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744Y1 -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 - Google Patents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744Y1
KR200478744Y1 KR2020130006039U KR20130006039U KR200478744Y1 KR 200478744 Y1 KR200478744 Y1 KR 200478744Y1 KR 2020130006039 U KR2020130006039 U KR 2020130006039U KR 20130006039 U KR20130006039 U KR 20130006039U KR 200478744 Y1 KR200478744 Y1 KR 200478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main body
clamp
engag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699U (ko
Inventor
김학응
Original Assignee
김학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응 filed Critical 김학응
Priority to KR2020130006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74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7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전기공사, 냉난방 설비공사, 공조, 덕트 설비공사, 경량철골 천정작업 시, 건물의 천장에 전산볼트(Threaded Rods)를 설치하고, 전산볼트 중단에 체결되어 급/배기 덕트, 전선관, 냉방 공조관, 설비 부속재(드레인 호수, 전선, 보온재 등) 또는 소방 급수관 등의 각종 파이프 및 부자재를 지지하기 위한 측면행거 및 전산볼트 종단이나 천장에 직접 체결되는 수직행거에 있어서, 복수개의 행거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와 행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측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상기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본체; 및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타단과 체결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및 상기 클램프의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다른 본체 또는 다른 클램프를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성되는 행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전산볼트에 복수개의 행거를 이용할 수 있어서 공사비용의 감소 및 공사기간의 단축이 실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Hanger for the Pipe}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 설비 중 파이프 또는 부자재의 지지를 위한 행거와 행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전기공사, 냉방 설비공사, 공조, 덕트 설비공사, 천정작업 시, 건물의 천장에 전산볼트(Threaded Rods)를 설치하고, 전산볼트 중단에 체결되어 급/배기 덕트, 전선관, 냉방 공조관, 설비 부속재(드레인 호수, 전선, 보온재 등) 또는 소방 급수관 등의 각종 파이프 및 부자재를 지지하기 위한 측면행거 및 전산볼트 종단이나 천장에 직접 체결되는 수직행거에 있어서, 복수개의 행거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와 행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대형 오피스 빌딩이나 주상복합 건물은 전기배선을 위한 전선관과 소방 급수, 급/배기 및 중앙공급식 냉방설비에 연결된 냉매관 등의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콘크리트 슬라브로 구성되는 각 층의 천장에 배치하게 된다.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천장에 배치하는 이유는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측면행거는 콘크리트 슬라브로 된 건물의 천장에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천장의 저면에 적당한 길이의 전산볼트를 수직으로 현수되게 설치한 후 그 전산볼트의 측면부에 다수개의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측면행거를 결합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의 활용이 배가 된다. 하지만 이 또한 천장이 낮은 주거용 건물의 경우에는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종래의 수직행거의 경우, 전산볼트의 하단에 나사결합을 하는 방식으로서, 체결과정이 복잡하고, 탈부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산볼트 하나에 복수개의 수직행거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공간활용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같은 높이에 여러개의 행거를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441501에 고정부재의 누름부재가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관봉구에 삽입된 2등분된 너트부재를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너트부재의 내부에 전산볼트 등을 직선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체결 과정의 복잡함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단가를 높이고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측면행거는 천장에 삽입된 전산볼트의 측면에 상하로 다수개의 행거를 결합하여 각종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수직행거의 경우도 천장에 삽입된 전산볼트에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측면행거와 수직행거는 체결과정이 복잡하고 부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산볼트 하나당 하나의 수직행거 만이 설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천장이 콘크리트 슬라브인 경우, 전산볼트의 설치는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또한 전산볼트의 고정을 위한 세트앙카(set anchor)의 설치도 만만치 않다.
따라서 설치되는 전산볼트의 개수를 조금만 줄여도 시공기간 및 공사비용을 감축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천장에 하나의 전산볼트를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행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산볼트의 삽입에 들어가는 공사비용과 시공시간을 감축하고,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행거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20-44150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천장에 하나의 전산볼트를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행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행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낮은 천장고에도 하나의 전산볼트를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행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행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연직방향으로 현수되는 전산볼트의 중단 또는 종단에 체결되어, 피고정물의 지지를 위한 행거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상기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본체; 및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타단과 체결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및 상기 클램프의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다른 행거를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성되는 행거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고, 시공원가를 낮추는데에 그 목적이 크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다른 본체 또는 상기 다른 클램프는 암수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수결합된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다른 본체 또는 다른 클램프를 고정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구성되는 스프링 강선재질의 로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복수개의 걸림쇠로 구성되는 수결합부; 또는 상기 수결합부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암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의 제2목적은, 천장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행거; 및 일측은 상기 행거에 체결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본체;와 일단은 상기 제2본체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의 타단과 체결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본체와 함께 상기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행거;를 포함하는 행거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고, 원가 절약은 물론 좌우 공간 활용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그 목적이 크다.
