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13Y1 - Prefab chair for infant - Google Patents

Prefab chair for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13Y1
KR200477413Y1 KR2020130004652U KR20130004652U KR200477413Y1 KR 200477413 Y1 KR200477413 Y1 KR 200477413Y1 KR 2020130004652 U KR2020130004652 U KR 2020130004652U KR 20130004652 U KR20130004652 U KR 20130004652U KR 200477413 Y1 KR200477413 Y1 KR 200477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leg
cushion
fixing p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6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6314U (en
Inventor
신동현
Original Assignee
신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현 filed Critical 신동현
Priority to KR2020130004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13Y1/en
Publication of KR20140006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1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면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와, 연결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와 저면에는 다리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다리부재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부재;와 착석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의자의 구성부품을 간소화시켜 의자의 조립 및 분해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유아가 착석을 위한 용도는 물론 조립과 분해를 통한 교보재의 용도 및 놀이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의자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a child,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a leg member formed of a connecting portion formed with a fitting proj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itting projection formed on a connecting portion of the leg member on the bottom surface And a cushion member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The seat cush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cushion is a seat cush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assembly and disassembly of chairs by simplifying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chair, and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seating for infants, but also for use of teaching materials and games through assembly and disassembly.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유아용 조립식 의자{Prefab chair for infant}{Prefab chair for infant}

본 고안은 유아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유아들이 교보재 및 유희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restraining chair which can be safely used by children,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can be utilized by children as teaching materials and playfuls.

일반적으로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착석하여 쉬거나 테이블을 이용하기 위해 착석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목재인 경우 많은 부품을 못이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품으로 고정하거나 별도의 연결편을 사용하여 각 부품의 이음부를 연결하고 있다.In general, the baby chair is used mainly for the purpose of sitting for resting or sitting on the table for children, and is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In case of wood, many parts are fastened with fastening parts such as nails or screws, The connecting part of each part is used to connect the joint part of each part.

그리고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의자를 구성하는 많은 부품이 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된 후 그러한 각 부품들이 목재와 같이 체결부품을 통해 고정되어 제작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synthetic resin, many parts constituting a chair are molded by a method such as injection molding, and then, each of the parts is fixed by fastening parts such as woo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6291호는 "유아용 의자의 조립구조"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06291 discloses "assembly structure of a baby chair ".

이러한 "유아용 의자의 조립구조"는 다리부와 좌판받침부 그리고 등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대칭으로 한 쌍을 이루는 측판과,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측판의 전면부에 걸치도록 마련한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의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측판의 일측면과 대응 밀착되게 결합하는 결합편을 마련하고, 상기 좌판받침부는 상기 측판의 상부에 걸치도록 마련한 좌판과, 상기 좌판의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측판의 일측면과 대응·밀착되어지게 결합하는 결합편을 마련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The "assembly structure of a child chair" includes a side plate having leg portions, a seat plate support portion, and a backrest portion integrally formed and symmetrically formed in a pair; the backrest portion includes a backrest plate laid over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plat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ide plate so as to be in tight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ide plat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is provided a joining piece to be join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이러한 "유아용 의자의 조립구조" 는 하중으로 인한 뒤틀림 등을 예방하는 구조를 갖는 유아용 의자의 결합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으며, 그러한 구조에 의해 유아 등이 앉을 경우 걸림이나 걸림에 따른 상해 등을 입지 않는 효과가 있다.Such an "assembly structure of a baby chair" has an effect of having a joining structure of an infant chair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warping due to a load and the like. It is effecti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의자는 의자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고 구조 또한 복잡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체결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복잡하고 어려우며, 의자가 단순히 착석의 용도로만 사용될 뿐 유아의 정서와는 무관하게 만들어지고 사용되고 있어 성장기 유아의 정서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baby chair is not easy to assemble because it has a larg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a chair,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is difficult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due to the use of a fastening member, And it is not suitable for the emotion of the growing child.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구성부품을 최소화시키고 의자의 조립 및 분해를 안전하면서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의자를 착석의 용도는 물론 교육자료 및 유희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for a child who can minimize the components of the chair and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chair safely and easily so that the chair can be utilized not only for seating but also for educational materials and games There is.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는 상면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와 저면에는 상기 다리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부재;와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hair for a chil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g member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cushion member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The seat cush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cushion is a seat cushion.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의 사방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십자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방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g members may be composed of a cross-shaped connecting portion formed with fitting protrusions on all four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a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the four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하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다리부 및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상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다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고정홈으로 상기 제2연결부의 고정홈이 수직으로 교차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eg members have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p surface and a fixing groove facing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a first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fixing groove facing up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xing groove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may be vertically cross-coupled to each other.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핀홈이 형성된 제1착석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착석부의 고정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제2착석부로 구성되어 제1착석부재의 상부로 제2착석부재가 고정핀홈과 고정핀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ixing pin grooves form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having a fixing pin which is fitted to the fixing pin groov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is formed at an edg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seat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member by the fixing pin groove and the fixing pin .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는 쿠션부재가 하단 일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so tha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member may be fitted and fixed.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 테두리에는 고정핀홈을 형성하고, 상기 착석부재의 테두리 형상과 상응하면서 저면에는 상기 고정핀에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핀홈이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를 구속시켜 주는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fixing pi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and a fixing pin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member so as to be fitted to the fixing pin, And a guide member for restraining the cushion member to be placed on the cushion member.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착석부재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부재는 상기 착석부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구성되어 착석부재의 상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ating member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guide member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at of the seating member,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에는 가이드부재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t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an extension portion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at of the guide member may be formed.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정한 상하 높이를 가지는 밴드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guide member may be of a band type having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하 높이는 착석부재에 놓여지는 쿠션부재의 높이 보다 낮거나 같거나 높은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up and down height of the guide member may be any one of lower, equal,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ushion member placed on the seating member.

