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733Y1 -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 Google Patents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733Y1
KR200477733Y1 KR2020150000753U KR20150000753U KR200477733Y1 KR 200477733 Y1 KR200477733 Y1 KR 200477733Y1 KR 2020150000753 U KR2020150000753 U KR 2020150000753U KR 20150000753 U KR20150000753 U KR 20150000753U KR 200477733 Y1 KR200477733 Y1 KR 200477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 area
drilling
internal spac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혜경
함춘승
Original Assignee
윤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혜경 filed Critical 윤혜경
Priority to KR2020150000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73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73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10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driven essentially by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by setting parameters

Abstract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가 개시된다. 드릴링 장치는 가공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작업영역제공 유닛;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위로 위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드릴링 유닛; 상기 드릴링 유닛 및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드릴링 유닛을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내부공간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이 가공될 때 발생되는 칩을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이송하여 제거하는 칩이송컨베이어; 상기 각 유닛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회로를 내장한 제어반;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 조건의 입력 및 조정, 상기 드릴링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한다.A drilling apparatus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is disclosed. The drilling apparatus includes a work area providing uni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 support unit positioned below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nd supporting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 drilling unit located above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nd processing the object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drilling unit and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to move the drilling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A chip transfer conveyor located below the internal space and transferring chips generated when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rocessed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pace to remove the chips; A control board having various circuits for controlling the units; And an operating unit for controlling input and adjustment of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object and driving of the drilling unit.

Description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0001]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0002]

본 고안은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작업 영역에 대한 선택 및 비상 정지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드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ing apparatus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lling apparatus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in which a selection and an emergency stop for a work area are performed using a remote controller.

일반적으로 드릴링머신이라 함은, 회전하는 주축에 드릴 등의 절삭공구를 장착하고, 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운동을 시켜 공작물을 천공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Generally, a drilling machine refers to a mechanical device that attaches a cutting tool such as a drill to a rotating main shaft, rotates the same, and vertically moves the workpiece.

이러한 드릴링머신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여러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그중, 플레이트 형태의 대형 가공물에 홀을 천공하는 드릴링머신은 직립드릴링머신의 형태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Such drilling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and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Drilling machines for drilling holes in large plate-shaped workpieces are most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upright drilling machines.

플레이트 형태의 대형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종래의 드릴링 머신은, 가공 대상물이 고정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가공물고정유닛과, 가공 대상물에 드릴 작업으로 홀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링유닛과, 이동 유닛과, 장치 전체를 받치는 받침부, 조작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드릴링머신은 작업공간에 가공 대상물을 고정한 후 이동 유닛을 통해 드릴링유닛을 가공 대상물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공 대상물의 위에서 드릴을 회전시키면서 가공 대상물을 향해 하강시켜서 가공 대상물에 홀을 천공한다.A conventional drilling machine for machining a large workpiece in the form of a plate includes a workpiece fixing unit for providing a work space in which the workpiece is fixed, a drilling unit for drilling holes in the workpiece by a drilling operation, A pedestal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tire body, and an operation portion. Such a conventional drilling machine fixes an object to be processed in a work space and then moves the drilling unit through the mobile unit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moves down the object while rotating the drill above the object to puncture the object .

이와 같은 종래의 드릴링 머신은 리모콘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본체와 별도로 제작되어 있는 조작부를 이용하여 드릴링 머신을 조작하였기 때문에 조작에 불편함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drilling machine does not include a remote controller, and the drilling machine has been operated using an operation unit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main body,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operation.

이에,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리모콘을 이용하여 드릴링 머신을 조작할 수 있고, 비상시 신속하게 장치 전체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드릴링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troduced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has been able to operate the drilling machine using the remote controller, and can quickly stop the entire apparatus in an emergency, To develop a drilling device that can be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7-001004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10040

본 고안은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로서, 가공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작업영역제공 유닛;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위로 위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드릴링 유닛; 상기 드릴링 유닛 및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드릴링 유닛을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내부공간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이 가공될 때 발생되는 칩을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이송하여 제거하는 칩이송컨베이어; 상기 각 유닛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회로를 내장한 제어반;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 조건의 입력 및 조정, 상기 드릴링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은, 상기 유압클램프들을 조작하기 위한 클램프조작버튼; 및 상기 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2 비상정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ing apparatus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work area providing uni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 support unit positioned below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nd supporting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 drilling unit located above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nd processing the object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drilling unit and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to move the drilling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A chip transfer conveyor located below the internal space and transferring chips generated when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rocessed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pace to remove the chips; A control board having various circuits for controlling the units; And an operating unit for controlling input and adjustment of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object and driving of the drilling uni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including: a clamp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hydraulic clamps; And a second emergency stop switch fo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entire apparatus.

