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61Y1 -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 Google Patents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61Y1
KR200479161Y1 KR2020140006087U KR20140006087U KR200479161Y1 KR 200479161 Y1 KR200479161 Y1 KR 200479161Y1 KR 2020140006087 U KR2020140006087 U KR 2020140006087U KR 20140006087 U KR20140006087 U KR 20140006087U KR 200479161 Y1 KR200479161 Y1 KR 200479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late
rotating
toys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호
Original Assignee
강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호 filed Critical 강연호
Priority to KR2020140006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품 완구 제작 시 폐품과 폐품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로 연결한 부분은 회전이 가능하여 제작이 완료된 폐품 완구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폐품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완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원판형태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관통하여 제1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구; 상기 회전축구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구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회전반경을 갖으며 제2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구; 상기 회전판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원판형태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고정구; 상기 회전축고정구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고정구; 상기 회전판과 고정판을 배치한 후 삽입된 상기 제1볼트, 제2볼트; 및 상기 제1볼트, 제2볼트를 각각 고정하는 제1너트, 제2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Joint for making junk toy}
본 고안은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품 완구 제작 시 폐품과 폐품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로 연결한 부분은 회전이 가능하여 제작이 완료된 폐품 완구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폐품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완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란 어린이들의 놀이 도구로 대개 상품화된 것을 가리키나 그 이전에는 손으로 만든 것들이 많이 쓰였다. 그리고 자연물이나 집안의 부엌용품을 이용해서 놀이를 즐길 때 이들 도구는 넓은 의미로 모두 완구라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어린이의 놀이 도구를 목적으로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예로부터 그 시대상과 그 민족의 풍습에 따라 착상이나 재료, 제작방법이 약간씩 다른 갖가지의 완구가 만들어져 왔다.
한편 폐품이란 쓸 수 없게 된 물품 또는 소용없게 된 물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재활용하지 않는 이상 처리를 위해서도 비용이 들게 된다.
그래서 상기 폐품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폐품도 재활용하며 완구로 만들 수 있는 친환경적인 폐품 재활용 완구 제작에 많은 관심이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폐품 완구 제작 시 단순히 폐품끼리 접착하여 제작함으로써 움직이는 완구를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품 공예 전문가들은 폐품과 폐품 연결 시 폐품에 구멍을 내고 결합구조(볼트, 너트, 와셔 등)를 활용하여 움직이는 완구를 실현하였으나 시간이 많이 걸리고 효율성이 떨어지며 체험교육 시 아이들이 직접 수행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폐품 재활용과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649호에서는 폐품을 이용한 조형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1558호에서는 폐자재를 이용한 조형건축물 및 조형물 시공방법과 그 구조 및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 중 어느 것도 폐품을 활용한 완구 및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649호(2006.04.2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1558호(2011.06.2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폐품 완구 제작 시 폐품과 폐품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로 연결한 부분은 회전이 가능하여 제작이 완료된 폐품 완구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폐품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완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판형태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을 관통하여 제1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구; 상기 회전축구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구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회전반경을 갖으며 제2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구; 상기 회전판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원판형태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고정구; 상기 회전축고정구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고정구; 상기 회전판과 고정판을 배치한 후 삽입된 상기 제1볼트, 제2볼트; 및 상기 제1볼트, 제2볼트를 각각 고정하는 제1너트, 제2너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에 의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폐품 완구 제작 시 폐품과 폐품 연결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폐품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완구를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폐품 공예 체험학습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품과 폐품이 결합된 부위가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로 이루어지므로 결합부위가 보호되고 견고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로 폐품과 폐품을 연결하여 완구 제작 시 연결부위가 회전이 가능하므로 움직이는 완구를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품으로만 완구를 제작할 때보다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삽입으로 인한 약간의 무게 증가로 완구의 무게중심이 맞추어지므로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의 회전반경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의 회전반경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대하여 살피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원판형태의 회전판(10); 상기 회전판(10)을 관통하여 제1볼트(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구(11); 상기 회전축구(1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구(11)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회전반경을 갖으며 제2볼트(32)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구(12); 상기 회전판(10)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원판형태의 고정판(20); 상기 고정판(20)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볼트(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고정구(21); 상기 회전축고정구(2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볼트(32)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고정구(22);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배치한 후 삽입된 상기 제1볼트(31), 제2볼트(32); 및 상기 제1볼트(31), 제2볼트(32)를 각각 고정하는 제1너트(41), 제2너트(42)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이격 배치한 후, 상기 회전축구(11) 및 회전축고정구(21)에 상기 제1볼트(31)를 삽입하고, 상기 회전반경구(12) 및 회전반경고정구(22)에 상기 제2볼트(32)를 삽입한다. 삽입된 상기 제1볼트(31) 및 제2볼트(32)의 하부에 각각 제1너트(41) 및 제2너트(42)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고정하되, 사이에 0.01 ~ 0.2 ㎝ 의 틈을 갖도록, 상기 제1너트(41)는 상기 틈을 유지하며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틈만큼 이격배치된 회전판(10)과 고정판(20) 중 하부에 위치한 판과 밀착될 때까지 결합시키고, 상기 제2너트(42)는 상기 회전판(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볼트 길이의 1/2~3/4 지점까지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은 지름이 3 ~ 15 ㎝ 이고, 두께가 0.05 ~ 0.1 ㎝ 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의 지름이 3 ㎝ 미만이면 사람의 손으로 직접 작업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15 ㎝ 를 초과하면 완구로 만들어질 폐품재료의 수량이 많아지고, 완성된 완구 자체가 급격히 무거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께가 0.05 ㎝ 미만이면 너무 얇아 견고함이 저하될 수 있고, 0.1 ㎝ 를 초과하면 관절이 두꺼워지므로 완구 외관 디자인에 문제가 생긴다.