본 고안은 유아가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을 단순화시켜 의자의 조립 및 분해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유아가 착석을 위한 용도는 물론 조립과 분해를 통한 교보재의 역할 및 놀이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어 의자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hair that can be used by a child, simplifies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chair by simplifying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chair, and can be used not only for seating for infants, And can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play,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chair can be further improved.

아울러 이러한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고안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고안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effect of such a design is obviously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design regardless of whether the designer perceives it or not, the above effect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dditionally determine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at even if it is not explicitly stat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such effect If it is an effect, it should be regarded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hild-wearable chair according to FIG. 3;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in nature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readily implement the invention,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구성을 보면, 다리부재와, 착석부재와, 쿠션부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a child-wearabl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leg member, a seating member, and a cushion member,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xemplified for such components.

다리부재(100)는, The leg members (100)

조립식 의자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사용자를 일정한 높이로 부양시키면서 사용자의 체중을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다리부재(100)는 상측의 십자형 연결부(110)와 그러한 연결부(110)의 각 끝단에서 하측을 향해 형성되는 다리부(120)로 구성되며, 연결부(110)의 상면에는 자세하게 후술되는 착석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끼움돌기(113)가 형성된다.The leg members 100 are provided on the upper cruciform connecting portion 110 and at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s 110 at the lower ends thereof, And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11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10 for coupling with the seating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13)는 연결부(110)의 사방에 분산 형성되어 연결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착석부재(2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itting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of the leg member 100 is formed to be distributed on all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to stably support the seating member 2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는 십자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세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다리부(120) 상단을 연결하면서 착석부재(200)의 저면을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connecting portion 110 of the leg member 100 need not be limited to a cross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200 whil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leg portions 120, This is possible.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120)는 연직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다리부의 기울어지는 방향은 바깥쪽을 향해 기울어짐이 바람직하다.The leg 120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art 110 of the leg member 10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ut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It is preferable to tilt toward the side.

다리부재(1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다리부재(100)는 조립성을 위해 2개로 나뉘어져 구성된 후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다리부재(100)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leg member 100, the leg members 100 may be divided into two for assembly, and then assembled together to form one leg member 100.

