도어(30)의 내부에는, 공급 파이프(52)들이 배관되며, 힌지가 설치되는 힌지쪽 내측면(34)에는 연결부재(32)가 상기 공급 파이프(52)와 연결된 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손잡이가 마련된 영역의 내측면에는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가 설치된다.
연결밸브(40)는, 공기 공급장치(18)와 연결 파이프로 연결되어 공기 공급장치(18)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내측벽(14)에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밸브(40)는, 개폐도어(30)의 수납시에 개폐도어(30)에 구비된 연결부재(32)의 단부(32A)가 삽입되면, 스프링(42)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후진하여 공기 공급공(44A)을 개방하고, 연결부재(32)의 단부(32A)가 빠지면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공기 공급공(44A)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밸브(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한 예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벽(14)에 결합되고, 공기 공급공(44A)과 거리를 유지한 위치에는 걸림턱(44B)이 형성되어 걸림턱(44B)과 공기 공급공(44A) 사이에 개폐부(44C)가 형성된 몸체(44)와, 개폐부(44C)의 내부에 위치하고, 한쪽은 걸림턱(44B)에 설치되는 스프링(42)에 탄력 지지되며, 다른 쪽은 스프링(42)의 탄력에 의해 전진하여 공기 공급공(44A)에 밀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개폐도어(30)의 수납으로 연결부재(32)의 단부(32A)가 몸체(44) 내부로 삽입되어 미는 동작으로 스프링(42)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후진하여 공기 공급공(44A)을 개방하도록 된 개폐부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개폐부재(48)의 원활한 전,후 이동 작동을 위해서 개폐부재(48)의 끝단부에 안내돌기가 길게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32)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개폐도어(30)가 수납될 때, 그 단부(32A)가 연결밸브(40) 내부로 삽입되면서 개폐부재(48)를 밀어 공기 공급공(44A)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개폐도어(30)들의 힌지쪽 내측면(34)에 설치되고, 공급 파이프(52)와 일단이 연결된다.
전술한 연결밸브(40)와 연결부재(32)는, 내측벽(14)의 좌,우쪽 상,하부와 힌지쪽 내측면(34)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각각 쌍을 이루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은, 개폐도어(30)들의 손잡이쪽 내측면에 설치되어 연결부재(32)가 연결밸브(40)에 연결될 때,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32)와 결합되어 연결된 공급 파이프(52)와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긴 토출구(54)를 갖는다.
즉,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은,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의 입구를 개방하면서 안내레일 장치(20)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여 연결부재(32)가 연결밸브(40)에 결합되면, 공급 파이프(52)를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54)를 통하여 내부공간(S)의 입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하여 내부공간(S)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은, 공급 파이프(52)로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가 균일하게 토출구(54)로 토출되도록 공급 파이프(52)가 연결되는 연결부(56) 쪽에서 토출구(54) 쪽으로 확장되는 구조의 공기 확장부(58)를 구비하되, 공기 확장부(58)는,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양쪽의 토출구(54) 즉, 양쪽의 개폐도어(30)에 마련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의 각 토출구(54)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는 합류지점(P)에서 서로 부딪힌 공기가 내부공간(S)의 입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개폐도어(30)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장선(L)에 대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을 이러한 구조로 설치하는 것은, 합류지점(P)에서 서로 부딪힌 공기가 내부공간(S)의 입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하여 이물질이 섞인 공기가 내부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가 내부공간(S)으로 유입되면서 외부 이물질을 내부로 유입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30)들이 내부공간(S)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커튼은 형성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30)들의 손잡이를 당기게 되면, 각 개폐도어(30)들은 설치 브라켓(26)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내부공간(S)을 개방하게 된다.
이어서,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을 개방하여 측벽(12)과 개폐도어(30)가 평행하도록 한 상태에서, 각 개폐도어(30)를 내부공간(S)으로 밀어 넣게 되면, 안내바퀴(24)가 레일부재(22)에 안내되어 개폐도어(30)가 결합된 설치 브라켓(26)은 내부공간(S)으로 이동하게 되며, 각 개폐도어(30)는 양쪽의 측벽(12)과 나란한 상태로 내부공간(S)에 수납된다
이와 동시에, 각 개폐도어(30)들의 힌지쪽 내측면(34)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부재(32) 단부(32A)는 내측벽(14)에 설치된 각각 연결밸브(40) 내부로 삽입되면서, 개폐부재(48)를 밀게 된다. 이 작동으로 개폐부재(48)는 스프링(44B)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후진하여 공기 공급공(44A)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공급장치(18)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연결밸브(40)가 연결부재(32)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연결부재(32)와 공급 파이프(52)를 통하여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공급되어 토출구(54)로 토출된다.
