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33Y1 -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33Y1
KR200478133Y1 KR2020150000715U KR20150000715U KR200478133Y1 KR 200478133 Y1 KR200478133 Y1 KR 200478133Y1 KR 2020150000715 U KR2020150000715 U KR 2020150000715U KR 20150000715 U KR20150000715 U KR 20150000715U KR 200478133 Y1 KR200478133 Y1 KR 200478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flange
sides
pack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무웅
Original Assignee
삼성월드주식회사
최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월드주식회사, 최무웅 filed Critical 삼성월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2015/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 플랜지 연결부위로 수증기, 물, 오일과 같은 액체 상태의 매체가 누출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는, 양 측면에 가공부(102)가 각각 구비된 가스켓(100); 몸체(112)와, 이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100)의 가공부(102)를 덮는 날개(114)(116)를 포함하는 고무 또는 테프론 재질의 패킹부재(110); 상기 패킹부재(1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마감처리되는 마감부재(120)(122)를 포함하되, 상기 가공부(102)는, 상기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서 원형 형태의 홈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가공부(102)는, 상기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서 톱니 형태의 홈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Assembly for flange gaskek}
본 고안은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 플랜지 연결부위로 수증기, 물, 오일과 같은 액체 상태의 매체가 누출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적용되는 종래의 플랜지는 플랜지를 연결함에 있어, 그 연결부위를 단순한 탭 구조로 형성하여, 일반적인 배관 연결과 같이 나사결합되게 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랜지는 단순한 나사체결구조로서, 그 내부로 수증기, 물, 오일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매체가 흐름 될 경우, 기밀(氣密)성의 저하로 인해, 플랜지 연결부위로 매체가 누출되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 되며, 이와 같은 매체의 누출 현상으로 인해 제품 불량률 증가 및 금형 오염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 소모되는 상당한 구조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중공의 가스켓(20) 양측면에 고무 또는 테프론 재질의 패킹부재(22)(24)를 각각 부착하고, 이 패킹부재(22)(24)의 외측면에 마감처리를 위한 마감부재(26)(28)를 각각 부착한다.
이때, 패킹부재(22)(24)는 가스켓(20)과 마감부재(26)(28) 사이에서 단순히 개재되는 형태로서 고정되는 바, 패킹부재(22)(24)가 표면이 매끄러운 가스켓(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패킹부재(22)(24)가 가스켓(20)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빈번하며, 이에 따라 마감부재(26)(28) 역시 가스켓(2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밀성의 저하로 인해, 상기 플랜지 연결부위로 전술한 수증기, 물, 오일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매체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28067호(2008년 03월 31일)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패킹부재가 가스켓의 가공부에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킹부재가 가스켓에 부착된 상태에서 플랜지에 설치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스켓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현저히 감소되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 플랜지 연결부위로 매체가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 측면에 가공부(102)가 각각 구비된 가스켓(100); 몸체(112)와, 이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100)의 가공부(102)를 덮는 날개(114)(116)를 포함하는 고무 또는 테프론 재질의 패킹부재(110); 상기 패킹부재(1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마감처리되는 마감부재(120)(122)를 포함하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공부(102)는, 상기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서 원형 형태의 홈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가공부(102)는, 상기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서 톱니 형태의 홈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킹부재(110)의 양 날개(114)(116)가 가스켓(100)의 가공부(102)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가공부(102)가 원형 형태의 홈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된 상태로서 가스켓(100)의 가공부(102)에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 패킹부재(110)가 가스켓(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플랜지(130)에 설치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패킹부재(110)가 가스켓(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현저히 감소된다.
셋째, 마감부재(120)(122)가 가스켓(1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 플랜지(130) 연결부위로 수증기, 물, 오일과 같은 액체 상태의 매체가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는 크게 가스켓(100), 패킹부재(110), 그리고 마감부재(120)(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스켓(100)은 중공의 링 형태로서 양 측면에 가공부(10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공부(102)는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서 원형 형태의 홈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공부(102)는 원형 형태의 홈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서 톱니 형태의 홈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패킹부재(110)는 고무 또는 테프론(teflon) 재질로서 링 형태를 구비하며 몸체(112)의 양측에서 가스켓(100)의 가공부(102)를 덮기 위한 날개(114)(116)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마감부재(120)(122)는 링 형태로서 패킹부재(110)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마감처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서로 연결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가스켓(100)에 패킹부재(110)를 끼워서 양 날개(114)(116)가 가스켓(100)의 가공부(102)를 덮도록 한다.
이후, 마감부재(120)(122)를 날개(114)(116) 외면에 각각 부착하고, 각각의 플랜지(130)를 나사부(132)를 통해 나사결합하여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감싸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패킹부재(110)의 양 날개(114)(116)는 가스켓(100)의 가공부(102)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가공부(102)가 원형 형태의 홈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된 상태로서 가스켓(100)의 가공부(102)에 밀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부재(110)가 가스켓(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플랜지(130)에 설치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패킹부재(110)가 가스켓(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현저히 감소되며, 이에 따라 마감부재(120)(122) 역시 가스켓(100)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감소되면서 기밀성의 향상과 더불어 플랜지(130) 연결부위로 전술한 수증기, 물, 오일과 같은 액체 상태의 매체가 누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가스켓 102 : 가공부
110 : 패킹부재 112 : 몸체
114,116 : 날개 120,122 : 마감부재
130 : 플랜지 132 : 나사부