이때 상기 회전판(10)은 회전하고자 하는 폐품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20)은 고정하고자 하는 폐품이 부착된다. 예를 들어 사람 형상의 완구를 제작하고자 한다면 상기 고정판(20)에는 몸체 부분의 폐품을 부착하고, 상기 회전판(10)에는 머리 부분의 폐품을 부착하여,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목 관절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제작이 완성된 상기 사람 형상의 완구는 사람의 움직임처럼 머리 부분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은 부착되는 폐품의 형상 및 만들어지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원판형태의 끝부분을 굴곡지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머리 부분의 폐품을 부착하고자 한다면 일반적으로 머리 부분은 둥근 형상으로 머리 부분의 폐품이 부착되는 회전판(10)의 끝부분을 둥근 형상에 맞춰 굴곡지게 변형하여 제작한다면 완구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축구(11), 회전축고정구(21) 및 회전반경고정구(22)는 지름이 0.3 ~ 1 ㎝ 인 구멍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구(11), 회전축고정구(21) 및 회전반경고정구(22)에 삽입되는 제1볼트(31) 및 제2볼트(32)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볼트로 머리의 지름은 0.6 ~ 2 ㎝ , 길이는 1 ~ 2 ㎝, 두께는 0.2 ~ 0.8 ㎝ 가 될 수 있고, 상기 제1너트(41) 및 제2너트(42)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너트로 상기 제1볼트(31) 및 제2볼트(32)와 결합하기 위하여 외경이 0.6 ~ 2 ㎝, 내부 구멍의 지름 0.2 ~ 0.8 ㎝, 두께는 0.2 ~ 0.6 ㎝ 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볼트(31)와 제1너트(41), 제2볼트(32)와 제2너트(42)의 삽입 및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이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축구(11), 회전축고정구(21) 및 회전반경고정구(22)의 지름이 0.3 ~ 1 ㎝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의 고정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반경구(12)는 상기 회전축구(11)를 둘러싸는 초승달 형태의 구멍으로써, 구멍의 폭은 상기 제2볼트(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구(11), 회전축고정구(21) 및 회전반경고정구(22)와 마찬가지로 0.3 ~ 1 ㎝이고, 상기 회전축구(11)를 중심으로 양 끝단이 이루는 각도는 10~200°로 구성되어, 삽입된 상기 제2볼트(32)에 의해 상기 회전판(10)에 위치하는 폐품이 10~200°의 회전반경을 갖게 되고 상기 설정된 회전각도 이상으로는 회전이 방지된다. 이로써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사람의 관절 움직임과 유사한 10~200°의 회전반경을 갖게 된다.
이로써 회전반경을 갖는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을 이용하여 완구를 제작하면 종래 폐품을 활용하여 완구 제작 시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무게를 줄이고 견고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완성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을 이용하여 완구 제작 시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폐품을 연결하고자 하면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접착제, 글루건 및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직접 부착하거나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 사이에 형성된 틈에 접착테이프의 일부를 삽입하여 상기 삽입된 일부면을 제외한 노출된 접착면을 이용하여 폐품을 부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에 대한 실시예 1과 상기 실시예 1에서 회전반경구(12) 및 회전반경고정구(22)의 구성을 제거하여 실시예 1을 용이하게 변경하여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 2의 구성을 상세히 살피면 아래와 같다.
< 실시예1 > 10~200° 회전이 가능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원판형태의 회전판(10); 상기 회전판(10)을 관통하여 제1볼트(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구(11); 상기 회전축구(1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구(11)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회전반경을 갖으며 제2볼트(32)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구(12); 상기 회전판(10)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원판형태의 고정판(20); 상기 고정판(20)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볼트(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고정구(21); 상기 회전축고정구(2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볼트(32)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고정구(22);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배치한 후 삽입된 상기 제1볼트(31), 제2볼트(32); 및 상기 제1볼트(31), 제2볼트(32)를 각각 고정하는 제1너트(41), 제2너트(42)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이격 배치한 후, 상기 회전축구(11) 및 회전축고정구(21)에 상기 제1볼트(31)를 삽입하고, 상기 회전반경구(12) 및 회전반경고정구(22)에 상기 제2볼트(32)를 삽입한다. 삽입된 상기 제1볼트(31) 및 제2볼트(32)의 하부에 각각 제1너트(41) 및 제2너트(42)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고정하되, 사이에 0.01 ~ 0.2 ㎝ 의 틈을 갖도록, 상기 제1너트(41)는 상기 틈을 유지하며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틈만큼 이격배치된 회전판(10)과 고정판(20) 중 하부에 위치한 판과 밀착될 때까지 결합시키고, 상기 제2너트(42)는 상기 회전판(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볼트 길이의 1/2~3/4 지점까지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판(10)은 회전하고자 하는 폐품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20)은 고정하고자 하는 폐품이 부착된다. 예를 들어 사람 형상의 완구를 제작하고자 한다면 상기 고정판(20)에는 몸체 부분의 폐품을 부착하고, 상기 회전판(10)에는 머리 부분의 폐품을 부착하여,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목 관절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제작이 완성된 상기 사람 형상의 완구는 사람의 움직임처럼 머리 부분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반경구(12)는 상기 회전축구(11)를 둘러싸는 초승달 형태의 구멍으로써, 상기 회전축구(11)를 중심으로 양 끝단이 이루는 각도는 10~200°로 구성되어, 삽입된 상기 제2볼트(32)에 의해 상기 회전판(10)에 위치하는 폐품이 10~200°의 회전반경을 갖게 되고 상기 설정된 회전각도 이상으로는 회전이 방지된다. 이로써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사람의 관절 움직임과 유사한 10~200°의 회전반경을 갖게 된다.
< 실시예2 > 360° 회전이 가능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의한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원판형태의 회전판(10); 상기 회전판(10)을 중앙을 관통하여 볼트(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구(11); 상기 회전판(10)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원판형태의 고정판(20); 상기 고정판(20)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3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고정구(21);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배치한 후 삽입된 상기 볼트(30); 및 상기 볼트(30)를 고정하는 너트(40)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이격 배치한 후, 상기 회전축구(11) 및 회전축고정구(21)에 상기 볼트(30)를 삽입한다. 삽입된 상기 볼트(30)의 하부에 너트(40)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고정하되, 사이에 0.01 ~ 0.2 ㎝ 의 틈을 갖도록, 상기 너트(40)는 상기 틈을 유지하며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틈만큼 이격배치된 회전판(10)과 고정판(20) 중 하부에 위치한 판과 밀착될 때까지 결합시킨다.
이로써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달리 회전반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회전반경구(12) 및 회전반경고정구(22)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축구(11) 및 회전축고정구(21)에 의해서만 회전판(10)이 회전하므로 360°회전이 가능하여, 360°회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 : 회전판
11 : 회전축구
12 : 회전반경구
20 : 고정판
21 : 회전축고정구
22 : 회전반경고정구
30 : 볼트
31 : 제1볼트
32 : 제2볼트
40 : 너트
41 : 제1너트
42 : 제2너트