이때, 공급 파이프(52)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연결부(56) 쪽에서 토출구(54) 쪽으로 확장되는 구조의 공기 확장부(5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장된 상태로 토출된다. 즉, 연결부(56)로 토출된 공기가 공기 확장부(58)에 이르러 퍼지면서 상,하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토출구(54)로 균일하게 토출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용은 양쪽의 개폐도어(30)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전술한 과정으로 양쪽의 개폐도어(30)에서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되면, 내부공간(S)의 입구에는 에어커튼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개폐도어(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외부 이물질이 내부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연장선(L)에 대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합류지점(P)에서 서로 부딪힌 공기가 내부공간(S)의 입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물질이 섞인 공기가 내부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공기가 내부공간(S)으로 유입되면서 외부 이물질을 내부로 유입시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양쪽의 개폐도어(30)를 개방하여 내부공간(S)을 밀어 넣어 수납하는 동작만으로 공기 공급장치(18)로부터 공기가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공급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되므로,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의 다른 실시예는, 토출구(54)의 토출각도가, 양쪽의 토출구(54)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는 합류지점(P)에서 서로 부딪힌 공기가 입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개폐도어(30)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장선(L)에 대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의 토출구(54) 각도만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는, 본체(10)의 내부공간(S) 입구쪽 상부면에 장방형의 상부용 노즐(60)이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장방형의 상부용 노즐(60)은, 양쪽의 개폐도어(30)들에 설치된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과 더불어, 공기 공급장치(18)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입구의 상부면서도 하향으로 토출하도록 하여 내부공간(S) 입구에 서로 보완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는, 공기 공급장치(18)에서 생산된 공기를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공기 공급장치(18)와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를 상시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연결호스(70)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내부공간(S)의 내측벽(14)에는, 여과된 공기를 발생시키기는 공기 공급장치(18)와 연결된 연결호스(70)가 관통 설치되고, 개폐도어(30)들의 힌지쪽 내측면(34)에는 연결호스(70)의 끝단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 공급장치(18)와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이 상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연결밸브(40)나 연결부재(32)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때, 연결호스(7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축성을 갖도록 주름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개폐도어(30)를 내부공간(S)으로부터 인출할 경우에, 연결호스(70)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연결호스(70)는, 공기 공급장치(18)가 설치된 공간(18-1)에 설치되는 호스 릴 장치(72)에 권취되어,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으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호스 릴 장치(72)에서 풀리고,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으로 수납될 때에는 호스 릴 장치(72)에 감기도록 구성된다. 호스 릴 장치(72)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내부공간(S)의 내측벽(14) 또는 개폐도어(30)의 단부에는,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으로 수납됨, 즉 수납 완료됨을 감지하여 공기가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분사되도록 공기 공급장치(18)를 작동시키거나, 밸브(공기 공급장치 또는 공기 공급라인에 마련된 별도의 밸브로서 도시되지 않음)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도어 수납감지용 스위치(74)가 설치된다. 이 개폐도어 수납감지용 스위치(74)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폐도어(30)의 수납을 감지하기 위한 수납감지용 센서(미도시 됨)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개폐도어 수납감지용 스위치(74)는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으로 수납되면, 개폐도어 수납감지용 스위치(74)가 이를 감지하여 공기 공급장치(18)를 작동시키거나 밸브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0)에는,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으로 수납된 후 공기가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50)로 분사되도록 공기 공급장치(18)를 작동시키거나,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작동 스위치는 사용자가 개폐도어(30)를 내부공간(S)으로 수납시킨 후에, 온 작동시켜 공기 공급장치(18)를 작동시키거나 밸브를 개방하도록 하고, 개폐도어(30)를 내부공간(S)에서 인출한 후 오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 스위치를 이용하면, 개폐도어(30)가 내부공간(S)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공기 공급장치(18)의 작동을 정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측벽
14 : 내측벽 18 : 공기 공급장치
19 : 여과기 20 : 안내 레일장치
22 : 레일부재 24 : 안내바퀴
26 : 설치 브라켓 30 : 개폐도어
32 : 연결부재 32A : 단부
34 : 힌지쪽 내측면 40 : 연결밸브
42 : 스프링 44A : 공기 공급공
44B : 단턱부 44C : 개폐부
46 : 몸체 48 : 개폐부재
50 :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 52 : 공급 파이프
60 : 장방형의 상부용 노즐 70 : 연결호스
72 : 호스 릴 장치 74 : 스위치

Claims (10)

