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50Y1 -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50Y1
KR200479050Y1 KR2020140003003U KR20140003003U KR200479050Y1 KR 200479050 Y1 KR200479050 Y1 KR 200479050Y1 KR 2020140003003 U KR2020140003003 U KR 2020140003003U KR 20140003003 U KR20140003003 U KR 20140003003U KR 200479050 Y1 KR200479050 Y1 KR 200479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ortion
outer case
stopper
print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875U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2020140003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5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 4개의 측벽면으로 마련되면서 앞쪽으로 개방되는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케이스; 상기 바닥면의 외측에 부착되는 바닥 인쇄면과, 상기 4개의 측벽면 외측에 부착되는 측벽 인쇄면과, 측벽 인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벽면 내측으로 접혀져 부착되는 걸림 인쇄면이 마련된 인쇄지; 및 상기 외측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부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앞면 하단에 구비되고 외측 케이스의 하부 측벽면에 고정되어 수용부를 외측 케이스에 연결하는 힌지면과, 수용부의 뒷면 상단에 구비되고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마련된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케이스는 힌지면을 따라 수용부가 회전하면서 외측 케이스 밖으로 개방되는 한편, 스토퍼가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 걸리면서 수용부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한다.

Description

포장용기{PACKAGING CONTAINER}
본 발명은 외측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는 인쇄지를 이용하여 내측 케이스를 외측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및 외측 케이스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 내측 및 외측 케이스 사이에 내용물이 삽입되어 보관된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내용물의 인입 또는 인출시 내측 및 외측 케이스를 완전히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뚜껑의 분실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측 케이스가 외측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는 포장용기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포장용기는 등록특허번호 제10-1063736호 "종이 상자" 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063736호
종래기술에서 포장용기는 내측 케이스를 외측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면 고정부를 마련해야 하며, 이 전면 고정부가 추가됨에 따라 상 및 하 날개면, 내부 가이드면, 상 및 하 제2 바닥면 날개부를 갖는 제2 바닥면, 내부 모서리부의 추가가 필요하여 제작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특히 전면 고정부의 높이 만큼 빈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측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는 인쇄지를 이용하여 내측 케이스를 외측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게 구현하며, 이에 제작의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바닥면과, 4개의 측벽면으로 마련되면서 앞쪽으로 개방되는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케이스; 상기 바닥면의 외측에 부착되는 바닥 인쇄면과, 상기 4개의 측벽면 외측에 부착되는 측벽 인쇄면과, 측벽 인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벽면 내측으로 접혀져 부착되는 걸림 인쇄면이 마련된 인쇄지; 및 상기 외측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부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앞면 하단에 구비되고 외측 케이스의 하부 측벽면에 고정되어 수용부를 외측 케이스에 연결하는 힌지면과, 수용부의 뒷면 상단에 구비되고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마련된 내측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케이스는 힌지면을 따라 수용부가 회전하면서 외측 케이스 밖으로 개방되는 한편, 스토퍼가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 걸리면서 수용부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며, 이에 내용물의 수용공간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내측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포장용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면 상단에서 뒷면 상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부의 뒷면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앞면 상단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수용부의 상단을 경사지게 형성하며, 이에 수용부의 회전시 외측 케이스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어 수용부의 안정된 개방을 유도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부의 뒷면 상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뒷면 상단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를 위한 별도의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이 수용부 성형시 함께 가공함에 따라 공정의 단순화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앞면 상단에는 상기 외측 케이스의 측벽면 앞쪽에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면을 통해 수용부가 외측 케이스의 내부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는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는 걸림 인쇄면의 길이방향으로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개선을 따라 걸림 인쇄면의 선단을 절단함으로써 수용부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측 케이스에 부착되는 인쇄지를 이용하여 내측 케이스를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공간 활용성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포장용기의 효율성은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각 구성부품들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측 케이스(110)의 외측에 부착되는 인쇄지(120)를 이용하여 내측 케이스(130)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게 구현하는 것으로, 외측 케이스(110), 인쇄지(120) 및 내측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1. 외측 케이스
외측 케이스(110)는 바닥면(111)과, 4개의 측벽면(112)으로 마련되며, 바닥면(111)과 4개의 측벽면(112)이 연결되면서 앞쪽으로 개방되는 개방공간을 형성한다.
