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47Y1 -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47Y1
KR200477247Y1 KR2020110005808U KR20110005808U KR200477247Y1 KR 200477247 Y1 KR200477247 Y1 KR 200477247Y1 KR 2020110005808 U KR2020110005808 U KR 2020110005808U KR 20110005808 U KR20110005808 U KR 20110005808U KR 200477247 Y1 KR200477247 Y1 KR 200477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current
crossbar
cross bar
ov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95U (ko
Inventor
김학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5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247Y1/ko
Priority to CN2012203035704U priority patent/CN202996744U/zh
Publication of KR20130000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01H71/164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01H71/7463Adjusting only the electromagnetic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그 크로스바를 바이메탈에 대해 횡방향 이동시키는 전류조절용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도 작업자가 전류 조절용 스위치를 가압하여 크로스바를 쉽고 빠르게 움직여 정격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OVERCURRENT CONTROL SWITCH FOR CURCUIT BREAKER}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에서 과전류 또는 순시를 조절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과부하 및 이상전류로부터 전로와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기기이다. 과부하의 경우는 열전도률이 다른 두 부재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바이메탈(Bi-metal)을 이용하여 과부하를 검출하여 전로를 차단하며, 단락 또는 지락과 같은 대전류 통전시에는 이를 순간적으로 흡인하여 자계장을 형성하는 자석의 원리을 이용한 방식으로 전로를 차단한다.
전로에 이상전류의 발생시 인위적인 개폐와는 상관없이 배선용 차단기가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키는 것을 통상 트립이라고 하고, 배선용 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순간적으로 정격전류의 일정 배율로 인가될 때 트립을 실행하는 것을 순시 트립이라 한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에서는 순시 전류가 흘렀을 때 사용자가 순시 전류를 가조정하는 과전류 트립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정격전류 30A 이하의 소형 배선용 차단기에서 사용되는 과전류 트립 장치는 대개 열전자형과 완전 전자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열전자형 과전류 트립 장치는 배선용 차단기에 유입되는 전류가 직접 바이메탈에 흐르도록 하여 그 바이메탈의 변형을 이용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반면, 완전 전자형 과전류 트립장치는 전자석이 오일대시포트(oil dash-pot)와 함께 사용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며, 대시포트에서의 기름누설을 막기 힘들어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열전자형 과전류 트립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측면에서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측에 전달하기 위한 고정접촉자(1) 및 가동접촉자(2)와, 상기 가동접촉자(2)를 고정접촉자(1)와 폐로시키거나 또는 개로시키는 링크기구부(3)와, 과부하전류를 검출하는 히터부(4)와, 상기 히터부(4)에 접촉되어 그 히터부(4)의 열을 받아 굽힘이 발생되는 바이메탈(5)과, 상기 링크기구부(3)를 폐로 및 개로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바이메탈(5)의 동작을 상기 링크기구부(3)에 전달하는 크로스바(6)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8은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간격을 조절하는 갭 조정 스크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서는, 폐로 상태에 있던 차단기에 과부하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과부하전류는 상기 고정접촉자(1)와 가동접촉자(2)를 통하여 히터부(4)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과부하전류는 상기 히터부(4)에 열이 발생하도록 하고, 이 열은 상기 바이메탈(5)에 전도된다. 그러면 상기 바이메탈(5)은 열전도에 의해 크로스바(6)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크로스바(6)와의 간격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바이메탈(5)이 크로스바(6)를 회전시켜 그 크로스바(6)에 의해 폐로 상태로 구속받고 있던 상기 링크기구부(3)의 구속을 해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링크기구부(3)에 의해 고정접촉자(1)와 가동접촉자(2)가 개리되어 전로는 개로 상태로 전환되면서 과부하전류가 지속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막아주고 전로와 부하측의 부하기기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정격전류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흘러 상기 크로스바(6)가 링크기구부(3)를 트립시키는 동작은 상기 바이메탈(5)과 크로스바(6) 사이의 간격에 의해 좌우된다. 