즉, 다리부재(100)는 서로 대향되어 이격된 제1다리부(121)와 그러한 제1다리부(12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111)가 대략 "┌┐" 형을 이루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된 제2다리부(122)와 그러한 제2다리부(12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112) 또한 대략 "┌┐" 형을 이루면서 이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자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leg member 100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which connects the first leg portion 121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leg portion 121,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12 connecting the second leg portion 122 opposed t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g portion 122 is also formed in a substantially " , And this is also configured to form a straight l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다리부재(100)의 제1,2연결부(111)(112)는 서로 수직교차되어 십자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111)의 상단 중앙과 제2연결부(112)의 하단 중앙에 서로 상응하여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111a)(112a)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1,2연결부(111)(112)의 양측 상면에는 착석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돌기(113)가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111 and 112 of the leg member 10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t the upper center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 and the lower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12 so as to be cross- And a fitting protrusion 113 for coupling with the seating member 200 is form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11 and 112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리부재(100)가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십자형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예시되었지만 이러한 연결형태는 2개의 부품이 십자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2개 이상의 부품이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leg member 1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f two parts and connected in a cross shape, but such a connection shape need not be limited to the two parts being connected in a cross shap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y may be radially connected.

착석부재(200)는,The seating member (200)

전술한 다리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착석부재(200)의 외형은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없이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기호나 특정 사물형태 또는 캐릭터형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그 일 예로서 원형의 착석부재(200)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uter shape of the seating member 200 is not limited to any one, but may be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or a symbol, a specific object shape, or a charac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a circular seating member 200 as an example.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석부재(200)는 다리부재(100)의 결합을 위해 다리부재(100)의 연결부(110)에 형성된 끼움돌기(113)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다수개의 끼움홈(230)이 저면에 형성된다.The seating memb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ttings 200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s 113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10 of the leg member 100 for coupling the leg members 100, Grooves 23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착석부재(200)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다수개의 몸체로 구성된 후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착석부재(200)는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로 나뉘어져 구성될 수 있다.The seating member 200 may be formed of a single body, but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odies are formed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eating part 210 and a second seating part 220. The first seating part 21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2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우선 제1착석부(210)는 저면에 다리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230)이 구비되며, 상부는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제1수용부(211)가 형성되고, 상면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핀홈(211a)이 형성된다.The first seating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230 for coupling with the leg member 100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first receiving portion 211 having an upper portion that is recessed inwardly while being opened, A plurality of fixing pin grooves 211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제1착석부(210)의 상부에 적층 결합되어 하나의 착석부재(200)를 이루게 되는 제2착석부(220)는 하부가 개방되면서 상측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제2수용부(221)가 형성되고, 저면 테두리에는 제1착석부(210)의 고정핀홈(211a)과 상응하여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221a)이 형성된다.The second seating part 220, which is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eating part 210 to form the one seating member 200, is formed with a second receiving part 221 which is lowered and is depressed upward And a fixing pin 221a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fixing pin 221a can be fitted and fitted with the fixing pin groove 211a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10. [

따라서 제1착석부(210)의 상부로 제2착석부(220)를 적층시켜 제1착석부(210)의 고정핀홈(211a)에 제2착석부(220)의 고정핀(221a)을 끼워 결합시키면 하나의 착석부재(200)를 이루면서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의 내부에는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마주하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220 is stacked on the first seating portion 210 so that the fixing pin 221a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groove 211a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10 The first seating part 21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20 are formed in a single seating member 200 while the first seating part 211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221 face each other, Space can be created.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책이나 장남감 또는 인형 등을 수납하면서 수납용도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1 can be utilized a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a book, a toy, or a doll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은 착석부재(2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착석부재(200)를 크게 구성함으로써 그에 따른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을 확장시켜 전술한 2개로 분리되는 다리부재(100)를 수납하는 형태로 사용하거나,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가 이루는 공간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착석부재(2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2개로 분리되는 다리부재(100)의 크기를 줄여 수납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1 can be form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ating member 200. By configuring the seating member 200 to be large,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211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221 may be used in a form in which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211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221 is extended to accommodate the two leg members 100, The leg members 10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a range in which the seating member 200 can be stably supported.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의 결합수단은 전술한 고정핀홈(211a)과 고정핀(221a)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1착석부(210)의 상단과 제2착석부(220)의 하단에 나사체결홈을 형성하여 서로 나사체결되면서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착석부(210)와 제2착석부(220) 중 어느 하나의 외경을 다른 하나의 외경보다 크거나 작게 구성하여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가 내부 또는 외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coupling means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220 need not be limited to the fixing pin groove 211a and the fixing pin 221a described above, The second seat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to have a threaded engagement groov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220,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so that the other one is inserted or coupl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쿠션부재(300)는,The cushion member (300)

전술한 착석부재(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착석부재(200)에 착석하는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부드러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쿠션부재(3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완충기능을 가지는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ushion member 300 is provided on the seating member 200 to provide comfort and softness to a user sitting on the seating member 200. The cushion member 3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having a buffering function .

