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60Y1 - 신발끈 고정구 - Google Patents

신발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60Y1
KR200478260Y1 KR2020150001425U KR20150001425U KR200478260Y1 KR 200478260 Y1 KR200478260 Y1 KR 200478260Y1 KR 2020150001425 U KR2020150001425 U KR 2020150001425U KR 20150001425 U KR20150001425 U KR 20150001425U KR 200478260 Y1 KR200478260 Y1 KR 200478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magnet
shoe
mounting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운식
김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팁어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팁어피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팁어피플
Priority to KR2020150001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2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의 상단에 위치한 개방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신발 체결공에 결합되는 신발끈에 결합되어 신발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고정구를 장착하되, 상기 고정구는 상·하 분리구성되고, 연결부분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자석 장착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과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상·하부 고정부재; 및 상기 자석 장착부에 삽입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의 밀착시 고정시키는 고정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의 개방부 양측에 자석이 구비되는 고정구를 각각 장착하여 신발끈을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조이고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을 신고 벗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끈 고정구{Fixing device for shoelaces}
본 고안은 신발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끈을 조이고 푸는 신발의 개방부에 장착되어 신발끈을 편리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한 신발끈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의 끈이 달린 신발의 경우 갑피 전방 상부의 양측으로 다수개의 신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신발 체결공에는 신발끈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끼워 최상단에서 매듭을 묶어서 갈무리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적인 매듭에 의해 고정되는 신발끈은 아무리 단단히 결속하더라도 장시간의 보행 및 뜀박질 등의 운동을 행할시 저절로 풀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모양을 내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이 사용되는 이러한 재질의 특성에 의해 매듭이 견고하지 못하고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매듭이 풀리는 문제점 외에도 가운데 위치하고 있던 매듭이 좌우 일측으로 삐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신발끈 고정구(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2144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4588호 등)가 다수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끈 고정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화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신발끈의 매듭을 복잡하게 매어야 하는 등의 부수적인 문제점이 많아 실용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214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458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의 개방부 양측에 자석이 구비되는 고정구를 각각 장착하여 신발끈을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구를 왕관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외면과 모서리 부분을 경사 및 곡면지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신발끈 고정구는 신발의 상단에 위치한 개방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신발 체결공에 결합되는 신발끈에 결합되어 신발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고정구를 장착하되, 상기 고정구는, 상·하 분리구성되고, 연결부분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자석 장착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신발끈 관통공과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발끈 관통공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상·하부 고정부재; 및 상기 자석 장착부에 삽입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의 밀착시 고정시키는 고정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에는 두개 또는 세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의 외면은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장착부는 내측이 개방되고, 양측에는 고정 자석의 양측 일부를 감싸도록 자석 보호부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고정 자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장착부의 양측 또는 외측에는 금속판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끈 고정구를 구성하는 일 측 고정구의 자석 장착부 테두리 부분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타 측 고정구의 자석 장착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의 개방부 양측에 자석이 구비되는 고정구를 각각 장착하여 신발끈을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조이고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을 신고 벗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고정구를 구성하는 상·하부 고정부재는 신발의 개방부 양측에 위치한 세 개의 신발끈에만 각각 고정됨으로써 결속력과 활동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신발의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구를 왕관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외면과 모서리 부분을 경사 및 곡면지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나타낸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6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나타낸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및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고안인 신발끈 고정구(10)는 두 개의 고정구(20)가 신발(1) 상단에 위치한 개방부(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신발 체결공(5)에 체결되는 신발끈(7)에 결합되어 신발끈(7)을 간단하게 조이고 풀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신발끈 고정구(10)는 신발(1) 개방부(3)의 양측에 위치한 신발끈(7)에 고정구(20)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고정구(20)의 작동에 따라 신발끈(7)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20)는 신발끈(7)과 결합되는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와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에 장착되고 이웃하는 고정구(20)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 자석(40)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20)를 구성하는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는 신발(1)의 개방부(3) 양측에 위치한 세 개 또는 도시된 도 5의 두 개의 신발끈(7)에만 각각 고정되는데, 이는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가 세 개 이상의 신발끈(7)과 결합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신발(1)의 결속력 및 활동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신발(1)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의 외면은 발등에 보호하면서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곡면이나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모서리 부분은 곡면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의 