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831Y1 -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 - Google Patents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831Y1
KR200477831Y1 KR2020140007889U KR20140007889U KR200477831Y1 KR 200477831 Y1 KR200477831 Y1 KR 200477831Y1 KR 2020140007889 U KR2020140007889 U KR 2020140007889U KR 20140007889 U KR20140007889 U KR 20140007889U KR 200477831 Y1 KR200477831 Y1 KR 20047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low
frame
adjustment cap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보
Original Assignee
이호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보 filed Critical 이호보
Priority to KR2020140007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8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조립식 옷장 프레임은, 외주면에서 내부로 천공된 스톱나사용 홀(11)이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정캡(10) 및 상기 조정캡(10)에 나사결합하고 제1중공(2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지지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나사운동을 통하여 정밀한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일단 조정이 되어 천정에 밀착된 후에는 밀착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천정에 고정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BUILT-UP WARDROBE FRAME WITH FIXING MEMBER}
본 고안은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돌림에 의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좁은 방안에 무겁고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장농을 들여놓기 힘든 경우, 흔히 조립식 옷장을 설치한다. 이 조립식 옷장은 프레임을 조립하고 상기 프레임에 각종 옷걸이, 선반 등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94507호의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을 이루는 탄성 기둥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봉 고정용 횡바 구조체"(이하, '공개특허'라 한다.)에 개시된 행거 시스템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과 천정(3)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둘 이상의 기둥(10)과, 이러한 기둥(10)간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옷걸이용 횡봉(20)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둥(10)은 각각 서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기둥부재(11)(13)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기둥부재(11)가 다른 하나의 기둥부재(13)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서로 중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중첩부위의 중첩길이를 조정하여 기둥(10)의 높이를 지면(1)과 천정(3) 간의 실제 높이에 대응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중첩부위에 길이고정용 커넥터(15)를 결합하여 기둥(10)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기둥(10)의 상단부에는 천정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 기둥 고정캡(30)이 결합된다.
도 1b는 상기 종래공개특허에 개시된 탄성 기둥 고정캡(30)의 단면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탄성 기둥 고정캡(30)은 원판형의 지지판부(31)와 원통형의 수용부(33)를 구비하는 지지부재(35)와, 지지부재(35)의 수용부(33)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상측의 대직경부(41)와 기둥(10)을 이루는 기둥부재(11)의 상단면와 접촉하는 걸림턱(42)이 형성되도록 직경이 감소한 하측의 소직경부(43) 및 소직경부(43)를 수평으로 폐쇄하되 중앙에 나사통공(46)을 구비하는 차단판부(47)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수용부(33) 내에서 일정구간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탄성가압부재(45)와, 지지부재(35)의 지지판부(31) 저면과 탄성가압부재(45)의 차단판부(47)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55)와, 차단판부(47)에 형성된 나사통공(46)을 통해 삽입된 다음 지지부재(35)의 지지판부(31)에 체결되는 구속나사(65), 및 지지부재(35)의 지지판부(31) 상면측에 결합되어 설치시 천정(3)과 접촉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 패드(75)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둥(10)을 이루는 기둥부재(11)의 상단부가 지지부재(35)의 수용부(33) 내주면과 탄성가압부재(45)의 소직경부(43) 외주면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어 기둥부재(11)의 상단면이 탄성가압부재(45)의 걸림턱(42)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부재(55)에 의해 탄성가압부재(45)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기둥(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도 1b의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 기둥 고정캡(30)은 구속나사(65)를 통한 조립이 필연적이어서 부품 수가 많고 조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구속나사(65)의 결합이 부실한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수용부(33)가 튀어 나가 탄성 기둥 고정캡(30)의 부품 자체가 상호 분리될 우려가 있었다. 