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12Y1 -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512Y1
KR200479512Y1 KR2020140009341U KR20140009341U KR200479512Y1 KR 200479512 Y1 KR200479512 Y1 KR 200479512Y1 KR 2020140009341 U KR2020140009341 U KR 2020140009341U KR 20140009341 U KR20140009341 U KR 20140009341U KR 200479512 Y1 KR200479512 Y1 KR 200479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fixed
ball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균
Original Assignee
황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균 filed Critical 황창균
Priority to KR2020140009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탱크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더치커피 추출기용 물탱크의 배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파이프 및 상기 제1,2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 내주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1유수공이 타공된 제1막이판와, 상기 제2파이프의 상단 내주에 고정되고 중앙에 푸시로드가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제2유수공이 타공된 게이트 개방부재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 내주에 고정되고 상기 제2파이프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된 밸브시트 형성부재 및, 상기 제1막이판과 밸브시트 형성부재 사이에 탄성 지지된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Valve For Controlling Flowrate Of Dutch Coffee Machine}
본 고안은 더치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기존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원두)를 원료로 한다. 커피는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인스턴트 커피와, 볶은 상태로 유통된 커피원두를 음용시 그 자리에서 분쇄하고 추출하는 가공공정을 거쳐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원두커피로 구분된다.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인스턴트 커피보다 좋다고 인정되기 때문에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많은 커피전문점에서는 커피추출기를 이용하여 원두커피를 제공하고 있다. 원두커피를 이용하여 커피를 제작하는 방법 중에는 뜨거운 물이 아닌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가 있는데 이를 더치커피(Dutch Coffee) 또는 콜드 브루(Cold Brew)라고 한다.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로 짧은 시간에 추출한 일반 커피에 비하여 쓴맛이 덜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어 선호된다. 더치커피의 제조 방식은 전용 기구에 분쇄한 원두를 넣고 찬물 또는 상온의 물에 짧게는 3~4시간, 길게는 8~12시간 정도 우려내 커피 원액을 추출한다.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점적식(點滴式)과 침출식(浸出式)으로 구분한다. 추출된 것은 냉장보관하고 있다가 음용시 꺼내어 필요에 따라 첨가물을 넣고 음용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의 추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하고 있는 물탱크(1) 및 물탱크(1)에서 소량의 물을 조금씩 드롭퍼(4)에 떨어뜨리기 위한 유량조절밸브(2)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05116호, 제10-2013-0111761호가 그러하다. 종래의 유량조절밸브(2)는 배출관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노브 형태의 조절손잡이(3)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조절손잡이(3)를 좌우로 돌림으로써 떨어지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드롭퍼(4)에는 여과지(6)가 설치되고 여과지를 통과한 커피(7)는 저장용기(5)에 담긴다.
