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60Y1 - 주유기 거치기 - Google Patents

주유기 거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60Y1
KR200479060Y1 KR2020150002049U KR20150002049U KR200479060Y1 KR 200479060 Y1 KR200479060 Y1 KR 200479060Y1 KR 2020150002049 U KR2020150002049 U KR 2020150002049U KR 20150002049 U KR20150002049 U KR 20150002049U KR 200479060 Y1 KR200479060 Y1 KR 200479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vehicle
main body
connecting member
lubr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김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호 filed Critical 김중호
Priority to KR2020150002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8Arrangements of hoses, e.g. operative connection with pump motor
    • B67D7/40Suspending, reeling or st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주유기 거치기가 개시된다. 주유기 거치기는, 주유기 본체에 연결되는 클램핑부와, 클램핑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차량에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클램핑부 또는 걸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길이 가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유기 거치기{HANGER FOR LUBRICATOR}
본 고안은 차량의 주유 과정에서 주유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한 주유기 거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유는, 주유소에 차량이 진입한 상태에서 주유 마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주유구에 주유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주유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주유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승용 차량의 경우에는 주유기를 차량의 주유구에 삽입하는 것으로 주유기가 차량에 고정된다. 따라서, 승용 차량의 경우에는 주유 과정에서 주유자가 주유기를 파지하지 않고도 주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버스나 트럭 등의 차량의 경우에는 주유기가 주유구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주유자가 주유 과정에서 주유기를 파지한 상태로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047411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승용 차량 이외의 트럭, 버스 등의 차량에 주유하는 과정에서 주유기 본체를 차량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한 주유기 거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주유기 본체에 연결되는 클램핑부와, 클램핑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차량에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클램핑부 또는 걸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길이 가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클램핑부는,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고정 바디와, 일측은 고정 바디의 나사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타측은 주유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주유기 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라운드 형상의 내벽면이 형성된 클램프와, 클램프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는, 연결부재의 타단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걸림 바디와, 걸림 바디의 나사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차량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클램핑부와 걸림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와, 와이어부재의 외표면에 코팅된 고무재질의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유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주유기를 차량에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유 과정에서 작업자가 주유기를 파지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주유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유기 거치기가 거치된 상태를 인장 센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원활한 주유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가 주유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유기 거치기의 클램핑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주유기 본체(11)는 주유소 등에서 차량에 주유하기 위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경유 차량 또는 가솔린 차량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주유기 본체(11)는 공지된 것으로 그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주유기 본체(11)는, 차량의 주유 과정에서 주유구에 삽입된 상태로 주유를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주유기 거치기(100)에 의해 주유구에 삽입된 상태의 거치가 가능하다. 즉, 일반 승용 차량의 경우에는 주유기 본체(11)가 주유구에 삽입된 상태로 거치가 가능하지만, 트럭 또는 버스 등의 경우에는 주유기 본체(11)가 주유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유 과정에서 주유기 본체(11)를 파지한 상태로 대기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주유기 거치기(100)를 이용하여 주유기 본체(11)를 차량에 거치하는 것이 가능한 바, 사용자가 주유기 본체(11)를 파지하는 것이 필요없게 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가 주유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100)는, 주유기 본체(11)에 연결되는 클램핑부(10)와, 클램핑부(10)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20)와, 연결부재(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차량에 고정되는 걸림부(30)를 포함한다.
클램핑부(10)는 주유기 본체(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주유기 본체(11)의 일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주유기 거치기의 클램핑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0)는, 연결부재(20)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고정 바디(12)와, 일측은 고정 바디(12)의 나사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타측은 주유기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디(12)는 일측은 연결부재(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연결부재(20)의 일부분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바디(12)는 연결부재(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바디(12)는 일부분이 연결부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부분을 압입하는 것으로 연결부재(2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 바디(12)는 연결부재(20)에 압입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부재(20)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용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바디(12)는 외표면에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바디(12)의 나사홀에는 고정부(14)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4)는 일부분의 외표면에 나사홀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 고정되는 나사산(14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14)는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 바디(12)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4)가 고정 바디(12)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은, 주유기 본체(11)와 차량 사이의 거리가 과도하게 이격되는 경우, 주유기 거치기(100)의 전체 길이를 더욱 길게 가변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14)는 주유기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주유기 