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23Y1 - 아이롱 트레이 - Google Patents

아이롱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23Y1
KR200477423Y1 KR2020130010933U KR20130010933U KR200477423Y1 KR 200477423 Y1 KR200477423 Y1 KR 200477423Y1 KR 2020130010933 U KR2020130010933 U KR 2020130010933U KR 20130010933 U KR20130010933 U KR 20130010933U KR 200477423 Y1 KR200477423 Y1 KR 200477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ing
groove
receptacle
iron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20130010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45D44/04Special adaptations of portable frames or rac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이롱을 거치, 보관할 수 있는 전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아이롱을 사용함에 있어, 트레이 상부에 구비된 콘센트에 아이롱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사용중이던 아이롱을 거치대에 거치하며, 아이롱의 크기와 종류에 맞게 정리할 수 있는 아이롱 전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고,
아이롱을 수납하는 사각기둥형상의 트레이에 있어서, 도구대로 구성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수납홈으로 구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하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바퀴로 구성되는 저면부와, 상기 상부 측면에 위치하며 멀티탭과, 콘센트 뚜껑으로 구성되는 콘센트부와, 상기 상부 우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으로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이다.

Description

아이롱 트레이{Curling iron tray}
본 고안은 아이롱을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아이롱을 사용함에 있어, 트레이 상부에 구비된 콘센트에 아이롱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사용중이던 아이롱을 거치대에 거치하며, 아이롱의 크기와 종류에 맞게 정리, 보관할 수 있는 아이롱 전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도구 트레이는 사각기둥형상으로 구성되며, 저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각종 서랍이나 수납도구함이 구비되어 크기나 용도에 맞춰 정리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아이롱을 사용하기 위하여 항상 벽에 있는 콘센트까지 이동하여 허리를 숙여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분리함에 불편함이 있고, 잠시 사용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중이던 아이롱을 거치하려 하여도 열기 때문에 거치해 놓기가 불편하며, 아이롱 전용 트레이가 존재하지 않아 아이롱을 보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2318 (2000.08.29)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측면에 트레이 상부에 콘센트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벽면에 위치한 콘센트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고, 사용중이던 아이롱을 거치할 수 있는 전용 아이롱 거치대가 구성되며, 아이롱을 크기와 종류에 알맞게 정리할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트레이 상단에 사각형상의 도구대로 구성되는 상부와, 정면부에 다수개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으로 구성되는 몸통부와, 다수개의 바퀴로 구성되는 저면부와, 상기 상부 좌측면에 위치하며 멀티탭과, 콘센트 뚜껑과, 멀티탭선과, 멀티탭플러그로 구성되는 콘센트부와, 상기 상부 우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으로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는 트레이 상단에 사각형상의 도구대로 구성되는 상부와, 정면부에 다수개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으로 구성되는 몸통부와, 다수개의 바퀴로 구성되는 저면부와, 상기 상부 우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으로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부와, 상기 상부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 있고, 멀티탭과, 콘센트 뚜껑과, ㄱ자 형상의 체결고리와, 멀티탭선과, 멀티탭플러그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부에 콘센트홈이 구비되고, 저면부에 플러그 홈이 구비되어, 콘센트부의 멀티탭플러그를 상부의 콘센트홈과 저면부의 플러그 홈에 관통시켜 멀티탭 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한다.
또한, 정면 아이롱 수납홈은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의 높이가 보다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보다 높으며, 몸통부 배면에 다수개의 배면 아이롱 수납홈이 형성되고, 정면 아이롱 수납홈은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의 높이가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보다 높으며, 배면 아이롱 수납홈은 배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의 높이가 배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보다 높다.
