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68Y1 - 도자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도자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68Y1
KR200478868Y1 KR2020140002812U KR20140002812U KR200478868Y1 KR 200478868 Y1 KR200478868 Y1 KR 200478868Y1 KR 2020140002812 U KR2020140002812 U KR 2020140002812U KR 20140002812 U KR20140002812 U KR 20140002812U KR 200478868 Y1 KR200478868 Y1 KR 200478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eramic
vertical
coupling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772U (ko
Inventor
김세기
Original Assignee
김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기 filed Critical 김세기
Priority to KR2020140002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6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자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하는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용 뚜껑은 도자기 캡 내에 마련된 수직홈에 내측 캡의 수직돌기가 안내됨과 동시에 수직돌기측의 결합턱이 수직홈과 통하는 결합홈에 강압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내측캡을 도자기 캡에 결합하여 도자기용기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적용되는 지지편으로 하여금 도자기 캡 내부로부터 결합된 내측 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 캡을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자기용 뚜껑{Ceramics cap}
본 고안은 도자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 재질의 뚜껑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 캡을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결합하여 뚜껑으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흙을 빚어 높은 온도의 불에서 구워낸 그릇이나 장식물을 말하는 것으로, 크게 1,300℃ 이하의 온도에서 구운 도기(陶器)와 1,300∼1,500℃에서 구운 자기(磁器)로 나눌 수 있는바, 도기와 자기를 통틀어 도자기라고 하고 있다.
이러한 도자기는 손으로 작업하는 것과 물레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주입 및 압출 성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중 손으로 하는 성형은 핀칭, 코일링(흙가래성형), 모델링(테라코타)이 있고, 물레 성형방식은 수동 혹은 자동으로 하는 회전하는 물레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접시와 같은 원형의 기물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도자기는 외관의 미려함과 도자기 특성상 미세한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여 식품을 저장하는 용기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도자기를 용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자기 뚜껑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종래 도자기 뚜껑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도자기 뚜껑을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할 경우 용기는 도자기로 이루어지고 뚜껑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자기가 갖는 전체의 고급스럽고 미려한 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본체가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면 도자기 뚜껑 역시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야만 도자기 용기 전체가 갖는 미려함과 고급스러움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도자기 재질로 뚜껑을 만들고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뚜껑을 도자기 용기 상부에 결합하기 위해 도자기 뚜껑 내부에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별도의 내측 캡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도자기 용기의 상단 외주면과 도자기 뚜껑에 결합되는 합성수지 내측 캡의 내주면에 각각 나선부를 구비함으로써 나선부에 의한 용기와 뚜껑과의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도자기 뚜껑이 도자기 용기 상단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 캡과 관련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682호(명칭: 도자기 단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11)를 지닌 도자기용기(10)와, 상기 입구(11)에 씌워지는 도자기뚜껑(20)을 포함하는 도자기 단지(100)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뚜껑(20)은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도자기캡(21)과, 상기 외측 도자기캡(21)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11)를 밀폐시키는 내측 캡(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자기용기(10)는 상기 입구(11)의 외주연에 나사산(11a)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도자기캡(21)은 내주연에 상하방향으로 뚫려진 수직홈(21a)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캡(22)은 내주연에 상기 나사산(11a)에 치합되는 나사홈(22d)을 가짐과 동시에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직홈(21a)에 끼워지는 수직돌기(22a)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 캡(22)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11)를 밀폐시키는 패킹(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자기 단지는 뚜껑에 내측을 결합하여 도자기 용기에 체결 사용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도자기의 특성상 가마에서 구워진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자기캡의 내경부분에 형성된 수직홈에 대해 내측 캡의 수직돌기 부분이 정확히 끼워지지 않는 불량 조립의 경우가 많다.
