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515Y1 - 분기 밸브 - Google Patents

분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515Y1
KR200477515Y1 KR2020140000992U KR20140000992U KR200477515Y1 KR 200477515 Y1 KR200477515 Y1 KR 200477515Y1 KR 2020140000992 U KR2020140000992 U KR 2020140000992U KR 20140000992 U KR20140000992 U KR 20140000992U KR 200477515 Y1 KR200477515 Y1 KR 2004775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valve
fluid
out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세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훌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훌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훌로텍
Priority to KR2020140000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5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5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515Y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고안은 분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 상기 유입부와 제1배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로;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 및 상기 제2유로와 제2배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제1유로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되, 곡면을 갖도록 연장 현성된 분기 밸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되고, 부품이 최소화되어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분기 밸브 {BRANCHING VALVE}
본 고안은 분기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게하게는 T자형 분기관과 밸브의 일체형으로서,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되고, 부품이 최소화되어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지는 분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배관 라인에는 분기관과 밸브가 설치된다. 특히, 반도체 제조 설비, 식품 제조 설비, 및 화학 약품 제조 설비 등의 배관 라인에는 약품 용액이나 가스를 메인 배관에서 서브 배관으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관과, 유량을 제어(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복수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분기관은 주로 T자형으로서, 1개의 유입부와, 2개의 배출부를 갖는다. 또한, 반도체 제조 설비 등에는 T자형 분기관과 밸브를 일체화시킨 일체형 분기 밸브가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14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38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1802호 등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 밸브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분기 밸브는 1개의 유입부(1)와, 2개의 배출부로서 제1배출부(2) 및 제2배출부(3)를 포함한다. 유입부(1)는 유입 배관(1a)과 연결되며, 제1배출부(2) 및 제2배출부(3)는 각각 제1배출 배관(2a) 및 제2배출 배관(3a)과 연결된다. 유입부(1)와 제1배출부(2)의 사이에는 제1유로(4)(수평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유로(4)의 중간 지점에는 제1유로(4)의 흐름 방향과 직각인 제2유로(5)(수직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유로(5)를 통과한 유체는 다시 직각으로 꺾이어 제2배출부(3)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2유로(5)의 상부에는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6)는 밸브 본체(6a)와 핸들(6b)을 포함한다. 밸브 본체(6a)의 내부에는 유량을 제어(개폐)하기 위한 다이어프램(diaphragm)이 설치되어 있다. 핸들(6b)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다이어프램(diaphragm)은 제2유로(5)의 상부를 개폐시킨다.
따라서 위와 같은 분기 밸브는 T자형 분기관과 밸브(6)의 일체형으로서, 배관을 흐르는 유체를 분기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핸들(6b)의 회전 조작을 통해 유체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어, 복수의 배관 라인을 가지는 반도체 제조 설비 등에서 유용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 밸브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유입부(1)와 제1배출부(2)의 사이에는 제1유로(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유로(4)의 중간 지점에는 제1유로(4)의 흐름 방향과 직각인 제2유로(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제2유로(5)가 제1유로(4)의 상부에서 연장하여 수직으로 연통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 즉, 제1유로(4)와 제2유로(5)의 분기점(연결 지점)에서 와류(eddy flow)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 밸브는 부품의 개수가 많다. 아울러, 각 부품의 구조나 형상 등이 컴팩트(compact)하지 않아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14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3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1802호
이에, 본 고안은 개선된 분기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되고, 부품이 최소화되어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지는 분기 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
상기 유입부와 제1배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로;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 및
상기 제2유로와 제2배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제1유로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되, 곡면을 갖도록 연장 현성된 분기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2유로의 상부에 형성된 바디(body);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된 보닛(bonnet);
상기 바디와 보닛의 사이에 설치된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축 결합된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된 유출구; 및
