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49Y1 -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49Y1
KR200478249Y1 KR2020140000276U KR20140000276U KR200478249Y1 KR 200478249 Y1 KR200478249 Y1 KR 200478249Y1 KR 2020140000276 U KR2020140000276 U KR 2020140000276U KR 20140000276 U KR20140000276 U KR 20140000276U KR 200478249 Y1 KR200478249 Y1 KR 200478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element
cable
fixing member
substrat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856U (ko
Inventor
윤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피트
Priority to KR2020140000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4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판과,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는,
상하로 분리되고, 일 단부에 연결단자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에 내장되고, 연결단자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결합하고,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소자;
상기 변환소자와 결합하고,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부에 고정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기판의 삽입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optical cable connector}
본 고안은 광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과,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을 결합하는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신호 전송 수단으로 각종의 케이블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하나로 광케이블이 있다.
광케이블은 유리 섬유 또는 플라스틱 섬유를 심재로 하는 것으로, 가볍고 얇을 뿐만 아니라 전송 속도가 높고, 에러율이 낮아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송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광케이블 연결단자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일반 장치에 광케이블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록실용 제20-0417176호(공고일 2006. 05. 25)에 개시된 바와 같은 광케이블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광케이블 커넥터에는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 및 광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 연결부재가 마련되어 있는바, 광케이블 커넥터에 마련되는 연결단자를 장치에 마련된 연결단자와 결합하여 장치와 광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하고, 광케이블 커넥터에 마련된 케이블 연결부재에 광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일반 장치에 광케이블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케이블 연결부재는 변환소자와 연결되어 기판상에 고정되므로 장치로부터의 전기신호가 변환소자에 의해 광신호로 변환되어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케이블 커넥터 제작 과정에서는 기판과,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조립 작업이 따르게 된다.
이때,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부정확하거나, 변환소자와 기판의 결합이 부정확한 경우 신호 전송에 차질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광케이블 커넥터 제작 업체에서는 기판과,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조립 작업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변환소자 및 케이블 연결부재는 그 크기가 미미한 것이어서 이들을 바르게 결합하기가 쉽지 않아 조립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기판과,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판과,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조립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는,
상하로 분리되고, 일 단부에 연결단자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에 내장되고, 연결단자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결합하고,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소자;
상기 변환소자와 결합하고,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부에 고정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기판의 삽입홈 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판의 삽입홈은 일정한 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환소자는 후방 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원형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는 전면에 원형 통공이 마련되고, 양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끼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양 측판의 외면 각각에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양 측판의 내면 각각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돌기가 마련되며, 전면에 '∩'형 개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는,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부에 고정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고정되는 것이고, 고정부재가 기판의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인바,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를 끼운 후 고정부재를 기판의 삽입홈에 끼우는 것만으로 기판과,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에서 케이블 연결부재와 변환소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에서 케이블 연결부재와 고정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에서 고정부재에 의한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에서 고정부재와 기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A)는 몸체(10)와, 기판(20)과,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와,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상하로 분리되는 것으로, 일 단부에 연결단자(1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에서 연결단자(11)는 장치(도면상 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가 될 수 있다.