Claims (5)

  1. 원판형태의 회전판(10);

    상기 회전판(10)을 관통하여 제1볼트(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구(11);

    상기 회전축구(1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구(11)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회전반경을 갖으며 제2볼트(32)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구(12);

    상기 회전판(10)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원판형태의 고정판(20);

    상기 고정판(20)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볼트(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고정구(21);

    상기 회전축고정구(21)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볼트(32)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반경고정구(22);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배치한 후 삽입된 상기 제1볼트(31), 제2볼트(32); 및

    상기 제1볼트(31), 제2볼트(32)를 각각 고정하는 제1너트(41), 제2너트(4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이격 배치한 후, 상기 회전축구(11) 및 회전축고정구(21)에 상기 제1볼트(31)를 삽입하고, 상기 회전반경구(12) 및 회전반경고정구(22)에 상기 제2볼트(32)를 삽입한 다음, 삽입된 상기 제1볼트(31) 및 제2볼트(32)의 하부에 각각 제1너트(41) 및 제2너트(42)를 결합하여 상기 회전판(10)과 고정판(20)을 고정하되, 사이에 0.01 ~ 0.2 ㎝ 의 틈을 갖도록, 상기 제1너트(41)는 상기 틈을 유지하며 회전축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틈만큼 이격배치된 회전판(10)과 고정판(20) 중 하부에 위치한 판과 밀착될 때까지 결합시키고, 상기 제2너트(42)는 상기 회전판(10)이 회전할 수 있도록 볼트 길이의 1/2~3/4 지점까지만 결합시시키며,