그리고, 상부와 몸통부와 아이롱 거치대는 목재나 철재로 구성되고, 아이롱 거치대의 아이롱 거치홈은 철재로 구성된 아이롱 거치홈 패킹이 구성되며, 콘센트 뚜껑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콘센트부와 연결되며, 상부에 원형의 홈을 다수 개를 갖는다.
또한, 정면 아이롱 수납홈은 높이의 레벨에 따라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와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의 길이를 다르게 하고, 배면 아이롱 수납홈은 높이의 레벨에 따라 배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와 배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의 길이를 다르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레이에 콘센트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벽면의 콘센트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고, 트레이 상부에 콘센트부가 구비되어 허리를 숙여 콘센트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콘센트부의 뚜껑이 분리가능하여 전용 멀티탭이 아닌 평소에 사용하던 멀티탭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아이롱 수납홈이 다수개 구성되어 아이롱을 크기와 종류에 맞게 정리할 수 있으며, 아이롱 수납홈의 출입구의 높이가 마감부의 높이보다 높아, 작업하는 상태에서 아이롱을 넣고 꺼내기 용이하고, 이동시 아이롱이 떨어질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미용기구 보관 셋트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아이롱 트레이의 정면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콘센트부의 확대도.
도 6의 a,b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아이롱 거치부의 확대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우측면 투시도.
도 8은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제 3 실시도를 나타낸 우측면 투시도.
본 고안은, 아이롱을 수납하는 사각기둥형상의 트레이에 있어서, 트레이 상단에 사각형상의 도구대(11)로 구성되는 상부(10);와, 상기 상부(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정면부에 다수개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으로 구성되는 몸통부(20);와, 상기 몸통부(20) 하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바퀴(31)로 구성되는 저면부(30);와, 상기 상부(10) 좌측면에 위치하며 멀티탭(41)과, 콘센트 뚜껑(42)과, 멀티탭선(44)과, 멀티탭플러그(45)로 구성되는 콘센트부(40);와, 상기 상부(10) 우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51)으로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정면도로서, 사각기둥형상의 트레이는 상부(10)와, 다수개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으로 구성되는 몸통부(20)와, 바퀴(31)가 구비된 저면부(30)와, 상기 상부(10) 좌측면에 구성되는 콘센트부(40)와, 상기 상부(10) 우측면에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대(50)로 구성되고, 콘센트부(40)의 멀티탭플러그(45)는 몸통부(20)를 통과하여 저면부(30) 밖으로 돌출되며, 그로 인하여 멀티탭 선(44)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멀티탭플러그(45)를 벽면의 콘센트에 연결하고 트레이에 구비된 콘센트부(40)에 아이롱의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벽면까지 이동하여 플러그를 연결, 분리할 필요가 없고, 콘센트부(40) 상부(10) 측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숙일 필요가 없으며, 몸통부(20)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에 아이롱을 수납할 수 있고, 저면부(30)에 바퀴(31)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아이롱 트레이의 정면도로서, 사각기둥형상의 트레이는 상부(10)와, 다수개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으로 구성되는 몸통부(20)와, 바퀴(31)가 구비된 저면부(30)와, 상기 상부(10) 우측면에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대(50)로 구성되고, 트레이와 분리되어 있는 체결고리(43)가 구비된 콘센트부(4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체결고리(43)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상부(10) 일측면에 콘센트부(40)를 체결할 수 있으며, 못이나 피스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콘센트부(40)와 트레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멀티탭플러그(45)를 벽면의 콘센트에 연결하고 상부(10) 측면에 위치한 콘센트부(40)에 아이롱의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벽면까지 이동하여 콘센트를 연결, 분리할 필요가 없고, 몸통부(20)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에 아이롱을 수납할 수 있으며, 저면부(30)에 바퀴(31)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다.
도 4의 a)는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평면도로서, 상부(10)에 작업에 필요한 물건을 넣을 수 있는 사각형상의 도구대(11)가 구성되고, 콘센트부(40)의 멀티탭선(44)을 넣을 수 있는 콘센트홈(12)이 구비된다.
또한, 콘센트부(40)부는 상부(10)의 측면에 존재하며, 내부에는 멀티탭(41)이 내장되고, 그 위를 콘센트 뚜껑(42)이 덮어 멀티탭(41)을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콘센트 뚜껑(42)에는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원형의 홈이 평면 방향으로 다수개 뚫려 있다.
