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25Y1 - 구이용 석쇠 - Google Patents

구이용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525Y1
KR200477525Y1 KR2020150000516U KR20150000516U KR200477525Y1 KR 200477525 Y1 KR200477525 Y1 KR 200477525Y1 KR 2020150000516 U KR2020150000516 U KR 2020150000516U KR 20150000516 U KR20150000516 U KR 20150000516U KR 200477525 Y1 KR200477525 Y1 KR 200477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ire
resistant elastomer
frame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태
Original Assignee
(주)일동금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동금망 filed Critical (주)일동금망
Priority to KR2020150000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5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개방된 틀 형상의 상부 프레임(111); 및 상기 상부 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안착홈(113)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하부 프레임(112)으로 구성된 프레임부(110); 양 끝단에 걸림단(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2)에 형성된 대향하는 각 쌍의 안착홈(113)에 수용되는 복수의 선재; 및 내부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선재(120)에 수용되는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를 포함하되,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상기 선재(120)가 상기 안착홈(113)에 수용될 때 상기 선재(120) 양 끝단 및 상기 안착홈(1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선재(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인 구이용 석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이용 석쇠{grill}
본 고안은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가는 직경을 가지는 선재를 구비하여 조리물과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는 각종 조리물을 숯불이나 화로, 가스 버너 등의 열원으로부터 직화 상태로 조리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구로써, 사각 또는 원형의 테두리에 선경이 2㎜ 이상의 철사나 구리선 따위의 선재(線材)를 그물 형상으로 엮어서 만든다.
석쇠는 조리물에 대한 열의 차단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열전도 방식을 이용하는 불판과 비교하여 조리물의 맛이나 향이 우수하다.
그러나, 석쇠는 상기 선재의 선경이 상대적으로 굵기 때문에 조리물과 상기 선재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 조리물이 쉽게 눌어붙는 문제가 있으며, 눌어붙은 조리물이 탄화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석쇠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물과 선재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킨 가는 선재를 이용한 석쇠가 개발 되었으며, 이는 등록특허 제10-1262962에 개시된 바와 같다.
기존 기술은 선재를 0.1~2㎜ 범위의 가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물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조리물의 탄화가 방지되도록 하였다.
다만, 상기 석쇠는 가는 선재를 구비하였으므로 열이나 압력에 의해 선재가 쉽게 이완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선재의 처짐 현상을 방지기 위하여 스프링 부재를 적용하여 선재에 장력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스프링 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없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석쇠에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프링 부재는 사각형의 직선형 석쇠에 적용될 때는 문제가 없으나, 예컨대, 원형의 석쇠에 적용하는 경우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없어 곡선의 프레임에 정확히 대응될 수 없으며, 이를 위해서는 스프링 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별도의 홈을 형성하는 등 추가적인 가공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26244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2962호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형태와 무관하게 선재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석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가 개방된 틀 형상의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안착홈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부; 양 끝단에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대향하는 각 쌍의 안착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선재; 및 내부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선재에 수용되는 내열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는 상기 선재가 상기 안착홈에 수용될 때 상기 선재 양 끝단 및 상기 안착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선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인 구이용 석쇠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는 구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재 양 끝단의 걸림단 및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 사이에 개재된 제1 와셔(wash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재가 상기 안착홈에 수용될 때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 및 상기 안착홈 사이에 개재된 제2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재의 직경은 0.1mm 내지 2mm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열원의 차폐를 최소화하여 조리물의 맛과 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석쇠는 선재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열성 탄성중합체를 이용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석쇠에 별도의 가공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구이용 석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구이용 석쇠의 일부 분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하부 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에 와셔 및 구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에 와셔 및 원통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가 원형의 프레임부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구이용 석쇠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가 개방된 틀 형상의 상부 프레임(111); 및 상기 상부 프레임(111)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안착홈(113)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하부 프레임(112)으로 구성된 프레임부(110); 양 끝단에 걸림단(1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12)에 형성된 대향하는 각 쌍의 안착홈(113)에 수용되는 복수의 선재; 및 내부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선재(120)에 수용되는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를 포함하되,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상기 선재(120)가 상기 안착홈(113)에 수용될 때 상기 선재(120) 양 끝단 및 상기 안착홈(1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선재(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인 구이용 석쇠가 제공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석쇠(100)는 개방된 프레임부(110) 내부에 가는 선재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재(120)간 