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62Y1 -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 Google Patents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62Y1
KR200479162Y1 KR2020150004428U KR20150004428U KR200479162Y1 KR 200479162 Y1 KR200479162 Y1 KR 200479162Y1 KR 2020150004428 U KR2020150004428 U KR 2020150004428U KR 20150004428 U KR20150004428 U KR 20150004428U KR 200479162 Y1 KR200479162 Y1 KR 200479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frame
scratch prevention
glasse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길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양동길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길, 김정수 filed Critical 양동길
Priority to KR2020150004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렌즈와 결합하는 렌즈프레임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안경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놓인 경우 렌즈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렌즈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렌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며, 섬유 보강재를 고분자 수지에 첨가하여 흠집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보강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흠집방지돌기가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은 렌즈가 결합되며,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엔드피스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렌즈프레임과, 두 개의 상기 렌즈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엔드피스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안경다리와, 상기 렌즈프레임의 후면에 돌출형성되는 코받침과, 상기 렌즈프레임의 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렌즈를 이격시키는 흠집방지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흠집방지돌기는 상기 렌즈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경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며, 돌출된 외측이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Spectacles for preventing scratches of lens}
본 고안은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렌즈와 결합하는 렌즈프레임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안경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놓인 경우 렌즈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렌즈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렌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며, 섬유 보강재를 고분자 수지에 첨가하여 흠집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보강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흠집방지돌기가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이 좋지 않은 눈을 잘 보이게 하거나 바람, 먼지, 강한 햇빛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에 착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경은 통상적으로 눈을 보호하거나 시력을 보정하기 위한 안경렌즈와, 렌즈를 고정하여 착용하기 위하여 렌즈를 지지하는 안경테와, 안경테가 눈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안경다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안경은 착용시 안경다리를 펼쳐 귀의 윗부분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경의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안경의 착용자는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안경다리를 펼쳐서 안경을 착용하게 되고 안경 미착용시에는 안경다리를 접어서 안경보관함에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안경을 벗어서 안경보관함에 보관하는 것은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통상의 안경착용자들은 무의식적으로 안경을 벗어서 책상, 간이테이블 또는 바닥 등의 지면에 놓아두게 된다.
이 경우에, 안경렌즈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게 되거나, 외부의 힘에 의해 뒤집어져서 안경렌즈의 전면이 지면에 닿게 되면 안경렌즈에 흠집이 발생하게 되어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고 안경렌즈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7316호가 개시되었다. 상기의 기술은 안경다리와 안경 코받침이 다각도로 절첩 및 회전되게 하여 안경을 보관할 경우 양측의 안경다리를 안경의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절첩되도록 하여 안경을 어느 방향으로 놓아도 안경다리가 렌즈보다 먼저 바닥면에 닿도록 함으로서 안경렌즈를 보호하여 안경렌즈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안경다리 및 코받침이 다각도로 절첩 및 회전되게 제작하여야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안경다리 및 코받침을 안경렌즈의 전, 후면에 위치하도록 접어서 보관하여야 함으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안경은 니켈합금 등과 같은 합금소재를 적절히 절곡 용접시켜 안경테를 형성하고, 안경다리 역시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후,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경첩을 이용하여 용접하거나 합성 고분자 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사출성형한 후, 이들을 경첩을 이용하여 용접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안경을 종래 니켈합금과 같은 합금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내구성과 질감이 좋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장점은 있으나 성형성이 떨어지고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어려우며 착용시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합성 고분자 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안경이 각광받고 있는데, 합성 고분자 수지 소재로 제작된 안경은 보통 사출 금형을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성형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안경 제작에 이용되는 합성 고분자 수지 소재의 대표적인 소재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이하,‘CA'로 칭한다.)는 범용 안경테 소재와 차별성을 가진 소재로서, 다른 합성 고분자 수지 소재로 제작된 안경과 비교 시 안료혼입 후에 수려한 색상 및 패턴을 발현하고 스크래치 발생 시에도 별도의 코팅공정 없이 연마에 의해 광택이 복구될 수 있으며 우수한 형태 안정성으로 인해 고부가가치 안경 소재로 각광받고 소위 뿔테라고 불리며 많은 인기를 누려 왔다. 