또한, 상기 드릴링 유닛은, 상기 제어반의 앞에 배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핀들;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 및 상기 스핀들을 연결하는 풀리; 상기 스핀들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드릴이 장착되는 드릴척; 상기 스핀들 및 드릴척을 상기 가공 대상물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상기 스핀들 및 드릴척을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수단; 및 상기 드릴척의 아래에 위치하는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보조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dril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se disposed in front of the control panel; A servo motor positioned in the case; A spindle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and rotated; A drive shaft of the servo motor and a pulley connected to the spindle for connecting the servo motor and the spindle; A drill chock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pindle and to which a drill is mounted; A first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pindle and the drill bit toward the object to be processed; Second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pindle and the drill b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And an auxiliary clamp for fix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located under the drill chuck.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아래의 좌, 우측에 배치되는 에이치빔(H-Be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an H-Beam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리모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ortion shown in Fig.
4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ler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는 작업영역제공 유닛(100); 지지부(200); 드릴링 유닛(300); 이송유닛(400); 칩이송컨베이어(500); 제어반(600) 및 조작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A support portion 200; A drilling unit (300); A transfer unit 400; A chip transfer conveyor 500; A control panel 600 and an operation unit 700. [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은 드릴링 유닛(300)이 가공 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는 복수의 작업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은 측벽들(110), 유압클램프(120), 지지프레임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may provide a plurality of work areas through which the drilling unit 300 can process a workpiece.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may include the side walls 110, the hydraulic clamp 120, and the support frames 130.

측벽들(110)은 서로 직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들(110)이 직각을 이루어 배치된 형상은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측벽들(110)에 의해 가공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walls 110 may b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hape in which the sidewalls 110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can be rectangular in plan view.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formed by these side walls 110.

유압클램프(120)는 가공 대상물들을 고정할 수 있다. 유압클램프(120)는 측벽들(110) 중 직사각형의 길이방향을 형성하는 측벽들(110)의 내면을 따라 다수 설치될 수 있고, 내부공간의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클램프(120)는 축방향이 지면에 수직하도록 설치되고, 유압을 이용하여 승하강될 수 있다.The hydraulic clamp 120 can fix the objects to be processed. The hydraulic clamp 120 may be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walls 110 form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sidewalls 110 and may be located within the inner space. The hydraulic clamp 120 is installed so that its axial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using hydraulic pressure.

지지프레임들(130)은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가공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들(130)은 내부공간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s 130 can support an object to be processed located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30 may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inner space.

여기서이러한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은, 다수의 유압클램프(120) 및 지지프레임들(130)은 소정의 개수로 그룹을 이루어 복수의 작업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다. 작업영역은 4개일 수 있다. 각각의 작업영역은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영역은 A영역, B영역, C영역, D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A~D영역에는 가공 대상물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작업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Here, in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he plurality of hydraulic clamps 120 and the support frames 130 may form a predetermined number of groups to provide a plurality of work areas. The work area can be four. Each work area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working area may be divided into areas A, B, C, and D.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fixed in the area A to D. For example, four work areas can be provided.

한편 이러한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은 복수의 작업영역에서 가공 대상물이 가공, 즉 가공 대상물들을 천공할 때 발생되는 칩이 배출되도록 지지프레임들(130)의 아래는 지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can be opened to the ground below the support frames 130 so that chips generated when a workpiece is machined, that is, when a workpiece is punctured in a plurality of work areas.

지지부(200)는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아래에 설치되어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에이치빔(H-Be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이치빔은 복수이고,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좌, 우측에 배치되어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200 may be installed under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o support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 The support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an H-Beam. The H. beams are plural and can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o support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

드릴링 유닛(300)은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위로 위치하고,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가공 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다. 드릴링 유닛(300)은 케이스(310), 서보모터(320), 스핀들(330), 풀리(340), 드릴척(350), 드릴척 조작버튼(360), 제1 이동수단(371), 제2 이동수단(372), 보조 클램프(380) 및 램프(3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lling unit 300 is located above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and can process an object to be processed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 The drilling unit 300 includes a case 310, a servo motor 320, a spindle 330, a pulley 340, a drill chuck 350, a drill chuck button 360, a first moving means 371, Means 372, an auxiliary clamp 380 and a ramp 390.