본 발명에서는 착석부재(200)가 원형으로 예시됨에 따라 쿠션부재(300) 또한 원형으로 예시된 것이며, 이러한 쿠션부재(300)의 크기 및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member 300 is also illustrated in a circular shape as the seating member 200 is illustrated as a circle,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cushion member 300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being defined as any one .

쿠션부재(300)는 착석부재(200)에 고정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쿠션부재(300)의 마모 및 파손에 따른 교체 및 오염제거를 위한 세탁 등의 편의성을 위해 착석부재(200)로부터 쿠션부재(300)가 탈착될 수 있는 탈착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ushion member 300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seating member 200 but is preferably fixed to the seating member 200 for convenience of washing or the like for replacement and decontamination due to wear and tear of the cushion member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cushion member 3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쿠션부재(300)에 착석부재(200)가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착석부재(200)의 상부 외주면에 고정핀홈(240)을 형성하고, 착석부재(200)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이루며, 일정한 상하 높이를 가지는 밴드형상의 호형 가이드부재(250)를 구성하되 가이드부재(250)의 저면에는 착석부재(20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핀홈(240)과 일치하여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핀(252)이 형성된 것이다.A preferred embodiment for enabling the seating member 20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ushion member 300 includes a fixing pin groove 240 form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200 and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seating member 200 Shaped arcuate guide member 250 having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a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member 250 in such a manner as to be fitted in and fixed to the stationary pin groove 24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 member 200, The pin 252 is formed.

여기서 가이드부재(250)의 상하 높이는 쿠션부재(300)의 높이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재(250)의 상하 높이는 쿠션부재(300)의 높이보다 낮거나 높게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guide member 250 has a vertical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ushion member 300. If necessary, the vertical height of the guide member 250 may be lower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ushion member 300.

아울러 가이드부재(250)의 양단에는 가이드부재(250)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연장부(251)가 더 구성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250, an extension 251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at of the guide member 250 may be further formed.

따라서 착석부재(200)에 가이드부재(2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착석부재(200)의 상부로 쿠션부재(300)가 끼워지게 되면 착석부재(200)의 상면에 놓여지는 쿠션부재(300)의 외주면 일부가 가이드부재(250)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지면서 고정되고, 가이드부재(250)의 양단에 구비되 연장부(251)를 통해 쿠션부재(300)가 착석부재(200)로부터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쿠션부재(300)를 가이드부재(250)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상측으로 들어올려 분리시키거나 측방향으로 최소의 외력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쿠션부재(300)의 자체 변형에 의해 가이드부재(250)로부터 쿠션부재(300)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ushion member 300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200 in a state where the guide member 250 is installed in the seating member 20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300,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200, And the cushion member 300 is moved laterally from the seating member 200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25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250 When the cushion member 30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250, the cushion member 300 is lifted up and separated, or when the cushion member 300 is pulled by applying a minimum external forc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cushion member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guide member 250.

아울러 가이드부재(250)의 도움을 받아 착석부재(200)에 고정되는 쿠션부재(300)가 측방향은 물론 상측으로도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일 예로서 가이드부재(250)의 상단 일부를 안쪽으로 구부려 방지턱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가이드부재(250)에 쿠션부재(300)를 설치할 때 최소의 외력을 사용하여 쿠션부재(300)의 자체 변형을 통해 가이드부재(250)의 내부에 쿠션부재(300)를 끼워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250)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쿠션부재(300)는 가이드부재(250)의 연장부(251) 및 방지턱에 걸리는 상태가 되면서 쿠션부재(300)가 가이드부재(250)의 측방향은 물론 상측으로의 자연적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e cushion member 300, which is fixed to the seating member 200 with the help of the guide member 2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as well as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cushion member 300 is installed on the guide member 250, the cushion member 300 may be deformed by self-deformation of the cushion member 300 using a minimum external force, The cushion member 300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250 can be installed with the cushion member 300 interposed therebetween while the cushion member 300 is caught by the extending portion 251 of the guide member 250 and the restricting member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naturally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as well as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250.

