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427Y1 - 음료 용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427Y1
KR200478427Y1 KR2020140008507U KR20140008507U KR200478427Y1 KR 200478427 Y1 KR200478427 Y1 KR 200478427Y1 KR 2020140008507 U KR2020140008507 U KR 2020140008507U KR 20140008507 U KR20140008507 U KR 20140008507U KR 200478427 Y1 KR200478427 Y1 KR 200478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slot
annular body
inlet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최가인
구민정
오은엽
권소영
김경수
이태현
임현정
최정용
남대운
배선욱
김민성
김진하
김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최가인, 구민정, 오은엽, 권소영, 김경수, 이태현, 임현정, 최정용, 남대운, 배선욱, 김민성, 김진하, 김미선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2020140008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4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가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슬롯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거치대를 제공하여, 자전거에 거치가 용이하고 자전거 주행 중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음료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거치대{A beverage vessel holder}
본 고안은 음료 용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봉 형태의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음료용기의 캡 역할을 수행하는 음료 용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의 입구를 열고 닫는 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음료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손으로 쥐어 사용하거나 휴대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전거를 탈 때에는 양 손을 조향 하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음료 용기를 손에 쥐어 사용하거나 휴대하기 어려우며, 탑재 구조물이나 탑재 공간이 부족한 자전거에 음료 용기를 보관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7461호(2003.03.04.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고리가 구비된 휴대용 물통을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물통은 원통형 물통 본체의 외주면 상단부에 고정핀으로 장착된 한 쌍의 연결구와, 연결구에 구비된 걸림홈에 하향 개방된 "ㄷ" 형태의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 수평부 양측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반원형 고리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물통은 반원형 고리를 자전거의 핸들이나 프레임에 걸어 보관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료 거치 구성은 자전거를 운행 중 물통이 흔들릴 수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음료 용기에 적용되기에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특히, 자전거를 주행하는 중에는 개인적으로 준비된 물통을 사용하는 경우와 함께, 페트병에 담긴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일반적인 음료 용기뿐만 아니라 구입한 생수를 자전거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거치 부재가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7461호(2003.03.04.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자전거 주행 중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자전거에 보관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음료 용기뿐만 아니라 구입한 생수를 자전거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용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가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슬롯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와,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결합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어댑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상면에는 상기 어댑터부가 회전 체결되는 소켓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댑터와 상기 소켓의 회전 체결방향과, 상기 캡부와 상기 음료 용기의 주입구의 회전 체결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형 몸체, 상기 캡부 및 상기 연결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변형하여 확장 가능한 입구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고리형 몸체를 통해 자전거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자전거에 거치가 용이하고 자전거 주행 중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음료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수와 같은 시중에 판매되는 표준규격의 입구를 갖는 음료 용기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캡부를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인 개인 음료 용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료 용기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에 캡부가 회동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에서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부를 통해 다양한 입구 크기를 갖는 음료 용기에 장착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음료 용기 거치대의 몸체의 슬롯과 가이드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A'로서 슬롯과 가이드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자전거 프레임에 장착된 음료 용기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슬롯을 따라 회동하는 캡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어댑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음료 용기 거치대의 몸체의 슬롯과 가이드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는 캡부(100)와 고리형 몸체(200)와, 연결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음료 용기 거치대의 설치 대상을 자전거의 프레임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전거의 다른 영역이나 자전거와 다른 교통수단이나 기타 설치 구조물에도 실시 가능할 수 있다.
캡부(100)는 음료 용기의 입구에 체결되어 음료 용기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캡부(100)는 음료 용기의 입구에 회전 체결되거나 푸쉬-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체결되는 경우, 캡부(1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캡부(100)의 내경은 시중에 판매되는 음료 용기의 표준 규격인 2.5cm 또는 2.3 cm 로 설계될 수 있다.
고리형 몸체(200)는 자전거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을 탄성 가압하여 자전거 주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외력에도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료 용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리형 몸체(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에서 소정의 폭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입구(210)를 형성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료 용기 거치대를 자전거 프레임에 장착하면, 입구(210)를 형성하는 고리형 몸체(200)를 에지를 자전거의 프레임이 밀면서 고리형 몸체(200) 안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리형 몸체(200)가 자전거의 프레임에 장착된다.
고리형 몸체(200)의 내경은 통상적인 자전거의 프레임의 직경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고리형 몸체(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파트로 실시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파트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고리형 몸체(200)가 복수 개의 파트로 실시되는 경우, 탄성계수가 상이한 파트가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형 몸체(200)를 이루는 복수 개의 파트 중 입구 영역에 위치한 파트는 다른 파트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영역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리형 몸체(200)의 내주면에는 자전거의 프레임과 고리형 몸체(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부재가 부착되거나 마찰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리형 몸체(200)의 둘레를 따라서 슬롯(22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220)은 캡부(100)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요소이다. 슬롯(220)은 고리형 몸체(200)의 내부에서 가이드블록(310)이 지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3은 도 1의 A-A'로서 슬롯과 가이드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리형 몸체(200)의 내부에 슬롯(220)이 형성되고 슬롯(220)에는 가이드블록(310)이 위치한다. 가이드블록(310)의 폭은 슬롯(220)의 입구 보다 크게 되어 가이드블록(310)이 슬롯(220)에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자전거 프레임에 장착된 음료 용기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료 용기 거치대(10)기 자전거 프레임(1)에 끼워 장착되고, 음료 용기(2)는 음료 용기 거치대(10)에 의해 지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슬롯을 따라 회동하는 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료 용기 거치대(10)기 자전거 프레임(1)에 끼워 장착된 상태에서, 음료 용기(2)를 잡아 회전시키면, 캡부(100)가 고리형 몸체(20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면서 음료 용기(2)가 회전하게 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고리형 몸체(200)에 형성된 슬롯(220)을 따라 가이드블록(310)이 이동하면서 캡부(100)와 캡부(100)에 장착된 음료 용기(2)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에서 음료 용기(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바(300)는 고리형 몸체(200)와 캡부(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바(300)의 일측 단부에는 가이드블록(310)이 마련되며, 타측 단부는 캡부(100)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어댑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바(300)는 어댑터부(320)를 매개로 하여 캡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부(320)는 다양한 크기의 입구를 갖는 음료 용기(2)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내경이 상이한 여러 개의 캡부(100A,100B,100C)들을 교체하여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어댑터부(320)는 연결바(300)의 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부(320)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캡부(100)의 상면 중심부에는 어댑터부(320)가 삽입되는 체결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20)의 내측면에는 어댑터부(320)의 회전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캡부(100)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캡부(100)들은 어댑터부(320)에 회전 체결됨으로써, 음료 용기(2)의 다양한 입구 규격에 대응하여 호환이 가능하다.
한편, 캡부(100)와, 연결바(300)와, 가이드블록(310)과 어댑터부(32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그리고, 고리형 몸체(200)와, 캡부(100)와, 연결바(300)와, 가이드블록(310)과 어댑터부(320)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거치대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음료 용기 거치대
100: 캡부
110: 나사산
200: 고리형 몸체
210: 입구
220: 슬롯
300: 연결바
310: 가이드블록
320: 어댑터부