본체(11)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클램프(16a)와, 클램프(16a)를 고정하는 체결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6a)는 주유기 본체(11)의 라운드 형상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라운드 형상의 내벽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16a)의 개방된 단부는 체결부(16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16b)는 클램프(16a)가 주유기 본체(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된 단부 사이를 고정하는 나사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부(10)는 나사봉의 선택적인 나사 결합에 의해 주유기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부재(20)는 일단은 클램핑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걸림부(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20)는 클램핑부(10)와 걸림부(30)의 사이에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클램핑부(10)와 걸림부(30)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20)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연결부재와 와이어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 20을 사용한다.
와이어부재(20)는 복수개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클램핑부(10)와 걸림부(3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와이어부재(20)는 본 실시예에서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강도가 더욱 향상된 하나의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와이어부재(20)의 타단에는 걸림부(30)가 연결된다.
걸림부(30)는 와이어부재(20)의 타단에서 연결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외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부(30)는, 연결부재(20)의 타단에 고정되어 차량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걸림부와 걸림 고리는 동일 참조 번호 30을 사용한다.
걸림 고리(30)는 버스 또는 트럭 등과 같은 승용 차량을 제외한 차량의 차체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고리(30)는 트럭 등의 적재함 부분에 걸림 고정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클램핑 타입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주유기 거치기(100)는, 일측은 주유기 본체(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차량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유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주유기 본체(11)를 차량에 주유기 거치기(100)를 이용하여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주유기를 파지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주유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유기 거치기(100)의 거치된 전체 길이를 일부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가변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200)의 걸림부(130)는, 내부에 나사홀이 형성된 걸림 바디(131)와, 걸림 바디(131)의 나사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차량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133)를 포함한다.
걸림 바디(131)는 연결부재(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 바디(131)는 일부분이 연결부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부분을 압입하는 것으로 연결부재(2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걸림 바디(131)는 연결부재(20)에 압입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부재(20)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용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 바디(131)는 외표면에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바디(131)의 나사홀에는 걸림 고리(13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걸림 고리(133)는 버스 또는 트럭 등과 같은 승용 차량을 제외한 차량의 차체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고리(133)는 일부분의 외표면에 나사홀에 나사 결합으로 삽입 고정되는 나사산(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 고리(133)는 나사 결합에 의해 걸림 바디(131)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고리(133)가 걸림 바디(131)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은, 주유기 본체(11)와 차량 사이의 거리가 과도하게 이격되는 경우, 주유기 거치기(200)의 전체 길이를 더욱 길게 가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걸림 고리(133) 또는 고정부(14)가 나사 결합되는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차량의 종류의 변경에 대응하여 주유기 거치기(200)의 설치된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유기 거치기(200)를 차량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주유 과정에서 주유기 본체(11)를 파지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주유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유소의 필요 인원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300)의 연결부재(220)는 와이어부재(221)의 외표면에는 코팅부(223)가 피복된다.
코팅부(223)는 와이어부재(221)의 외표면의 전체에 피복되는 것으로서, 우천시 등과 같이 수분에 의해 와이어부재(221)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식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부(223)는 와이어부재(221)의 표면을 덮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팅부(223)는 와이어부재(221)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400)는, 연결부재(20)에 설치되는 인장 센서(310)와, 인장 센서(310)의 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기(330)를 포함한다.
인장 센서(310)는 연결부재(20)에 적용되는 하중을 센싱하는 것으로서, 센싱 신호가 설정된 하중값 이하로 확인되면 경보기(3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인장 센서(310)는 본 실시예에서 스트레인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기(330)는 인장 센서(310)의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작동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경보음을 발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유기 거치기(100)의 일부분이 주유 차량 또는 주유기 본체(1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인장 센서(310)를 이용하여 하중의 변화값을 확인하여 경보기(330)를 통해 경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유 상태를 안정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원활한 주유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500)의 걸림부(30)는 와이어부재(20)에 다단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다단 연결부(41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걸림부(30)는 다단 연결부(410)의 단계적인 길이 조절에 의해 길이 가변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차량의 변동에 따라 절절하게 주유기 거치기(500)의 전체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주유기의 거치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 거치기(600)의 클램핑부(510)는 직경 가변이 가능한 타이밴드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클램핑부(510)는 주유기 본체(11)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크기의 주유기 본체(11)에 대응하여 직경이 가변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으로 주유기 본체(1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주유기 거치기(600)는 범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클램핑부 11...주유기 본체
12...고정 바디 14...고정부
14a..나사산 16a..클램프
16b..체결부 20...와이어부재, 연결부재
30, 130...걸림부 131..걸림 바디
133..걸림 고리 223..코팅부
310..인장 센서 330..경보기