나아가 천정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부재(55)를 사용하였으나 탄성계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어 천정과의 밀착력도 감소하기 때문에 자칫 조립식 행거가 천정으로부터 이탈하여 쓰러질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나아가 한번 감소한 탄성계수는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프링부재(55)를 사용하는 고정캡(30)이 무용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일단 조정이 되어 천정에 밀착된 후에는 밀착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천정에 고정가능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밀착력이 떨어지더라도 밀착력을 회복할 수 있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정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나머지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정에 사용되는 프레임이 천정에 고정 중에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정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고정할 때 다른 공구의 도움없이 손의 힘만으로도 용이하게 천정에 고정할 수 있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조립식 옷장 프레임은, 외주면에서 내부로 천공된 스톱나사용 홀(11)이 있고 중공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정캡(10) 및 상기 조정캡(10)에 나사결합하고 제1중공(2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구(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구(20)를 상기 조정캡(10)에 나사결합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와 상기 조정캡(10)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의 몸체는 상기 조정캡과 나사결합하는 경우 상기 스톱나사용 홀을 막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구의 머리는 상기 조정캡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캡의 내부는, 상기 스톱나사용 홀이 형성된 다각형의 제2중공 및 상기 지지구가 나사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제3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중공(21), 제2중공(12) 및 제3중공(15)을 관통하고 상기 다각형의 제2중공(12)과 동일한 모양의 단면을 갖는 내부프레임(30),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일단에 고정되고 피고정체와 접촉하는 지지체(31) 및 상기 스톱나사용 홀(11)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조정캡(10)를 상기 내부프레임(30)에 고정하는 스톱나사(4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이 상기 조정캡(10)에 상기 스톱나사(40)에 의해 고정된 채 상기 지지구(20)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구(20)의 머리(22)와 상기 조정캡(10)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일자형 지지부(31-1) 및 플랜지(31-2)가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제4중공으로 상기 내부프레임의 타단이 삽입되되, 상기 제4중공의 형태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단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의 바깥 면에는 톱니모양의 턱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의 바깥 면에 밀착되고 상기 톱니모양의 턱에 대응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톱니모양의 턱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잠금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는 래칫 휠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52)에는 상기 래칫 휠의 역회전을 막는 폴(paw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나사운동을 통하여 정밀한 높이 조정이 가능하고, 일단 조정이 되어 천정에 밀착된 후에는 밀착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천정에 고정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밀착력이 떨어지더라도 간단한 회전운동만으로 밀착력을 회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길이 조정에 사용되는 내부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얻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길이 조정에 사용되는 내부프레임을 고정할 때 다른 공구의 도움없이 손의 힘만으로도 용이하게 천정에 밀착고정할 수 있고 밀착력이 떨어진 후에도 나사회전을 통해 밀착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이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역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나사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천정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얻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행거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옷장 프레임용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옷장 프레임용 고정부재의 조정캡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정캡와 지지구가 결합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옷장 프레임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옷장 프레임용 고정부재를 적용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나타내는 일실시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고정부재의 나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링 및 고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고정부재의 나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 휠의 형태를 가진 지지구 및 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옷장 프레임에 사용되는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옷장 프레임용 고정부재는, 외주면에서 내부로 천공된 스톱나사용 홀(11)이 있는 조정캡(10) 및 상기 조정캡(10)에 나사결합하고 제1중공(21)이 형성된 지지구(20)로 구성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의 지지체(31)가 일단에 고정결합된 내부프레임(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체(31)는 