이격 거리는 제품의 가격이나 용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석쇠의 기본적인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 동일한 형태의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이 결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은 통상적으로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용 기계요소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 일측 또는 양측에는 결합용 기계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이나 기타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 상기 석쇠(100)는 원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제품의 용도 또는 수요를 고려하여 프레임의 형태를 달리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프레임부(110)는 정방형, 장방형, 마름모꼴 등 임의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0)는 도면상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용에 따른 편의를 위해 손잡이가 결합되거나, 소정의 위치에 손잡이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10) 내부에 형성된 선재는 장력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열이나 외부 압력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재(120)의 직경은 0.1mm 내지 2mm일 수 있다.
상기 선재(120)는 직경이 0.1mm 내지 2mm 정도의 소직경이고, 내화성(耐火性) 및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강선(steel wire) 또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선(stainless wir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열의 차폐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선재의 직경은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과도하게 선재를 가늘게 하는 경우 외부 압력에 의해 쉽게 이완되거나 절단될 수 있으므로 선재의 개수 및 선재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재(120)에는 내부에 통과공이 형성된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상기 선재(120)가 상기 안착홈(113)에 수용될 때 상기 선재(120) 양 끝단 및 상기 안착홈(11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선재(1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탄성을 보유하므로 상기 선재(120)에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내열성을 보유한 탄성을 가진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열이나 기름 등에 의해서 쉽게 열화(劣化) 되지 않고, 복원력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 2 내지 및 3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구이용 석쇠의 일부 분해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하부 프레임(112)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11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재(120)는 상기 하부 프레임(112)에 형성된 대향하는 각 쌍의 안착홈(113)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재(120)는 내부에 통과공이 형성된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선재 말단에 걸림단(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단(121)은 선재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선재의 말단 형태가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의 통과공의 직경을 고려하여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이탈할 수 없는 형태이면 족하다.
예컨대, 상기 선재(120) 말단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압축되어 납작한 형태로 가공되거나, 또는 'ㄱ'자로 절곡되어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13)은 상기 선재(120)의 직경보다 간격이 넓으므로 상기 선재(120)가 수용될 수 있으나,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통과될 수 없는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재(120)를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압축된 형태로 안착홈(113)에 개재하는 경우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상기 걸림단(121)에 의해 이탈될 수 없으므로,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선재(120)에 인가되는 장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재(120) 양 끝단의 걸림단(121) 및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 사이에 개재된 제1 와셔(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선재(120)는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기 위한 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재(120)는 말단에 걸림단(121)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므로 과도한 압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선재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석쇠(100)는 상기 선재(120) 양 끝단의 걸림단(121) 및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 사이에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의 이탈이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금속 재질로서 변형되지 않고, 면적이 넓으므로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선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재(120)는 상기 선재(120)가 상기 안착홈(113)에 수용될 때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 및 상기 안착홈(113) 사이에 개재된 제2 와셔(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하단 프레임과 직접 맞닿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형태나, 안착홈(113)의 모서리에 의해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파열되거나 변형될 수 있으므로, 제2 와셔(122)를 개재하여 외부 압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구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에 와셔 및 원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에 와셔 및 원통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형 또는 원통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원형의 프레임 등 직선형의 프레임이 아니더라도 프레임의 형태와 무관하게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즉, 원형의 석쇠는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와 맞닿는 하단 프레임이 곡선을 이루므로, 형태가 변할 수 없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 부재,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하단 프레임의 접촉면과 들어맞지 않고 틀어져서 어긋나 있을 수 있다.
반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형 또는 원통형의 내열성 탄성중합체(130)는 프레임의 형태가 곡선을 이루더라도, 접촉면과 어긋나 기울어거나 비틀어지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석쇠(100)는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130)가 적용되어 기존의 금속 재질의 스프링 부재가 적용된 석쇠와 달리 프레임의 형태가 다양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석쇠(100)는 프레임이 곡선을 이루는 경우라도, 스프링 부재가 프레임과의 접촉면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홈을 형성하는 등 추가적인 가공이 불필요하므로,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석쇠
110: 프레임부
111: 상부 프레임
112: 하부 프레임
113: 안착홈
120: 선재
121: 걸림단
122: 제1 와셔
123: 제2 와셔
130: 내열성 탄성중합체