한편, 착석부재(200)에 쿠션부재(300)가 탈착되는 다른 실시 예로서,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재(25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착석부재(200)에 쿠션부재(300)를 구속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착석부재(200)의 상면에 함몰되는 형태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그러한 안착홈에 쿠션부재(300)의 하단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착석부재(200)로부터 쿠션부재(300)의 상하분리는 자유롭지만 착석부재(200)의 안착된 쿠션부재(30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ushion member 300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member 200, the cushion member 300 may be restrained to the seating member 200 without using the guide member 250 The seat cushion member 300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that is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200 and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ushion member 300 is fitted into the seating groove, The upper and lower separation of the seat member 200 is free, b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ting cushion member 300 of the seating member 200 from being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착석부재(200)에 쿠션부재(300)가 탈착되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쿠션부재의 상부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쿠션층으로 구성하고, 쿠션부재의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되는 끼움부를 형성함으로써, 쿠션부재의 끼움부가 착석부재(200)의 상부에 끼워지면서 착석부재(200)로부터 쿠션부재가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ushion member 300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member 20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is formed of a cushion layer maintaining a constant thickness, The cushion member may be detached from the seating member 200 by fitting the fitting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200 by forming the recessed portion.

이와 같이 다리부재(100)와 착석부재(200)와 쿠션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의 특징은 조립이나 분해가 간단하며, 통상의 의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과 분해를 통한 교보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착석부재(200)를 이용한 내부공간의 활용을 통해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도 있고, 유희의 용도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feature of the chair for a child comprising the leg member 100, the seating member 200, and the cushion member 300 is that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can be used for ordinary chair use, A small article can be stored through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using the seating member 200 and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for entertainment purposes

아울러 이러한 유아용 조립식 의자는 원목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유아를 대상으로 제작되므로 각 부품의 모서리는 라운드처리될 필요가 있고, 유아의 피부가 접촉하므로 향균 처리 및 오염이 쉽게 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se baby chairs can be manufactured from raw materials such as wood or synthetic resin. Since the baby chair is manufactured for infants, the corner of each part needs to be round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not made of.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Belongs to.

100 : 다리부재 110 : 연결부
111 : 제1연결부 111a,112a : 고정홈
112 : 제2연결부 113 : 끼움돌기
120 : 다리부 121 : 제1다리부
122 : 제2다리부 200 : 착석부재
210 : 제1착석부 211 : 제1수용부
211a,240 : 고정핀홈 220 : 제2착석부
221 : 제2수용부 221a,252 : 고정핀
230 : 끼움홈 250 : 가이드부재
251 : 연장부
100: leg member 110:
111: first connection portion 111a, 112a:
112: second connecting portion 113:
120: leg portion 121: first leg portion
122: second leg 200: seating member
210: first seating portion 211: first receiving portion
211a, 240: fixed pin groove 220: second seat portion
221: second receiving portion 221a, 252:
230: fitting groove 250: guide member
251: Extension

Claims (10)