상기 외벽체와 유출구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를 통과한 유체가 인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바디는 외벽체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유로의 외주연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개선된 분기 밸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부품이 최소화되어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 밸브를 보인 사시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기 밸브로서, 상기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 밸브를 보인 사시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 밸브를 보인 분해 사시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 밸브의 일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 밸브의 일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 '설치', '결합' 및 '체결' 등은, 두 개의 부재가 착탈(결합과 분리)이 가능한 것은 물론 일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연결', '설치', '결합' 및 '체결' 등은, 예를 들어 강제 끼움 방식; 홈과 돌기를 이용한 끼움 방식; 및 나사, 볼트, 피스, 리벳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한 체결 방식 등을 통하여, 두 개의 부재를 결합과 분리되도록 도모한 것, 그리고 용접이나 접착제 또는 일체적 성형 등을 통하여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된 후,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적인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일측" 및 "타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직각", "수직", 및 "수평" 등의 용어는 완전한 직각, 수직 및 수평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직각"과 "수직"은 완전한 직각과 수직으로서 두 개의 부재가 90°를 이루거나, 90°± 20°, 또는 90°± 10°범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평"은 완전한 수평(0°)을 이루거나, 수평(0°) ± 20°, 또는 수평(0°) ± 10°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분기 밸브는 분기관과 밸브의 일체형으로서, 배관 라인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분기시키면서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 유량의 제어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개방 및 차단)하는 것은 물론, 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하는 의미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유체는 흐름 유동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유체는 액체 및/또는 가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기 밸브는,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설비의 배관 라인, 식품 제조 설비의 배관 라인, 및 화학 약품 제조 설비의 배관 라인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기 밸브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 금속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분기 밸브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부품)들은 대부분의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 요소(부품)들은 불소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분기 밸브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부품)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기 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100); 상기 유입부(100)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200); 상기 유입부(100)와 제1배출부(200)의 사이에 형성된 제1유로(10); 상기 제1유로(10)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로(20); 상기 제2유로(20)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300); 및 상기 제2유로(20)와 제2배출부(200)의 사이에 형성된 밸브(4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100)는 유입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기 제1배출부(200) 및 제2배출부(300)는 각각 제1배출 배관(도시하지 않음) 및 제2배출 배관(P, 도 5 참조)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 배관과 제1배출 배관은,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 설비 등의 배관 라인에서 약품 용액이 흐르는 메인 배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배출 배관(P)은, 예를 들어 서브 배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100)는,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상기 유입구(110)에 유입 배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체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0)의 외주면(외부 둘레 면)과, 제1체결구(120)의 내주면(내부 둘레 면)에는 각각 나사산(S)이 형성되어, 유입구(110)의 외주연에 제1체결구(12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00)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제1배출부(200)로 배출되어, 제1배출 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배출부(200)는,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유체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210)와, 상기 제1배출구(210)에 제1배출 배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체결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배출구(210)의 외주면과, 제2체결구(220)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S)이 형성되어, 제1배출구(210)의 외주연에 제2체결구(22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00)와 제1배출부(200)의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제1유로(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제1유로(10)는 유입부(100)와 제1배출부(2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유로(10)는, 예를 들어 원통형의 관(파이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유입구(110), 제1유로(10) 및 제1배출구(210)는 일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0)의 대략 중간 지점에는 제2유로(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유로(10)를 흐르는 유체의 일부는 제2유로(20)로 유입, 분기된다. 제2유로(20)로 유입된 유체는 제2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된다. 본 고안에서, 제2유로(20)는 제1유로(10)와 제2배출부(3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유로(10)는 제1유로(10)를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또한 예를 들어 원통형의 관(파이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20)는 제1유로(10)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유로(10)는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유로(20)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직각'과 '수직'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완전한 직각이나 수직으로서의 90°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90°± 20°, 또는 90°± 10°범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유로(20)는 제1유로(10)와 90°± 20°, 또는 90°± 10°범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수평'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완전한 수평(0°)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유로(10)는 지면과 0°± 20°, 또는 0°± 10°범위의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은 지면을 기준으로 한 것만은 아니다.