케이스(310)는 서보모터(320), 스핀들(330), 풀리(340), 제1 이동수단(37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31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se 310 can house the servomotor 320, the spindle 330, the pulley 340, and the first moving means 371 therein. The shape of the case 3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polyhedron.

서보모터(320)는 스핀들(330)을 회전시킨다. 서보모터는 전력이 2Kw일 수 있다.The servo motor 320 rotates the spindle 330. The servo motor can have a power of 2Kw.

스핀들(330)은 서보모터(320)와 연결되어 서보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spindle 33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320 and rotated by driving the servo motor 320.

풀리(340)는 서보모터(320)의 구동축 및 스핀들(330)에 연결되어 서보모터(320) 및 스핀들(3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풀리(340)는 서보모터(320) 및 스핀들(330)의 감속비가 1:2.5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pulley 340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ervo motor 320 and the spindle 330 to connect the servo motor 320 and the spindle 330. The pulley 34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reduction ratio of the servo motor 320 and the spindle 330 is 1: 2.5.

드릴척(350)은 스핀들(33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드릴이 장착될 수 있다. 드릴척(350)은 유압수단에 의해 벌어지고 오므려질 수 있다.The drill chuck 35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pindle 330, and a drill can be mounted. The drill chuck 35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hydraulic means.

드릴척 조작버튼(360)은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드릴척에 연결되어 상기 드릴척의 벌어짐 및 오므려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드릴척 조작버튼(360)은 드릴척(350)에 연결된 유압장치를 조작할 수 있고, 드릴척 조작버튼(360)을 누를 때 마다 드릴척(350)이 벌어지고 다시 오므려지는 동작이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드릴척 조작버튼(360)을 1회 누르면 드릴척(350)이 벌어지고, 다시 드릴척 조작버튼(360)을 누르면 드릴척(350)이 오므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ill bit manipulation button 36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is connected to the drill b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ll bit to be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the drill bit manipulation button 360 may operate the hydraulic device connected to the drill bit 350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ll bit 350 is opened and closed again each time the drill bit manipulation button 360 is pressed . That is, when the drill bit manipulation button 360 is pressed once, the drill bit 350 is opened, and when the drill bit manipulation button 360 is pressed again, the drill bit 350 can be configured to be pinched.

제1 이동수단(371)은 스핀들(330) 및 드릴척(350)을 가공 대상물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동수단(371)은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길이방항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케이스(310)의 배면에 대향되게 배치된 제1 이동레일부(371a), 케이스(310)의 배면에 설치되고 제1 이동레일부(371a) 상에 안착된 제1 가이드(371b) 및 상기 케이스(310)를 제1 이동레일부(371a)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371c)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ving means 371 can move the spindle 330 and the drill chuck 350 toward the object to be processed. For example, the first moving means 371 includes a first moving rail portion 371a install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310, A first guide 371b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310 and seated on the first moving rail part 371a and a first driving motor 371b for moving the case 310 along the first moving rail part 371a 371c.

제2 이동수단(372)은 스핀들(330) 및 드릴척(350)을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이동수단(372)은 케이스(310)의 배면에 대향하는 제어반(600)의 일면, 또는 케이스(310) 및 제어반(600)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이동레일부(372a), 상기 제1 이동레일부(371a)의 배면에 설치된 제2 가이드(372b) 및 상기 제1 이동레일부(371a)를 제2 이동레일부(372a)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means 372 can move the spindle 330 and the drill chuck 35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 The second moving means 372 includes a second movable rail portion 372a provided between the case 310 and the control panel 600 on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600 opposite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310, A second guide 372b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rail part 371a and a second driving motor 372b for moving the first moving rail part 371a along the second moving rail part 372a, . ≪ / RTI >

보조 클램프(380)는 드릴척(350)의 아래에 위치하는 가공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보조 클램프(380)는 스핀들(330)의 일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클램프(380)는 케이스(310) 내에 설치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The auxiliary clamp 380 can fix the object to be processed located under the drill chuck 350. The auxiliary clamp 380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pindle 330. For example, the auxiliary clamp 380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installed in the case 310. [

램프(390)는 케이스의 하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척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램프(390)는 엘이디램프(LED Lamp) 또는 할로겐 램프(Halogen Lamp)일 수 있다.The lamp 39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ase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drill chuck. For example, the lamp 390 may be an LED lamp or a halogen lamp.