또한, 아이롱 거치대(50)는 상부의 우측면에 존재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51)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도구대(11)에 작업에 필요한 미용도구들을 배치할 수 있고, 멀티탭선(44)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트레이 상부에 플러그를 수직으로 연결, 분리하는 콘센트부(40)가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허리를 숙여 플러그를 연결, 분리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중이던 아이롱을 아이롱 거치홈(51)에 수직으로 꼽아 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콘센트부(40)의 확대도로서, 콘센트부(40) 내부에는 멀티탭(41)이 구성되고, 콘센트부(40)와 콘센트 뚜껑(42)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콘센트부(40)와 콘센트 뚜껑(42)은 분리 가능하여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멀티탭(41) 이외의 다른 플러그도 콘센트부(40) 내부에 넣어 사용할 수 있고, 콘센트부(40)와 콘센트 뚜껑(4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되어 멀티탭(41)을 고정시켜, 수직으로 힘을 가하여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분리하여도 힘이 분산되지 않고, 콘센트 뚜껑(42)이 열릴 위험이 없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6의 a,b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아이롱 거치부(50)의 확대도 및 단면도로서, 아이롱 거치부(50)에는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51)이 구비되어, 사용하던 아이롱이나, 사용을 완료하였어도 아직 열기가 남아있는 아이롱을 거치할 수 있고, 아이롱 거치홈(51)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그에 결합되는 철재로 구성된 아이롱 거치홈 패킹(52)이 아이롱 거치홈(51)에 구비되어, 아이롱의 열로 인한 아이롱 거치홈(51)의 변형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측면 투시도로서, 몸통부(20)에 구비되어 있는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1a)는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1b)보다 높이가 높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서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에 아이롱을 수납하기 용이하며, 트레이를 이동하여도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에 있는 아이롱이 밖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다.
또한, 정면 아이롱 수납홈(21) 높이의 레벨에 따라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1a)부터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1b)까지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길이와 용도에 따른 아이롱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인 아이롱 트레이의 제 3 실시도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로서,몸통부(20)에 구비되어 있는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1a)는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1b)보다 높이가 높게 구성되고, 몸통부(20) 배면에도 다수개의 배면 아이롱 수납홈(22)이 구비되며, 배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2a)는 배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2b)보다 높이가 높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서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정면 아이롱 수납홈(21)과 배면 아이롱 수납홈(22)에 아이롱을 수납하기 용이하며, 트레이를 이동하여도 정면 아이롱 수납홈(21)과 배면 아이롱 수납홈(22)에 있는 아이롱이 밖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고, 정면 아이롱 수납홈(21)과 배면 아이롱 수납홈(22)을 이용하여 도 7의 구성보다 더 많은 아이롱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면 아이롱 수납홈(21) 높이의 레벨에 따라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1a)부터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1b)까지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고, 배면 아이롱 수납홈(22) 높이의 레벨에 따라 배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2a)부터 배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2b)까지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길이와 용도에 따른 아이롱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아이롱 트레이는 원목이나 목재, 철재 등의 열에 녹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어, 아이롱의 열로 인한 아이롱 트레이의 변형을 방지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상부 11. 도구대
12. 콘센트홈 20. 몸통부
21. 정면 아이롱 수납홈 21a.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
21b.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 22. 배면 아이롱 수납홈
22a.배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 22b.배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
30. 저면부 31. 바퀴
32. 플러그 홈 40.콘센트부
41.멀티탭 42.콘센트 뚜껑
43.체결고리 44.멀티탭 선
45.멀티탭플러그 50.아이롱 거치대
51.아이롱 거치홈 52.아이롱 거치홈 패킹