상기 제2유로(20)는 제1유로(10)의 측면(12)에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유로(20)의 일측[제1유로(10)와 결합되는 부분]은 제1유로(10)의 측면(12)과 연통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2유로(20)의 타측은 밸브(400)의 바디(4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유로(20)는 위와 같이 제1유로(10)의 측면(12)에서 연장 형성되되, 곡면(R)을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제2유로(20)의 일측[제1유로(10)와 결합되는 부분]은 곡면(R)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유로(20)는 제1유로(1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곡면(R)을 갖는다. 이때, 제2유로(20)는 유체와 접촉되는 적어도 내측 벽면에 곡면(R)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제2유로(20)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 모두가 곡면(R)을 가지는 모습을 예시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2유로(20)가 제1유로(10)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되, 곡면(R)을 갖도록 연장 현성되어,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제1유로(10)에서 제2유로(20)로 유입되는 분기점, 즉 제1유로(10)와 제2유로(20)의 연결 지점이 제1유로(10)의 측면(12)에 형성되고, 이와 함께 제2유로(20)의 유입 단부, 즉 제2유로(20)의 일측(제1유로와 결합되는 부분)은 곡면(R)을 가짐으로 인하여, 제1유로(10)를 흐르는 유체가 제2유로(20)로 유입됨에 있어 와류(eddy flow) 발생 등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흐름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2유로(20)의 외주연에는 보강 리브(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2)는 제2유로(20)의 길이 방향(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22)는, 예를 들어 제2유로(20)의 성형 시, 제2유로(20)와 일체로 성형되어 제2유로(20)의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22)는 제2유로(20)의 강도를 보강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리브(22)의 상단은 밸브(400)의 바디(410)에 결합되고, 및/또는 보강 리브(22)의 하단은 제1유로(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 리브(22)는 제2유로(20)의 외주연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복수개의 보강 리브(22) 중에서 1개 이상은, 그의 상단이 밸브(400)의 바디(4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1개 이상은, 그의 상단 및 하단이 밸브(400)의 바디(410) 및 제1유로(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1개 이상은, 그의 하단이 제1유로(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4개의 보강 리브(22)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 리브(22)가 제2유로(20)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되, 그의 상단 및/또는 하단이 밸브(400) 및/또는 제1유로(10)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유로(10), 제2유로(20) 및 밸브(400)는 상호간 견고한 결합력을 갖는다.
상기 제2유로(20)를 통과한 유체는 제2배출부(300)로 배출되어, 제2배출 배관(P, 도 5 참조)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2배출부(300)는,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유체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310)와, 상기 제2배출구(310)에 제2배출 배관(P)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3체결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배출구(310)의 외주면과, 제3체결구(320)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S)이 형성되어, 제2배출구(310)의 외주연에 제3체결구(32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부(300)로 통과되는 유체는 선택적으로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유체는 밸브(400)의 조작에 의해, 제2배출부(300)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흐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밸브(400)는 제2유로(20)와 제2배출부(300)의 사이에 형성되어 유량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400)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밸브(400)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개방 및 차단)하거나,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400)는 수동 밸브(manual valve) 및 자동 밸브(automatic valve)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나 센서를 통해 먼 거리에서 자동으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400)는, 예를 들어 수동 밸브(manual valve)로부터 선택되되,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400)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바디(410, body); 상기 바디(410)의 상부에 결합된 보닛(420, bonnet); 상기 바디(410)와 보닛(420)의 사이에 설치된 다이어프램(430, diaphragm); 및 상기 보닛(420)의 상부에 설치된 핸들(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410)는 제2유로(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410)의 하부에는 제2유로(20)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410)의 측면에는 제2배출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바디(410)는 제2유로(20) 및 제2배출구(310)와 일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410)는, 하나의 예시에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되, 이중 벽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410)는,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대략 육면체의 외벽체(412); 상기 외벽체(412)의 내부에 형성된 유출구(414); 상기 외벽체(412)와 유출구(414)의 사이에 형성된 인입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벽체(412)와 유출구(414)가 이중 벽체를 형성하여, 이들 사이에는 인입부(4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체(412)의 일측면에는 제2배출구(310)가 연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구(414)는 원통형으로서, 이는 제2유로(20)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제2유로(2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유로(20)를 통과한 유체는 유출구(414)를 통과한 후, 인입부(416)로 인입된다. 그리고 인입부(416)로 인입된 유체는 제2배출부(300)의 제2배출구(310)를 통과하여 제2배출 배관(P)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외벽체(412)의 내부에는 단턱(4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단턱(418)은 외벽체(412)의 내주면(내부 둘레 면)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턱(418)에는 다이어프램(430)의 밀착부(438)가 밀착되어 실링(sealing)된다. 아울러,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출구(414)의 말단(414a)에는 다이어프램(430)의 실링부(430a)가 밀착되어 실링된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라서, 상기 바디(410)는 외벽체(412)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부(41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413)는 외벽체(412)의 내측 면에 형성되되, 제2배출부(300)의 반대쪽 방향의 내측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413)는 유체의 흐름성을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입부(416)로 인입된 유체는 제2배출부(300)의 제2배출구(310)를 통과하여 제2배출 배관(P)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외벽체(412)의 내측에 경사부(413)가 형성된 경우, 인입부(416)로 인입된 유체는 상기 경사부(413)에 의해 제2배출부(300) 쪽으로의 흐름성이 향상된다.