  1. 컵을 포함한 주방 소품이 건조 소독되도록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레일 장치들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개방한 후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양쪽의 각 측벽과 나란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되는 개폐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벽에는, 여과된 공기를 발생시키기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연결밸브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개폐도어들의 힌지쪽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도어가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연결밸브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연결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도어들의 손잡이쪽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공급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입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안내레일 장치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밸브에 결합되면, 상기 공급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입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들의 각 토출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만나는 합류지점에서 서로 부딪힌 공기가 상기 입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이 상기 개폐도어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장선에 대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토출구의 토출각도가 상기 개폐도어의 끝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연장선에 대하여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커튼 형성용 노즐은,
    상기 공급 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가 균일하게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공급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 쪽에서 상기 토출구 쪽으로 확장되는 구조의 공기 확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 확장부는,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밸브는,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면, 스프링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후진하여 공기 공급공을 개방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빠지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공기 공급공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되,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공급공과 거리를 유지한 위치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공기 공급공 사이에 개폐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한 쪽은 상기 걸림턱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탄력 지지되며, 다른 쪽은 상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공기 공급공에 밀착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수납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미는 동작으로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후진하여 상기 공기 공급공을 개방하도록 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입구쪽 상부면에는,
    상기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여과된 공기를 상기 입구에 토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장방형의 상부용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 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 양쪽의 각 측벽에 쌍을 이루어 각각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구름 운동하도록 결합되는 각각의 안내바퀴; 및
    상,하 단부에 상기 개폐도어의 상,하 단부가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각 안내바퀴가 축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50001817U 2015-03-23 2015-03-23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KR200479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17U KR200479712Y1 (ko) 2015-03-23 2015-03-23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17U KR200479712Y1 (ko) 2015-03-23 2015-03-23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893 Division 2013-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21U KR20150002121U (ko) 2015-06-03
KR200479712Y1 true KR200479712Y1 (ko) 2016-02-29

Family

ID=5351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17U KR200479712Y1 (ko) 2015-03-23 2015-03-23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1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3617A1 (en) * 2002-05-17 2004-01-08 Chandler Michael S.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horizontal air curtain for a cooler
KR200403873Y1 (ko) * 2005-09-13 2005-12-1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컵보관대의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3617A1 (en) * 2002-05-17 2004-01-08 Chandler Michael S.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horizontal air curtain for a cooler
KR200403873Y1 (ko) * 2005-09-13 2005-12-14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컵보관대의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21U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07B1 (ko) 자동 신발청소기 겸용 수납장
KR101017596B1 (ko)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KR200452289Y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KR102046846B1 (ko) 전기 식기 소독장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0718696B1 (ko) 자동 손 소독기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KR200479712Y1 (ko) 에어커튼 장치를 갖는 컵 건조 살균기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CN204581068U (zh) 一种智能卫浴柜
KR20200041758A (ko)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81203B1 (ko) 좌변기용 덮개
CN204581071U (zh) 毛巾收纳间自动开闭的卫浴柜
KR20110004195U (ko) 빌트-인 손 소독기
KR101317336B1 (ko) 식기 세척기
KR101169305B1 (ko) 싱크대
KR20110087516A (ko) 정화기능을 지닌 손소독기
KR200245151Y1 (ko) 욕실장
KR200403873Y1 (ko) 컵보관대의 도어장치
KR20090000057U (ko) 서랍형 살균장치
JP4673760B2 (ja) 消毒保管装置
KR101074351B1 (ko) 자동 개폐식 몸 소독기
CN105401376A (zh) 一种电动护理科毛巾清洗消毒方法
KR102677551B1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싱크대
KR20020065160A (ko) 작업장용 신체 소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