따라서, 최근 시장 점유율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에서도 CA 안경테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소재로 제작된 안경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소재의 특성상 탄성이 약하므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휘어지지 않고 부러지며, 무거운 무게로 인하여 착용자의 코에 코받침 자국이 남고, 장기간 착용할 경우 안경 전체가 벌어져 안경이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731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가 결합되는 두 개의 렌즈프레임의 전면에 안경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흠집방지돌기를 형성하되, 흠집방지돌기는 안경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돌출된 외측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안경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놓여지는 경우, 흠집방지돌기의 외측 일부분이 지면에 닿음으로써 렌즈는 지면에 닿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므로 렌즈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흠집방지돌기를 안경에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조작없이 무의식적으로 안경을 지면에 놓는 경우에도 렌즈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흠집방지돌기에 섬유 보강재를 첨가하여 형성함으로써 흠집방지돌기의 강성을 보강한 안경을 제작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흠집방지돌기가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탄성이며 가벼운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로 안경을 제작하여 안경의 형상이 반영구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면서 착용시 종래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소재로 제작된 안경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여 더욱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안경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은 렌즈(110)가 결합되며, 결합되는 상기 렌즈(110)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안경다리(300)가 연결되는 엔드피스(120)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렌즈프레임(100)과, 두 개의 상기 렌즈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브릿지(200)와, 일측이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엔드피스(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이 구부러져 형성되는 안경다리(300)와, 안경(1)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코받침(400)과,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안경(1)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지면에 놓인 경우 상기 렌즈(110)가 지면과 접하지 않도록 지면으로부터 상기 렌즈(110)를 이격시키는 흠집방지돌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경(1)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며, 돌출된 외측이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두 개의 상기 렌즈프레임(100) 각각의 내측부(100a)에 상기 안경(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각각의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렌즈(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1 내지 2°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브릿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1 내지 2°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섬유 보강재가 첨가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프레임(100)은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안경(1)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지면에 놓인 경우 지면으로부터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하부(100d)를 이격시키는 보조돌기(6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렌즈프레임의 전면에 안경의 전방으로 돌출되되, 안경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돌출된 외측이 곡선으로 형성되는 흠집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안경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놓여지는 경우, 흠집방지돌기의 외측 일부분이 지면에 닿음으로써 렌즈는 지면에 닿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므로 렌즈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흠집방지돌기를 안경에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조작없이 무의식적으로 안경을 지면에 놓는 경우에도 렌즈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흠집방지돌기가 두께가 얇고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렌즈프레임이 얇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흠집방지돌기가 렌즈 또는 브릿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하여 흠집방지돌기가 착용자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흠집방지돌기에 섬유 보강재를 첨가하여 형성함으로써 흠집방지돌기의 강성을 보강한 안경을 제작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흠집방지돌기가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탄성이며 가벼운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로 안경을 제작하여 안경의 형상이 반영구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면서 착용시 종래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소재로 제작된 안경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여 더욱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안경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이 지면에 놓여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이 지면에 놓여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이 지면에 놓여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이 지면에 놓여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안경의 전방이 지면을 향하도록 지면에 놓아둔 경우, 렌즈(110)가 지면에 접촉하여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이하, '안경(1)'이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렌즈프레임(100)과, 브릿지(200)와, 안경다리(300)와, 코받침(400) 및 흠집방지돌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렌즈프레임(100)은 렌즈(110)가 결합되어 렌즈(11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결합되는 렌즈(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100)은 렌즈(110)의 테두리에 둘러지도록 형성되며, 착용자의 눈 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100)은 브릿지(2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브릿지(200)는 착용자의 눈 전방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두 개의 상기 렌즈프레임(10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경(1)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릿지(200)는 상기 안경(1)을 착용할 경우, 상기 렌즈(110)에 의해 발생하는 프리즘 효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치(arch)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외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피스(1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엔드피스(120)에는 상기 안경(1)을 착용한 경우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이 착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안경다리(300)가 연결된다.