한편, 상하로 분리되는 몸체(10)의 결합은 볼트 체결 등의 통상의 결합방법을 따르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기판(20)은 몸체(10)에 내장되는 것으로, 연결단자(11)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판(20)에는 일정한 폭의 삽입홈(2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20)에 일정한 폭의 삽입홈(21)이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고정부재(50)의 양 측판 외면에 마련되는 결합홈(51)에 삽입홈(21)의 양 측면 각각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기판(20)에 고정부재(5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변환소자(30)는 기판(20)에 결합하는 것으로,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환소자(30)는 전기 신호를 광신호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변환소자(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다만, 변환소자(30)는 후방 단부에 단턱(31a)이 형성된 원형 돌출부(3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소자(30)의 후방 단부에 단턱(31a)이 형성된 원형 돌출부(31)가 마련됨으로써 변환소자(30)의 원형 돌출부(31) 선단을 후술하는 케이블 연결부재(40)의 통공(41)에 삽입함에 따라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후술하는 고정부재(50)의 '∩'형 개방홈(53)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결합한 변환소자(30)의 돌출턱(3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고정부재(50)에 의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결합한 변환소자(30)의 고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변환소자(30)에는 리드선(32)이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변환소자(30)에 리드선(32)이 마련됨으로써 리드선(32)을 기판(20)에 납땜함에 따라 변환소자(30)와 기판(20)이 회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40)는 변환소자(30)와 결합하는 것으로, 내측으로 광케이블(도면상 미도시)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블 연결부재(40)는 전면에 원형 통공(4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연결부재(40)의 전면에 원형 통공(41)이 마련됨으로써 통공(41)으로 변환소자(30)의 원형 돌출부(31)가 삽입됨에 따라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 연결부재(40)는 양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끼움홈(42)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연결부재(40)의 양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끼움홈(42)이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고정부재(50)의 양 측판 내면 각각에 마련되는 돌기(52)가 끼움홈(42)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블 연결부재(40)에 고정부재(50)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블 연결부재(40)의 배면에는 개방구(43)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케이블 연결부재(40)의 배면에 개방구(43)가 마련됨으로써 개방구(43) 내측으로 광케이블 선단을 삽입함으로써 케이블 연결부재(40)에 광케이블의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50)는 양 측판의 외면 각각에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결합홈(5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50)의 양 측판 외면 각각에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결합홈(51)이 마련됨으로써 결합홈(51)에 기판(20)의 삽입홈(21) 양 측면이 삽입됨에 따라 기판(20)에 고정부재(50)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50)는 양 측판 내면 각각에 돌기(5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50)의 양 측판 내면 각각에 돌기(52)가 마련됨으로써 돌기(52)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끼움홈(42)에 삽입됨에 따라 케이블 연결부재(40)에 고정부재(50)가 간단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50)는 전면에 '∩'형 개방홈(5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50) 전면에 '∩'형 개방홈(53)이 마련됨으로써 '∩'형 개방홈(53)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결합한 변환소자(30)의 돌출턱(31)에 걸림으로써 케이블 연결부재(40)와 결합한 변환소자(30)의 고정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A)에서 기판(20)과,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결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케이블 연결부재(40)는 변환소자(30)와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케이블 연결부재(40)의 전면에는 원형 통공(4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변환소자(30)의 후방 단부에는 단턱(31a)이 형성된 원형 돌출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소자(30)의 원형 돌출부(31) 선단을 케이블 연결부재(40)의 원형 통공(41)에 삽입하게 되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변환소자(30)는 원형 돌출부(31)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원형 통공(41)으로 빠질 경우 언제든 케이블 연결부재(4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부에는 고정부재(50)가 결합되므로 고정부재(50)에 의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이 고정된다.
즉, 고정부재(50)의 양 측판 내면 각각에 마련되는 돌기(52)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끼움홈(42)에 삽입될 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 전면에 마련되는 '∩'형 개방홈(53)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결합한 변환소자(30)의 돌출턱(31)에 걸리게 되는바, 고정부재(50)에 의해 케이블 연결부재(40)로부터 변환소자(30)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을 고정하는 고정부재(50)는 기판(20)과 결합된다.