Claims (4)

  1. 주유기 본체에 연결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차량에 고정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부 또는 상기 걸림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길이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고정 바디; 및
    일측은 상기 고정 바디의 상기 나사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주유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주유기 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라운드 형상의 내벽면이 형성된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주유기 거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걸림 바디; 및
    상기 걸림 바디의 상기 나사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상기 차량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
    를 포함하는 주유기 거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걸림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외표면에 코팅된 고무재질의 코팅부;
    를 포함하는 주유기 거치기.

KR2020150002049U 2015-04-01 2015-04-01 주유기 거치기 KR200479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49U KR200479060Y1 (ko) 2015-04-01 2015-04-01 주유기 거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049U KR200479060Y1 (ko) 2015-04-01 2015-04-01 주유기 거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60Y1 true KR200479060Y1 (ko) 2015-12-14

Family

ID=5502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049U KR200479060Y1 (ko) 2015-04-01 2015-04-01 주유기 거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6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981A (en) 1996-09-12 2000-12-19 All Set Marine Lashing Ab Turnbuckle
JP2004224287A (ja) 2003-01-27 2004-08-12 Tatsuno Corp 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981A (en) 1996-09-12 2000-12-19 All Set Marine Lashing Ab Turnbuckle
JP2004224287A (ja) 2003-01-27 2004-08-12 Tatsuno Corp 供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91106B (zh) 用于绳索和链条的、具有丝杠和棘轮单元的张紧装置
US8632105B2 (en) Tension clamp
US11732822B2 (en) Multi-conduit flexible retention mechanism
US9772049B2 (en) Universal support clamp
US20160223100A1 (en) Fir tree mount
US20120201599A1 (en) Shackle
US10371233B2 (en) Bungee cord/strap and method of use
CA2550336C (en) A fitting for wire rope
US20200271193A1 (en) Synthetic rope socket with solid thimble
US20150026930A1 (en) Closure device for a cable sling, securing device, high-pressure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ecuring device
KR200479060Y1 (ko) 주유기 거치기
US20190128375A1 (en) Synthetic rope socket with solid thimble
NO342232B1 (no) Festeinnretning og fremgangsmåte for å feste en kabel til et rørlegeme
US8960707B2 (en) Pivoting tow hook
US3041695A (en) Fishing line fastener
US20140060974A1 (en) Idle Gear Remote Grease Line
FR3090535B1 (fr) Pièce de carrosserie comprenant une boucle de verrouillage
JP7381203B2 (ja) 管クリップ
CA2697484A1 (en) Handling claw
JP2008546418A5 (ko)
AU2006202077B2 (en) A Fitting for Wire Rope
US10801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shackles using thimble retaining element
US9611969B2 (en) Reinforced plug
US10781885B2 (en) Rope connection system, devices, and methods
MX2020007465A (es) Buje de pasador de barra para suspension de vehicu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