그러나 종래 유량조절밸브(2)는 이처럼 한결같은 구조와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조절손잡이(3)가 측방으로 돌출된 형태여서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청결하게 관리하는데 노력을 필요로 하며 외관상 투박한 느낌을 주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0511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11761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더치커피 추출기용 물탱크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로서 형태가 단순하여 소제 및 관리가 용이하며 유량조절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더치커피 추출기용 물탱크의 배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파이프 및 상기 제1,2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 내주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1유수공이 타공된 제1막이판와, 상기 제2파이프의 상단 내주에 고정되고 중앙에 푸시로드가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제2유수공이 타공된 게이트 개방부재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 내주에 고정되고 상기 제2파이프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된 밸브시트 형성부재 및, 상기 제1막이판과 밸브시트 형성부재 사이에 탄성 지지된 볼을 포함하여, 상기 제2파이프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게이트 개방부재의 푸시로드가 상기 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제1,2파이프의 통로가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파이프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에 일부만 끼워지는 관체로서 외형은 볼트와 같은 다각형 형태로 되어 있거나 외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면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파이프를 잡고 회전시키면 푸시로드가 볼을 밀어냄으로써 게이트가 개방되도록 하여 물이 제1,2유수공 및 게이트를 통해 제1파이프로 흘러 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외부에 별도로 돌출 설치되는 노브 등의 손잡이가 없어지게 되어 외관이 심플해지고 따라서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끼일 구석진 곳이 없게 되어 청결하게 유지하기가 쉽다. 또한 유량의 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어 좋은 맛을 내는데 유리한 유량조절밸브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의 설치상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의 단면도로서 작용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더치커피 추출기용 유량조절밸브(10)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물탱크(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탱크의 배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파이프(20)와, 제1파이프(20)에 연결되는 제2파이프(30) 및 제1,2파이프(20,30)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을 포함한다. 제1,2파이프(20,30) 및 밸브수단은 녹방지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양질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더 좋은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파이프(20)는 물탱크(1)에 고정되어 있고, 제2파이프(30)는 자신의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하 밸브수단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 5는 밸브가 열린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제1막이판(21)이 제1파이프(20)의 내주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1막이판(21)에는 제1유수공(22)이 타공되어 있다. 제1막이판(21)은 강압에 의해 제1파이프(20)의 내주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마찰력으로서 제1파이프(2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유수공(22)은 제1막이판(21) 가장자리에 치우친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4개가 마련되고 있다.
밸브시트 형성부재(25)가 제1막이판(21)으로부터 제2파이프(30)를 향한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파이프(20)의 내주 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밸브시트 형성부재(25) 역시 적은 공차에 의해 제1파이프(20) 내부에 끼워져 마찰력으로서 고정된다. 그러나 기타 다양한 기계적 요소의 체결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밸브시트 형성부재(25)는 제1파이프(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밸브시트판(27)과, 밸브시트판(27)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형성관(28)을 포함한다. 밸브시트판(27)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볼(24, ball)이 안착되는 볼안착면(26)이 마련되며, 볼안착면(26)을 중심으로 물이 통과되는 게이트(G, gate)가 밸브시트판(27)을 관통하고 있다(도 5 참조).
볼(24, ball)이 제1막이판(21)과 밸브시트 형성부재(25) 사이에 끼워지며 볼안착면(26)에 안착된다. 볼(24)은 제1막이판(21)과 밸브시트판(27)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3)에 의해 볼안착면(26)에 탄성적으로 밀착 지지된다. 스프링(23)은 압축 코일스프링, 특히 볼(2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원추형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볼안착면(26)은 볼(24)과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구면(球面)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파이프(30)의 내주면에는 위에 언급된 수나사산에 나사결합하게 되는 암나사산(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파이프(30)에는 볼(24)을 도면상 위로 밀어내어 볼안착면(26)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게이트 개방부재(31)가 결합된다.
게이트 개방부재(31)는 제2파이프(30)의 내주에 강압에 의해 끼워져 결합하는 제2막이판(33)과, 제2막이판(33)으로부터 볼(24)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푸시로드(32)를 포함한다. 제2막이판(33)에는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제2유수공(34)이 타공되어 있다. 푸시로드(32)는 게이트(G)를 통과하여 볼(24)의 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제2막이판(33)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유수공(34)은 푸시로드(32)의 주변에 복수 개가 마련된다.
푸시로드(32)의 선단(32a)은 볼(2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볼(24)과 동일한 구면(球面)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푸시로드(32)는 볼(24)과의 원활한 마찰접촉을 위해서 동(銅)이나 테프론 등의 소재로 선택될 수 있다.