상기 다이어프램(430)은 바디(410)와 보닛(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2배출부(300)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430)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통상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다이어프램(430)은 축(425)에 결합되는 본체(431)와, 상기 본체(431)의 주위에 형성된 가요성부(437, flexible part)와, 상기 가요성부(437)의 주위에 형성된 밀착부(438)와, 상기 본체(431)의 하단에 형성된 실링부(4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438)는 바디(410)의 단턱(418)에 밀착되며, 상기 실링부(430a)는 유출구(414)의 말단(414a)에 밀착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430)은 합성수지재, 고무재 및/또는 실리콘 수지재 등의 가요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상기 가요성부(437)는 가요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430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상기 유출구(414)의 말단(414a)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430)은 핸들(440)과 축(425)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어프램(430)의 본체(431) 상부에는 축(425)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축(425)은 보닛(420)을 관통하여 핸들(440) 내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축(425)은 보닛(420)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외주연에 나사부(425a)가 형성되어, 보닛(420)의 내부에 나사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425)은 회전 시, 나사부(425a)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축(425)은 핸들(4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440)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425)이 회전된다. 그리고 축(425)의 회전에 의해, 다이어프램(430)의 적어도 본체(431)가 상하로 이동되어 개폐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축(425)을 회전시키면, 상기 밀착부(438)는 바디(410)의 단턱(418)에 밀착된 상태에 있고, 상기 가요성부(437)의 가요성에 의해 다이어프램(430)의 적어도 본체(431)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유출구(414)가 개폐된다. 즉, 상기 본체(431)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실링부(430a)가 유출구(414)의 말단(414a)에 밀착되거나 떨어져, 유출구(414)가 개폐된다. 따라서 핸들(44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2배출부(300)로의 유체의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보닛(420)은 체결 부재(401)를 통해 바디(4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닛(420)의 가장 자리에는 체결 부재(401)가 삽입되는 관통공(4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410)의 가장 자리에는 상기 체결 부재(401)가 결합되는 결합공(41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결합공(410a)에는 인서트 앵커 볼트(415, insert anchor bolt)가 매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 앵커 볼트(415)에는 상기 체결 부재(401)가 나사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공(410a)에 인서트 앵커 볼트(415)가 매입되고, 여기에 체결 부재(401)가 결합되는 경우, 바디(410)와 보닛(42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앵커 볼트(415)는 바디(410)의 성형 시에 매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440)의 상부에는 핸들 캡(445)이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캡(445)은 핸들(440)의 상부면(4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440)의 상부면(441)에는 예를 들어 'OPEN' 및 'CLOSE' 등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부(100), 제1배출부(200) 및 제2배출부(300)는 배관과 연결되는데, 이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제2배출부(300)와 제2배출 배관(P)은, 제2배출 배관(P)의 말단이 제2배출구(310)와 제3체결구(320)의 사이에 위치된 다음, 나사산(S, 도 4 참조)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조립 시, 기밀성을 위한 O-링(O-ring) 등의 실링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00)와 제1배출부(200)의 경우에도 상기 제2배출부(300)를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각 배관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개선된 분기 밸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유로(20)가 제1유로(10)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되, 곡면(R)을 갖도록 연장 현성되어,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된다. 또한, 종래보다 부품의 개수가 최소화되거나, 각 부품의 구조가 개선되어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갖는다.