이송유닛(400)은 드릴링 유닛(300) 및 작업영역제공 유닛(100)과 연결되어 드릴링 유닛(300)을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한 쌍의 이동부(410) 및 드라이브 모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drilling unit 300 and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o transfer the drilling unit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he transfer unit 400 may include a pair of moving parts 410 and a drive motor 420.

한 쌍의 이동부(410)는 지지부(2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부(200)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pair of moving parts 41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part 200 and may move along the guide rail 21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ing part 200.

드라이브 모터(420)는 한 쌍의 이동부(41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이동부(410)를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The drive motor 420 may be installed on one of the pair of moving parts 410 to move the pair of moving parts 410 along the guide rail 210.

칩이송컨베이어(500)는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의 각 작업영역에서 가공 대상물이 가공될 때 발생되는 칩을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칩이송컨베이어(500)는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칩이송컨베이어(500)는 컨베이어케이스(510), 회전롤러(520), 이송벨트(530), 구동모터(540), 체인(5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ip transfer conveyor 500 can discharge chips generated when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rocessed in each working area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o this end, the chip transfer conveyor 500 may be disposed under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he chip transfer conveyor 500 may include a conveyor case 510, a rotating roller 520, a conveyance belt 530, a driving motor 540, and a chain 550.

컨베이어케이스(510)는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아래에 배치되고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케이스(510)의 제1 단부는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단부는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conveyor case 510 may be disposed below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At this time, the first end of the conveyor case 510 is positioned below the internal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and the second end of the conveyor case 510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0.0 > 100, < / RTI >

회전롤러(520)는 컨베이어케이스(5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롤러(520)는 복수이고, 하나의 회전롤러(520)는 컨베이어케이스(510)의 제1 단부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컨베이어케이스(510)의 제2 단부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rotating roller 5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nveyor case 510. One rotating roller 5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rst end side of the conveyor case 510 and the oth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end side of the conveyor case 510 .

이송벨트(530)는 칩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벨트(530)는 컨베이어케이스(510)의 내부에 수용되며, 각각의 회전롤러(520)에 감긴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conveyance belt 530 can convey the chips. The conveyance belt 530 is accommodated in the conveyor case 510 and may b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wound on the respective rotation rollers 520. [

구동모터(540)는 회전롤러(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540)는 컨베이어케이스(510)의 제2 단부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540 can rotate the rotating roller 520. [ The drive motor 540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end of the conveyor case 510.

체인(550)은 구동모터(540) 및 컨베이어케이스(510)의 제2 단부측 내부에 설치된 회전롤러(520)와 연결될 수 있다. 체인(550)의 연결에 의해 구동모터(540)가 구동되면 회전롤러(520)는 회전될 수 있다.The chain 55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540 and the rotating roller 520 installed inside the second end side of the conveyor case 510. When the driving motor 540 is driven by the connection of the chain 550, the rotating roller 520 can be rotated.

제어반(600)은 내부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일 수 있고, 박스의 내부에는 각 유닛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반(600)은 이송유닛(400)의 각각의 이동부(410)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반(600)은 드릴링 유닛(300)과 함께 이송유닛(4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600 may be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various circuits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unit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x. The control panel 600 can be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each moving part 410 of the transfer unit 400. Thus, the control panel 600 can be moved by the transfer unit 400 together with the drilling unit 300.

조작부(700)는 가공 대상물의 가공 조건의 입력 및 조정, 드릴링 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700)는 제어반(600) 또는 이송유닛(400)의 한 쌍의 이동부(410) 중 어느 하나의 이동부의 일측에 좌, 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부(700)는 이송유닛(400)에 의해 드릴링 유닛(3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드릴링 유닛(300)의 드릴작업의 위치에서 가공 대상물이 가공되는 상태를 확인하면서 가공조건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700 can control the input and adjustment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the driving of the drilling unit 300. The operation unit 70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unit of the control panel 600 or the pair of moving units 410 of the transfer unit 400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Thus, the operation unit 700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drilling unit 300 by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adjustment of the machining conditions can be performed while checking the state of the object to be machined at the position of the drilling operation of the drilling unit 300 May be possible.