상면의 끼움돌기가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다리부재;
저면에는 상기 다리부재의 연결부에 형성된 끼움돌기와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재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부재; 및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재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고정핀홈이 형성된 제1착석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 테두리에는 상기 제1착석부의 고정핀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제2착석부로 구성되어 제1착석부의 상부로 제2착석부가 상기 고정핀홈과 고정핀에 의해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하나의 수납 공간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착석부재의 원형 상면 테두리에는 고정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착석부재의 테두리 형상과 상응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구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고정핀홈에 상응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 놓여진 쿠션부재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면서 착석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에는 연장부를 구성하여 상기 연장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가 상기 쿠션부재의 외주면을 반 이상을 감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착석부재에 놓여지는 쿠션부재의 높이 보다 높으면서 전체적으로 상하의 높이가 동일한 수평의 밴드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단 일부는 안쪽으로 구부려 상기 쿠션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A leg member comprising a connecting portion formed with a fitting project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 seat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eg member with a fitt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as to be able to be coupled with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a connecting portion of the leg member; And
And a cushion member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Wherein the seating member comprises:
A first receiving part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art and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a first sea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in grooves formed at an upper edge thereof, a second receiving part having a lower opening and a predetermined depth, And a second seating part formed with a fixing pin to be fitted into the fixing pin groove of the first seating part. The second seating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eating part by the fixing pin groove and the fixing p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form a single receiving space,
The seating member is formed with a fixing pin groove on the circular upper surface ri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has an arc shap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rim shape of the seating member, a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guide member having a pin is provided to prevent the guide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while cover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Wherein the guiding member is configured to extend at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so that the guiding member including the extending portion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at a distance greater than a half of the height of the cushion member, Wherein the guide member is formed in a horizontal band shape having the same height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uide member is bent inward to prevent the cushion member from being sepa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의 사방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십자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사방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다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leg portion formed at a lower side from each of the four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하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1다리부 및 상면 양측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상측을 향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일자형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양측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제2다리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고정홈으로 상기 제2연결부의 고정홈이 수직으로 교차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fitt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g portion, wherein the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leg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fixing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xing groov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legs are coupl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재의 상면에는 쿠션부재의 하단 일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조립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so th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can be fitted and fix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30004652U 2013-06-10 2013-06-10 Prefab chair for infant KR2004774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52U KR200477413Y1 (en) 2013-06-10 2013-06-10 Prefab chair for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652U KR200477413Y1 (en) 2013-06-10 2013-06-10 Prefab chair for inf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14U KR20140006314U (en) 2014-12-18
KR200477413Y1 true KR200477413Y1 (en) 2015-06-05

Family

ID=5351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652U KR200477413Y1 (en) 2013-06-10 2013-06-10 Prefab chair for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13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19A (en) 2020-03-23 2021-10-01 박성훈 Assembly type portable stool
KR20230073746A (en) 2021-11-19 2023-05-26 백서현 Adjustable chair for child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752U (en) * 1989-10-30 1991-06-28
JP3066752B1 (en) * 1999-08-24 2000-07-17 株式会社松栄堂 Incense for incense
JP2002315785A (en) * 2001-04-23 2002-10-29 Aron Kasei Co Ltd Seat section for chair
JP2003019053A (en) * 2001-07-09 2003-01-21 France Bed Co Ltd Legless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752U (en) * 1989-10-30 1991-06-28
JP3066752B1 (en) * 1999-08-24 2000-07-17 株式会社松栄堂 Incense for incense
JP2002315785A (en) * 2001-04-23 2002-10-29 Aron Kasei Co Ltd Seat section for chair
JP2003019053A (en) * 2001-07-09 2003-01-21 France Bed Co Ltd Legless 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19A (en) 2020-03-23 2021-10-01 박성훈 Assembly type portable stool
KR20230073746A (en) 2021-11-19 2023-05-26 백서현 Adjustable chair for child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14U (en)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336A (en) Playyard and bassinet combination
USD670094S1 (en) Children's invertible hourglass timer seat
KR200477413Y1 (en) Prefab chair for infant
CN203723719U (en) Seat and chair with same
JP2014504926A (en) Shoe stand
CN202354962U (en) Multifunctional game dining table and chair assembly
CN203328299U (en) Chair with adjustable height
KR20190002184U (en) The infant table
JP5975649B2 (en) Vertical chair
KR101834290B1 (en) Shower chair with multi-purpose
KR102241331B1 (en) Footrest
KR101703532B1 (en) Chair
TWM488256U (en) Structure of armrest of chair
KR102119364B1 (en) Assembly furniture
KR200459552Y1 (en) The tool of a chair toilet for children
CN216091243U (en) Nursing table
KR200492440Y1 (en)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KR200478459Y1 (en) Chair and table assembly for stacked by jar form
KR200480832Y1 (en) Multi-funtional table for kid
JP6433057B2 (en) Chair and chair system
KR101358414B1 (en) Slide
KR20220170464A (en) Sectional chair
KR20100001410U (en) A Hanger For Chair Back
TWM549010U (en) Composite furniture
KR101837704B1 (en) Outdoor hardwood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