상기 엔드피스(Endpiece, 120)는 상기 안경(1)을 착용할 경우 역학적인 힘(torque)을 가장 크게 받는 부분으로서 뿔테에서는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300)는 일측이 상기 렌즈프레임(100)에 형성된 엔드피스(120)에 연결되며, 타측은 착용자의 귀의 상부에 걸림안착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경다리(300)는 상기 엔드피스(120)에 힌지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300)에는 인체에 유익한 영역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의료용자석(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의료용자석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다리의 구부러진 부분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의료용자석은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자석의 자력과 같이 표면자장이 500~5000가우스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받침(400)은 착용자가 상기 안경(1)을 착용한 경우, 상기 안경(1)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코받침(400)은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후방(착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이때, 착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렌즈프레임(100)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안경(1)을 착용하지 않고 상기 렌즈(110)가 지면을 향하도록 지면에 놓인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110)가 지면과 접하지 않도록 지면으로부터 상기 렌즈(110)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경(1)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방(착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상기 안경(1)의 전방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내측부(100a)의 전면에 하나씩 형성되며, 상기 안경(1)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렌즈(110)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여 놓아졌을 경우 상기 렌즈(110)의 전면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내측부(100a)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돌출시작점(P)이 상기 내측부(100a) 길이의 중간부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착용자의 눈 앞머리 상부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내측부(10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프레임(100)에서 착용자의 코 주변에 위치되는 부분이며,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내측부(100a)의 형상에 따라 휘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두께가 얇고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렌즈프레임(100)이 얇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닿는 외측이 곡선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경(1)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놓여지는 경우, 곡선지게 형성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 외측의 일측이 지면에 접하게 된다. 즉, 상기 렌즈(110)가 지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되는 경우,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외측이 곡선지게 형성되어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상부(100b) 또는 하부(100d)가 지면과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경(1)을 무의식적으로 지면에 놓아도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곡선지게 형성된 외측을 따라 상기 안경(1)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안정적으로 지면에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4 내지 6mm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4mm 미만으로 돌출되면, 상기 렌즈(1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각도가 감소하여 상기 렌즈(110)의 하부가 지면에 접하게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6mm를 초과하여 돌출형성되면,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크기가 커지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길이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내측부(100a) 길이의 1/3 내지 1/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길이가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내측부(100a) 길이의 1/3 미만이면,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크기가 작아져 상기 렌즈(1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길이가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내측부(100a) 길이의 1/2을 초과하면,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크기가 커지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안경다리(300)와 평행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렌즈(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1 내지 2°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브릿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1 내지 2°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기울어져 형성되면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와 지면이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안경(1)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면에 놓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기울어지는 각도가 2°를 초과하면 안경착용자의 시야에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보이게되어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기울어지는 각도가 1° 미만이면 상기 흠집방지돌기에 의해 상기 안경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이는 효과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흠집방지돌기가 기울어지는 각도의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흠집방지돌기가 상기 렌즈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도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이 사출성형될 때 금형에 형성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형성을 위한 홈에 섬유 보강재인 아라미드 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첨가하여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의 내충격성을 강화할 수 있다.
아라미드 섬유와 탄소섬유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일반 의류용 섬유보다 강도가 월등히 강하고 내열성이 크며 인장강도와 탄성률이 매우 높은 반면 중량이 가벼워 방탄용 소재나 항공기용 소재 등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아라미드 섬유나 탄소 섬유와 같은 고강도의 기능성 섬유 보강재를 본 고안의 안경(1)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흠집방지돌기(500)를 형성하기 위한 홈에 넣고 그 주변으로 용융상태의 고분자 수지를 사출로 투입하여 홈을 채워 섬유 보강재를 감싸도록 하여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섬유 보강재가 첨가되어 형성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내충격성이 강화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안경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예, TR-90계통),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ABS계 수지, 실리콘계 고무 등의 합성 고분자 수지 및 천연 고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는 피부와의 적응성, 탄력성 등이 우수하며,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계 및 ABS계 수지의 경우 강도 및 탄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프레임(100)에는 보조돌기(600)가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돌기(6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돌기(600)는 착용자의 눈머리와 눈꼬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헝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경(1)을 지면에 놓은 경우,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하부(100d)를 지면에서 이격시켜 상기 렌즈(110)의 하부와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하부(100d)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조돌기(600)는 1.5 내지 3mm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돌기(600)가 1.5mm 미만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 상기 렌즈(110)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렌즈(110)의 하부가 지면에 접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보조돌기(600)가 3mm를 초과하도록 돌출형성되면 상기 보조돌기(600)의 크기가 커지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돌기(600)는 상기 흠집방지돌기(500) 길이의 1/2 내지 2/3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돌기(600)의 길이가 상기 흠집방지돌기(500) 길이의 1/2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보조돌기(600)의 크기가 작아져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하부(100a)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보조돌기(600)의 길이가 상기 흠집방지돌기(500) 길이의 2/3을 초과하면, 상기 보조돌기(600)의 크기가 커지므로 착용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돌기(600)는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와 같이 섬유 보강재가 첨가되어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안경(1)은 비결정성(非結晶性) 열가소성(熱可塑性)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는 뛰어난 내열성, 치수안정성, 고강도, 고탄성, 내화학약품성, 균열 저항성, 방부성 및 난연성을 가진 고분자 수지의 소재이며 연소시 대표적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검출되지 않는 무독성 소재이다.