상기 행거의 본체 및 클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상기 보조행거가 체결되고, 상기 보조행거의 제2본체 또는 제2클램프에 다른 행거 및 다른 보조행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속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사용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전산볼트에 복수개의 행거를 이용할 수 있어서 공사비용의 감소 및 공사기간의 단축이 실현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동일한 높이에 복수개의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고정할 수 있어서 파이프 또는 부자재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삭제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와 보조행거로 구성되는 행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확대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로커의 확대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행거 >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1)는 본체(10), 클램프(20), 결합부(30), 체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통상의 행거에 이용되는 본체로 구성될 수 있고, 측면행거와 수직행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본체(10)는 전산볼트(3)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의 행거와 마찬가지로, 클램프(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와 클램프(20)가 체결 및 고정되는 체결부를 각 단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반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보조행거(2)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프(20)는 통상의 행거에 이용되는 클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20)의 일단은 회동가능하도록 본체(10)의 일단에 구성되는 연결부에 연결된다. 클램프(20)의 타단은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수용한 후, 체결 및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10)의 타단에 구성되는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반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보조행거(2)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행거(1)에 보조행거(2)를 연결하거나, 보조행거(2)에 다른 행거(1)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클램프(2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행거(1)와 보조행거(2)가 서로 수평선상으로 위치되도록 결합부(30)의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결합부(30)와 다른 결합부(30)와의 결합은 볼트-너트 등의 체결기구를 이용한 체결도 가능하지만, 걸림쇠와 구멍으로 구성되는 암수결합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결의 간편성 때문이다. 또한, 걸림쇠와 구멍으로 구성하는 경우, 외력이나 진동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쇠 및 구멍을 각각 3개씩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수결합을 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구성되는 암결합부(310)와 암결합부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구성되는 수결합부(320)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체결부의 제1실시예로는 제1체결부(16)에 직사각의 삽입홀과 삽입홀 상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클램프(20)의 종단에 판스프링을 별도로 결합하고, 판스프링의 중단에 제2체결부(26)를 구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의 텐션 때문에 제1체결부(16)와 제2체결부(26)의 체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스프링을 결합하여 클램프(20)를 구성하는 경우, 비용 면에서 저렴한 효과가 있다.
체결부의 제2실시예로는 강판으로 구성되는 클램프(20)의 타단인 제2체결부(26)에 형성되는 고정홀(52), 본체(10)의 타단에 클램프(20)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제1체결부(16)에 형성되는 삽입홀 및 삽입홀의 측부에 고정되고 제2체결부(26)의 고정홀(52)에 일부 삽입되어 클램프(20)의 체결을 고정시키는 고정핀(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경제적인 가격으로 행거의 체결부를 단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20)의 종단에 판스프링을 결합하는 구성에 비해, 행거의 구경이 작은 경우에 유리하다. 구경이 작으면 판스프링을 결합할 공간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 행거 어셈블리>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행거와 보조행거로 구성되는 행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1), 보조행거(2)로 구성될 수 있다. 전산볼트(3)는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되는 천정(100)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행거(2)는 복수개가 결합 가능하므로, 3~4개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행거(1)는 상기와 동일하게 본체(10)와 클램프(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산볼트(3)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행거(1)의 본체(10)나 클램프(20)의 일측에 결합부(30), 즉 암결합부(310) 또는 수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좌우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행거(2)가 결합될 수 있다.
보조행거(2)는 전산볼트(3)에 지지되지 않고, 행거(1)에 의해 지지되는 행거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산볼트(3)에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 배제될 수 있다. 다만, 보조행거(2)도 동일하게 본체와 클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와 클램프에 암결합부(310) 또는 수결합부(320)를 구성할 수 있다.