즉, 상기 바이메탈(5)과 크로스바(6) 사이의 간격에 의해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는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바이메탈(5)과 크로스바(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얼(7)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C는 차단기 하우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이얼을 이용하여 바이메탈과 크로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다이얼(7)을 회전시키기 위해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전류 조절 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도구 없이도 바이메탈과 크로스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측에 전달하기 위한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와 폐로시키거나 또는 개로시키는 링크기구부; 과부하전류를 검출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에 접촉되어 그 히터부의 열을 받아 굽힘이 발생되는 바이메탈; 상기 링크기구부를 폐로 또는 개로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바이메탈의 동작을 상기 링크기구부에 전달하는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그 크로스바를 바이메탈에 대해 횡방향 이동시키는 전류조절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배전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류 조절용 스위치는, 차단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그 차단기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부와, 상기 푸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부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크로스바에 전달하는 전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장치는,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그 크로스바를 바이메탈에 대해 횡방향 이동시키는 전류조절용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도 작업자가 전류 조절용 스위치를 가압하여 크로스바를 쉽고 빠르게 움직여 정격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열전자형 과전류 트립 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측면에서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를 측면에서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전류 조절용 스위치와 크로스바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인 개략도,
도 5는 도 3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상면에서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전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를 측면에서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에서 전류 조절용 스위치와 크로스바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를 상면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과전류 조절장치를 갖는 배전용 차단기는, 전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측에 전달하기 위한 고정접촉자(1) 및 가동접촉자(2)와, 상기 가동접촉자(2)를 고정접촉자(1)와 폐로시키거나 또는 개로시키는 링크기구부(3)와, 과부하전류를 검출하는 히터부(4)와, 상기 히터부(4)에 접촉되어 그 히터부(4)의 열을 받아 굽힘이 발생되는 바이메탈(5)과, 상기 링크기구부(3)를 폐로 또는 개로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바이메탈(5)의 동작을 상기 링크기구부(3)에 전달하는 크로스바(6)와, 상기 크로스바(6)에 결합되어 그 크로스바(6)를 바이메탈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바이메탈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전류 조절용 스위치(10)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조절용 스위치(10)는, 슬라이딩 스위치로 이루어져 그 상단은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여 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푸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부(11)의 저면에는 작업자가 가압하는 힘이 크로스바(6)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달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부(11)는 차단기 하우징(C)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도 3의 좌우 방향으로 정격전류의 배율이 명기된 표시부(미부호)가 푸시부(1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는 횡방향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정격전류의 0.8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정력전류의 1.0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11)의 상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횡방향으로 가세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힘이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가압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는 운동방향에 대해 수직한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걸어 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한 개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달부(12)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푸시부(11)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달부(12)의 하단이 상기 크로스바(6)의 중간부위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전달부(12)는 크로스바(6)에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그 크로스바(6)에 형성되는 걸림돌기(61)들 사이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지될 수도 있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8은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간격을 조절하는 갭 조정 스크류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배전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폐로 상태에 있던 차단기에 과부하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과부하전류는 상기 고정접촉자(1)와 가동접촉자(2)를 통하여 히터부(4)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과부하전류는 상기 히터부(4)에 열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바이메탈(5)에 전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바이메탈(5)은 열전도에 의해 크로스바(6) 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크로스바(6)와의 간격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바이메탈(5)이 크로스바(6)를 회전시켜 그 크로스바(6)가 폐로 상태로 구속받고 있던 상기 링크기구부(3)를 구속상태에서 해지시킨다.