또한 조작부(700)는 상기 드릴링 유닛(300)의 구동 중에도 상기 복수의 작업영역에 위치하는 각각의 가공 대상물의 가공조건의 입력 및 조정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즉,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이 제공하는 각각의 A~D영역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A영역에서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중에 다음의 B영역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가공조건의 입력 및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700 may also include software programmed to enable input and adjustment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objects placed in the plurality of work areas during driving of the drilling unit 300. [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to individually control each of the A to D areas provided by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 In this case, for example, during processing of the object in the region A, input and adjustment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fixed in the region B can be perform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작부(700)는 디스플레이부(710), 영역선택버튼들(720), 가공조건설정버튼들(730)을 포함할 수 있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ortion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unit 7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710, region selection buttons 720, and processing condition setting buttons 730.

디스플레이부(710)는 앞서 언급한 프로그램에 의해, 화면의 일부분에 각각의 작업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고, 화면의 다른 일부분에 가공 대상물의 가공조건에 대한 설정값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들의 표시는 영역선택버튼들(720)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설정값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710 can divide and display each work area on a part of the screen by the above-mentioned program, and display setting values of the machining conditions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on another part of the screen. Here, the display of the set values indicates the set value of the area selected by the area select buttons 720. [

영역선택버튼들(720)은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이 제공하는 각각의 A~D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4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rea selection buttons 720 may be composed of four buttons so that each of the A to D areas provided by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can be selected.

가공조건설정버튼들(730)은 드릴링 유닛(300)이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들로서, 예를 들면, 구멍의 크기, 천공위치의 좌표설정, 드릴링 유닛의 위치조정 등을 위한 버튼들일 수 있다.The machining condition setting buttons 730 are buttons for setting conditions for machin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by the drilling unit 300, for example, for setting the size of the hole, the coordinates of the drilling position, Buttons.

4개의 작업영역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또한 조작부(700)는 제1 비상정지스위치(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상정지스위치(740)는 조작부(700)를 구성하는 몸체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조작부(700)의 내부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비상정지스위치(740)는 비상시 장치 전체를 정지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700 may include a first emergency stop switch 740. In addition, The first emergency stop switch 74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constituting the operation unit 7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inside the operation unit 700. The first emergency stop switch 740 can stop the entire apparatus in an emergency.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ler.

도 4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리모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5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mote controller of a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를 참조하면, 리모콘(800)은 본체(810), 클램프조작스위치(820) 및 제2 비상정지스위치(830)를 포함할 수 있다.45, the remote controller 800 may include a main body 810, a clamp operation switch 820, and a second emergency stop switch 830. [

본체(810)는 리모콘(800)의 몸체를 형성하며, 일 예로, 본체(810) 내부에는 조작부(700)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미도시, 리모콘이 무선일 경우) 및 원격제어회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810 forms a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800. The main body 81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in the drawing, a remote controller in the case of wireless) and a remote control circuit City) can be installed.

클램프조작스위치(820)는 유압클램프들(120)을 조작할 수 있다.The clamp operation switch 820 is capable of operating the hydraulic clamps 120.

제2 비상정지스위치(830)는 비상시 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second emergency stop switch 830 can stop driving the entire apparatus in an emergency.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링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r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가공 대상물의 일부를 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가공 대상물을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 예를 들면, 제1 작업영역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유압클램프들(120)은 하강하여 가공 대상물을 지지프레임들(13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한다.At least one object to be processed may be fix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for example, the first work area, in order to perforate a part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t this time, the hydraulic clamps 120 are lowered to stably fix the object to be processed on the support frames 130.

이와 같이 가공 대상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작부(700)를 조작하여 각 작업영역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가공 조건을 입력하고, 이송유닛(400) 및 드릴링 유닛(300)을 구동시킨다.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fixed, the operation unit 700 is operated to input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object to be fixed in each work area, and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drilling unit 300 are driven.

이송유닛(400)의 드라이브 모터(420)가 구동되고, 한 쌍의 이동부(410)는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드릴링 유닛(300)은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의 내부공간, 예를 들면, 제1 작업영역에 고정된 가공 대상물의 위로 위치할 수 있다.The drive motor 420 of the transfer unit 400 is driven and the pair of moving parts 410 are moved along the guide rail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Whereby the drilling unit 30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workpiece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for example, the first work area.