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신발(1)의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부재(30a)는 신발끈(7)의 안내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시된 도 3(a) 및 3(b)와 같이 다단의 곡면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는 상·하 분리구성되고, 연결부분에는 결합부(31)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자석 장착부(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1)는 결합구조, 끼움구조, 핀 고정구조, 접착제 사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고안에서 상기 결합부(31)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는 상부 고정부재(30a)와 하부 고정부재(30b)로 분리구성형성되고, 대응되는 부분에는 결합 및 고정을 위하여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고정 자석(4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자석 장착부(33)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 자석(40)을 고정하는 자석 장착부(33)는 내측(33a)이 개방되고, 양측에는 고정 자석(40)의 양측 일부를 감싸도록 자석 보호부(33b)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고정 자석(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33c)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자석 장착부(33)는 이웃하는 고정구(20)에 수용되는 고정 자석(40)과 간단하게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33a)을 개방하고, 신발(1)의 이동시 충격 및 진동에 따라 고정 자석(40)의 흔들림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석 보호부(33b)와 지지턱(33c)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는 외측에 간격을 두고 관통공(34)과 함몰부(3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4)에는 보강 리브(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는 관통공(34)과 함몰부(35)를 왕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의 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불필요한 재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36)는 소정구간 돌출형성되어 신발끈(7)의 조임이나 강도 및 충격에도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 리브(36)의 돌출 높이는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가 맞닿는 높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자석(4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의 자석 장착부(33)에 삽입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 자석(40)은 자석 장착부(33)에 삽입장착되어, 상기 고정구(20)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접촉할 경우에 이웃하는 고정구(20)의 고정 자석(40)과 자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의 자석 장착부(33)와 고정 자석(40)은 도시된 도면과 같은 일체형 이외에도 다수개수가 형성 및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의 자석 장착부(33)에는 자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금속판(50)의 고정 자석(40)의 양측이나 외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금속판(50)은 자석 장착부(33)에 장착되는 고정 자석(40)과 자성을 통해 결합되면서 더욱더 강한 자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고안에서 상기 금속판(50)은 자석 장착부(33)의 내측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금속판(50)은 자석 장착부(33)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자석(40)과 결합됨과 동시에 금속재질과 금속판의 면적을 통해 자력을 확장시켜, 한 쌍의 고정구(20)의 결합시 고정 및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외측방향으로 자력이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금속판(50)의 두께는 신발끈 고정구(10)의 무게를 고려하여 0.8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신발끈 고정구(10)는 도시된 도 6과 같이 한 쌍의 고정구(20)가 맞닿는 부분을 블록과 같이 끼움 결합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구(20)의 결합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측 고정구(20)를 구성하는 자석 장착부(33)의 테두리 부분에 가이드 돌기(50)가 돌출형성된다.
즉 일 측 고정구(20)를 구성하는 자석 장착부(33)의 테두리 부분에 타측 고정구(20)를 구성하는 자석 장착부(33)의 내측(33a)에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50)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고정구(20)의 접속시 일 측 고정구(20)의 가이드 돌기(50)가 타측 고정구(20)의 자석 장착부(33)의 내측(33a)에 삽입되면서 고정 자석(4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결합시에 쉽게 정위치를 찾아서 양자를 결합시킬 수 있다.
나아가 두개의 자석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는 큰 결합력을 갖지만, 대면하는 방향에 수직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는 쉽게 분리되는 속성이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 돌기(50)를 통한 물리적인 결합으로 양자석이 대면하는 방항에 대하여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도 견고한 결합력을 갖게 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한 쌍의 고정구(20)는 일 측 고정구(2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50)를 통해 손쉽게 고정구(20)와 고정구(20)를 결합시키면서도, 이동에 따른 고정구(20)와 고정구(20)의 연결부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발끈 고정구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부분에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자석 장착부(33)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34)과 함몰부(35)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4)에는 보강 리브(36)가 가 형성되는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30a, 30b) 자석 장착부(33)에 고정 자석(40)과 금속판(50)을 삽입장착한다.
이때 상기 자석 장착부(33)는 양측에 형성되는 자석 보호부(33b)와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턱(33c)을 통해 고정 자석(4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30a, 30b)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가압 및 결합하여 고정구(20)를 형성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또 다른 고정구(20)를 준비하면 신발끈 고정구(10)의 준비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발끈 고정구의 준비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발끈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신발(1)의 하단에 위치한 신발 체결공(5)에 신발끈(7)을 수평방향으로 결속시킨 후 상기 신발끈(7)을 개방부(3) 방향으로 교차되게 결속시키면서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신발(1)의 상단에 위치한 개방부(3)의 양측에 고정구(20)를 각각 배치시킨 후, 상기 신발끈(7)을 신발 체결공(5)과 관통공(34)에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다음, 상기 고정구(20)의 최상단에 위치한 관통공(34)을 통과한 신발끈(7)을 고정하면 상기 신발끈 고정구(1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신발끈 고정구(10)를 이용하여 신발끈(7)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신발(1)을 착용한 후, 개방부(3)의 양측에 위치한 고정구(20)를 내측을 향해 이동시킨 다음, 상기 고정구(20)와 고정구(20)를 밀착시켜 신발끈(7)을 고정하면 된다.
즉 상기 고정 자석(40)이 구비된 고정구(20)는 이웃하는 고정구(20)의 고정 자석(40)과 자성을 통해 손쉽게 밀착되면서도 신발끈(7)을 고정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신발(1)을 벗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 자석(40)을 통해 결합된 고정구(20)의 일 측이나 양측을 잡은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구(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신발(1)에서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신발끈 고정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신발, 3 : 개방부,
5 : 신발 체결공, 7 : 신발끈,
10 : 신발끈 고정구, 20 : 고정구,
30a :상부 고정부재, 30b :하부 고정부재,
31 : 결합부, 33 : 자석 장착부,
34 : 관통공, 35 : 함몰부,
36 : 보강 리브, 40 : 고정 자석,
50 : 가이드 돌기.