행거(1)를 전산볼트(3)에 체결하고, 본체(10) 또는 클램프(20)에 구성된 결합부(30)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행거(2)를 체결하여 하나의 전산볼트(3)에 복수개의 행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행거(1), 보조행거(2) 및 다른 행거(1)의 결합도 가능하다. 건물의 천정 설비에 있어서, 전산볼트(3)의 개수가 감소하는 것은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상 상당한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행거 어셈블리는 전산볼트(3)의 측면에 체결되는 측면행거와 전산볼트(3)의 종단에 체결되는 수직행거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측면행거나 수직행거에 결합부(30)를 구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행거(2)를 체결하면 행거 어셈블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전산볼트(3)에 전산볼트(3)의 개수보다 더 많은 수의 보조행거(2) 또는 다른 행거를 체결하여 행거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여러 개의 파이프 또는 부자재를 천장에 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행거를 구비하거나, 편법으로 하나의 행거에 케이블 타이를 엮어 부속재들을 묶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종래의 이러한 방식은 천장을 오픈하여 인테리어하는 최근의 방식에 있어 심미감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같이 결합부를 구성한다면 오픈 인테리어에 있어서 심미감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 확보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결합부의 제2실시예 >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는 서로 암수결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좌우 및 상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쇠 및 구멍을 각각 3개씩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앞서 기재한 바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로커의 확대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는 각각 3개씩의 걸림쇠 및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는 로커(40)를 구비할 수 있다. 로커(40)는 결합부가 암수결합의 형태로 구성될 때, 수결합부(320)가 연직 상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행거의 결합을 고정하려는 경우, 암결합부(310)와 수결합부(320)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구멍에 로커(40)가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를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수결합부(320)가 연직 상방향으로 구동 시, 로커(40)에 의해 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로커에 따른 고정의 해제는 강선으로 구성된 로커(40)의 일측을 누르거나 회전시켜서, 관통하던 암결합부 및 수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탈되도록 구성하여 달성될 수 있다. 로커(40)는 중심에 위치되는 행거에 구비되거나, 보조행거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전산볼트(3), 본체(10), 클램프(20), 결합부(30)의 크기, 위치 및 배열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파이프 또는 부자재의 종류 및 시공현장에 따라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행거
2: 보조행거
3: 전산볼트
10: 본체
16: 제1체결부
20: 클램프
26: 제2체결부
30: 결합부
40: 로커
50: 고정핀
52: 고정홀
100: 천정
310: 암결합부
320: 수결합부

Claims (6)

  1. 연직방향으로 현수되는 전산볼트의 중단 또는 종단에 체결되어, 피고정물의 지지를 위한 행거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상기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및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타단과 체결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피고정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및 상기 클램프의 일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다른 행거의 결합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하나의 'ㄱ'자 형상의 걸림쇠로 구성되는 수결합부; 또는, 상기 수결합부의 형태의 삽입고정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암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결합부에는 상기 다른 행거의 암결합부가 장착과 탈착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암결합부에는 상기 다른 행거의 수결합부가 장착과 탈착이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암수결합된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다른 행거의 결합부가 연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다른 행거의 결합부를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커가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다른 행거의 결합부를 동시에 관통하면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다른 행거의 결합부가 특정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로커가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다른 행거의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탈되면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다른 행거의 결합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고정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30006039U 2013-07-19 2013-07-19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 KR200478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039U KR200478744Y1 (ko) 2013-07-19 2013-07-19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039U KR200478744Y1 (ko) 2013-07-19 2013-07-19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99U KR20150000699U (ko) 2015-02-17
KR200478744Y1 true KR200478744Y1 (ko) 2015-11-11

Family

ID=5304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039U KR200478744Y1 (ko) 2013-07-19 2013-07-19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74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220A (ja) 2007-08-29 2010-12-09 エリ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ケーブルサポート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220A (ja) 2007-08-29 2010-12-09 エリ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ケーブルサポート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99U (ko)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057B2 (en) Electrical junction assemblies for coupling electrical fixtures to suspended ceiling grids
KR20090116861A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100903018B1 (ko) 철제 모듈 천정 구조
KR101025533B1 (ko) 씨씨티브이용 카메라의 장착장치
KR200478744Y1 (ko)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행거
KR20080005068U (ko)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100717424B1 (ko) 건축천장 전기설비 배관 높이조절장치
KR20090010031U (ko) 천정틀 구조
KR200479675Y1 (ko)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측면행거
US200500937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n antenna
KR100633806B1 (ko) 전기설비용 양방향 파이프 행거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KR101125262B1 (ko) 에어컨 배관 및 배선의 천장 거치용 행거
KR101707559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200453064Y1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20150000684U (ko) 파이프 또는 부자재용 수직행거
KR200433443Y1 (ko) 통신케이블용 롱클램프
JP2017077127A (ja) 引込線の途中支持工法
JP2006125840A (ja) 浴室換気乾燥装置
KR100758529B1 (ko) 배관설치용 걸이구
KR200402360Y1 (ko) 행거
KR200433445Y1 (ko) 통신케이블용 야기봉 클램프
CN212297944U (zh) 一种基于钢结构厂房环网管道的抗震支架装置
KR20150000861U (ko) 행거용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면행거
JP3183555U (ja) 配管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