상기 일자형 지지부(31-1) 및 플랜지(3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심미감을 위해 상기 플랜지(31-2)는 중앙이 움푹 들어간 너울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는 상기 조정캡(10)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돌출부(22a)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20)와 조정캡(10)을 결합할 경우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20)의 몸체(23)는 완전히 체결시 상기 스톱나사용 홀(11)을 막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스톱나사(40)가 상기 스톱나사용 홀(11)을 관통하여 삽입된 내부프레임(30)의 표면까지 닿아 조정캡(10)과 내부프레임(30)을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스톱나사용 홀(11)에는 스톱나사(40)가 끼워져 상기 내부프레임(30)이 상기 조정캡(10)에 단단히 고정된다. 여기서 내부프레임(30)이 삽입될 제2중공(12)이 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프레임(30)을 중심으로 조정캡(10)이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20)에는 내부프레임(30)이 관통할 제1중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옷장 프레임용 고정부재의 조정캡(10)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캡(10)의 내부는 상기 스톱나사용 홀(11)이 형성된 다각형의 제2중공(12) 및 상기 지지구(20)가 나사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제3중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중공(12)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이유는 지지구(20)로 나사운동을 시켜서 길이 L(도 4 참조)을 조정할 경우, 조정캡(10)이 함께 회전하지 않고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내부프레임(3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3중공(15)은 상기 지지구(20)가 나사결합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중공을 말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정캡(10)과 지지구(20)가 결합한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캡(10)에 지지구(20)가 나사결합함에 따라 길이 L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의 밑면은 별도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54)과 맞닿아 설치되고, 상기 제1중공(21), 제2중공(12), 제3중공(15) 및 수직프레임(54)의 제4중공(도 5 참조)을 관통하는 내부프레임(30)은 스톱나사(40)를 이용해 상기 조정캡(10)과 단단히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지지구(20)를 회전시킴으로써 길이 L이 조정되므로 조정캡(10)에 고정된 내부프레임(30)의 높이도 이에 따라 상하로 조정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옷장 프레임의 수직프레임(54) 및 수평프레임(5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54)과 수평프레임(52)은 체결구(51)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54)에는 내부프레임(30)이 삽입되는 제4중공(55)이 내부프레임(30)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옷장 프레임용 고정부재를 적용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을 나타내는 일실시의 예시도이다.
상기 지지체(31)를 피고정체인 천정에 닿을 만큼 설치한 후, 상기 지지구(20)의 돌출부(22a)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내부프레임(30) 및 조정캡(10)가 함께 상하 운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만약 상기 지지구(20)의 돌출부(22a)를 손으로 잡고 풀면 길이 L이 증가되고, 상기 내부프레임(30) 및 지지체(31)가 높아져 천정에 더 강하게 밀착된다. 이와 같이 나사운동에 의해 높이를 조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스프링의 탄성을 통한 설치보다 훨씬 안정적이고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스프링의 탄성계수 감소를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31)는 일차형 지지부(31-1) 및 플랜지(3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안정적으로 천정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제4중공으로 상기 내부프레임의 타단이 삽입되되, 상기 제4중공의 형태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단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고안에서 고정부재의 나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링 및 고무링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의 바깥 면에는 톱니모양의 턱(7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의 바깥 면에 밀착되고 상기 톱니모양의 턱에 대응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톱니모양의 턱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잠금링(7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잠금링(70)과 상기 수평프레임(52) 사이에는 고무링(75)을 더 구비하여 턱(71)과 턱이 만날 때의 상기 지지구(20)와 잠금링(70) 간의 이격을 고무의 탄성력으로써 보상해줄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서 고정부재의 나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래칫 휠의 형태를 가진 지지구 및 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는 래칫 휠(81)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52)에는 상기 래칫 휠의 역회전을 막는 폴(8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잠금링(70) 또는 래칫 휠(81)의 형태에 의하여 높이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지지구(20)의 역방향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높이가 다시 낮아지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조정캡
11:스톱나사용 홀
12:제2중공
15:제3중공
20:지지구
21:제1중공
30:내부프레임
31:지지체
52:수평프레임
54:수직프레임