즉, 외측 케이스(110)는 도 4의 (b)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면, 사각 형상을 가지는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측벽면(112)으로 마련되고, 바닥면(111)과 측벽면(112) 사이에는 접힘선이 형성된다. 이에 접힘선을 중심으로 4개의 측벽면(112)을 바닥면(111)에 대해 수직으로 접은 다음, 대응하는 측벽면(112) 끼리 부착하면 개방공간이 형성된 외측 케이스(110)를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외측 케이스의 개방공간이 앞쪽을 향하게 배치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도 1에서 보았을 때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 앞면이고, 이 앞면의 반대쪽이 뒷면이며,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 측면이다.
2. 인쇄지
인쇄지(120)는 외측 케이스의 외부에 제품명, 상호, 무늬 및 색상 등의 디자인을 표시하기 위해 부착되는 것으로, 바닥면(111)의 외측에 부착되는 바닥 인쇄면(121)과, 4개의 측벽면(112) 외측에 부착되는 측벽 인쇄면(122)과, 측벽면(112) 내측에 부착되는 걸림 인쇄면(123)을 포함한다.
즉, 인쇄지(120)는 도 4의 (a)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면, 바닥면(111)의 외측에 부착되는 바닥 인쇄면(121)과, 바닥 인쇄면(12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측벽면(112) 외측에 부착되는 측벽 인쇄면(122)과, 측벽 인쇄면(122)으로부터 연장되고 측벽면(112) 내측으로 접혀져 부착되는 걸림 인쇄면(123)으로 마련되며, 바닥 인쇄면(121)과 측벽 인쇄면(122) 사이, 측벽 인쇄면(122)과 걸림 인쇄면(123) 사이에는 접힘선이 형성된다. 이에 접힘선을 중심으로 측벽 인쇄면(122)과 걸림 인쇄면(123)을 접으면 외측 케이스(1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인쇄지(120)를 조립할 수 있다. 이때 걸림 인쇄면(123)이 외측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접혀서 부착되면서 외측 케이스(110)의 앞쪽면을 보다 고급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3. 내측 케이스
내측 케이스(130)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 케이스(110)의 개방공간에 삽입되고 상부로 내용물(미도시)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부(131)와, 상기 수용부(131)의 앞면(131a) 하단에 구비되고 외측 케이스(110)의 하부 측벽면(112)에 고정되어 수용부(131)를 외측 케이스(110)에 연결하는 힌지면(132)과, 수용부(131)의 뒷면(131b) 상단에 구비되고 걸림 인쇄면(123)의 선단에 걸림되는 스토퍼(133)를 포함한다.
즉, 내측 케이스(130)는 도 4의 (c)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상호 대응되게 배치되는 앞면(131a) 및 뒷면(131b)과, 앞면(131a) 및 뒷면(131b)의 대응하는 양 단부를 연결하는 측면(131c)을 포함하며, 이에 앞면(131a), 뒷면(131b) 및 측면(131c)을 연결하면 상하로 관통되는 내용물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31)를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케이스(130)는 앞면(131a) 하단에 수용부(131)를 외측 케이스(110)에 고정하는 힌지면(132)이 연결되어 있고, 뒷면(131b)의 상단에 수용부(131)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133)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면(132)은 수용부(131)의 앞면(131a)에만 연결되고, 나머지 뒷면(131a) 및 측면(131c)으로부터는 분리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내측 케이스(130)는 뒷면(131b)이 외측케이스(110)의 개방공간을 향하게 외측 케이스(110)에 삽입한 다음, 힌지면(132)를 하측 측벽면(112)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에 수용부(131)는 힌지면(132)과 수용부(131) 사이의 힌지점(도 3에 표시된 A)을 중심으로 외측케이스(110) 밖으로 인출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힌지면(132)은 수용부(131)의 앞면(131a)에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면(132)이 외측 케이스(110)에 고정된 상태로 수용부(131)가 힌지점(도 3에 표시된 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수용부(131)의 뒷면(131b) 하단이 외측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지지되더라도 사각틀 형상의 수용부(131)의 뒷면(131b)이 눌려지면서 수용부(131)가 회전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사각틀 형상의 수용부(131)를 적용함에 따라 최대의 수용공간을 확보하더라도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측 케이스(130)의 상단이 소정 각도 외측 케이스(110) 밖으로 인출되면, 스토퍼(133)가 인쇄지(120)의 걸림 인쇄면(123) 선단에 걸리면서 내측 케이스(130)를 외측 케이스(110)에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한다.