Claims (7)

  1. 내부가 개방된 틀 형상의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되, 내부에 안착홈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부;
    양 끝단에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대향하는 각 쌍의 안착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선재;
    상기 선재에 도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선재에 각각 수용되는 내열성 탄성중합체; 및
    상기 선재 양 끝단의 걸림단 및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 사이에 개재된 제1와셔(washer);를 포함하되,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는 상기 선재가 상기 안착홈에 수용될 때 상기 선재 양 끝단 및 상기 안착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선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인, 구이용 석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인 것인, 구이용 석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는 실리콘 재질인 것인, 구이용 석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는 구형 또는 원통형인 것인, 구이용 석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가 상기 안착홈에 수용될 때 상기 내열성 탄성중합체 및 상기 안착홈 사이에 개재된 제2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이용 석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직경은 0.1mm 내지 2mm인 것인, 구이용 석쇠.
KR2020150000516U 2015-01-22 2015-01-22 구이용 석쇠 KR200477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16U KR200477525Y1 (ko) 2015-01-22 2015-01-22 구이용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16U KR200477525Y1 (ko) 2015-01-22 2015-01-22 구이용 석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525Y1 true KR200477525Y1 (ko) 2015-06-18

Family

ID=5351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516U KR200477525Y1 (ko) 2015-01-22 2015-01-22 구이용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5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087B1 (ko) 2019-10-04 2021-01-11 조보현 구이용 석쇠
KR102220510B1 (ko) * 2020-06-26 2021-02-24 주식회사 플레이스 메이커 와이어로프 안전망 및 와이어로프 안전망의 와이어로프 연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53Y1 (ko) * 2012-09-11 2012-12-04 임재록 소직경 석쇠
KR200474845Y1 (ko) * 2014-03-12 2014-10-16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숯불구이용 석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53Y1 (ko) * 2012-09-11 2012-12-04 임재록 소직경 석쇠
KR200474845Y1 (ko) * 2014-03-12 2014-10-16 주식회사 한국주방기계 숯불구이용 석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087B1 (ko) 2019-10-04 2021-01-11 조보현 구이용 석쇠
KR102220510B1 (ko) * 2020-06-26 2021-02-24 주식회사 플레이스 메이커 와이어로프 안전망 및 와이어로프 안전망의 와이어로프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9483S1 (en) Cooking appliance with grill grate assembly
KR200477525Y1 (ko) 구이용 석쇠
US20120024169A1 (en) Barbecue rack
KR101262962B1 (ko) 직화 구이용 석쇠
USD934614S1 (en) Cooking and heating apparatus
KR101525378B1 (ko) 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석쇠
US8291813B2 (en) Toaster
USD935829S1 (en) Frying and grilling appliance
KR200474845Y1 (ko) 숯불구이용 석쇠
US20170248322A1 (en) Radiant embers cooking system
JP2015097671A (ja) テーブル
KR20140119469A (ko) 가는 선재를 이용한 석쇠
CN107690300B (zh) 线材烤架及线材烤架的组装方法
US2594500A (en) Broiling utensil
KR20140115757A (ko) 실석쇠
JP6001155B1 (ja) 串焼き用器具
US883432A (en) Toaster.
JP7284058B2 (ja) 加熱器具
KR102202087B1 (ko) 구이용 석쇠
JP2016041278A (ja) 焼き網
US20210212517A1 (en) Contact toaster including independent compressible gripping members
CN114403715B (zh) 一种烤架及烤架的组装方法
KR20140069675A (ko) 가는 선재를 이용한 석쇠
JP6284424B2 (ja) 焼き器
JP5844721B2 (ja) 焼き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