Claims (6)

  1. 신발의 상단에 위치한 개방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신발 체결공에 결합되는 신발끈에 결합되어 신발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고정구를 장착하되,
    상기 고정구는,
    상·하 분리구성되고, 연결부분에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자석 장착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간격을 두고 관통공과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상·하부 고정부재; 및
    상기 자석 장착부에 삽입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의 밀착시 고정시키는 고정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신발끈 고정구를 구성하는 일 측 고정구의 자석 장착부 테두리 부분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타 측 고정구의 자석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는 두개 또는 세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고정부재의 외면은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장착부는 내측이 개방되고, 양측에는 고정 자석의 양측 일부를 감싸도록 자석 보호부가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기 고정 자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5.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장착부의 양측 또는 외측에는 금속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고정구.
  6. 삭제
KR2020150001425U 2015-03-06 2015-03-06 신발끈 고정구 KR200478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25U KR200478260Y1 (ko) 2015-03-06 2015-03-06 신발끈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25U KR200478260Y1 (ko) 2015-03-06 2015-03-06 신발끈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260Y1 true KR200478260Y1 (ko) 2015-09-11

Family

ID=5434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425U KR200478260Y1 (ko) 2015-03-06 2015-03-06 신발끈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832B1 (ko) * 2016-10-24 2018-01-18 이정완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45Y1 (ko) * 2006-03-16 2006-06-07 조종수 신발끈 조임수단이 구비된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45Y1 (ko) * 2006-03-16 2006-06-07 조종수 신발끈 조임수단이 구비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832B1 (ko) * 2016-10-24 2018-01-18 이정완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482B2 (en) Fixing device for laces
US20150305432A1 (en) Magnetic footwear fasteners and magnetic footwear utilizing the same
US8782860B2 (en) Device for securing a shoelace knot
WO2009103223A1 (zh) 鞋带扣及鞋子
US20170065029A1 (en) Shoelace fastener for shoes and shoe comprising said shoelace fastener device
KR200478260Y1 (ko) 신발끈 고정구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US20230023027A1 (en) Cord lock
KR101482499B1 (ko) 설포 고정구가 구비된 신발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KR20220111097A (ko) 고정구 신발끈
KR101161392B1 (ko) 신발끈 체결장치
KR102212826B1 (ko) 신발끈 고정구
US3600761A (en) Closure devices
NL2011024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KR101723884B1 (ko) 신발끈 케이스
JP2016127881A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JP7157422B2 (ja) 靴紐の保持具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KR200323590Y1 (ko) 신발끈 결속장치
KR20130005011U (ko) 신발끈 결합구조
KR20140108091A (ko) 신발끈 조임해제클립이 구비된 신발
KR20190014369A (ko) 신발끈 고정장치
KR101172639B1 (ko) 신발 끈 정리 장치
KR200482330Y1 (ko) 신발끈 조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