제2파이프(30)의 외주면에는 제2파이프(3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4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 손잡이부(40)는 제2파이프(30)의 외주에 일부만 끼워지는 관체로서 외형은 볼트와 같은 다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부(40)는 다각형 대신에 외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면이 마련되는 형식일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제1,2파이프(20,30)의 단부 사이에 빈 공간은 손잡이부(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빈 공간에는 수밀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하여 패킹이 끼워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파이프(30) 내지 손잡이부(40)를 잡고 축(X)을 중심으로 제2파이프(30)를 돌림으로써 푸시로드(32)로 하여금 화살표(K)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볼(24)을 밀어 게이트(G)를 열거나 역으로 볼(24)을 내려 게이트(G)를 닫을 수 있게 된다. 즉 제1파이프(20)에 선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파이프(30)로서 밸브의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위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밀유지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각 부재의 연결부위 중 필요한 곳에는 실리콘 소재의 실링 또는 패킹이 개입될 수 있다. 그러면 가공정밀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물탱크 10 : (본 고안의)유량조절밸브
20,30 : 제1,2파이프 21,33 : 제1,2막이판
23 : 스프링 24 : 볼(ball)
25 : 밸브시트 형성부재 26 : 볼안착면
27 : 밸브시트판 28 : 나사형성관
31 : 게이트 개방부재 32 : 푸시로드
40 : 손잡이부 G : 게이트(gate)

Claims (4)

  1. 더치커피 추출기용 물탱크의 배출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파이프;
    상기 제1,2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 내주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1유수공이 타공된 제1막이판와, 상기 제2파이프의 상단 내주에 고정되고 중앙에 푸시로드가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제2유수공이 타공된 게이트 개방부재와, 상기 제1파이프의 하부 내주에 고정되고 상기 제2파이프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된 밸브시트 형성부재 및, 상기 제1막이판과 밸브시트 형성부재 사이에 탄성 지지된 볼을 포함하여, 상기 제2파이프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게이트 개방부재의 푸시로드가 상기 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제1,2파이프의 통로가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파이프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파이프의 외주에 일부만 끼워지는 관체로서 외형은 볼트와 같은 다각형 형태로 되어 있거나, 외표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KR2020140009341U 2014-12-17 2014-12-17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KR200479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341U KR200479512Y1 (ko) 2014-12-17 2014-12-17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341U KR200479512Y1 (ko) 2014-12-17 2014-12-17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512Y1 true KR200479512Y1 (ko) 2016-02-04

Family

ID=5535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341U KR200479512Y1 (ko) 2014-12-17 2014-12-17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19Y1 (ko) 2016-12-13 2018-06-27 이용우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 공급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49B1 (ko) * 2013-07-26 2014-07-07 박종진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KR101432496B1 (ko) * 2013-08-23 2014-08-21 명수정 더치커피 추출용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049B1 (ko) * 2013-07-26 2014-07-07 박종진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KR101432496B1 (ko) * 2013-08-23 2014-08-21 명수정 더치커피 추출용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19Y1 (ko) 2016-12-13 2018-06-27 이용우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 공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7160B2 (en) Percolating steeper
US8863650B2 (en) Infusion press lid assembly
US20100263548A1 (en) Drink extracting apparatus
US9872583B2 (en) Method of using a portable nested cook-set
US9844296B2 (en) Beverage brewing device
US20140205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US201501570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aining a Beverage
US20030047081A1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US20150208853A1 (en) Infusion Core with Muddler
KR200479512Y1 (ko)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US20110303094A1 (en) Coffee maker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US10791865B2 (en) Ice-water dripping-rate adjuster for drip-type ice coffee maker
EP3595497B1 (en) Infusion assembly and containment vessel provided with such an infusion assembly
EP3554319B1 (en) Stee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KR102446616B1 (ko) 커피 브루어
US9706874B1 (en) Hot tea and coffee press convertible into an iced tea and coffee press including special hot liquid drinking container
US20120210881A1 (en) Structure of brewing device
KR102239665B1 (ko) 커피 추출 장치
GB2488327A (en) Brewing device
US1634771A (en) Faucet or valve
AU636977B2 (en) Beverage maker
JP4162154B1 (ja) 飲料抽出装置
US346044A (en) Half to fbank d
US710133A (en) Coffee-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