이후, 드릴링 유닛(300)의 서보모터(320)가 구동되고, 서보모터(320)와 풀리(340)로 연결된 스핀들(330)이 회전된다. 이때, 풀리(340)에 의한 감속비 1:2.5의 감속비로 스핀들(330) 및 스핀들(330)의 하단부에 결합된 드릴척(350)이 회전될 수 있다. 드릴척(350)이 회전됨에 따라 드릴척(350)에 결합된 드릴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이동수단(371)은 스핀들(330) 및 드릴척(350), 드릴척(350)에 결합된 드릴을 가공 대상물을 향해 하강시키고, 하강된 드릴은 가공 대상물을 천공한다. 이때, 램프(390)는 드릴척(350)을 향해 빛을 조사하며, 가공 대상물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천공하기 위해 이송유닛(400) 및 제2 이동수단(372)을 통해 드릴링 유닛(300)의 위치가 이동된다.The servo motor 320 of the drilling unit 300 is driven and the spindle 330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320 and the pulley 340 is rotated. At this time, the drill chuck 35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pindle 330 and the spindle 330 can be rotated at a reduction ratio of 1: 2.5 by the pulley 340. As the drill chuck 350 is rotated, the drill coupled to the drill chuck 350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the first moving means 371 moves the drill coupled to the spindle 330, the drill bit 350, and the drill bit 350 down toward the object, and the lowered drill punctures the object. At this time, the lamp 390 irradiates the light toward the drill chuck 350, and is guided through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second transfer means 372 to the drilling unit (not shown) so as to puncture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bject. 300 are moved.

가공 대상물이 가공될 때 가공 대상물에 천공이 형성되면서 칩이 발생된다. 칩은 칩이송컨베이어(500)의 이송벨트(530) 위로 낙하되고, 이송벨트(530)는 칩을 작업영역제공 유닛(100)과 멀어지는 방향, 즉 컨베이어케이스(510)의 제2 단부측으로 칩이 이송되어 배출된다.When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machined, a perforation is formed in the object to be machined and chips are generated. The chip is dropped onto the conveying belt 530 of the chip conveying conveyor 500 and the conveying belt 530 moves the chip toward the second end side of the conveying case 510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working area providing unit 100 And then discharged.

이러한 과정에 의해 드릴은 가공 대상물을 천공하는 드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드릴링 유닛(300)은 작업영역제공 유닛(100)을 통해 제공된 각 작업영역으로 이송하여 드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By this process, the drill can be drilled to perforate the object to be drilled, and the drilling unit 300 can be transferred to each work area provided through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100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한편, 드릴 작업 중에 조작부(700)를 조작하여 각 작업영역에 위치한 가공 대상물의 가공조건을 입력 및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가공 대상물의 가공 중 발생하는 오류 등에 대한 조정이 불가능한 경우와 같은 비상시 제1 비상정지스위치(710)를 눌러서 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input and adjust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placed in each work area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700 during the drilling ope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emergency such as the case where adjustment for an error, The first emergency stop switch 710 may be depressed to stop driving the entire apparatus.

또한, 리모콘(800)을 통해 유압클램프(120)의 동작을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고, 비상 발생시 리모콘(800)의 제2 비상정지스위치(830)를 눌러서 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lamp 120 can be adjusted wirelessly via the remote controller 800 and the second emergency stop switch 830 of the remote controller 800 can be pressed to stop driving the entire apparatus when an emergency occur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모콘(800)에 의해 유압클램프(120)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므로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remote control 800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hydraulic clamp 120, the convenience of the work for fix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can be enhanced.

또한, 조작부(700)에 설치된 제1 비상정지스위치(740) 및 리모콘(800)에 설치된 제2 비상정지스위치(830)를 통해 비상시 신속하게 장치 전체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emergency stop switch 740 provided on the operation unit 700 and the second emergency stop switch 830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800 can stop the entire apparatus quickly in an emergency, safety of the operation can be secured hav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set forth herein.