통상 PE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내측 캡의 특성상 어느 정도 연질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강압적으로 뚜껑의 수직홈에 수직돌기를 결합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조립 정밀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내측 캡과 도자기 캡 사이에는 에폭시 수지인 접착제를 사용하여 내측 캡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의 사용은 그만큼 작업공수가 많아지고 작업중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자기 재질의 뚜껑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 캡을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결합하여 뚜껑으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자기용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합성수지소재로 하부가 개방된 원형으로 제작되며, 내경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외측둘레에 수직돌기가 형성된 내측 캡을 도자기 캡의 내경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직홈에 상기 수직돌기가 결합되어 도자기용기의 상부 입구부에 마련된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도자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과 통하는 결합홈이 도자기 캡의 내측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캡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돌기에는 상기 결합홈에 강압적으로 안내되는 결합턱이 외측둘레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측 캡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도자기 캡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단부가 밀착되어 상기 결합홈에 안내된 결합턱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편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캡의 개구된 하단부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수직돌기가 돌출된 높이를 갖는 안내턱이 형성되고, 상기 도자기 캡의 개구된 하단부에는 상기 안내턱을 수용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도자기 캡에 내측 캡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안내턱의 저부는 도자기 캡의 저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용 뚜껑은 도자기 캡 내에 마련된 수직홈에 내측 캡의 수직돌기가 안내됨과 동시에 수직돌기측의 결합턱이 수직홈과 통하는 결합홈에 강압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내측캡을 도자기 캡에 결합하여 도자기용기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적용되는 지지편으로 하여금 도자기 캡 내부로부터 결합된 내측 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 캡을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도자기 및 뚜껑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도자기 및 뚜껑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내측 캡이 결합된 상태를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내측 캡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의 내측 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내측 캡을 뚜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합성수지소재로 하부가 개방된 원형으로 제작되며, 내경에 나사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외측둘레에 수직돌기(112)가 형성된 내측 캡(110)을 도자기 캡(120)의 내경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직홈(121)에 상기 수직돌기(112)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도자기용기(200)의 상부 입구부(201)에 마련된 나사산부(202)에 체결되는 도자기용 뚜껑(100)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121)과 통하는 결합홈(122)이 도자기 캡(120)의 내측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캡(110)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돌기(112)에는 상기 결합홈(122)에 강압적으로 안내되는 결합턱(113)이 외측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캡(1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도자기 캡(120)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단부가 밀착되어 상기 결합홈(122)에 안내된 결합턱(113)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편(114)이 일체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캡(110)의 개구된 하단부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수직돌기(112)가 돌출된 높이를 갖는 안내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도자기 캡(120)의 개구된 하단부에는 상기 안내턱(115)을 수용하는 단턱(123)이 형성되어 도자기 캡에 내측 캡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안내턱(115)의 저부는 도자기 캡(120)의 저부와 동일선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자기용 뚜껑의 상호 결합과 도자기 용기와의 결합사용시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자기용 뚜껑(100)을 이루는 도자기 캡(120)에 내측 캡(110)의 결합은, 도자기 캡의 개구된 부분에 내측 캡의 밀폐된 부분을 위치시키되, 상기 내측 캡(110)의 수직돌기(112)가 위치한 부분을 도자기 캡(120)의 수직홈(121)이 있는 위치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강압적임 끼움 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강압적인 끼움 결합시 내측 캡(11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결합턱(113)이 강압적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결합홈(122)에 안내되고, 이때 상기 수직돌기(112)는 도자기 캡(120)의 수직홈(121)에 안내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돌기(112)는 수직홈(121)에 안내되어 결합시, 도자기용기(200)의 입구부(201)측 나사산부(202)에 도자기 캡(120)의 나사결합부(121)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도자기 캡(120)으로부터 내측 캡(11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내측 캡(110)의 결합턱(113)은 도자기 캡(120)으로부터 개구된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내측(110) 캡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도자기 캡(120)에 조합할 수 있는 이점 있기 때문에, 도자기용기로부터 나사결합 및 도자기용 뚜껑(100)을 개방함에 있어, 내측 캡(110)이 도자기 캡(120)으로부터 이탈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통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캡(110)의 밀폐된 상면 가장자리에 마련된 지지편(1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자기 캡(120)에 내측 캡(110)의 강압적인 결합시 도자기 캡(110)의 내측 저면에 그 단부가 밀착되어 상대적으로 내측 캡(11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도자기 캡(120)에 형성된 결합홈(122)에 안내되는 내측 캡(110)의 결합턱(113)이 안내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캡(110)의 이탈은 이루어지지 않으나. 