이때, 기판(20)에는 일정한 폭의 삽입홈(2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부에 결합된 고정부재(50)의 양 측판 외면 각각에는 결합홈(5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부에 결합된 고정부재(50)의 양 측판 외면 각각에 마련된 결합홈(51) 내측으로 기판(20)의 삽입홈(21) 양 측면을 각각 끼워 넣게 되면 기판(20)과 고정부재(5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부에 고정부재(50)를 끼움 결합하고, 케이블 연결부재(40)와 변환소자(30)의 결합부에 결합된 고정부재(50)를 기판(20)의 삽입홈(21)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기판(20)과,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결합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이들을 결합하는 조립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기판(20)의 삽입홈(21)에 고정부재(50)가 끼움 결합된 후 변환소자(30)의 리드선(32)과 기판(20) 사이에는 납땜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상하로 분리된 몸체(10)는 기판(20) 내장 이후 결합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A)는,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결합부에 고정부재(50)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부재(50)에 의해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결합이 고정되는 것이고, 고정부재(50)가 기판(20)의 삽입홈(2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인바,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에 고정부재(50)를 끼운 후 고정부재(50)를 기판(20)의 삽입홈(21)에 끼우는 간단한 작업으로 기판(20)과, 변환소자(30)와, 케이블 연결부재(40)의 결합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연결단자
20 : 기판 21 : 삽입홈
30 : 변환소자 31 : 돌출부
31a : 단턱 32 : 리드선
40 : 케이블 연결부재 41 : 통공
42 : 끼움홈 43 : 개방구
50 : 고정부재 51 : 결합홈
52 : 돌기 53 : '∩'형 개방홈
A : 광케이블 커넥터

Claims (5)

  1. 상하로 분리되고, 일 단부에 연결단자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에 내장되고, 연결단자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결합하고,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소자; 상기 변환소자와 결합하고,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부에 고정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변환소자와 케이블 연결부재의 결합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기판의 삽입홈 내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변환소자는 후방 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원형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는 전면에 원형 통공이 마련되고, 양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끼움홈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양 측판의 외면 각각에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결합홈이 마련되고, 양 측판의 내면 각각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돌기가 마련되며, 전면에 '∩'형 개방홈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삽입홈은 일정한 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0276U 2014-01-13 2014-01-13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KR200478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76U KR200478249Y1 (ko) 2014-01-13 2014-01-13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76U KR200478249Y1 (ko) 2014-01-13 2014-01-13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56U KR20150002856U (ko) 2015-07-22
KR200478249Y1 true KR200478249Y1 (ko) 2015-09-10

Family

ID=5387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276U KR200478249Y1 (ko) 2014-01-13 2014-01-13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4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5348A (ja) 2005-02-04 2006-08-17 Hirose Electric Co Ltd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2009133940A (ja) 2007-11-29 2009-06-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ユニット
JP2010211030A (ja) 2009-03-11 2010-09-2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5348A (ja) 2005-02-04 2006-08-17 Hirose Electric Co Ltd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2009133940A (ja) 2007-11-29 2009-06-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ユニット
JP2010211030A (ja) 2009-03-11 2010-09-2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56U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7473B2 (en) Board connector assembly,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thereof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JP2009508178A (ja) 光電気コネクタ
TW201332222A (zh) 滑接式連接器
KR20120137509A (ko) 광 전송기를 포함하는 케이블 및 커넥터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US9496629B2 (en) Structure of socket contact
US20200403338A1 (en) Plug connector
JP2011070885A (ja) シェル付き電気コネクタ
CN106887726A (zh) 夹持装置、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200478249Y1 (ko) 조립의 편의성 개선을 위한 광케이블 커넥터
TWI305434B (en) Data link module
CN113917626B (zh) 一种光电混装连接器及光电适配器
KR20160089962A (ko) 일체형 커넥터 및 결합 키트
JP4530797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TWM499690U (zh) 電連接器
JP4335039B2 (ja) 単体防水クリン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626371B1 (ko)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KR20090004255A (ko) 고정부재를 갖는 hdmi 커넥터
US20170040735A1 (en) Micro plug connector
JP2008257901A (ja) 光源とケーブルとの接続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るピン状端子接続用のケーブル
TWM499672U (zh) 電連接器
JP2015210994A (ja) 同軸コネクタ
KR101625889B1 (ko) 전자기기 보드용 케이블 커넥터
KR101477730B1 (ko) 전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