55:제4중공
70:잠금링
75:고무링
80:폴
81:래칫 휠

Claims (8)

  1. 외주면에서 내부로 천공된 스톱나사용 홀(11)이 있고 중공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정캡(10) 및
    상기 조정캡(10)에 나사결합하고 제1중공(2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의 하부면에 머리(22)가 형성된 지지구(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구(20)를 상기 조정캡(10)에 나사결합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구의 머리(22)와 상기 조정캡(10) 간의 거리를 조정하되,
    상기 조정캡(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구의 머리(22)의 바깥 면에는 톱니모양의 턱(7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22)의 바깥 면의 톱니모양의 턱(71)에 대응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톱니모양의 턱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잠금링(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20)의 머리(22)는 상기 조정캡(10)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돌출부(2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정캡(10)의 내부는,
    상기 스톱나사용 홀(11)이 형성된 다각형의 제2중공(12) 및 상기 지지구(20)가 나사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3중공(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21), 제2중공(12) 및 제3중공(15)을 관통하고 상기 다각형의 제2중공(12)과 동일한 모양의 단면을 갖는 내부프레임(30);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일단에 고정되고 피고정체와 접촉하는 지지체(31); 및,
    상기 스톱나사용 홀(11)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조정캡(10)을 상기 내부프레임(30)에 고정하는 스톱나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이 상기 조정캡(10)에 상기 스톱나사(40)에 의해 고정된 채 상기 지지구(20)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구(20)의 머리(22)와 상기 조정캡(10) 간의 거리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1)는 일차형 지지부(31-1) 및 플랜지(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수평프레임(52)과 수직프레임(54);
    상기 수직프레임(54)의 내부에 형성된 제4중공(55)에 상기 내부프레임(30)의 타단이 삽입되되,
    상기 제4중공(55)의 형태는 상기 내부프레임(30)의 단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옷장 프레임.
  7. 삭제
  8. 삭제
KR2020140007889U 2014-10-30 2014-10-30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 KR20047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89U KR200477831Y1 (ko) 2014-10-30 2014-10-30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89U KR200477831Y1 (ko) 2014-10-30 2014-10-30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831Y1 true KR200477831Y1 (ko) 2015-07-27

Family

ID=5387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89U KR200477831Y1 (ko) 2014-10-30 2014-10-30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83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724A (ja) * 2001-09-28 2003-06-17 Iris Ohyama Inc 伸縮棒と、その長さ調節方法
KR20100011293A (ko) * 2008-07-24 2010-02-03 남경표 조립식 구조물
KR20140003178U (ko) * 2012-11-21 2014-05-29 김종철 착탈 분리식의 사각형 파이프를 이용한 상품 진열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9724A (ja) * 2001-09-28 2003-06-17 Iris Ohyama Inc 伸縮棒と、その長さ調節方法
KR20100011293A (ko) * 2008-07-24 2010-02-03 남경표 조립식 구조물
KR20140003178U (ko) * 2012-11-21 2014-05-29 김종철 착탈 분리식의 사각형 파이프를 이용한 상품 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1708B2 (en) Anchor holders and anchor assemblies for metal decks
CA2726490C (en)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US9249577B2 (en) Cable railing
US7780387B2 (en) Fixture set
US9033637B2 (en)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KR20140051983A (ko) 공차-보상 기능을 갖는 체결 요소
US20170074303A1 (en) Fastener for securing together two panels
KR20150036884A (ko) 체결용 볼트와 너트 조립체
US10081935B2 (en) Brace support device
KR101319201B1 (ko)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용 체결구 및 그것이 포함된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조
KR200477831Y1 (ko) 고정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옷장 프레임
SE538548C2 (en) Fastening device and use of such a device
KR102652965B1 (ko) 체결 장치 및 체결 어셈블리
KR200482863Y1 (ko) 셋트 앙카 볼트
KR20150089198A (ko) 너트 체결장치
KR101423076B1 (ko) 마그네틱 너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외장 패널의 풀림 방지장치
EP2944835B1 (en) Attachment assembly
KR101587818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102210262B1 (ko) 볼트 시스템
CA2964821C (en) Brace support device
KR20180009182A (ko) 치과용 구조물의 부착장치
JP3218179U (ja) 介護ポール用手摺り取付治具
JP2001161474A (ja) 家具用脚装置
JP2001241175A (ja) 二重床の高さ調節装置
AU2014100064A4 (en) An improved tow bar preventing rotation of the tow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