상기 결합홈(122)에 대해 결합턱(113)의 상,하측 부분이 상기 결합홈(122) 내에서 유격을 갖게 되는바, 상기와 같이 지지편(114)이 도자기 캡(120)의 내측 저면에 밀착되어 상대적으로 내측 캡(110)을 밀어 주는 힘을 갖게 되어, 상기 결합홈(122) 내에서 결합턱(113)이 유동 없이 지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자기용 뚜껑(100)을 구성하는 도자기 캡(120)에 내측 캡(110)을 유동 없이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도자기용 뚜껑 110 : 내측 캡
111: 나사결합부 112: 수직돌기
113: 결합턱 114: 지지편
120: 도자기 캡 121: 수직홈
122: 결합홈 200: 도자기용기
201: 입구부 202: 나사산부

Claims (2)

  1. 합성수지소재로 하부가 개방된 원형으로 제작되며, 내측 둘레에 나사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외측둘레에 수직돌기(112)가 형성된 내측 캡(110)을 도자기 캡(120)의 내측 둘레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직홈(121)에 상기 수직돌기(112)가 결합되어 도자기용기(200)의 상부 입구부(201)에 마련된 나사산부(202)에 체결되는 도자기용 뚜껑(100)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캡(120)의 내측 둘레를 따라서는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캡(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결합홈(122)에 강압적으로 안내되는 결합턱(11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자기 캡(12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수직홈(121)과 상기 결합홈(122)이 함께 형성되고, 상기 내측 캡(11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수직돌기(112)와 상기 결합턱(113)이 함께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121)과 상기 수직돌기(112)의 결합 및 상기 결합홈(122)과 상기 결합턱(113)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도자기 캡(120)과 상기 내측 캡(110)이 서로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 방향으로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서로 결합하며,
    상기 내측 캡(1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지지편(114)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14)은 상기 도자기 캡(120)의 내측 저면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눌리고,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캡(110)의 결합턱(113)이 상기 도자기 캡(120)의 결합홈(122)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눌림으로써, 상기 내측 캡(110)의 결합턱(113)과 상기 도자기 캡(120)의 결합홈(122)이 상하 방향으로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서로 결합하며,
    상기 내측 캡(110)의 개구된 하단부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수직돌기(112)가 돌출된 높이를 갖는 안내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도자기 캡(120)의 개구된 하단부에는 상기 안내턱(115)을 수용하는 단턱(12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자기 캡(120)에 상기 내측 캡(110)의 완전한 결합시 상기 안내턱(115)의 저부는 상기 도자기 캡(120)의 저부와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용 뚜껑.
  2. 삭제
KR2020140002812U 2014-04-07 2014-04-07 도자기용 뚜껑 KR200478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12U KR200478868Y1 (ko) 2014-04-07 2014-04-07 도자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12U KR200478868Y1 (ko) 2014-04-07 2014-04-07 도자기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72U KR20150003772U (ko) 2015-10-15
KR200478868Y1 true KR200478868Y1 (ko) 2015-12-04

Family

ID=5434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812U KR200478868Y1 (ko) 2014-04-07 2014-04-07 도자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072B1 (ko) * 2017-09-29 2018-10-08 이완희 식품 저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25Y1 (ko) * 2017-09-18 2020-04-06 신형묵 밀폐옹기
KR20230129863A (ko) 2022-03-02 2023-09-11 (주)네오플램 밀폐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072B1 (ko) * 2017-09-29 2018-10-08 이완희 식품 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72U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659Y1 (ko) 링 플립-탑 튜브용기
KR101643119B1 (ko) 나선 구조를 갖는 스틱 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78868Y1 (ko) 도자기용 뚜껑
KR200476705Y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50069118A (ko)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의 용기몸체를 가지는 음식물 보관용기
JP7126523B2 (ja) 化粧品用ポット
KR101505789B1 (ko) 화장품용기
KR200476610Y1 (ko) 숄더부재의 오버런 및 분리 방지 구조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20190002117U (ko) 간이형 에어쿠션 파우더 케이스
USD984893S1 (en) Container adapter lid
KR200492501Y1 (ko) 에어쿠션 파우더 케이스
KR200479284Y1 (ko) 숄더부재의 오버런 및 분리 방지 구조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CN106073519A (zh) 锅盖的装配结构及包括该装配结构的锅
KR101506903B1 (ko) 합성수지재 수도꼭지
KR20140002817U (ko) 용기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CN208248867U (zh) 一种单手操作的密封盒
CN204235796U (zh) 一种新型注射嘴
EP1820746B1 (en) Improved lid for containers
CN208590812U (zh) 一种杯盖及杯子
CN206473125U (zh) 水杯杯盖
US20200406280A1 (en) Container for fluid product
KR20130055465A (ko) 병과 뚜껑의 결합구조
CN206166612U (zh) 锅盖的装配结构及包括该装配结构的锅
KR100671347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