Claims (3)

  1. 양 측면에 홈 및 돌기 구조를 구비한 가공부(102)가 각각 구비된 가스켓(100);
    몸체(112)와, 이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100)의 가공부(102)를 덮는 날개(114)(116)를 포함하는 고무 또는 테프론 재질의 패킹부재(110); 및
    상기 패킹부재(11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마감처리되는 마감부재(120)(122)를 포함하되,
    상기 가공부와 접촉 가능한 상기 날개(114)(116)의 제1 접촉면 및 상기 마감부재(120)(122)와 접촉 가능한 상기 날개(114)(116)의 제2 접촉면에는 돌기 및 홈 구조가 미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120)(122)와 상기 가스켓(100)은 상호 간에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102)는,
    상기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되는 원형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102)는,
    상기 가스켓(100)의 양 측면에서 등간격으로 다수개 인접되어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KR2020150000715U 2015-01-30 2015-01-30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KR200478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15U KR200478133Y1 (ko) 2015-01-30 2015-01-30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15U KR200478133Y1 (ko) 2015-01-30 2015-01-30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133Y1 true KR200478133Y1 (ko) 2015-09-08

Family

ID=5434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15U KR200478133Y1 (ko) 2015-01-30 2015-01-30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3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3679A (ja) * 2013-03-11 2014-09-22 Sumitomo Chemical Co Ltd フランジ付部材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3679A (ja) * 2013-03-11 2014-09-22 Sumitomo Chemical Co Ltd フランジ付部材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1941B2 (ja) リップ付き弁座を備える弁
US9109732B2 (en) EZ-seal gasket for joining fluid pathways
US2017000127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ccentric valve
US20170036830A1 (en) Vacuum System And Seal
CA2918203C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KR200477445Y1 (ko) 배관용 마감 패킹
KR200478133Y1 (ko) 플랜지 가스켓 조립체
US20140021391A1 (en) Temperature compensating flanged joint for a teflon diaphragm valve
US2994504A (en) Plug valve
TWI656289B (zh) 密封構造及其製造方法
KR20160081045A (ko) 캐비테이션 및 진동방지를 위한 게이트 밸브
JP6346304B2 (ja) 高純度流体輸送システムに適した可鍛性ガスケット
SG11201807375RA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pipeline
KR20150001579U (ko) 고압배관용 가스켓
KR101588961B1 (ko) 리프트형 체크밸브
AU2013222145B2 (en) Oblique mating surfaces in a valve assembly
TWM521129U (zh) 流量控制器閥體
CN204061928U (zh) 一种单座调节阀密封结构
GB2546375A (en) 2-par clamp ring method
KR102667487B1 (ko)
EP3559533B1 (en) Coupling for a sealing attachment of a medium connector in dishwashers or similar machines with an appropriate insert
KR20170005559A (ko) 파이프 밀폐 유닛
JP5653676B2 (ja) 流体制御弁
RU2572032C2 (ru) Затвор клиновой задвижки
JP6725931B2 (ja) ライニング型バタフライ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