Claims (9)

  1. 아이롱을 수납하는 사각기둥형상의 트레이에 있어서,
    트레이 상단에 사각형상의 도구대(11)로 구성되는 상부(10);와,
    상기 상부(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정면부에 다수개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으로 구성되는 몸통부(20);와,
    상기 몸통부(20) 하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바퀴(31)로 구성되는 저면부(30);와,
    상기 상부(10) 좌측면에 위치하며 멀티탭(41)과, 콘센트 뚜껑(42)과, 멀티탭선(44)과, 멀티탭플러그(45)로 구성되는 콘센트부(40);와,
    상기 상부(10) 우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51)으로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2. 아이롱을 수납하는 사각기둥형상의 트레이에 있어서,
    트레이 상단에 사각형상의 도구대(11)로 구성되는 상부(10);와,
    상기 상부(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정면부에 다수개의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으로 구성되는 몸통부(20);와,
    상기 몸통부(20) 하단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바퀴(31)로 구성되는 저면부(30);와,
    상기 상부(10) 우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아이롱 거치홈(51)으로 구성되는 아이롱 거치부(50);와,
    상기 상부(10)의 일측면에 부착할 수 있고, 멀티탭(41)과, 콘센트 뚜껑(42)과, ㄱ자 형상의 체결고리(43)와, 멀티탭선(44)과, 멀티탭플러그(45)로 구성되는 콘센트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10)에 콘센트홈(12)이 구비되고, 상기 저면부(30)에 플러그 홈(32)이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부(40)의 멀티탭플러그(45)를 상기 상부(10)의 콘센트홈(12)과 저면부(30)의 플러그 홈(32)에 관통시켜 멀티탭 선(44)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은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1a)의 높이가 보다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1b)보다 높음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 배면에 다수개의 배면 아이롱 수납홈(22)이 형성되고,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은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1a)의 높이가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1b)보다 높으며, 배면 아이롱 수납홈(22)은 배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2a)의 높이가 배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2b)보다 높음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10)와 몸통부(20)와 아이롱 거치대(50)는 목재나 철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롱 거치대(50)의 아이롱 거치홈(51)은 철재로 구성된 아이롱 거치홈 패킹(5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뚜껑(42)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콘센트부(40)와 연결되며, 상부에 원형의 홈을 다수 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아이롱 수납홈(21)은 높이의 레벨에 따라 정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1a)와 정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1b)의 길이를 다르게 하고, 배면 아이롱 수납홈(22)은 높이의 레벨에 따라 배면 아이롱 수납홈 출입구(22a)와 배면 아이롱 수납홈 마감부(22b)의 길이를 다르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롱 트레이.
KR2020130010933U 2013-12-31 2013-12-31 아이롱 트레이 KR200477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33U KR200477423Y1 (ko) 2013-12-31 2013-12-31 아이롱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33U KR200477423Y1 (ko) 2013-12-31 2013-12-31 아이롱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23Y1 true KR200477423Y1 (ko) 2015-06-09

Family

ID=5351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933U KR200477423Y1 (ko) 2013-12-31 2013-12-31 아이롱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2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48A (ko) * 2000-03-21 2000-08-05 김석기 이미용기구 수납대
KR20050035719A (ko) * 2003-10-14 2005-04-19 우완제 미용실용 다용도 작업대
KR20110001587U (ko) * 2009-08-08 2011-02-16 안달호 콘센트가 장착된 이동식 미용도구 운반용 트레이
KR20140002643U (ko) * 2012-10-26 2014-05-08 박연수 아이롱 수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48A (ko) * 2000-03-21 2000-08-05 김석기 이미용기구 수납대
KR20050035719A (ko) * 2003-10-14 2005-04-19 우완제 미용실용 다용도 작업대
KR20110001587U (ko) * 2009-08-08 2011-02-16 안달호 콘센트가 장착된 이동식 미용도구 운반용 트레이
KR20140002643U (ko) * 2012-10-26 2014-05-08 박연수 아이롱 수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404B2 (en) Cleaner holder
KR20210040349A (ko) 청소기 충전대
EP4101360A1 (en) Cleaner holder
TW201603972A (zh) 組合式工具架
US10230251B2 (en) Station for charging and holding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20150157112A1 (en) Cordless Electric Devices for Hair Care
US8522969B2 (en) Appliance storage and organizer device
CN211872368U (zh) 用于蒸汽处理衣物的设备
KR200477423Y1 (ko) 아이롱 트레이
US20140145045A1 (en) Appliance holder
US8870307B1 (en) Ready station vanity and entertainment system
TWM561604U (zh) 套筒置座及其掛架
KR200470966Y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서포팅 유닛
KR101658603B1 (ko) 선반 일체형 멀티콘센트
US20140332423A1 (en) Tool box
KR101189832B1 (ko) 컴퓨터 본체 받침대
KR200460420Y1 (ko) 태블릿피씨 케이스
KR200483550Y1 (ko) 다림판책상
JP6767240B2 (ja) テーブル
CN104257134A (zh) 一种红木收纳凳
KR200468175Y1 (ko) 사무용품 거치대
USD845247S1 (en) Receptacle for electric motor
CN110081008B (zh) 塔扇
CN210341437U (zh) 一种便捷调温的电熨斗
CN107594807B (zh) 一种具有倾倒保护功能的新型拉杆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