즉, 상기 내측 케이스(13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힌지면(132)의 힌지점(도 3에 표시된 A)을 중심으로 수용부(131)가 회전하면서 외측 케이스(110) 밖으로 개방되는데 이때, 스토퍼(133)가 걸림 인쇄면(123)의 선단에 걸리면서 수용부(131)를 일부 개방된 상태로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100)는 인쇄지(120)의 걸림 인쇄면(123)과 내측 케이스(130)의 스토퍼(133) 만으로도 내측 케이스(130)를 외측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게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공간 활용성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포장용기의 효율성은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3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면(131a) 상단에서 뒷면(131b) 상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33)는 상기 수용부(131)의 뒷면(131b) 상단에 돌출된다.
즉, 상기 수용부(131)의 앞면(131a)과 뒷면(131b)의 상단 높이가 같을 경우 수용부(131)의 회전시 바로 스토퍼(133)가 외측 케이스(110)의 내부 상단에 걸림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31)의 상단을 경사지게 형성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의 (c)에 도시된 전개도를 참조하면, 측면(131c)의 상단은 앞면(131a)에서 뒷면(131b)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이에 앞면(131a)과 뒷면(131b)의 상단 높이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뒷면(131b)에 형성된 스토퍼(133)는 앞면(131a)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되, 걸림 인쇄면 선단에 걸림되는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3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소정각도까지는 스토퍼(133)가 외측 케이스(110)의 내부 상단에 걸림되지 않으며, 이에 수용부(131)의 안정된 개방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33)는 걸림 인쇄면(123)의 선단에 걸려서 지지됨과 동시에 외측 케이스(110)의 상측 측벽면(112)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스토퍼(133)의 앞쪽이 걸림 인쇄면(123)의 선단에 걸림됨과 동시에 스토퍼(133)의 상단이 상측 측벽면(112) 내측에 눌려서 지지되며, 이에 스토퍼(133)의 지지력에 의해 수용부(131)를 외부 케이스(110)에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33)의 높이는 2~10mm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mm를 가진다. 즉, 스토퍼(133)의 높이가 2mm 이하일 경우 걸림 인쇄면(123)에 완벽하게 걸리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0mm 이상일 경우 스토퍼(133)가 휘어지면서 걸림 인쇄면(123)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2~10mm의 높이를 가짐에 따라 걸림력과 함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33)는 수용부(131)의 뒷면(131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133)를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 추가 없이 내측 케이스(130)의 성형시 함께 성형이 가능하며, 이에 작업성과 스토퍼(13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33)는 수용부(131)의 뒷면(131b) 상단 전체에 연결되게 형성되며, 이에 스토퍼(133)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스토퍼(133)의 어느 한 부분이 접히거나 휘어지더라도 다른 한 부분을 통해 걸림력을 유지하여 사용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31)의 앞면(131a) 상단에는 상기 외측 케이스(110)의 측벽면(112) 앞쪽에 지지되는 지지면(13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면(134)는 수용부(131)를 회전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한편, 수용부(131)가 외측 케이스(110) 내부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내측 케이스(130)가 앞쪽을 향하게 포장용기(100)를 배치한 다음, 내측 케이스(130)의 지지면(134)을 잡아당긴다. 그러면, 내측 케이스(130)의 수용부(131)가 힌지면(1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외측 케이스(110) 밖으로 개방되며, 이에 수용부(131)에 수용된 내용물(1)이 인출된다. 이때, 수용부(131)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스토퍼(133)는 인쇄지(120)의 걸림 인쇄면(123) 선단에 걸림됨과 동시에 외측 케이스(110)의 내부 상면에 눌려지며, 이에 내측 케이스(130)를 외측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0')는 전술한 인쇄지의 걸림 인쇄면의 길이를 조절하여 내측 케이스의 수용부 개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 수용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수용부를 작게 개방하거나 또는 크게 개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 인쇄면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내측 케이스의 스토퍼가 걸림되는 걸림 인쇄면(123')의 선단에 걸림 인쇄면(123')의 길이방향으로 절개선(123a)이 형성되며, 이 절개선(123a)을 따라 걸림 인쇄면(123')의 선단을 절개함에 따라 걸림 인쇄면(12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걸림 인쇄면(123')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걸림 인쇄면(123')의 선단에 걸리는 걸림 인쇄면(123')을 앞쪽으로 더 전진시킬 수 있어 수용부의 개방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00')는 걸림 인쇄면(123')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용부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외측 케이스