    상기 회전판(10)은 회전하고자 하는 폐품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20)은 고정하고자 하는 폐품이 부착되며,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은 부착되는 폐품의 형상 및 만들어지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원판형태의 끝부분을 굴곡지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고,

    상기 회전판(10) 및 고정판(20)은 지름이 3 ~ 15 ㎝ 이고, 두께가 0.05 ~ 0.1 ㎝ 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반경구(12)는 상기 회전축구(11)를 중심으로 각도 10~200°의 회전반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구(11), 회전축고정구(21) 및 회전반경고정구(22)는 지름이 0.3 ~ 1 ㎝ 인 구멍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6087U 2014-08-14 2014-08-14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KR200479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87U KR200479161Y1 (ko) 2014-08-14 2014-08-14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87U KR200479161Y1 (ko) 2014-08-14 2014-08-14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61Y1 true KR200479161Y1 (ko) 2015-12-24

Family

ID=5517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87U KR200479161Y1 (ko) 2014-08-14 2014-08-14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69A (ko) * 2020-09-29 2022-04-05 토이파파 (주) 폐품을 이용한 완구용 로봇 제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073A (ja) * 1999-09-30 2001-04-10 Bandai Co Ltd 関節装置及び人形玩具
KR200415649Y1 (ko) 2006-02-01 2006-05-04 정크아트 주식회사 폐품을 이용한 조형물
JP2008228897A (ja) * 2007-03-19 2008-10-02 Obitsu Seisakusho:Kk 人形の関節
JP2011031078A (ja) * 2010-11-17 2011-02-17 Daisu Project:Kk 人形玩具の2段階関節部材及び人形玩具
KR20110071558A (ko) 2009-12-21 2011-06-29 이강혁 폐자재를 이용한 조형건축물 및 조형물 시공방법과 그 구조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6073A (ja) * 1999-09-30 2001-04-10 Bandai Co Ltd 関節装置及び人形玩具
KR200415649Y1 (ko) 2006-02-01 2006-05-04 정크아트 주식회사 폐품을 이용한 조형물
JP2008228897A (ja) * 2007-03-19 2008-10-02 Obitsu Seisakusho:Kk 人形の関節
KR20110071558A (ko) 2009-12-21 2011-06-29 이강혁 폐자재를 이용한 조형건축물 및 조형물 시공방법과 그 구조 및 조성물
JP2011031078A (ja) * 2010-11-17 2011-02-17 Daisu Project:Kk 人形玩具の2段階関節部材及び人形玩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69A (ko) * 2020-09-29 2022-04-05 토이파파 (주) 폐품을 이용한 완구용 로봇 제작 방법
KR102462415B1 (ko) * 2020-09-29 2022-11-02 토이파파 (주) 폐품을 이용한 완구용 로봇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3083A1 (en) Joining apparatus with rotatable magnet therein and built-up type toy with the same
KR200479161Y1 (ko) 폐품 완구 제작용 관절
US20170304736A1 (en) Sports Figure Lawn Ornament
KR20110069424A (ko) 자석조립식완구
CN204146483U (zh) 一种首饰链
CN201851442U (zh) 快速接头
CN103128831A (zh) 一种留青工艺用竹片的制作方法
CN203183675U (zh) 一种组合玩具单体之龙造型玩具
US9107528B2 (en) Decoratively applied article
CN201482177U (zh) 安全防脱落玩偶眼睛结构
CN204427475U (zh) 白银器皿隔热装置
CN206493340U (zh) 用于裁分宣纸的裁纸刀
CN207941196U (zh) 一种木质拼接玩具车
CN203342343U (zh) 磁力魔球
KR200369013Y1 (ko) 화환받침대
CN218076355U (zh) 一种玩偶关节快速装配结构
CN209064566U (zh) 一种连体蛋壳
US8293342B2 (en) Decorative golf figurine
CN207733973U (zh) 一种火锅上菜及投料餐具
KR200430619Y1 (ko) 판촉용 회전 놀이구 성형판
KR200367879Y1 (ko) 장식물 회전이 가능한 열쇠고리
CN201099121Y (zh) 一种新型组合物件
CN204034257U (zh) 一种新型悠悠球玩具
KR20210002089U (ko) 집게클립을 이용한 블록 장난감
TWD200692S (zh) 公仔(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