Claims (3)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로서,
가공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작업영역제공 유닛;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위로 위치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드릴링 유닛;
상기 드릴링 유닛 및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드릴링 유닛을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내부공간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이 가공될 때 발생되는 칩을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이송하여 제거하는 칩이송컨베이어;
상기 각 유닛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회로를 내장한 제어반;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의 가공 조건의 입력 및 조정, 상기 드릴링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은,
유압클램프들을 조작하기 위한 클램프조작버튼; 및
상기 장치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2 비상정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
A drilling apparatus comprising a remote control,
A work area providing uni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A support unit positioned below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nd supporting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 drilling unit located above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and processing the object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A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drilling unit and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to move the drilling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ernal space;
A chip transfer conveyor located below the internal space and transferring chips generated when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processed in the internal space to the outside of the internal space to remove the chips;
A control board having various circuits for controlling the units;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d adjusting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n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lling uni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ler includes:
A clamp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hydraulic clamps; And
And a second emergency stop switch for stopping driving of the entire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링 유닛은,
상기 제어반의 앞에 배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핀들;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 및 상기 스핀들을 연결하는 풀리;
상기 스핀들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드릴이 장착되는 드릴척;
상기 스핀들 및 드릴척을 상기 가공 대상물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상기 스핀들 및 드릴척을 상기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수단; 및
상기 드릴척의 아래에 위치하는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보조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lling unit comprises:
A case disposed in front of the control panel;
A servo motor positioned in the case;
A spindle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and rotated;
A drive shaft of the servo motor and a pulley connected to the spindle for connecting the servo motor and the spindle;
A drill chock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spindle and to which a drill is mounted;
A first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pindle and the drill bit toward the object to be processed;
Second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pindle and the drill b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And
And an auxiliary clamp for fix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located under the drill chu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작업영역제공 유닛의 아래의 좌, 우측에 배치되는 에이치빔(H-Bea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드릴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comprises an H-Beam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area providing unit.
KR2020150000753U 2015-02-02 2015-02-02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KR2004777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53U KR200477733Y1 (en) 2015-02-02 2015-02-02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53U KR200477733Y1 (en) 2015-02-02 2015-02-02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733Y1 true KR200477733Y1 (en) 2015-07-14

Family

ID=5379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53U KR200477733Y1 (en) 2015-02-02 2015-02-02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733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875A (en) * 2001-06-15 2001-07-27 변덕규 Multiple spindle drilling machine
KR20050038738A (en) * 2003-10-22 2005-04-29 한국원자력연구소 Pellet remote drilling device and a drill tip changing tool
KR100739415B1 (en) * 2006-02-01 2007-07-13 김우성 Band saw machine
KR101291210B1 (en) * 2012-10-16 2013-07-31 (주)성림엔지니어링 Cnc deep hole drilling center with automatic tool and bush cha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875A (en) * 2001-06-15 2001-07-27 변덕규 Multiple spindle drilling machine
KR20050038738A (en) * 2003-10-22 2005-04-29 한국원자력연구소 Pellet remote drilling device and a drill tip changing tool
KR100739415B1 (en) * 2006-02-01 2007-07-13 김우성 Band saw machine
KR101291210B1 (en) * 2012-10-16 2013-07-31 (주)성림엔지니어링 Cnc deep hole drilling center with automatic tool and bush cha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08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glass plate
US8299395B2 (en) Laser marking machine
EP2960010B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burr removal device
KR101529275B1 (en) Drilling machine comprising hydraulic clamping
US20190224790A1 (en) Variable machine table
KR20110116998A (en) Laser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retrofitting over the same
EP2116325A1 (en) Machine tool
KR20160139157A (en) The high speed drilling machines
KR20180013496A (en) Cutting Apparatus
KR101829938B1 (en) auto drilling apparatus for window frame handle assembly
KR101529274B1 (en) Drilling machine with integrated control panel
KR101536314B1 (en) Drilling machine with expanded hole manufacturing size
KR101536315B1 (en) Drilling machine
KR200477733Y1 (en) Drilling machine with rimote control
KR101649240B1 (en) Drilling machine
EP1247611B1 (en) A multi-axis work centre, for multiple production, in particular for wood working
JP2005254303A (en) Press hole working device
KR101536316B1 (en) Drilling machine
WO2016104115A1 (en) Machine tool
KR101873173B1 (en) Complex milling machines
JP2006305692A (en) Machine tool
KR20120028736A (en) Processing apparatus for wood
JP3321221B2 (en) Board reversing device in printed circuit board drilling machine
JP2005066791A (en) Fixing device for flexible member
KR101689199B1 (en) Pallet exchange device comprising a cam driv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