111: 바닥면
112: 측벽면
120: 인쇄지
121: 바닥 인쇄면
122: 측벽 인쇄면
123: 걸림 인쇄면
130: 내측 케이스
131: 수용부
131a: 앞면
131b: 뒷면
131c: 측면
132: 힌지면
133: 스토퍼
133a: 절개선
134: 지지면

Claims (7)

  1. 바닥면과, 4개의 측벽면으로 마련되면서 앞쪽으로 개방되는 개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케이스;
    상기 바닥면의 외측에 부착되는 바닥 인쇄면과, 상기 4개의 측벽면 외측에 부착되는 측벽 인쇄면과, 상기 측벽 인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측벽면 내측으로 접혀져 부착되는 걸림 인쇄면이 마련된 인쇄지; 및
    상기 외측 케이스에 삽입되고 상부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사각틀 형태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앞면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외측 케이스의 하부 측벽면에 고정되어 수용부를 외측 케이스에 연결하는 힌지면과, 상기 수용부의 뒷면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마련된 내측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케이스는 상기 힌지면을 따라 상기 수용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외측 케이스 밖으로 개방되는 한편, 상기 스토퍼가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 걸리면서 상기 수용부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는 상기 걸림 인쇄면의 선단에는 걸림 인쇄면의 길이방향으로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면 상단에서 뒷면 상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부의 뒷면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앞면 상단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부의 뒷면 상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부의 뒷면 상단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앞면 상단에는 상기 외측 케이스의 측벽면 앞쪽에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7. 삭제
KR2020140003003U 2014-04-15 2014-04-15 포장용기 KR200479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003U KR200479050Y1 (ko) 2014-04-15 2014-04-15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003U KR200479050Y1 (ko) 2014-04-15 2014-04-15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75U KR20150003875U (ko) 2015-10-23
KR200479050Y1 true KR200479050Y1 (ko) 2015-12-11

Family

ID=544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003U KR200479050Y1 (ko) 2014-04-15 2014-04-15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64B1 (ko) * 2018-09-05 2020-02-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용기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42Y1 (ko) * 2003-03-18 2003-06-18 홍상근 종이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642Y1 (ko) * 2003-03-18 2003-06-18 홍상근 종이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75U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337B2 (en) Receptacle configured for liner replacement without lid removal
US20140042158A1 (en) Container with removable tray
RU2018115686A (ru)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печатывания емкость, содержащая вставку
US8348062B2 (en) Packaging box
KR200479050Y1 (ko) 포장용기
KR200479788Y1 (ko) 내부 완충 포장상자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KR200452620Y1 (ko) 과자 포장용 종이 상자
EP3067287B1 (en) Cardboard box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US20130075293A1 (en) Packaging case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JP5928890B2 (ja) 包装用箱
US10246214B1 (en) Package box and foldable sheet material
US7913875B2 (en) Dispenser for folders
JP6424017B2 (ja) 連結箱、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用容器
KR200477901Y1 (ko) 종이포장용기
KR101382411B1 (ko) 일체형 슬라이드 뚜껑을 갖는 포장케이스
KR102137070B1 (ko) 조립식 상자를 이용한 재활용 상자
KR200479815Y1 (ko) 포장용기
JP5384287B2 (ja) 陳列用包装材
KR101841779B1 (ko) 포장용기
JP2006168971A (ja) 使用済み物品回収箱
KR200487134Y1 (ko) 섭취도구가 보관된 식품용기 뚜껑
JP6534521B2 (ja) 包装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