이에 따라,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는 항공기 내장품, 식음료 관련제품, 의료용품, 주방용품 등 첨단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로 제작된 상기 안경은 얇고 가벼우면서도 강도와 복원력을 가지므로 착용감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안경의 착용시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안경다리(300)가 연결되는 상기 엔드피스(120)에 발생되는 외력을 상기 안경다리(300)에서 흡수하므로 상기 안경다리(300)가 벌어져 상기 안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피스(120)를 통해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연결되는 상기 안경다리(3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두껍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경다리(120)의 일측이 타측보다 두껍게 제작됨으로써 상기 안경다리(300)가 더욱 잘 휘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은 상기 렌즈(110)가 결합되는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상기 렌즈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상기 브릿지(200)는 고분자 수지 중 셀룰로오스 에스테르(Cellulose Ester)계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상기 엔드피스(120)에 결합되는 상기 안경다리(300)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경다리(300)는 전체가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로 제작되거나, 상기 안경다리(300)의 일부분만이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로 제작되고 나머지부분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소재는 상기 안경의 제작에 적합한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을 갖는다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헥사노에이트, 셀룰로오스 옥타노에이트, 셀룰로오스 데카노에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셀룰로오스 지방산 단독 에스테르) 또는 병용(셀룰로오스 지방산 혼합 에스테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브릿지(200)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소재와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를 혼합한 혼합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소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 30 내지 65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가 30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이 부족하여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65 중량부를 초과하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소재와의 상용성 및 열유동성이 저하되어 용융 압출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소재와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를 혼합한 혼합물로 제작된 본 고안에 따른 안경(1)은 종래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소재만으로 제작된 안경보다 탄성이 증가하여 파손의 위험이 적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장기간 착용할 경우 안경 전체가 벌어져 흘러내리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1)은 고분자 수지에 분말화된 토르마린, 황토, 일라이트, 견운모, 실리카(SiO2) 계열인 광물, 알루미나 분말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TiO2 및 나노은(nano silver)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균제를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경(1)의 착용 시 피부접촉면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안경 착용시 땀으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눈 주위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킴으로써 눈의 피로를 신속하게 회복시켜 눈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방으로 길이를 갖는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돌출형성되어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상기 렌즈(110)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놓은 경우에, 상기 렌즈(110)보다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에 의해 상기 렌즈(110)가 지면에 닿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상기 렌즈(110)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렌즈(11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두께가 얇고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렌즈프레임(100)이 얇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섬유 보강재가 첨부되어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거나 부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안경
100 : 렌즈프레임
100a : 내측부
100b : 상부
100c : 외측부
100d : 하부
110 : 렌즈
120 : 엔드피스
200 : 브릿지
300 : 안경다리
400 : 코받침
500 : 흠집방지돌기
600 : 보조돌기

Claims (5)

  1. 안경(1)에 있어서,
    렌즈(110)가 결합되며, 결합되는 상기 렌즈(110)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안경다리(300)가 연결되는 엔드피스(120)가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두 개의 렌즈프레임(100);
    두 개의 상기 렌즈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브릿지(200);