10 : 제1유로 20 : 제2유로
100 : 유입부 110 : 유입구
120 : 제1체결구 200 : 제1배출부
210 : 제1배출구 220 : 제2체결구
300 : 제2배출부 310 : 제2배출구
320 : 제3체결구 400 : 밸브
410 : 바디 420 : 보닛
430 : 다이어프램 440 : 핸들
R : 곡면 S : 나사산

Claims (5)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
    상기 유입부와 제1배출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되,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 및
    상기 제2유로와 제2배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는 제1유로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되, 곡면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제2유로의 상부에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닛; 상기 바디와 보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축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벽체와 이중 벽체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유출구; 상기 외벽체와 유출구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를 통과한 유체가 인입되는 인입부; 및 상기 외벽체의 내측 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배출부의 반대쪽 방향의 내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닛은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에는 인서트 앵커 볼트가 매입되며,
    상기 제2유로의 외주연에 제2유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상단은 밸브의 바디에 결합하며, 보강 리브의 하단은 제1유로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0992U 2014-02-11 2014-02-11 분기 밸브 KR2004775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992U KR200477515Y1 (ko) 2014-02-11 2014-02-11 분기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992U KR200477515Y1 (ko) 2014-02-11 2014-02-11 분기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515Y1 true KR200477515Y1 (ko) 2015-06-29

Family

ID=5351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992U KR200477515Y1 (ko) 2014-02-11 2014-02-11 분기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5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849B1 (ko) * 2020-07-14 2020-10-14 주식회사 이앤아이비 크로스 티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0476A1 (en) * 1990-06-25 1992-01-09 Saunders Valve Company Limited Valve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branch passage
KR100481802B1 (ko) * 2004-07-23 2005-04-11 주식회사 퓨어라인 티에스 밸브
KR100903660B1 (ko) * 2007-06-18 2009-06-18 주식회사 퓨어라인 다이어프램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갖는다이어프램 밸브
JP5134903B2 (ja) * 2007-10-09 2013-01-3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通気管接続用の管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0476A1 (en) * 1990-06-25 1992-01-09 Saunders Valve Company Limited Valve for controlling connection to branch passage
KR100481802B1 (ko) * 2004-07-23 2005-04-11 주식회사 퓨어라인 티에스 밸브
KR100903660B1 (ko) * 2007-06-18 2009-06-18 주식회사 퓨어라인 다이어프램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갖는다이어프램 밸브
JP5134903B2 (ja) * 2007-10-09 2013-01-30 アロン化成株式会社 通気管接続用の管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849B1 (ko) * 2020-07-14 2020-10-14 주식회사 이앤아이비 크로스 티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639B2 (en) Valve sealant fitting
US6116286A (en) Pneumatic pipe plug
US9476186B2 (en) Main valve with internal rigid structure
US20120090715A1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with Floating Buoyant Ball Valve and Activation Rod
KR200477515Y1 (ko) 분기 밸브
EP2481963A2 (en) Automatic gas intake and exhaust valve device
US8960370B2 (en) Drain valve
US20110126932A1 (en) Faucet device
JP2014066324A (ja) ボール弁
CN106795971A (zh) 带有更换基座系统的配件
KR101118271B1 (ko) 벨로우즈 글로브 밸브
US20220196159A1 (en) 3-way t-flow ball drain valve
JP4005121B1 (ja) 流量計
KR100865415B1 (ko)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US20120012770A1 (en) Ball Valve
US10054235B2 (en) Control valve for faucet
JP3200194U (ja) ボール型逆止弁
TWM449215U (zh) 閥件錐體外切線與閥座之軸不平行之三偏心閥
JPWO2019151490A1 (ja) 流路構造
KR101538137B1 (ko) 비상급수용 유니온 파이프
KR200478073Y1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KR20050032935A (ko) 수지제 매뉴얼 밸브의 밸브 본체 및 다이어프램 구조
KR10208153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KR20160001032U (ko) 스핀들 작동 밸브와 과압 작동 밸브를 복합한 일체형 밸브
RU183745U1 (ru) К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