Claims (4)

  1.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가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슬롯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결합되는 연결바;및
    상기 연결바에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
    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거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어댑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상면에는 상기 어댑터부가 회전 체결되는 소켓이 형성되는 음료 용기 거치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와 상기 소켓의 회전 체결방향과, 상기 캡부와 상기 음료 용기의 주입구의 회전 체결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인 음료 용기 거치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몸체, 상기 캡부 및 상기 연결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형성되는 음료 용기 거치대.
KR2020140008507U 2014-11-19 2014-11-19 음료 용기 거치대 KR200478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07U KR200478427Y1 (ko) 2014-11-19 2014-11-19 음료 용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07U KR200478427Y1 (ko) 2014-11-19 2014-11-19 음료 용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427Y1 true KR200478427Y1 (ko) 2015-11-03

Family

ID=5470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507U KR200478427Y1 (ko) 2014-11-19 2014-11-19 음료 용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4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057B1 (ko) 2017-05-04 2018-06-28 진종원 음료 용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295A (ja) 2002-05-28 2003-12-02 Fumakilla Ltd 農薬散布方法及び農薬散布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295A (ja) 2002-05-28 2003-12-02 Fumakilla Ltd 農薬散布方法及び農薬散布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057B1 (ko) 2017-05-04 2018-06-28 진종원 음료 용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8146A1 (en) Water bottle
KR101989217B1 (ko) 병과 같은 용기를 위한 뚜껑
US9771189B2 (en) Water bottle cap
US9345353B2 (en) Portable shopping cart beverage carrier
US20120024815A1 (en) Container with anti-loss and anti-idle-rotation cap
US20090301990A1 (en) Stainless steel container and plastic cap with finger loop and stainless steel plug
US8333290B2 (en) Variable discharge cap for a bottle-like container body
US20090107582A1 (en) Detachable Funnel For Water Bottles
USD515878S1 (en) Holder for an inverted container
USD567659S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20050205159A1 (en) Mating funnel assembly for linking adjacent bottles
US20090188885A1 (en) Replaceable bottle cap assembly
US20140291360A1 (en) Universal bottle dispensing cap
US20120241454A1 (en) Multi-Stage Opening and Dispensing Closure
US20150041427A1 (en) Combination Bottle Handle, Opener and Hanger
KR200478427Y1 (ko) 음료 용기 거치대
CA2597501A1 (en) A container closure
KR20110001730A (ko) 병뚜껑
US20150375907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CN105346828A (zh) 一种方便打开上盖的容器
JP6510825B2 (ja) キャップ
KR101195007B1 (ko) 이탈방지용 병마개
IES87011B2 (en) Dog leash handle assembly
JP2006321555A (ja) キャップホルダ
JP3193904U (ja) ペットボトル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