    일측이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엔드피스(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이 구부러져 형성되는 안경다리(300);
    안경(1)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코와 대응되는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코받침(400); 및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방으로 4 내지 6mm 돌출형성되며, 상기 안경(1)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지면에 놓인 경우 상기 렌즈(110)가 지면과 접하지 않도록 지면으로부터 상기 렌즈(110)를 이격시키는 흠집방지돌기(500);
    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프레임(100)은,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흠집방지돌기(500)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안경(1)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도록 지면에 놓인 경우 지면으로부터 상기 렌즈프레임(100)의 하부(100d)를 이격시키며, 상기 흠집방지돌기(500) 길이의 1/2 내지 2/3의 길이로 형성되는 보조돌기(6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흠집방지돌기(500)는,
    상기 렌즈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경(1)의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렌즈프레임(100) 각각의 내측부(100a)에 상기 안경(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돌출된 외측이 곡선지게 형성되고, 섬유 보강재가 첨가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경다리(300)와 평행하도록 돌출되거나 또는 각각의 상기 흠집방지돌기(500)가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렌즈(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1 내지 2°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4428U 2015-07-01 2015-07-01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KR200479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28U KR200479162Y1 (ko) 2015-07-01 2015-07-01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28U KR200479162Y1 (ko) 2015-07-01 2015-07-01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62Y1 true KR200479162Y1 (ko) 2015-12-24

Family

ID=5517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428U KR200479162Y1 (ko) 2015-07-01 2015-07-01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64Y1 (ko) * 2020-01-07 2020-05-15 최석재 스크래치 방지구조를 가지는 안면 보호구
JP7038245B1 (ja) * 2021-07-27 2022-03-17 株式会社マイスターズインク テンプル部の多目的突起付き眼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487A (ja) * 1989-06-21 1991-02-01 Jeol Ltd 核磁気共鳴プローブ
JPH0616937U (ja) * 1992-08-07 1994-03-04 兼義 加藤 眼鏡レンズの傷防止具
JPH07244260A (ja) * 1994-03-03 1995-09-19 Yasoshi Miyoshi 磁性突起体を付けた眼鏡枠。
KR200367316Y1 (ko) 2004-08-09 2004-11-11 손진균 안경테의 안경렌즈 보호구조
KR20110136684A (ko) * 2010-06-15 2011-12-21 전병욱 안경렌즈의 흠집방지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487A (ja) * 1989-06-21 1991-02-01 Jeol Ltd 核磁気共鳴プローブ
JPH0616937U (ja) * 1992-08-07 1994-03-04 兼義 加藤 眼鏡レンズの傷防止具
JPH07244260A (ja) * 1994-03-03 1995-09-19 Yasoshi Miyoshi 磁性突起体を付けた眼鏡枠。
KR200367316Y1 (ko) 2004-08-09 2004-11-11 손진균 안경테의 안경렌즈 보호구조
KR20110136684A (ko) * 2010-06-15 2011-12-21 전병욱 안경렌즈의 흠집방지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64Y1 (ko) * 2020-01-07 2020-05-15 최석재 스크래치 방지구조를 가지는 안면 보호구
JP7038245B1 (ja) * 2021-07-27 2022-03-17 株式会社マイスターズインク テンプル部の多目的突起付き眼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25879A1 (en) Safety eyewear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US8366266B2 (en) Safety eyewear
JP2023103382A (ja) フレームレスアイウェア用アイウェアレンズ
KR200479162Y1 (ko) 길이를 갖는 흠집방지돌기가 형성되어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US8328353B2 (en) Segmented delta toric lens
US20160231589A1 (en) Eyeglass frames with flexible temples
KR101106877B1 (ko) 안경 및 안경의 조립 방법
KR101420774B1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KR200478175Y1 (ko) 렌즈의 흠집을 방지하는 안경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KR101344689B1 (ko)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US20150378179A1 (en) Glasses having detachable auxiliary lenses
KR20130138870A (ko) 합성수지안경테의 교환형 코받침
KR101233660B1 (ko) 비정형 안경테(무테 안경테)
TWI526728B (zh) Hat with glasses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200471669Y1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폴리에테르이미드 소재의 결합 안경테
CN207799257U (zh) 具有记忆功能眼镜腿的眼镜
JP2014240886A (ja) フード付き眼鏡
CN221101183U (zh) 眼镜
GB2528964A (en) Swimming goggles
CN204158975U (zh) 泳镜
CN216646985U (zh) 方便调节式鼻垫结构及眼镜
JP3185602U (ja) フード付き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