그러면, 상기 링크기구부(3)에 의해 고정접촉자(1)와 가동접촉자(2)가 개리되어 전로는 개로 상태로 전환되면서 과부하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로와 부하측의 부하기기를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상기 전류 조절용 스위치(10)의 푸시부(11)를 해당 배율쪽으로 가세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전류 조절용 스위치(10)의 푸시부(11)에서 연장되어 상기 크로스바(6)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또는 걸림돌기(61)에 의해 크로스바(6)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되는 전달부(12)가 작업자의 가압력을 상기 크로스바(6)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가 상기 스위치의 푸시부(11)를 미는 힘이 상기 전달부(12)를 통해 크로스바(6)에 그대로 전달되어 그 크로스바(6)가 도면의 횡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크로스바(6)를 바이메탈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바이메탈(5)에서 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도 작업자가 전류 조절용 스위치를 가압함으로써 크로스바를 쉽고 빠르게 움직여 정격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1 : 고정접촉자 2 : 가동접촉자
3 : 링크기구부 4 : 히터부
5 : 바이메탈 6 : 크로스바
10 : 전류 조절용 스위치 11 : 푸시부
12 : 전달부 13 : 가압부
61 :걸림돌기

Claims (2)

  1. 전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측에 전달하기 위한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
    상기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와 폐로시키거나 또는 개로시키는 링크기구부;
    과부하전류를 검출하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에 접촉되어 그 히터부의 열을 받아 굽힘이 발생되는 바이메탈;
    상기 링크기구부를 폐로 또는 개로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하고 과전류 발생시 상기 바이메탈의 동작을 상기 링크기구부에 전달하는 크로스바; 및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그 크로스바를 바이메탈에 대해 횡방향 이동시키는 전류조절용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조절용 스위치는,
    차단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그 차단기 하우징의 외측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부와, 상기 푸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부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크로스바에 전달하는 전달부로 이루어지는 배전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장치.
  2. 삭제
KR2020110005808U 2011-06-24 2011-06-24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 KR200477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08U KR200477247Y1 (ko) 2011-06-24 2011-06-24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
CN2012203035704U CN202996744U (zh) 2011-06-24 2012-06-25 布线用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08U KR200477247Y1 (ko) 2011-06-24 2011-06-24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95U KR20130000095U (ko) 2013-01-03
KR200477247Y1 true KR200477247Y1 (ko) 2015-05-22

Family

ID=4856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808U KR200477247Y1 (ko) 2011-06-24 2011-06-24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7247Y1 (ko)
CN (1) CN20299674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4114B (zh) 2014-06-24 2016-08-24 上海诺雅克电气有限公司 多极电磁脱扣器的短路保护动作电流调节方法和装置
CN106229237B (zh) * 2016-09-26 2018-06-05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低压塑壳断路器的脱扣装置
CN106206199A (zh) * 2016-09-26 2016-12-07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低压断路器的脱扣装置
CN106252177B (zh) * 2016-09-26 2018-05-22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低压塑壳断路器的脱扣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058U (ko) * 1998-06-19 2000-01-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용 바이메탈과 크로스 바간의 간격조절장치
KR20030079084A (ko) * 2002-04-01 2003-10-10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20050062125A (ko) * 2003-12-19 2005-06-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트립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058U (ko) * 1998-06-19 2000-01-1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용 바이메탈과 크로스 바간의 간격조절장치
KR20030079084A (ko) * 2002-04-01 2003-10-10 엘지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20050062125A (ko) * 2003-12-19 2005-06-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트립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95U (ko) 2013-01-03
CN202996744U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24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과전류 조절 장치
US6201460B1 (en) Undervoltage release devic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1759594B1 (ko) 회로차단기
US7999641B2 (en) Circuit breaker having reduced auxiliary trip requirements
JP5844865B2 (ja) 配線用遮断器の検出機構部の間隔調整方法
KR101721105B1 (ko) 회로차단기의 간격 조정방법
EP2905800A1 (en) Thermal trip device, switching device, thermal magnetic circuit break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electrical circuit from damage
EP2897152B1 (en) Thermal trip device, switching device, thermal magnetic circuit break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electric circuit
KR101572753B1 (ko) 회로차단기의 트립 장치
KR101573605B1 (ko) 트립 갭 조정이 가능한 회로차단기의 트립 장치
US10079132B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electric circuit breaker tripping
KR200443585Y1 (ko) 회로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100001648U (ko) 전동공구용 과부하 제한장치
KR10148960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10201887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열동 가조정 트립장치
KR10198159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200247033Y1 (ko) 회로차단기의 정격전류 조절구조
KR10043433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 검출장치
EP2911177B1 (en) Magnetic trip device of a thermal magnetic circuit breaker having a stabilizer element
KR10151676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콘택트스프링 보호장치
KR200304675Y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강제 트립장치
KR200308138Y1 (ko) 회로 차단기의 방열 장치
CN101263573A (zh) 操作电开关设备的方法和按照这种方法工作的电开关设备
KR200193265Y1 (ko) 회로차단기
KR20100013105U (ko) 배선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